상위 문서: 나무위키:문법 도움말/심화
나무위키의 규정 |
기본방침 ( 문서 관리 방침 · 토론 관리 방침 · 이용자 관리 방침 · 운영 관리 방침 /운영진 선출) · 편집지침 ( 일반 문서 · 특수 문서 · 특정 분야 ( 인문사회 · 과학기술 · 문화예술 · 창작물) · 등재 기준 · 표제어) |
나무위키의 도움말 |
FAQ · 도움말 ( 기능 · 편집 · 문법 ( 심화 · 수식 · 개발) · 토론 · 설정 · 소명 · 권리침해 · 자주 하는 실수 · 문서 삭제식 이동 · 더미) |
나무위키의 운영 |
관리자 · 중재자 · 역대 운영진 · 운영진 지원 · 운영 도움말 ( 관리 · 중재 · 권한) · 접근 제한 ( 문서 목록) · 운영회의 ( 시행규칙 · 안건 건의) · 운영진 임명 회의 /진행 중인 회의 · 봇 리스트 · 투명성 보고서 · 소급 적용 규정 일람 · 공지 목록 |
나무위키의 기능 |
분류 · 게시판 · 엔진 ( 업데이트) · 계정 · 통계 · 연습장 · 내 문서함 · 문서 작성 요청 |
나무위키의 분류 |
프로젝트 · 주요 페이지 링크 · 보존문서 · 파일 · 틀 · 템플릿 |
1. 개요
- 본 문서는 나무위키 문법 도움말 문서입니다. 본 문서를 편집하실 때 가급적 높임말을 사용하여 주십시오. 취소선 기능은 불가피할 때가 아니면, 장난식으로는 사용하지 않기 바랍니다.
나무위키는 TeX을 이용한 수식 입력을 지원합니다. 이곳에서 연습이 가능합니다. 이 문법 가이드에 없는 수식 입력 방법은 이곳을 참고하십시오.
KaTeX 기반으로 구현되므로, 여기에서 지원하는 기호나 수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math()]
형태의 문법을 사용할 것을 권장하며, 레거시 문법인 <math></math>
는 지원은 하지만 제약사항이 존재합니다.※ [주의1] 모니위키에서 사용했던
$ TeX $
형태는 지원하지 않습니다.※ [주의2]
<math>...</math>
가
레거시 문법으로 남아 있으나 문법 내에서 다음과 같이 줄바꿈을 사용하는 경우 출력에 오류가 나며 후술할 경제적인 방향으로의 수식 작성을 위하여 사용을 권장하지 않습니다. 단, 토론에서는 [math(...)]
는 정상작동하지 않으므로 <math>...</math>
문법을 사용해야 합니다.입력 | 출력 | 비고 |
|
[math(\begin{matrix} a & b \\ c & d \\ \end{matrix})] | 권장 문법 |
|
[math( \begin{matrix} a & b \\ c & d \\ \end{matrix} )] |
줄바꿈이 있어도 문제 없음. |
|
\begin{matrix} a & b \\ c & d \\ \end{matrix}</math> | 레거시 문법은 한줄인 경우는 문제 없음 |
|
<math> \begin{matrix} a & b \\ c & d \\ \end{matrix} </math> |
[주의2] 레거시 문법에서 줄바꿈이 있으면 문제 발생 |
2. 숙지 사항
기본 커맨드[math(내용)]
를 이용해서 입력합니다. 이후 나오는 모든 내용은 그 내용을 [math(내용)]
의 "내용" 부분에 넣어주시기 바랍니다.-
[math(
y=ax+b)]
[math(\Rightarrow\,\color{green}y=ax+b)]
-
This is not suitable to write text
[math(\Rightarrow This is not suitable to write text)]
기호 | TeX내 기능 | 기호 출력을 위한 문법 | |
입력 | 출력 | ||
# |
\def 문법 내에서 인수 출력에 사용
|
\#
|
[math(\#)] |
$ | 없음[1] |
\$
|
[math(\$)] |
& |
\begin , \end 문법 내에서 단 생성
|
\&
|
[math(\&)] |
% | % 이후의 내용 주석 처리 |
\%
|
[math(\%)] |
^ | 위 첨자 문법 |
^\wedge
|
[math(^\wedge)] |
_ | 아래 첨자 문법 |
\_
|
[math(\_)] |
{ | 문법 적용 범위 설정 |
\{
|
[math(\{)] |
} |
\}
|
[math(\})] | |
~ | 공백 |
\sim
|
[math(\sim)] |
\\ |
각종 문법 시작 커맨드 공백[2] |
\backslash
|
[math(\backslash)] |
\\
를 이용합니다.[6]-
ABC\\abc
[math(\Rightarrow \begin{aligned}&ABC\\&abc\end{aligned})]
-
\sqrt2
[math(\Rightarrow\sqrt2)] -
\displaystyle\sum
a_n
[math(\Rightarrow\displaystyle\sum a_n)]
-
기본 서체 이외의 폰트를 출력할 때, 예를 들어 [math(\dfrac{{\color{red}\rm d}y}{{\color{red}\rm d}x})] 출력 시 로만체가 문자 하나에만 적용된 표기이므로
\dfrac{
\\mathrm{d}y}{
\\mathrm{d}x}
보다\dfrac{
\\mathrm dy}{
\\mathrm dx}
가 경제적입니다(중괄호가 불필요하며 문법과 내용 사이에 공백[8]만으로 충분). 이보다 더 경제적인 표기로\dfrac{
{\\rm d}y}{
{\\rm d}x}
가 있습니다(일괄 적용 문법 사용). -
하나의 수식 문법 안에 대형 분수 표기가 13개 미만이라면
\displaystyle……\frac ……\frac……
의 일괄 적용 문법을 쓰는 것보다……\dfrac……\dfrac……
축약 문법을 쓰는 것이 경제적입니다. 같은 이유로, 합의 기호, 적분과 같이 대형 연산자의 대형 출력을 위해\displaystyle
문법을 썼다면, 이 문법은 일괄 적용 문법이므로 그 이후\dfrac
를 쓸 필요가 없으며[9], 하나의 수식 내에 대형 연산자가 없는데\displaystyle
를 쓰는 것 역시 불필요합니다.
2.1. 문법의 종류
문법 적용 범위에 따라 일시 적용 문법과 일괄 적용 문법으로 나뉩니다. 이하 본 도움말에서 별도의 설명이 없으면 일시 적용 문법입니다.-
일시 적용 문법
문법 이후의 한 글자에만 적용되기 때문에 복수의 글자로 구성된 내용에 적용하려면 해당 내용을 중괄호로 감싸야 합니다. 대부분의 문법이 일시 적용 문법이며 이 원칙과 관련하여 분수, 조합, 로그 등 2개 이상의 인수로 이루어진 문법의 경우,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입력할 수 있습니다. -
\log_28
[math(\Rightarrow\log_28)] -
\dfrac ab
[math(\Rightarrow \dfrac ab)] -
\dbinom n{12}
[math(\Rightarrow \dbinom n{12})] -
일괄 적용 문법
문법 이후의 모든 글자에 적용되기 때문에 복수의 글자로 구성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중괄호로 감쌀 필요가 없습니다. 단, 색상 문법처럼 수식 일부에만 적용하고 싶을 때에는 해당 문법과 내용 전체를 중괄호로 감싸야 합니다. -
[math({\color{red}\rm arccsc}\,x \Leftarrow)] {
\rm arccsc
}\,x
-
[math(\dfrac{{\color{red}\rm d}y}{{\color{red}\rm d}x} \Leftarrow)]
\dfrac{
{\rm d
}y}{
{\rm d
}x}
2.2. 속성
특정 기호 또는 함수 이름을 출력하는 문법들은 8종류의 속성(class)으로 구분지어져 있으며 속성에 따라 자동으로 공백이 생성되기도 합니다. 공백이 생기는 구체적인 위치와 크기는 속성 종류에 따라 결정됩니다.속성명 | 특징 | 예시 | |
출력 | 문법 | ||
일반 |
공백 없음 |
[math(a\mathord{\color{red}/}b)] |
a /b
|
여는 괄호 | [math(a\mathopen{\color{red}(}b) )] |
a (b)
|
|
닫는 괄호 | [math((a\mathclose{\color{red})}b)] |
(a )b
|
|
구두점 | 기호 오른쪽에 작은 공백 삽입 |
[math(a\mathpunct{\color{red},}b)] [math(a\mathpunct{\color{red};}b)] |
a ,b a ;b
|
대형 연산자 |
기호 양쪽에 큰 공백 삽입 첨자 위치 문법을 이용하여 오른쪽 위 아래 첨자의 위치가 상하 위치로 이동 |
[math(a\mathop{\color{red}\sum}b)] |
a \\sum b
|
내부 수식 | 기호 양쪽에 작은 공백 삽입 | [math(a\mathinner{\color{red}\left(b\right)}c)] |
a \\left(b\\right)c
|
이항 연산 기호 |
[math(a\mathbin{\color{red}+}b)] [math(a\mathbin{\color{red}-}b)] [math(a\mathbin{\color{red}\cup}b)] |
a +b a -b a \\cup b
|
|
이항 관계 기호 | 기호 양쪽에 큰 공백 삽입 | [math(a\mathrel{\color{red}=}b)] |
a =b
|
속성에 따른 성질은 중괄호 문법 양끝에서 무효화됩니다. 아래 예시에서 [math(\sum)]와 [math(a)], [math(b)] 사이의 공백을 비교하여 보십시오.
-
[math(a{\color{blue}\sum b} \Rightarrow)]
a
{\color{blue}\sum b
}
[math(a\sum b \Rightarrow)]a\sum b
2.2.1. 속성 재지정 문법
속성은 각종 일시 적용 문법을 이용하여 재지정할 수 있습니다.
속성명 문법 |
예시 비교 | 재지정된 속성 | |
속성 재지정 문법 통상 문법 |
속성 재지정 출력 통상 출력 |
||
일반\mathord {}
|
a \\mathord\\sumb a {\\sum}b a \\sumb
|
[math(a\mathord{\color{red}\sum}b \\ a{\color{red}\sum}b \\ a\mathop{\color{blue}\sum}b)] | 대형 연산자 → 일반 |
여는 괄호\mathopen
|
a \\mathopen{\\left(\\right)}b a \\left(\\right)b
|
[math(a\mathopen{\color{red}\left(\right)}b \\ a\mathinner{\color{blue}\left(\right)}b)] | 내부 수식 → 여는 괄호 |
닫는 괄호\mathclose
|
a \\mathclose+b a +b
|
[math(a\mathclose{\color{red}+}b \\ a\mathbin{\color{blue}+}b)] | 이항 연산 기호 → 닫는 괄호 |
구두점\mathpunct
|
a \\mathpunct\\cup b a \\cup b
|
[math(a\mathpunct{\color{red}\cup} b \\ a\mathbin{\color{blue}\cup}b)] | 이상 연산 기호 → 구두점 |
대형 연산자\mathop
|
a \\mathop/b a /b
|
[math(a\mathop{\color{red}/}b \\ a\mathord{\color{blue}/}b)] | 일반 → 대형 연산자 |
내부 수식\mathinner
|
a \\mathinner tb a tb
|
[math(a\mathinner{\color{red}t}b \\ a\mathord{\color{blue}t}b)] | 일반 → 내부 수식 |
이항 연산 기호\mathbin
|
a \\mathbin=b a =b
|
[math(a\mathbin{\color{red}=}b \\ a\mathrel{\color{blue}=}b)] | 이항 관계 기호 → 이항 연산 기호 |
이항 관계 기호\mathrel
|
a \\mathrel.b a .b
|
[math(a\mathrel{\color{red}.}b \\ a\mathord{\color{blue}.}b)] | 일반 → 이항 관계 기호 |
속성 재지정 문법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
[math(123,456,789 \Leftarrow)]
123,456,789
[math(123{,}456{,}789 \Leftarrow)]123
{,}456
{,}789
-
[math(f\left(\dfrac 12\right) \Leftarrow)]
f\left(\dfrac 12\right)
[math(f{\left(\dfrac 12\right)} \Leftarrow)]f
{\left(\dfrac 12\right)
}
3. 텍스트 모드
'ab12+-'를 예로 아래 표에 정리한 문법을 이용하여 단어나 문장을 쓰는데 최적화 되어있는 텍스트 모드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이 문법 안에서는 수식을 출력할 수 없으며 아래와 같이 출력 결과에서 에러가 납니다.-
\text{\displaystyle e=\sum_{n=0}^\infty\frac1{n!}}
[math(\Rightarrow)] [math(\text{\displaystyle e=\sum_{n=0}^\infty\frac1{n!}})][10]
나무위키의 수식 텍스트 모드에서는 중간 굵기의 로만 폰트(직립체)가 디폴트이기 때문에
\text{}
(디폴트), \textrm{}
(로만), \textmd{}
(중간 굵기), \textup{}
(직립체) 모두 출력이 동일합니다.폰트 | 출력 | 문법 |
로만 | [math(\text{ab12+-})] |
\text{ab12+-} \textrm{ab12+-} \textmd{ab12+-} \textup{ab12+-}
|
로만 볼드 | [math(\textbf{ab12+-})] |
\textbf{ab12+-}
|
이탤릭 | [math(\textit{ab12+-})] |
\textit{ab12+-}
|
산세리프 | [math(\textsf{ab12+-})] |
\textsf{ab12+-}
|
타자기 | [math(\texttt{ab12+-})] |
\texttt{ab12+-}
|
\\
) 역시 무시[11]되므로 번거롭지만 개행을 하는 지점에서 텍스트 모드를 종료하고 수식 모드에서 개행을 한 뒤 다시 텍스트 모드를 작성해야합니다.-
\\text{
This is text mode
\\\\\\where the line break is not available.
}
[math(\Rightarrow\text{This is text mode where the line break is not available.})] (×)
\\text{This is text mode
}\\\\\\\\text{where the line break is not available.
}
[math(\Rightarrow \text{This is text mode}\\\text{where the line break is not available.})] (○)
-
[math(\text{\tt This is }\text{\LARGE text }\text{\tiny\color{purple}mode} \Leftarrow)]
\text{
\\ttThis is }\text{
\\LARGEtext }\text{
\\tiny\\color{purple}mode}
기호 | 출력 | 문법 |
^ | [math(\text{\textasciicircum})] |
\textasciicircum
|
~ | [math(\text{\textasciitilde})] |
\textasciitilde
|
\\ | [math(\text{\textbackslash})] |
\char`\\ \textbackslash
|
-
\text{\alpha \beta \gamma}
[math(\Rightarrow)] [math(\text{\alpha \beta \gamma})] (×)\text{αβγ}
[math(\Rightarrow \text{αβγ})] (○)
-
[math(\text{`C{\color{red}\oe}ur' means `heart' in French} \Leftarrow)]
\text{`C
\\oeur' means `heart' in French}
기호 출력 문법
Æ, æ [math(\text{\AE})], [math(\text{\ae})] \AE
,\ae
Å, å [math(\text{\AA})], [math(\text{\aa})] \AA
,\aa
ı, ȷ [math(\text{\i})], [math(\text{\j})] \i
,\j
Ø, ø [math(\text{\O})], [math(\text{\o})] \O
,\o
Œ, œ [math(\text{\OE})], [math(\text{\oe})] \OE
,\oe
ß [math(\text{\ss})] \ss
3.1. 텍스트 모드 분음 기호
나무위키 수식의 텍스트 모드에서는 다음 분음 기호의 출력을 지원합니다. 단, 수식 모드의 분음 기호 항목을 보면 알 수 있듯이 본 텍스트 모드의 분음 기호 문법은 수식 모드와 다르며, 텍스트 모드에서만 유효합니다. 또한 텍스트 모드의 각종 폰트 문법 안에서 입력해야 합니다.-
[math(\text{r\'esum\'e} \Leftarrow)] \\text{
r
\\'esume
\\'e}
이름 출력 문법
어큐트 [math(\text{\'a})] \'a
이중 어큐트 [math(\text{\H a})] \H a
그라브 [math(\text{\`a})] \`a
서컴플렉스 [math(\text{\^a})] \^a
하체크 [math(\text{\v a})] \v a
브리브 [math(\text{\u a})] \u a
도트 [math(\text{\.a})] \.a
움라우트 [math(\text{\"a})] \"a
매크론 [math(\text{\=a})] \=a
틸데 [math(\text{\~a})] \~a
위 링 [math(\text{\r a})] \r a
4. 공백
수식 모드에서 띄어쓰기를 출력하려면 별도의 띄어쓰기 문법을 써야 합니다. 아래 표의 두 번째 예처럼 스페이스바를 이용한 단순 반각 공백은 각종 문법을 구분해주는 역할을 할 뿐 출력상으로는 띄어쓰기가 적용되지 않습니다. 문법에서 는 출력하고자 할 때 반각 공백이 필수임을 의미합니다.출력 | 문법 |
상대 길이 (반각 공백 기준) |
비율 |
[math(a\!b)] |
a \\!b
|
[math(-\dfrac23)] | [math(-6)] |
[math(ab)] |
ab a b
|
[math(0\,)] | [math(0)] |
[math(a\,b)] |
a \\,b
|
[math(\dfrac23)] | [math(6)] |
[math(a\:b)] |
a \\:b a \\>b
|
[math(\dfrac89)] | [math(8)] |
[math(a~b)] |
a ~b a \\ b a \\text{ }b [12]
|
[math(1\,)] | [math(9)] |
[math(a\;b)] |
a \\;b
|
[math(\dfrac{10}9)] | [math(10)] |
[math(a\quad b)] |
a \\quad b
|
[math(4\,)] | [math(36)] |
[math(a\qquad b)] |
a \\qquad b
|
[math(8\,)] | [math(72)] |
\!
는 문자 사이의 간격을 줄여주는 문법으로, 해당 문법을 반복해서 쓰면 두 문자를 겹치게 나타내는 것도 가능합니다.-
p
\\!\\!\\!/
[math(\Rightarrow p\!\!\!/)][13]
-
[math(a\!\!\!\!\;~b \Leftarrow)]
a
\\!\\!\\!\\!\\;~b
(상대 길이 [math(-\dfrac59)] , 비율 [math(-5)]) -
[math(a\!\!\!\:~b \Leftarrow)]
a
\\!\\!\\!\\:~b
(상대 길이 [math(-\dfrac19)] , 비율 [math(-1)]) -
[math(a\!\!\!\;~b \Leftarrow)]
a
\\!\\!\\!\\;~b
(상대 길이 [math(\dfrac19)] , 비율 [math(1)]) -
[math(a\!~b \Leftarrow)]
a
\\!~b
(상대 길이 [math(\dfrac13)] , 비율 [math(3)])
5. 수식 폰트
'ab12+-'를 예시로 다음과 같이 폰트를 적용할 수 있는데, 일시 적용 문법과 일괄 적용 문법이 모두 존재합니다. 주의사항으로서, 폰트 문법 내에서는 개행 문법(\\
)이 먹히지 않습니다. 개행을 적용할 경우 해당 문법이 적용되는 범위를 중괄호로 감싸서 효과를 끝내고 그 바깥에서 개행하며 개행 이후에 적용하고자 했던 폰트 문법을 다시 적용하는 방식으로 써야 합니다.-
\bf abc
\\\\abc
[math(\Rightarrow \bf abc \\ abc)] (×)
{\\bfabc
}\\\\{\\bfabc
} [math(\Rightarrow \begin{aligned} {\bf abc}\\{\bf abc}\end{aligned})] (○) -
\mathsf{abc
\\\\abc}
[math(\Rightarrow \mathsf{abc\\abc})] (×)
\\mathsf{abc
}\\\\\\mathsf{abc
} [math(\Rightarrow \begin{aligned} \mathsf{abc}\\ \mathsf{abc}\end{aligned})] (○)
-
일괄 적용 문법
폰트 출력 문법
기본 [math(ab12+-)] ab12+-
로만 [math(\rm ab12+-)] \rm ab12+-
로만 볼드 [math(\bf ab12+-)] \bf ab12+-
이탤릭 [math(\it ab12+-)] \it ab12+-
산세리프 [math(\sf ab12+-)] \sf ab12+-
타자기체 [math(\tt ab12+-)] \tt ab12+-
-
일시 적용 문법
폰트 출력 문법
로만 [math(\mathrm{ab12+-})] \mathrm{ab12+-}
\operatorname{ab12+-
}[14]
로만 볼드 [math(\bold{ab12+-})]
[math(\mathbf{ab12+-})]\bold{ab12+-}
\mathbf{ab12+-}
이탤릭 [math(\mathit{ab12+-})] \mathit{ab12+-}
산세리프 [math(\mathsf{ab12+-})] \mathsf{ab12+-}
타자기체 [math(\mathtt{ab12+-})] \mathtt{ab12+-}
흑자체 [math(\frak{ab12+-})] \frak{ab12+-}
\mathfrak{ab12+-}
-
대문자에서만 유효한 폰트[15]
폰트 출력 문법
칠판체 [math(\mathbb{ABCDEFG})] \mathbb{ABCDEFG}
흘림체 [math(\mathcal{ABCDEFG})] \mathcal{ABCDEFG}
필기체 [math(\mathscr{ABCDEFG})] \mathscr{ABCDEFG}
\bm
또는 \boldsymbol
문법을 사용합니다.-
[math(f(x)=x^2+4x+2 \Leftarrow)]
f(x)=x^2+4x+2
[math(\bm{f(x)=x^2+4x+2} \Leftarrow)] \\bm{f(x)=x^2+4x+2
}
\pmb
[16] 문법를 사용합니다. 아래 첫 번째 예시는 일괄 산세리프체 + 볼드체이고 두 번째는 흑자체 + 볼드체입니다.-
[math({\bf L} = {\sf\pmb I}\bm\omega \Leftarrow)]
{\bf L} = {\sf
\\pmbI}\bm\omega
-
[math(\mathfrak{\pmb{ABC}} \Leftarrow)]
\mathfrak{
\\pmb{ABC
}}
5.1. 별도 명령어가 있는 폰트 문자
특정 폰트로 적용된 수학적 대상은 전용 명령어가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출력 | 문법 | 설명 |
[math(\Re)] |
\Re
|
복소수의 실수부 |
[math(\Im)] |
\Im
|
복소수의 허수부 |
[math(\wp)] |
\wp
|
바이어슈트라스 타원 함수 |
[math(\hbar)] |
\hbar
|
디랙 상수 |
[math(\partial)] |
\partial
|
편미분 |
[math(\complement)] |
\complement
|
여집합 |
[math(\N)] |
\N
|
자연수 집합 |
[math(\R)] |
\R
|
실수 집합 |
[math(\Z)] |
\Z
|
정수 집합 |
6. 수식 크기
다음 두 가지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병용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수식 전체에 나무위키의 텍스트 크기 설정 방법 적용. 단, 이 방법으로는 분수나 첨자 등 문법 도중의 일부만 바꾸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
[math(ab12+-)] [math(\Leftarrow)]
{{{+1 [math(ab12+-)]}}}
-
일괄 적용 문법 이용. 나무위키의 수식 모드에서는
\normalsize
문법의 [math(10\,\rm pt)]가 디폴트입니다. 문법 도중의 일부분만 바꿀 수 있습니다. -
[math({\huge ab}12+- \Leftarrow)] {
\huge ab
}12+-
-
[math(\dfrac{{\Huge a}+b}c \Leftarrow)]
\dfrac{
{\\Huge a}+b}c
출력 | 문법 | 폰트 크기[math(\rm /pt)] |
[math(\tiny ab12+-)] |
\tiny ab12+-
|
[math(5)] |
[math(\scriptsize ab12+-)] |
\scriptsize ab12+-
|
[math(7)] |
[math(\footnotesize ab12+-)] |
\footnotesize ab12+-
|
[math(8)] |
[math(\small ab12+-)] |
\small ab12+-
|
[math(9)] |
[math(\normalsize ab12+-)] |
\normalsize ab12+-
|
[math(10)] |
[math(\large ab12+-)] |
\large ab12+-
|
[math(12)] |
[math(\Large ab12+-)] |
\Large ab12+-
|
[math(14.4)] |
[math(\LARGE ab12+-)] |
\LARGE ab12+-
|
[math(17.28)] |
[math(\huge ab12+- )] |
\huge ab12+-
|
[math(20.74)] |
[math(\Huge ab12+- )] |
\Huge ab12+-
|
[math(24.88)] |
7. 수식 색상
수식의 색상 조절은\color{색상 이름}내용
의
일괄 적용 문법을 이용합니다.-
[math({\color{blue}ab1}{\color{red}2+-} \Leftarrow)] {
\color{blue}ab1
}{\color{red}2+-
}
[math(\rm\color{aquamarine}aquamarine)] | [math(\rm\color{black}black)] | [math(\rm\color{blue}blue)] | [math(\rm\color{blueviolet}blueviolet)] |
[math(\rm\color{brown}brown)] | [math(\rm\color{cadetblue}cadetblue)] | [math(\rm\color{cornflowerblue}cornflowerblue)] | [math(\rm\color{cyan}cyan)] |
[math(\rm\color{darkorchid}darkorchid)] | [math(\rm\color{forestgreen}forestgreen)] | [math(\rm\color{fuchsia}fuchsia)] | [math(\rm\color{goldenrod}goldenrod)] |
[math(\rm\color{gray}gray)] | [math(\rm\color{green}green)] | [math(\rm\color{greenyellow}greenyellow)] | [math(\rm\color{limegreen}limegreen)] |
[math(\rm\color{magenta}magenta)] | [math(\rm\color{maroon}maroon)] | [math(\rm\color{midnightblue}midnightblue)] | [math(\rm\color{orange}orange)] |
[math(\rm\color{orangered}orangered)] | [math(\rm\color{orchid}orchid)] | [math(\rm\color{plum}plum)] | [math(\rm\color{purple}purple)] |
[math(\rm\color{red}red)] | [math(\rm\color{royalblue}royalblue)] | [math(\rm\color{salmon}salmon)] | [math(\rm\color{seagreen}seagreen)] |
[math(\rm\color{skyblue}skyblue)] | [math(\rm\color{springgreen}springgreen)] | [math(\rm\color{tan}tan)] | [math(\rm\color{thistle}thistle)] |
[math(\rm\color{turquoise}turquoise)] | [math(\rm\color{violet}violet)] | [math(\rm\color{white}white)] | [math(\rm\color{yellow}yellow)] |
[math(\rm\color{yellowgreen}yellowgreen)] |
[math({\color{#RRGGBB}내용})]
과 같이 RRGGBB 입력도 지원합니다.8. 수식 모드 분음 기호
나무위키 수식 모드에서는 다음 분음 기호의 출력을 지원합니다.이름 | 출력 | 문법 |
어큐트 | [math(\acute a)] |
\acute a
|
그라브 | [math(\grave a)] |
\grave a
|
서컴플렉스 | [math(\hat a)] |
\hat a
|
넓은 서컴플렉스 | [math(\widehat{aa})] |
\widehat{aa}
|
하체크 | [math(\check a)] |
\check a
|
브리브 | [math(\breve a)] |
\breve a
|
도트 | [math(\dot a)] |
\dot a
|
움라우트 | [math(\ddot a)] |
\ddot a
|
매크론 | [math(\bar a)] |
\bar a
|
틸데 | [math(\tilde a)] |
\tilde a
|
넓은 틸데 | [math(\widetilde{aa})] |
\widetilde{aa}
|
벡터 | [math(\vec a)] |
\vec a
|
wide
가 붙은 문법을 제외한 것은 기호의 길이가 늘어나지 않으며 가운데 정렬로 출력되는 점에 주의하십시오.-
\acute{aa}
[math(\Rightarrow\acute{aa})]
\imath
[math(\Rightarrow\imath)], \jmath
[math(\Rightarrow\jmath)]를 이용합니다.-
\hat\imath
[math(\Rightarrow\hat\imath)],\acute\jmath
[math(\Rightarrow\acute\jmath)]
출력 | 문법 |
[math(\overset{\mathbf{...}}x)] |
\overset{\mathbf{...}}x
|
[math( [math( |
~~\:\overset{\Large\mathclap\frown}{\phantom{\scriptsize;\!}}\clap{AB}~~\: ~~\;\;\overset{\huge\mathclap\frown}{\phantom{\scriptsize{;}\!}}\clap{ABC}~~\;\;
|
9. 그리스 문자, 히브리 문자
그리스 문자 문서에 나온 각 문자의 영어명을 토대로, 그리스 소문자는 모두 소문자로, 그리스 대문자는 첫 글자만 대문자로 기입하면 됩니다.-
[math(\sigma \Leftarrow)]
\sigma
, [math(\Sigma \Leftarrow)]\Sigma
\varGamma
[math(\Rightarrow \varGamma)] 처럼 var
를 글자 앞에 붙임으로써 개별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습니다.각 문자별로 출력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대문자: [math(\Alpha)], [math(\Beta)], [math(\Gamma)], [math(\Delta)], [math(\Epsilon)], [math(\Zeta)], [math(\Eta)], [math(\Theta)], [math(\Iota)], [math(\Kappa)], [math(\Lambda)], [math(\Mu)], [math(\Nu)], [math(\Xi)], [math(\Omicron)], [math(\Pi)], [math(\Rho)], [math(\Sigma)], [math(\Tau)], [math(\Upsilon)], [math(\Phi)], [math(\Chi)], [math(\Psi)], [math(\Omega)]
- 소문자: [math(\alpha)], [math(\beta)], [math(\gamma)], [math(\delta)], [math(\epsilon)], [math(\zeta)], [math(\eta)], [math(\theta)], [math(\iota)], [math(\kappa)], [math(\lambda)], [math(\mu)], [math(\nu)], [math(\xi)], [math(\omicron)], [math(\pi)], [math(\rho)], [math(\sigma)], [math(\tau)], [math(\upsilon)], [math(\phi)], [math(\chi)], [math(\psi)], [math(\omega)]
- alpha, beta, gamma, delta, epsilon, zeta, eta, theta, iota, kappa, lambda, mu, nu, xi, omicron, pi, rho, sigma, tau, upsilon, phi, chi, psi, omega
위의 각 문자 중 일부의 변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변형: [math(\varGamma)], [math(\varDelta)], [math(\varTheta)], [math(\varLambda)], [math(\varXi)], [math(\varPi)], [math(\varSigma)], [math(\varPhi)], [math(\varUpsilon)], [math(\varPsi)], [math(\varOmega)]
출력 | 문법 | 비고 |
[math(\digamma)] |
\digamma
|
옛글자 |
[math(\varepsilon)] |
\varepsilon
|
[math(\epsilon)]의 이형 |
[math(\vartheta)] |
\vartheta
|
[math(\theta)]의 이형 |
[math(\varkappa)] |
\varkappa
|
[math(\kappa)]의 이형 |
[math(\varpi)] |
\varpi
|
[math(\pi)]의 이형 |
[math(\varrho)] |
\varrho
|
[math(\rho)]의 이형 |
[math(\varsigma)] |
\varsigma
|
[math(\sigma)]의 이형 |
[math(\varphi)] |
\varphi
|
[math(\phi)]의 이형 |
히브리 문자는 다음 4개만을 지원하며 폰트는 로만 폰트(디폴트) 및 로만 볼드 폰트(
\bf
)만 적용됩니다.-
[math(\aleph \Leftarrow)]
\aleph
, [math(\beth \Leftarrow)]\beth
, [math(\gimel \Leftarrow)]\gimel
, [math(\daleth \Leftarrow)]\daleth
10. 기타 문자
키릴 문자는 문법을 통한 입력을 지원하지 않으므로 직접 입력해야 합니다.-
[math({\color{red}Ш}(A/K) \ \Leftarrow)] Ш
(A/K)
( 테이트-샤파레비치 군)
11. 괄호 문법
소괄호를 예로, 각 기호 앞에 다음과 같이 문법을 덧붙여서 사용합니다. 괄호의 크기 비교를 위해 문법을 쓰지 않은 경우를 같이 표기합니다.크기 | 출력 | 문법 | 등가가 되는 가변형 괄호의 내용 |
문법 미사용 | [math((a))], [math(({V_{\max}}^2))], [math((\dfrac12))] |
(a) , ({V_{\max}}^2) , (\dfrac12)
|
윗첨자 없는 문자를 감쌀 때[18] |
소형 | [math(\bigl(a\bigr))], [math(\bigl({V_{\max}}^2\bigr))], [math(\bigl(\dfrac12\bigr))] |
\\bigl(a \\bigr) , \\bigl({V_{\max}}^2 \\bigr) , \\bigl(\dfrac12 \\bigr)
|
윗첨자 있는 문자를 감쌀 때 |
중형 | [math(\Bigl(a\Bigr))], [math(\Bigl({V_{\max}}^2\Bigr))], [math(\Bigl(\dfrac12\Bigr))] |
\\Bigl(a \\Bigr) , \\Bigl({V_{\max}}^2 \\Bigr) , \\Bigl(\dfrac12 \\Bigr)
|
극한 표기를 감쌀 때, 적분 기호를 제외하고 위아래 첨자가 없는 대형 연산자[19]를 감쌀 때 |
대형 | [math(\biggl(a\biggr))], [math(\biggl({V_{\max}}^2\biggr))], [math(\biggl(\dfrac12\biggr))] |
\\biggl(a \\biggr) , \\biggl({V_{\max}}^2 \\biggr) , \\biggl(\dfrac12 \\biggr)
|
부정적분 식을 감쌀 때, 정적분 계산식[20]의 대괄호 |
초대형 | [math(\Biggl(a\Biggr))], [math(\Biggl({V_{\max}}^2\Biggr))], [math(\Biggl(\dfrac12\Biggr))] |
\\Biggl(a \\Biggr) , \\Biggl({V_{\max}}^2 \\Biggr) , \\Biggl(\dfrac12 \\Biggr)
|
위아래 첨자가 있는 대형 연산자[21]를 감쌀 때[22] |
가변형 | [math(\left(a\right))], [math(\left({V_{\max}}^2\right))], [math(\left(\dfrac12\right))] |
\\left(a \\right) , \\left({V_{\max}}^2 \\right) , \\left(\dfrac12 \\right)
|
\mathord
를 적용하면 됩니다.(
속성 재지정 문법 참조)가변형 문법은 분수나 적분, 합의 기호 등 대형 연산자에만 사용할 것을 권합니다. 지수나 루트, 괄호가 본래 있었던 항 등에 처리할 경우 크기가 다른 괄호가 우후죽순 생겨 전체적으로 난잡한 느낌이 들기 때문입니다.
크기는 문법 미사용<소형<중형<대형<초대형 순이며 위 표에서 알 수 있듯이 가변형 괄호 문법만 내용에 맞춰 세로 폭이 자동으로 조정[23]되므로 기본적으로는
\left
, \right
세트를 이용합니다.
정적분 계산식처럼 항상 큰 세로 폭으로 출력하고 싶을 때에는 큰 폭의 괄호를 이용합니다. 특히 대형 괄호의 세로 폭이 대형 연산자의 세로 폭과 동일하므로 \biggl
, \biggr
세트를 이용합니다.가변형은 반드시
\left
와 \right
가 세트로 들어가야 하며 둘 중 하나라도 누락되거나 다른 크기를 조합하면 출력에서 에러가 납니다. -
f
\\left(x)=x^2
[math(\Rightarrow)] [math(f\left(x)=x^2)] (×) -
\\left
[0,\,1
\\biggr]
[math(\Rightarrow)] [math(\left[0,\,1\biggr])] (×)
-
[math([0,\,1\biggr] \Leftarrow)] [
0,\,1
\biggr]
-
[math({\color{red}\left[\!\!\:\right.}0,\,1{\color{blue}\left.\!\!\!\!\;~\right)} \Leftarrow)]
\left
[0,\,1\right
)
종류 | 출력 | 문법 |
소괄호 | [math({\color{red}(}a{\color{red})})] |
(a )
|
중괄호 | [math({\color{red}\{}a{\color{red}\}})] |
\\{a \\}
|
대괄호 | [math({\color{red}[}a{\color{red}]})] |
[a ]
|
절댓값 기호 |
[math({\color{red}|}a{\color{red}|})] |
|a |\\lvert a \\rvert
|
노름 기호 | [math({\color{red}\|}a{\color{red}\|})] |
\\|a \\|\\lVert a \\rVert
|
홑화살괄호 | [math({\color{red}\langle}a{\color{red}\rangle})] |
\\langlea \\rangle\\left< a \\right>[24]
|
바닥 함수 기호 | [math({\color{red}\lfloor}a{\color{red}\rfloor})] |
\\lfloora \\rfloor
|
천장 함수 기호 | [math({\color{red}\lceil}a{\color{red}\rceil})] |
\\lceila \\rceil
|
슬래시 | [math({\color{red}/}a{\color{red}\backslash})] |
/a \\backslash
|
화살표 | [math({\color{red}\uparrow}a{\color{red}\Updownarrow})] |
\\uparrowa \\Updownarrow
|
괄호 삭제 (괄호 문법 전용) |
[math(\left.a\right.)] |
\\left.a \\right.[25]
|
종류 | 출력 | 문법 |
겹화살괄호 | [math({\color{red}\langle\!}{\color{blue}\langle}a{\color{blue}\rangle}{\color{red}\!\rangle})] |
\\langle\\!{\\langlea \\rangle}\\!\\rangle
|
[math({\color{red}\biggl<\!\!\!}{\color{blue}\biggl<}\dfrac12{\color{blue}\biggr>}{\color{red}\!\!\!\biggr>})] |
\\left<\\!\\!\\!{\\left<\dfrac12 \\right>}\\!\\!\\!\\right>
|
\left
와 \right
사이에 \middle
을 사용하여 괄호 크기를 맞출 수 있습니다.-
\left\{\dfrac1n
\\middle|n\in\N\right\
} [math(\Rightarrow \left\{\dfrac1n\color{red}\middle|\color{default}n\in\N\right\})]
12. 대형 연산자 출력 관련
분수, 조합, 적분, 합의 기호 등 대형 연산자의 크기를 조절하는 문법과, 적분, 극한, 합의 기호 등 첨자를 수반하는 연산자의 첨자 위치에 관한 문법이 있습니다.12.1. 크기 조절 문법
일괄 적용 문법입니다. 다음 [math(4)]종류의 출력이 있습니다.문법 | 출력 | 크기 | |
\\displaystyle\frac12
|
[math(\displaystyle\frac12)] | 대형 | |
\\textstyle\frac12
|
[math(\textstyle\frac12)] | 소형 | 텍스트 |
\\scriptstyle\frac12
|
[math(\scriptstyle\frac12)] | 첨자 | |
\\scriptscriptstyle\frac12
|
[math(\scriptscriptstyle\frac12)] | 첨자 내 첨자 |
\displaystyle
을 씀으로써, 분수나 대형 연산자를 대형 표기로 강제 적용합니다. 기타 지수나 첨자 표기 등은 이 문법의 유무에 관계없이 출력이 똑같기 때문에 굳이 \displaystyle
을 일일이 써주지 않아도 되며, 대형 표기 분수의 분자·분모에 대형 연산자를 쓰고 싶은 경우 해당 문법을 한 번 더 써줘야 합니다.-
[math(\displaystyle\frac{\sum_{k=0}^nk}{n+1} \Leftarrow)]
\displaystyle\frac{\sum_{k=0}^nk}{n+1}
[math(\displaystyle\frac{\displaystyle\color{red}\sum_{k=0}^n\color{default}k}{n+1} \Leftarrow)]\displaystyle\frac{
\\displaystyle\sum_{k=0}^nk}{n+1}
\displaystyle
을 쓰는 것보다 아래의 첨자 위치 문법을 조합해서 \limits
를쓰는 것이 경제적입니다.-
[math(\lim\limits_{n\to\infty}a_n \Leftarrow)]
\lim
\\limits_{n\to\infty}a_n
-
[math(a^x \Leftarrow)]
a^x
[math(a^{\displaystyle{\color{red} x}} \Leftarrow)]a^{
\\displaystylex}
-
[math(\displaystyle \int_a^b f(x){\rm\,d}x \Leftarrow)]
\displaystyle \int_a^b f(x){\rm\,d}x
[math(\displaystyle \int_{\displaystyle {\color{red} a}}^{\scriptscriptstyle {\color{red} b}} f(x){\rm\,d}x \Leftarrow)]\displaystyle \int_{
\\displaystylea}^{
\\scriptscriptstyleb} f(x){\rm\,d}x
\begin{}내용\end{}
단위로 쓰이는 각종 행렬, 연립 표기는 디폴트가 대형 크기이며 아래 예에서 알 수 있듯이 \textstyle
문법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math(\begin{pmatrix}a & b \\ c & d\end{pmatrix} \Leftarrow)]
\begin{pmatrix} a & b \\ c & d\end{pmatrix}
[math(\textstyle\begin{pmatrix}a & b \\ c & d\end{pmatrix} \Leftarrow)] \\textstyle\begin{pmatrix}a & b \\ c & d\end{pmatrix}
\scriptstyle
과 \scriptscriptstyle
에 의한 크기 변화는 있으나 한계가 있고, 이보다 더 작게 출력하려면
수식 크기 문법을 이용해야 합니다.-
[math({\scriptstyle\begin{pmatrix}a & b \\ c & d\end{pmatrix}} \Leftarrow)] \\scriptstyle
\begin{pmatrix} a & b \\ c & d\end{pmatrix}
[math({\scriptscriptstyle\begin{pmatrix}a & b \\ c & d\end{pmatrix}} \Leftarrow)] \\scriptscriptstyle\begin{pmatrix} a & b \\ c & d\end{pmatrix}
-
[math({\tiny\begin{pmatrix}a & b \\ c & d\end{pmatrix}} \Leftarrow)] \\tiny
\begin{pmatrix} a & b \\ c & d\end{pmatrix}
\displaystyle\frac
, \displaystyle\binom
을 각각 \dfrac
, \dbinom
으로 간단하게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다른 일괄 크기 조절 문법이 선행됐다 하더라도 해당 문법은 대형 표기로 출력됩니다.-
\textstyle \frac 12
\\dfrac ab\sum_{n=1}^\infty c_n
[math(\Rightarrow \frac 12 {\color{red}\dfrac ab} \sum_{n=1}^\infty c_n)] -
\textstyle \frac{
\\dfrac{a+1}{b+1}}{\frac{c+1}{d+1}}
[math(\Rightarrow \textstyle \frac{{\color{red}\dfrac{a+1}{b+1}}}{\frac{c+1}{d+1}})]
\cfrac
문법을 이용[26]합니다. \dfrac
과 유사하게 다른 일괄 크기 조절 문법의 영향을 받지 않으나 분수의 가로 세로 폭이 \dfrac
보다 미묘하게 크게 출력됩니다.
원주율 [math(pi)]을 예로 두 문법을 각각 적용한 아래 예시를 비교하십시오.
\dfrac 적용
|
\cfrac 적용
|
[math(\pi = 3+\dfrac{1^2}{6+\dfrac{3^2}{6+\dfrac{5^2}{6+\dfrac{7^2}{6+\dfrac{9^2}{6+\dfrac{11^2}{6+\dfrac{13^2}{6+\dfrac{15^2}{\begin{matrix} \ddots \end{matrix}}}}}}}}})] | [math(\pi = 3+\cfrac{1^2}{6+\cfrac{3^2}{6+\cfrac{5^2}{6+\cfrac{7^2}{6+\cfrac{9^2}{6+\cfrac{11^2}{6+\cfrac{13^2}{6+\cfrac{15^2}{\begin{matrix} \ddots \end{matrix}}}}}}}}})] |
\tfrac
, \tbinom
으로 간단하게 나타낼 수 있습니다. 역시 다른 일괄 크기 조절 문법이 선행돼도 해당 수식은 텍스트 크기로 출력됩니다.12.2. 첨자 위치 문법
첨자 표기를 수반하는 연산자의 첨자 위치에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 스타일이 있습니다.- 비극한식 표기: [math(\displaystyle \int_a^b f(x) \,{\rm d}x)]
- 극한식 표기: [math(\displaystyle \int\limits_a^b f(x) \,{\rm d}x)][27]
소형 표기를 유지하되 대형 연산자의 첨자 위치를 극한식 표기로 나타내고 싶을 때[28]에는 해당 연산자 문법에
\limits
를 덧붙입니다. 대형 연산자의 문법이 (연산자)(아래 첨자)(위 첨자)[29] 묶음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할 때, (연산자) 앞을 제외한 각 묶음의 양 옆 중 아무데나 한 곳에 \limits
를 붙여주면 해당 효과가 바로 적용됩니다(아래 참조). 그러나 연산자 묶음 앞에 선행하거나 각 묶음 내부에 \limits
가 침범하는 경우엔 제대로 출력이 되지 않거나 에러가 납니다.문법 | 출력 |
e^{\sum_{n=1}^\infty a_n}
|
[math(e^{\sum_{n=1}^\infty a_n})] |
e^{\sum \\limits_{n=1}^\infty a_n}
|
[math(e^{\sum\limits_{n=1}^\infty a_n})] |
e^{\sum_{n=1} \\limits^\infty a_n}
|
[math(e^{\sum_{n=1}\limits^\infty a_n})] |
e^{\sum_{n=1}^\infty \\limits a_n}
|
[math(e^{\sum_{n=1}^\infty\limits a_n})] |
\limits
문법은 해당 연산자에 한하여 첨자의 위치에만 영향을 주기 때문에 앞선 \displaystyle
의 영향을 받으나, 적분을 제외한 연산자에서는 병용해도 의미가 없습니다. 이유인 즉, \displaystyle
과 조합할 경우 원래대로의 극한식 표기가 적용될 뿐이기 때문에 출력에는 전혀 차이가 없으며, 소형 표기를 전제로 하는 특성상 다른 일괄 크기 조절 문법을 굳이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마찬가지로 대형 표기를 유지하되 대형 연산자의 첨자 위치를 비극한식 표기로 나타내고 싶을 때에는 해당 연산자 문법에
\nolimits
를 덧붙입니다. 비극한식 표기 문법은 적분을 제외한 대형 연산자에서 \displaystyle
과 병용했을 때에만 의미가 있습니다. 대한민국에서는 대형 연산자의 대형 표기에서 이 방식이 주류가 아니기 때문에 권장되지는 않습니다.-
[math(\displaystyle \sum\nolimits_{\color{red}k=1}^{\color{red}n}a_k \Leftarrow)]
\displaystyle \sum
\\nolimits_{k=1}^n a_k
13. 화살표 문법
화살표의 방향에 따라 다음과 같은 종류의 화살표 문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문법 | 출력 |
\leftarrow \gets
|
[math(\leftarrow)] |
\rightarrow \to [30]
|
[math(\rightarrow)] |
\leftrightarrow
|
[math(\leftrightarrow)] |
\leftleftarrows
|
[math(\leftleftarrows)] |
\rightrightarrows
|
[math(\rightrightarrows)] |
\leftrightarrows
|
[math(\leftrightarrows)] |
\uparrow
|
[math(\uparrow)] |
\downarrow
|
[math(\downarrow)] |
\updownarrow
|
[math(\updownarrow)] |
\upuparrows
|
[math(\upuparrows)] |
\downdownarrows
|
[math(\downdownarrows)] |
\nearrow
|
[math(\nearrow)] |
\searrow
|
[math(\searrow)] |
\nwarrow
|
[math(\nwarrow)] |
\swarrow
|
[math(\swarrow)] |
\mapsto
|
[math(\mapsto)] |
좌우 화살표에 한하여, 시점에 갈고리를 달고 싶은 경우,
\
바로 다음에 hook을 삽입합니다.문법 | 출력 |
\hookleftarrow \hookrightarrow
|
[math(\hookleftarrow \quad \hookrightarrow)] |
작살표는 arrow 대신 harpoon을 쓰며 문법 마지막에 up, down, left, right로 작살이 튀어나온 방향을 씁니다. 좌우 겹작살표는 지원하는 반면 상하 겹작살표는 지원하지 않으므로 공백 문법을 조합해서 일일이 입력해야 합니다.
문법 | 출력 |
\leftharpoonup \rightharpoonup \leftharpoondown \rightharpoondown
|
[math(\leftharpoonup \quad \rightharpoonup \\ \leftharpoondown \quad \rightharpoondown)] |
\leftrightharpoons \rightleftharpoons
|
[math(\leftrightharpoons \\ \rightleftharpoons)] |
\upharpoonleft \upharpoonright \downharpoonleft \downharpoonright
|
[math(\upharpoonleft \quad \upharpoonright \\ \downharpoonleft \quad \downharpoonright)] |
\upharpoonleft\!\!\!\!\:~\downharpoonright \downharpoonleft\!\!\!\!\:~\upharpoonright
|
[math(\upharpoonleft\!\!\!\!\:~\downharpoonright \\ \downharpoonleft\!\!\!\!\:~\upharpoonright)] |
문법 | 출력 |
\xrightharpoonup[\normalsize\leftharpoondown]{}}
|
[math(\xrightharpoonup[\normalsize\leftharpoondown]{})] |
겹화살표는 첫글자를 대문자로 씁니다. 대각선 및 대응 관계 화살표는 지원하지 않습니다.
문법 | 출력 |
\Leftarrow \Rightarrow
|
[math(\Leftarrow \quad \Rightarrow)] |
\Leftrightarrow
|
[math(\Leftrightarrow)] |
\Uparrow
|
[math(\Uparrow)] |
\Downarrow
|
[math(\Downarrow)] |
\Updownarrow
|
[math(\Updownarrow)] |
삼겹화살표는 각 문법 첫글자의 대문자를 한번 더 씁니다. 좌우 화살표만 지원합니다.
문법 | 출력 |
\Lleftarrow
|
[math(\Lleftarrow)] |
\Rrightarrow
|
[math(\Rrightarrow)] |
표준 길이보다 좀 더 긴 화살표를 쓰고 싶은 경우 기본 문법의
\
다음에 long
을 삽입합니다. 상하 화살표는 지원하지 않으며 괄호 크기 문법으로 대체할 수는 있습니다. 겹화살표로 나타내고 싶으면 Long
을 삽입합니다. 표준 길이보다 긴 삼겹화살표는 지원하지 않습니다.문법 | 출력 |
\longleftarrow
|
[math(\longleftarrow)] |
\longrightarrow
|
[math(\longrightarrow)] |
\longleftrightarrow
|
[math(\longleftrightarrow)] |
\longmapsto
|
[math(\longmapsto)] |
\Longleftarrow
|
[math(\Longleftarrow)] |
\Longrightarrow
|
[math(\Longrightarrow)] |
화살표 위아래로 코멘트를 입력할 경우 기본 문법의
\
다음에 x
를 삽입하고 아래에 쓸 내용을 대괄호로, 위에 넣을 내용을 중괄호로 감싸서 표기합니다. 둘 다 쓸 경우 반드시 대괄호 → 중괄호 순으로 써야하며 어느 한쪽만 기입할 경우 대괄호는 생략해도 문제가 없으나 중괄호를 생략하면 에러가 납니다. 화살표의 길이는 내용에 맞춰 자동으로 조절되므로 long
문법을 쓴 화살표는 지원하지 않습니다.문법 | 출력 |
\xleftarrowp[def]{abc} \xrightarrow[def]{}
|
[math(\xleftarrow[def]{abc} \quad \xrightarrow[def]{})] |
\xleftrightarrow{abc}
|
[math(\xleftrightarrow{abc})] |
\xmapsto
|
[math(\xmapsto[def]{abc})] |
\xhookleftarrow[def]{abc} \xhookrightarrow[def]{abc}
|
[math(\xhookleftarrow[def]{abc} \quad \xhookrightarrow[def]{abc})] |
\xleftharpoonup[def]{abc} \xrightharpoonup[def]{abc}
|
[math(\xleftharpoonup[def]{abc} \quad \xrightharpoonup[def]{abc})] |
\xleftrightharpoons[def]{abc} \xrightleftharpoons[def]{abc}
|
[math(\xleftrightharpoons[def]{abc} \quad \xrightleftharpoons[def]{abc})] |
\xLeftarrow[def]{abc} xRightarrow[def]{abc}
|
[math(\xLeftarrow[def]{abc} \quad \xRightarrow[def]{abc})] |
\xLeftrightarrow[def]{abc}
|
[math(\xLeftrightarrow[def]{abc})] |
\xlongequal[def]{abc}
|
[math(\xlongequal[def]{abc})] |
14. 함수 문법
일부 지원되지 않는 함수들(후술)을 제외하고 로마자로 표현되는 각종 함수들은\함수 이름
으로 간단히 쓸 수 있습니다. 단
[math(bmod)]는 \bmod
로 써야 합니다.문법 | 출력 | 문법 | 출력 | |
[math(\sin x)] [math(\cos x)] [math(\tan x)] |
\sin x \cos x \tan x
|
[math(\csc x)] [math(\sec x)] [math(\cot x)] |
\csc x \sec x \cot x
|
|
[math(\sinh x)] [math(\cosh x)] [math(\tanh x)] |
\sinh x \cosh x \tanh x
|
[math(\sin^2x)] [math(\tanh^{-1}x)] |
\sin^2x \tanh^{-1}x
|
|
[math(\exp x)] |
\exp x
|
[math(\log x)] [math(\log_aN)] [math(\ln x)] |
\log x \log_aN \ln x
|
|
[math(\gcd(m,\,n))] |
\gcd(m,\,n)
|
[math(\arg z)] |
\arg z
|
|
[math(\sup A)] |
\sup A
|
[math(\inf A)] |
\inf A
|
일부 함수는 로마자가 아닌 블랙 레터 혹은 필기체로 표현됩니다.
-
[math(\Re(x) \Leftarrow)]
\Re(x)
, [math(\Im(x) \Leftarrow)]\Im(x)
, [math(\wp(z;\,\tau) \Leftarrow)]\wp(z;\,\tau)
-
수식 로만 폰트를 이용해 직접 입력 후 최소 공백 만큼(
\,
) 띄워서[31] 변수 혹은 수를 입력합니다. (괄호를 사용할 경우 띄우지 않습니다. 예: [math(f(x))] vs [math(f\,(x))]) -
\operatorname
문법을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해당 문법은 사용하면 변수와 함수간 띄어쓰기를 자동으로 처리해주기 때문에 편리합니다. 예: [math(\operatorname{arccot}x \Leftarrow)]\operatorname{arccot}x
, [math(a\operatorname{Log}(b+c) \Leftarrow)]a\operatorname{Log}(b+c)
- 최소공배수: lcm[32]
- 역삼각함수: arccot, arcsec, arccsc
- 쌍곡선 함수: sech, csch
-
[math({\rm csch}\,x \Leftarrow)]
{\rm csch}\,x
- 모든 역쌍곡선 함수[33]: arsinh, arcosh, artanh, arcoth, arsech, arcsch
- 복소로그함수: Log[34]
- 상당수의 특수함수: sgn, Ei, li, Si, Ci, Shi, Chi, erf 등
- 선형대수학의 연산자: rank, tr, null[35]
-
[math({\rm tr}\,A \Leftarrow)]
{\rm tr}\,A
15. \\begin, \\end 문법
본 문법은\begin{종류}내용\end{종류}
꼴로 사용하며 행렬, 연립 표기 등 단(段)이 필요한 모든 형태의 수식 문법에 쓰입니다. 이 문법은
괄호 문법과는 달리 선언(\begin{종류}
)과 종료(\end{종류}
)에서 종류를 반드시 일치시켜야 합니다. 종류가 다르면 출력 결과에서 에러가 납니다.-
\begin{
pmatrix}a&b\\c&d\end{
vmatrix}
[math(\Rightarrow)] [math(\begin{pmatrix}a&b\\c&d\end{vmatrix})]
수식 | 출력 | 종류 |
행렬 | [math(\begin{matrix}a&b\\c&d\end{matrix})] | matrix |
[math(\begin{pmatrix}a&b\\c&d\end{pmatrix})] | pmatrix | |
[math(\begin{bmatrix}a&b\\c&d\end{bmatrix})] | bmatrix | |
[math(\begin{Bmatrix}a&b\\c&d\end{Bmatrix})] | Bmatrix | |
[math(\begin{vmatrix}a&b\\c&d\end{vmatrix})] | vmatrix | |
[math(\begin{Vmatrix}a&b\\c&d\end{Vmatrix})] | Vmatrix | |
연립 표기 | [math(\begin{cases}a&b\\c&d\end{cases})] | cases |
정렬 문법 | [math(\begin{aligned}x+y+z&=3\\2y-z&=1\end{aligned})] | aligned |
[math(\begin{array}{ccccc}&x&+y&+z&=3\\& &~2y&-z&=1\end{array})] | array |
matrix
로 통일시키고 괄호 문법으로 직접 입력합니다.-
[math({\color{red}\biggl(\biggr.}\begin{matrix}a&b\\c&d\end{matrix}{\color{blue}\biggl.\biggr]} \Leftarrow)] \\left(
\begin{
matrix}a&b\\c&d\end{
matrix}
\\right]
&
를 이용하며 &
하나 당 단 경계선 하나가 만들어지므로, 한 행에는 (만들고자 하는 단의 개수[math(-1)]개) 만큼의 &
를 입력하면 됩니다.-
[math(\begin{pmatrix}a_1&a_2&a_3\\b_1&b_2&b_3\end{pmatrix} \Leftarrow)]
\begin{pmatrix}a_1
&a_2
&a_3\\b_1
&b_2
&b_3\end{pmatrix}
\begin
, \end
문법을 사용해도 단 경계선 위치는 왼쪽부터 차례대로 정렬되므로 행간에 다르게 적용하려면 하나의 \begin
, \end
문법 안에 복수의 \begin
, \end
문법을 감싸는 식으로 사용해야 합니다(아래 참조).-
\begin{pmatrix}a_1
&a_2
&a_3\\b_1
&b_2
&b_3\\c_1
&c_2\end{pmatrix}
[math(\Rightarrow \begin{pmatrix}a_1&a_1&a_3\\b_1&b_2&b_3\\c_1&c_2\end{pmatrix})] (×)
\\begin{matrix}a_1&a_1&a_3\\b_1&b_2&b_3
\\end{matrix}\\\\\\ \\begin{matrix}c_1&c_2
\\end{matrix} [math(\Rightarrow \begin{matrix}a_1&a_1&a_3\\b_1&b_2&b_3\end{matrix}\\\begin{matrix}c_1&c_2\end{matrix})][36] (×)
\\begin{pmatrix}\\begin{matrix}a_1&a_1&a_3\\b_1&b_2&b_3
\\end{matrix}\\\\\\\\begin{matrix}c_1&c_2
\\end{matrix}\\end{pmatrix} [math(\Rightarrow \begin{pmatrix}\begin{matrix}a_1&a_1&a_3\\b_1&b_2&b_3\end{matrix}\\\begin{matrix}c_1&c_2\end{matrix}\end{pmatrix})] (○)
aligned
혹은 array
를 씁니다.-
[math(\begin{pmatrix}a&b+1\\c+1&d\end{pmatrix} \Leftarrow)]
\begin{pmatrix}a&b+1\\c+1&d\end{pmatrix}
-
[math(\begin{cases}a&b+1\\c+1&d\end{cases} \Leftarrow)]
\begin{cases}a&b+1\\c+1&d\end{cases}
aligned
에서는 한 행에 들어간 &
의 개수에 따라 왼쪽 정렬과 오른쪽 정렬이 적용됩니다. 홀수 번째 &
는 그 다음 &
전까지의 내용을 왼쪽으로 정렬하고, 짝수 번째 &
는 그 다음 &
전까지의 내용을 오른쪽으로 정렬합니다. 이 기능을 잘 이용하면 특정 문자를 기준으로 여러 개의 수식을 정렬할 수 있습니다.-
\begin{aligned}x^2+4x+5y
&=1\\x
&=2y+7\end{aligned}
[math(\Rightarrow \begin{aligned}x^2+4x+5y&\mathrel{\color{red}=}1\\x&\mathrel{\color{red}=}2y+7\end{aligned})]
aligned
정렬에 쓰인 내용에 따라 다릅니다. 아래 예시에서 alinged
문법 이후에 수동으로 공백을 맞춘 수식을 비교하십시오. 각 예시에서 빨간 글씨 ~ 파란 글씨가 단의 폭입니다.-
[math(\begin{matrix} \begin{aligned} &1 &6 &{\color{red}78} &0 \\ &{\color{red}123} &6 &7 &{\color{blue}90} \\ &1 &{\color{blue}456} &{\color{red}78} &{\color{blue}90} \end{aligned} \\ \hline {\color{red}123} \;\;\;\; {\color{blue}456} {\color{red}78} \;\;\;\; {\color{blue}90} \end{matrix} \Leftarrow)]
\begin{aligned} &1 &6
&78&0 \\
&123&6 &7
&90\\ &1
&456 &78 &90\end{aligned} \\
123 \\;\\;\\;\\; 456 78 \\;\\;\\;\\; 90 -
[math(\begin{matrix} \begin{aligned}x^2+4&{\color{red}x+5y}&{\color{blue}\mathrel=1}\\&{\color{red}x}&{\color{blue}\mathrel=2y+7}\end{aligned} \\ \hline x^2+4{\color{red}x+5y}\;\;\;\;{\color{blue}\mathrel=2y+7}\end{matrix} \Leftarrow )]
\begin{aligned}x^2+4
&x+5y&=1\\
&x&=2y+7\end{aligned} \\ x^2+4
x+5y \\;\\;\\;\\; =2y+7
array
정렬에서는 디폴트가 가운데 정렬이지만 각 단마다 정렬 방식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array
정렬 선언 후 l
(왼쪽 정렬), c
(가운데 정렬), r
(오른쪽 정렬)을 이용하여 왼쪽부터 차례대로 쓴 뒤 중괄호로 묶어서 나타냅니다. 꼭 단의 개수만큼 쓸 필요는 없으며 생략한 경우 해당 단은 디폴트 상태가 되지만, 정렬 지정 문법이 아예 없으면 출력에 에러가 납니다. 또한 단을 건너뛰어서 적용할 수 없으므로, 건너뛰고자 하는 단은 디폴트 정렬인 c
로 지정해야 합니다. 아래 예에서는 전체 [math(5)]개의 단 중 제[math(1)]단을 건너뛰고(c
) 제[math(2)]단(l), 제[math(3)]단(r)만 정렬을 지정하였습니다.-
[math(\begin{array}{clr}2x&{\color{skyblue}+3y}&{\color{purple}+5z}&=&11\\&{\color{skyblue}2y}&{\color{purple}-z}&=&1\end{array} \Leftarrow)]
\begin{array}
{c
lr}2x
&+3y
&+5z
&=&3\\
&2y
&-5z
&=
&1\end{array}
\hline
을 입력하면 가로줄이 형성되므로 이를 응용하면 표를 만들 수 있습니다.출력 | 입력 | ||
[math(\begin{array}{|c | c|c|c|c|c|c|c|}\hline x&\cdots&a&\cdots&\alpha&\cdots&b&\cdots\\\hline f'\left(x\right)&+&0&-&-&-&0&+\\f''\left(x\right)&-&-&-&0&+&+&+\\f\left(x\right)&\nearrow&\cdots&\searrow&\cdots&\searrow&\cdots&\nearrow\\\hline\end{array})] |
\begin{array}{ |c {{{#red
|
}}}c |c |c |c |c |c |c | }\\hline x&\cdots&a&\cdots&\alpha&\cdots&b&\cdots\\ \\hline f'\left(x\right)&+&0&-&-&-&0&+\\ f''\left(x\right)&-&-&-&0&+&+&+\\ f\left(x\right)&\nearrow&\cdots&\searrow&\cdots&\searrow&\cdots&\nearrow\\ \\hline \end{array}
|
16. 입력 팁
수식 모드에서 반점([math(,)])과 세미콜론([math(;)])은 구두점 속성에 포함되므로, 해당 기호로 수식이 끝나지 않는다면 이후에 자동적으로 최소 공백이 삽입됩니다.'''(디폴트 폰트 크기의 [math(10\rm\,pt)] 기준. 텍스트 모드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아래 예시를 비교해보십시오.-
[math(3{\color{red},}\,141592 \Leftarrow)]
3
,141592
[math(\text{3{\color{red},}\,141592} \Leftarrow)]\text{3
,\\,141592}
(텍스트 모드에서 최소 공백만큼 띄움)
[math(\text{3{\color{red},}141592} \Leftarrow)]\text{3
,141592}
[math(3{\color{red},}141592 \Leftarrow)]3
,\\!141592
(수식 모드에서 최소 공백만큼 제거)
[math(3.141592 \Leftarrow)]3.141592
-
[math(1{\color{red};}\,2 \Leftarrow)]
1
;2
[math(\text{1{\color{red};}\,2} \Leftarrow)]\text{1
;\\,2}
(텍스트 모드에서 최소 공백만큼 띄움)
[math(\text{1{\color{red};}2} \Leftarrow)]\text{1
;2}
[math(1{\color{red};}2 \Leftarrow)]1
;\\!2
(수식 모드에서 최소 공백만큼 제거)
\!~
, \!\
, \!\text{
}
등등)을 써야 하지만, 최소 공백만으로 크게 어색하지 않게 렌더링되며 경제적이므로 수식 도중에 반점, 세미콜론을 쓰고 공백을 띄우는 표기를 할 때에는 최소 공백만큼 띄우는 것을 권장합니다.-
[math(\text{1, 2, 3, 4} \Leftarrow)]
\text{1, 2, 3, 4}
[math(1,\!~2,\!~3,\!~4 \Leftarrow)]1,
\\!~2,
\\!~3,
\\!~4
[math(1,\,2,\,3,\,4 \Leftarrow)]1,
\\,2,
\\,3,
\\,4
[math((x,\!~y) \Leftarrow)](x,
\\!~y)
[math((x,\,y) \Leftarrow)](x,
\\,y)
괄호 문법을 씀과 동시에 괄호에만 색을 입히고 싶은 경우, 가변형 문법이 아닌 다른 괄호 문법 사용을 권장합니다. 가변형 괄호는 반드시
\left
, \right
짝이 세트로 쓰여야 하며 문법을 구분짓는 중괄호가 삽입될 경우 세트가 불완전한 것으로 인식되어 에러가 나기 때문입니다. 괄호 삭제 문법과 공백 문법을 이용해서 간격을 조정할 수 있으나 매우 번거로운 작업이며 공백의 크기 역시 괄호의 크기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일괄적으로 간단하게 적용하기도 어렵습니다.-
{\color{red}\left(}a+b{\color{red}\right)}^2
[math(\Rightarrow {\color{red}\left(}a+b{\color{red}\right)}^2)] (×)
{\color{red}(}
a+b
{\color{red})}
^2
[math(\Rightarrow {\color{red}(}a+b{\color{red})}^2)] (○)
적분을 쓸 때, [math({\rm d}x)], [math({\rm d}y)] 등 무한소(엄밀히 말하면 미분형식)의 좌우는 최소 공백 만큼(
\,
) 띄워야 합니다. 그러나 무한소 전후로 가변형 괄호 문법을 쓴 괄호가 올 경우 자동으로 최소 공백이 적용되므로 넣지 않아도 됩니다. (아래 3,4번째 예시를 비교해보십시오)-
[math(\displaystyle \int x \,{\rm d}x \Leftarrow)]
\displaystyle \int x
\\,{\rm d}x
-
[math(\displaystyle \iint_S A \,{\rm d}x \,{\rm d}y \Leftarrow)]
\displaystyle \iint_S A
\\,{\rm d}x
\\,{\rm d}y
-
[math(\displaystyle \int f(x)\,{\rm d}x \Leftarrow)]
\displaystyle \int f(x)\,{\rm d}x
-
[math(\displaystyle \int f\!\left(x\right){\rm d}x \Leftarrow)]
\displaystyle \int f\!\left(x\right){\rm d}x
-
[math(\displaystyle \int {\rm d}x \,f(x) \Leftarrow)]
\displaystyle \int {\rm d}x
\\,f(x)
변수 부분이 길 경우 혼란 방지를 위해 다음과 같이 괄호를 둘러 어디까지가 변수인지를 명확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
[math(\sin x^2+4x+\dfrac1{2x})] (×)
[math(\sin\!{\color{red}(}x^2+4x{\color{red})}+\dfrac1{2x})] (○)
도형명, 선분, 꼭짓점 등의 표기는 로만 폰트로 나타내는 것을 권장합니다.
출력 | 문법 |
[math(\triangle\rm ABC)] |
\triangle\rm ABC
|
[math(\overline{\rm AB})] |
\overline{\rm AB}
|
[math(\overrightarrow{\rm OP})] |
\overrightarrow{\rm OP}
|
[math(\angle\rm ABC)] |
\angle\rm ABC
|
\,
)만큼 띄우고, 로만 폰트로 쓰는 것이 원칙입니다. 아울러
가운뎃점(\cdot
)은 이항 연산 기호 속성이기 때문에, 기호 전후로 작은 공백이 삽입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내적의 의미로 쓴 것이 아니라면 속성이 재지정된 문법 {\cdot}
으로 쓰는 것을 권장합니다.출력 | 문법 |
[math(5\,\rm kg{\cdot}m/s^2)] |
5\,\rm kg {\\cdot}m/s^2
|
[math(5\,\Omega)] |
5\,\Omega
|
- 우리는 [math(1/2)]을 양변에 곱함으로써 식을 간단히 정리할 수 있다.
- 등가속도 공식 중 변위와 시간의 관계는 [math(s(t)=(at^2)/2+v_0t)]로 쓸 수 있다.
17. 예시
아래는 몇몇 경우의 입력 방법을 기입한 표입니다. 몇몇 문법은 동일한 표기를 출력하기도 하며 아래 표에서 등호로 표기되어있습니다.출력 | 문법 | 비고 |
[math(a^x)], [math(e^{x^2})] |
a^x , e^{x^2}
|
오른쪽 위 첨자 |
[math(a_x)], [math(a_{ij})] |
a_x , a_{ij}
|
오른쪽 아래 첨자 |
[math(a_x^y)], [math(A_{\nu}^{\mu})] |
a_x^y , A_{\nu}^{\mu}
|
오른쪽 위·아래 첨자 혼용(1) |
[math({a_1}^2)], [math({V_{\max}}^{-1})] |
{a_1}^2 , {V_{\max}}^{-1}
|
오른쪽 위·아래 첨자 혼용(2)[37] |
[math({}_1^2{\rm H})], [math({}_{~~6}^{12}{\rm C})] |
{}_1^2{\rm H} , {}_{~~6}^{12}{\rm C} [주의][39]
|
왼쪽 위·아래 첨자 혼용 |
[math(\times)] |
\times
|
곱셈 및 외적 기호 |
[math(\cdot)] |
\cdot
|
곱셈 및 내적 기호 |
[math(\div)] |
\div
|
나눗셈 기호 |
[math(\sqrt2)], [math(\sqrt x)], [math(\sqrt{x^2-1})] [math(\sqrt[n]x)], [math(\sqrt[3]{27})] |
\sqrt2 , \sqrt x , \sqrt{x^2-1} \sqrt[n]x , \sqrt[3]{27}
|
근호 |
[math(\sim)] |
\sim
|
점근 표시 및 비례 표시,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닮음기호 |
[math(\backsim)] |
\backsim
|
한국 및 일본에서 쓰이는 닮음기호[40] |
[math(\nsim)] |
\nsim
|
점근할 수 없음, 닮음이 아님 기호 |
[math(\propto )] |
\propto
|
비례 표시 |
[math(|x|)] |
|x| = \lvert x\rvert
|
절댓값 |
[math(\|x\|)] |
\|x\| = \lVert x\rVert
|
노름 |
[math(\left< x \right>)] [math(\left< \psi \right| \hat{A} \left| \psi \right>)] |
\left< x \right> = \langle x\rangle \left< \psi \right| \hat{A} \left| \psi \right>
|
평균값 브라-켓 표기 |
[math(\le \\ \ge)] |
\le = \leq \ge = \geq
|
부등호(이상 및 이하) |
[math(\nless \\ \ngtr \\ \nleq \\ \ngeq)] |
\nless \ngtr \nleq \ngeq
|
부등호(이상 및 이하)의 부정 |
[math(\ne)] |
\ne = \neq
|
부등호(다름) |
[math(\simeq)], [math(\cong)] [math(\approx )] [math(\fallingdotseq)], [math(\risingdotseq)] |
\simeq , \cong \approx \fallingdotseq , \risingdotseq
|
근사 |
[math(\equiv \\ \not\equiv)] |
\equiv \not\equiv
|
합동 혹은 정의 합동이 아님 |
[math({}_n{\rm P}_r)], [math({}_{12}{\rm P}_{11})] [math({}_n\Pi_r)], [math({}_{11}\Pi_{12})] [math({}_n{\rm C}_r)], [math({}_{12}{\rm C}_{10})] [math({}_n{\rm H}_r)], [math({}_{11}{\rm H}_{13})] |
{}_n{\rm P}_r , {}_{12}{\rm P}_{11} [주의]{}_n\Pi_r , {}_{11}\Pi_{12} {}_n{\rm C}_r , {}_{12}{\rm C}_{10} {}_n{\rm H}_r , {}_{11}{\rm H}_{13}
|
순열·조합 기호 |
[math(\dbinom nr)] [math(\binom nr)] [math(\dbinom{12}3)], [math(\dbinom{12}{10})] [math(\left(\!\!\dbinom nk\!\!\right))] |
\dbinom nr \binom nr = \tbinom nr \dbinom{12}3 , \dbinom{12}{10} \left(\!\!\dbinom nk\!\!\right)
|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조합 기호 |
[math((f\circ g)(x))] |
(f\circ g)(x)
|
함수 합성 |
[math(\triangle \\ \square)] |
\triangle \square
|
삼각형 사각형 및 달랑베르시안 |
[math(\angle)] |
\angle
|
각 |
[math(\parallel \\ \perp)] |
\parallel \perp
|
평행 직교 또는 서로소 |
[math(\therefore \\ \because)] |
\therefore \because
|
따라서 왜냐하면 |
[math(\infty)] |
\infty
|
무한 |
[math(\degree)] |
\degree
|
도(degree) |
[math(\cdots)], [math(\dots)] [math(\vdots)] [math(\ddots)] |
\cdots , \dots [42]\vdots \ddots
|
생략 기호 |
[math({\bf E})] |
{\bf E}
|
벡터[43] |
[math(\partial)] |
\partial
|
편미분 혹은 텐서 기호 |
[math(\ast)] |
\ast
|
켤레복소수 기호 혹은 합성곱 |
[math(A^\dagger)] |
A^\dagger
|
켤레 전치(복소 공액) |
[math(\hbar)] |
\hbar
|
플랑크 상수를 [math(2 \pi)]로 나눈 값 |
[math(\nabla \\ \nabla^{2})] |
\nabla \nabla^2
|
델 연산자 라플라시안 |
[math(\leftarrow \\ \rightarrow \\ \leftrightarrow \\ \longleftarrow \\ \longrightarrow \\ \longleftrightarrow)] |
\leftarrow \rightarrow 또는 \to \leftrightarrow \longleftarrow \longrightarrow \longleftrightarrow
|
화살표 |
[math(\Leftarrow \\ \Rightarrow \\ \Leftrightarrow \\ \Longleftarrow \\ \Longrightarrow \\ \Longleftrightarrow)] |
\Leftarrow \Rightarrow \Leftrightarrow \Longleftarrow \Longrightarrow \Longleftrightarrow
|
겹화살표 |
[math(\Lleftarrow \\ \Rrightarrow)] |
\Lleftarrow \Rrightarrow
|
삼겹화살표 |
[math(\xleftarrow[a]b \\ \xLeftarrow[a]{b+c} \\ \xleftrightarrow[a]{} \\\xrightarrow{b+c+d+e})] |
\xleftarrow[a]b \xLeftarrow[a]{b+c} \xleftrightarrow[a]{} \xrightarrow{b+c+d+e}
|
설명문이 있는 화살표 |
[math(\rightleftharpoons \\ \leftrightharpoons)] |
\rightleftharpoons \leftrightharpoons
|
화학 평형에 쓰이는 화살표 |
[math(\mapsto \\ \longmapsto)] |
\mapsto \longmapsto
|
사상을 나타내는 화살표 |
[math(\overrightarrow A \\ \overleftarrow{\rm AB} \\ \overrightarrow{\rm XY})] |
\overrightarrow A \overleftarrow{\rm AB} \overrightarrow{\rm XY}
|
반직선 혹은 벡터 |
[math(\overleftrightarrow{\rm AB})] |
\overleftrightarrow{\rm AB}
|
직선 |
[math(\overline z \\ \overline{\rm AB} \\ \underline{AB} \\ x^{\underline n})] |
\overline z \overline{\rm AB} \underline{AB} x^{\underline n}
|
윗줄(켤레복소수 또는 선분 등) 밑줄(하강 계승 등) |
[math(\dfrac ab)] |
\dfrac ab
|
분수 |
[math(\dfrac{\dfrac{a+b}{c+d}}{\dfrac{x+y}{z+w}})] |
\dfrac{\dfrac{a+b}{c+d}}{\dfrac{x+y}{z+w}}
|
번분수 |
[math(\pi = 3+\cfrac{1^2}{6+\cfrac{3^2}{6+\cfrac{5^2}{6+\cfrac{7^2}\ddots}}})] |
\pi = 3+\cfrac{1^2}{6+\cfrac{3^2}{6+\cfrac{5^2}{6+\cfrac{7^2}\ddots}}}
|
연분수 |
[math(\cancel x)] |
\cancel x
|
(분수 등에서의)삭제 표기 |
[math(\lim\limits_{n \to \infty} a_n)] |
\lim\limits_{n \to \infty} a_n
|
극한 |
[math(\displaystyle \sum_{k=1}^n a_k \\ e^{\sum\limits_{k=1}^n a_k} \\ \prod_{k=1}^n a_k \\ e^{\prod\limits_{k=1}^n a_k})] |
\displaystyle \sum_{k=1}^n a_k e^{\sum\limits_{k=1}^n a_k} \displaystyle \prod_{k=1}^n a_k e^{\prod\limits_{k=1}^n a_k}
|
합의 기호 첨자에서의 합의 기호 곱의 기호 첨자에서의 곱의 기호 |
[math(\left. \dfrac{{\rm d}f}{{\rm d}x}\right|_{x=a})] |
\left. \dfrac{{\rm d}f}{{\rm d}x} \right|_{x=a}
|
미분 계수 |
[math(\displaystyle \int_a^b f(x) \,{\rm d}x)] [math(\displaystyle \iint_S f(x,\,y) \,{\rm d}x\,{\rm d}y)] [math(\displaystyle \iiint_V f(x,\,y,\,z) \,{\rm d}x\,{\rm d}y\,{\rm d}z)] [math(\displaystyle \int_a^b \int_c^d f(x,\,y) \,{\rm d}x\,{\rm d}y)] [math(\displaystyle \oint_C {\bf F} \cdot {\rm d}{\bf r})] [math(\displaystyle \oiint_S {\bf F} \cdot {\rm d}{\bf a})] |
\displaystyle \int_a^b f(x) \,{\rm d}x \displaystyle \iint_S f(x,\,y) \,{\rm d}x\,{\rm d}y \displaystyle \iiint_V f(x,\,y,\,z) \,{\rm d}x\,{\rm d}y\,{\rm d}z \displaystyle \int_a^b \int_c^d f(x,\,y) \,{\rm d}x\,{\rm d}y \displaystyle \oint_C {\bf F} \cdot {\rm d}{\bf r} \displaystyle \oiint_S {\bf F} \cdot {\rm d}{\bf a}
|
적분 |
[math(\biggl[ \dfrac{x^2}2+x \biggr]_a^b)] [math(\biggl. \biggl( x^2+2x \biggr) \biggr|_a^b)] |
\biggl[ \dfrac{x^2}2+x \biggr]_a^b \biggl. \biggl( x^2+2x \biggr) \biggr|_a^b
|
정적분 계산 |
[math(\begin{matrix} a & b \\ c & d \end{matrix})] [math(\begin{pmatrix} a & b \\ c & d \end{pmatrix})] [math(\begin{bmatrix} a & b \\ c & d \end{bmatrix})] [math(\begin{Bmatrix} a & b \\ c & d \end{Bmatrix})] [math(\begin{vmatrix} a & b \\ c & d \end{vmatrix})] [math(\begin{Vmatrix} a & b \\ c & d \end{Vmatrix})] |
\begin{matrix} a & b \\ c & d \end{matrix} \begin{pmatrix} a & b \\ c & d \end{pmatrix} \begin{bmatrix} a & b \\ c & d \end{bmatrix} \begin{Bmatrix} a & b \\ c & d \end{Bmatrix} \begin{vmatrix} a & b \\ c & d \end{vmatrix} \begin{Vmatrix} a & b \\ c & d \end{Vmatrix}
|
행렬[44] |
[math(\begin{cases} x+y=5 \\ x-y=3 \end{cases})] [math({\bold 1}_{\mathbb Q}(x) \equiv \begin{cases} 1 & (x \in \mathbb{Q}) \\ 0 & (x \notin \mathbb{Q}) \end{cases} )] |
\begin{cases} x+y=5 \\ x-y=3 \end{cases} {\bold 1}_{\mathbb Q}(x) \equiv \begin{cases} 1 & (x \in \mathbb{Q}) \\ 0 & (x \notin \mathbb{Q}) \end{cases}
|
연립방정식 조각적 정의 |
[1]
원래는 TeX에서 수식 커맨드의 양끝을 $로 감싸서 텍스트 모드와 수식 모드를 구분짓는 데에 쓰이나 나무위키에서는 별도의 커맨드가 존재하므로 기능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2]
처럼 일반 텍스트와 섞인 꼴로 나타나기에 부득이하게 aligned 행렬 문법을 병기하였음을 밝힙니다. [7] 수식 폰트처럼 단순히 두 종류가 모두 존재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대형 분수 문법과 같이 두 가지 이상의 문법이 축약된 경우도 포함합니다. [8] 만약 내용이 숫자나 기호라면 문법과 내용이 구분되기 때문에 공백조차 필요 없습니다. [9] 단, 분수의 분자, 분모에 대형 분수 표기를 적용하려면 써야합니다. [10] 참고로 수식 모드에서의 정상적인 출력은 [math(\displaystyle e=\sum_{n=0}^\infty\frac1{n!})]입니다. [11] 당연히 나무위키의
[math(\sin30\degree \Leftarrow)]
[math({\rm sin}\,30\degree \Leftarrow)]
[math(\left(\begin{matrix}a_1&a_1&a_3\\b_1&b_2&b_3\end{matrix}\\\begin{matrix}c_1&c_2\end{matrix}\right))]
처럼 행렬간 개행 문법이 무시됩니다. [37] 특히 지수 표기에서, 첨자를 붙이고자 하는 문자 전체를 중괄호로 감싸야 합니다. [주의] 왼쪽 첨자를 사용할 때 처음에 중괄호를 쓰지 않으면 앞에 쓴 글자에 첨자를 붙이는 것으로 인식되어 제대로 출력되지 않습니다. (예시:
\
로 공백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
이후에 반각 공백 을 넣어야 합니다.
[3]
달리 표현하자면 사용하는 웹 브라우저 혹은 앱의 설정에 따라 출력이 달라질 수도 있음을 의미합니다. 반면 로마자, 그리스 문자 등은 사용 기기에 상관 없이 항상 출력이 일정합니다.
[4]
따라서, 이를테면 Serif폰트를 휴먼매직체(Magic R)로 설정하면 세 폰트가 휴먼매직체로 출력됩니다.
[5]
역시 마찬가지로 표준 폰트를 특정 한글 폰트로 변경하면 산세리프, 타자기로 설정했음에도 표준 폰트로 출력됩니다.
[6]
아래 예시에서는 해당 명령어를 그대로 적용해서 출력 시ABC\\abc
[math(\Rightarrow ABC\\abc)]처럼 일반 텍스트와 섞인 꼴로 나타나기에 부득이하게 aligned 행렬 문법을 병기하였음을 밝힙니다. [7] 수식 폰트처럼 단순히 두 종류가 모두 존재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대형 분수 문법과 같이 두 가지 이상의 문법이 축약된 경우도 포함합니다. [8] 만약 내용이 숫자나 기호라면 문법과 내용이 구분되기 때문에 공백조차 필요 없습니다. [9] 단, 분수의 분자, 분모에 대형 분수 표기를 적용하려면 써야합니다. [10] 참고로 수식 모드에서의 정상적인 출력은 [math(\displaystyle e=\sum_{n=0}^\infty\frac1{n!})]입니다. [11] 당연히 나무위키의
[br]
매크로도 적용되지 않으며 엔터 키를 이용한 직접 개행 역시 먹히지 않습니다.
[12]
텍스트 모드에서의 반각 공백
[13]
해당 표현은 \cancel
문법이 존재하므로 이쪽을 권장합니다.
[14]
\operatorname
문법은 \mathrm
과 미묘한 차이가 있습니다. \mathrm
은 일반적인 경우, \operatorname
은 함수 이름자에 사용하는 경우에 적합합니다.
#
[15]
로마자 소문자, 아라비아 숫자, 기호는 기본 폰트로 출력됩니다.
[16]
poor man's bold의 준말로 같은 글자를 3번 겹쳐 써서 볼드체로 보이게끔 하는 효과입니다.
[17]
텍스트 모드 로만 폰트(\text
) 및 텍스트 모드 로만 볼드 폰트(\textbf
) 상에서 외국어를 직접 입력하는 방식으로 대체할 수는 있습니다.
[18]
아래 첨자의 유무에 따른 차이는 없습니다.
[19]
[math(\displaystyle \sum)], [math(\displaystyle \prod)], [math(\displaystyle \bigcup)] 등.
[20]
[math(\left[\dfrac{x^2}2\right]_0^1)] 같은 식
[21]
[math(\displaystyle \sum_{n=0}^\infty)], [math(\displaystyle \int_a^b)] 등
[22]
참고로 [math(\displaystyle\int\limits_a^b)]가 포함된 식을 감싸면 초대형보다 더 큰 괄호로 출력됩니다. 이 크기는 근호 안에 정적분이 있는 식을 감쌌을 때의 크기와 똑같습니다.
[23]
단, 최소 크기는 디폴트인 [math(10\,{\rm pt})]이며
폰트 크기 조절 문법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이보다 작게 출력하려면
크기 조절 문법을 이용해야 합니다.
[24]
꺽쇠 기호를 이용하여 나타낼 경우 \big
, \Bigg
등의 괄호 문법을 적용해야하며 반드시 같은 짝이 있어야 합니다. 반면 \langle
, \rangle
의 경우 괄호 그 자체를 출력하는 문법이기 때문에 짝이 갖춰지지 않아도 됩니다.
[25]
가변형뿐만 아니라 다른 \big
, \Bigg
등에도 적용됩니다.
[26]
cfrac은 continued fraction(연분수)의 약어로 이 문법이 연분수를 위한 문법임을 단적으로 드러내고 있습니다.
[27]
참고로 독일 및 러시아에서는 이 방식의 정적분 표기가 주류입니다.
[28]
특히 지수 부분에 첨자가 딸린 대형 연산자가 포함되는 경우, 이 표기를 권장합니다.
[29]
(아래 첨자)와 (위 첨자) 위치는 서로 뒤바뀌어도 됩니다.
[30]
극한 등의 표기에서 씁니다.
[31]
정상적으로 출력되는 함수들을 로만 폰트로 표현할 경우 최소 공백만큼 띄운 것과 출력이 같기 때문입니다. 아래 예를 비교해보십시오.[math(\sin30\degree \Leftarrow)]
\sin30\degree
[math({\rm sin}\,30\degree \Leftarrow)]
{\rm sin}\,30\degree
[32]
최대공약수 \gcd
는 정상적으로 출력됩니다.
[33]
asinh,
arcsinh 등 기타 다른 표현 역시 모두 먹히지 않습니다.
[34]
소문자인 \log
는 정상적으로 출력됩니다.
[35]
\dim
, \ker
, \det
는 정상적으로 출력됩니다.
[36]
참고로 이 상태에서 양끝을 괄호 문법으로 감쌀 경우 [math(\left(\begin{matrix}a_1&a_1&a_3\\b_1&b_2&b_3\end{matrix}\\\begin{matrix}c_1&c_2\end{matrix}\right))]
처럼 행렬간 개행 문법이 무시됩니다. [37] 특히 지수 표기에서, 첨자를 붙이고자 하는 문자 전체를 중괄호로 감싸야 합니다. [주의] 왼쪽 첨자를 사용할 때 처음에 중괄호를 쓰지 않으면 앞에 쓴 글자에 첨자를 붙이는 것으로 인식되어 제대로 출력되지 않습니다. (예시:
6=_3{\rm P}_3
[math(\Rightarrow 6=_3{\rm P}_3)])
[39]
원소의 질량수와 원자 번호는 오른쪽 정렬로 표기하는 것이 원칙이나 현재 나무위키에서 정렬 문법이 지원되지 않습니다. 대신 반각 공백 문법 두 번(상대 길이 [math(2)] )으로 숫자 하나 분량의 칸을 메워서 나타낼 수 있습니다.
[40]
교과서에 사용되는 모양([math(\mathrel{\text{∽}})])을 사용할 경우 \mathrel{\text{∽}}
와 같이 직접 기호를 사용하십시오.
[주의]
[42]
\ldots
로도 쓸 수 있습니다.
[43]
\vec
문법을 이용하여 \vec E
[math(\Rightarrow \vec E)] 형태로도 쓸 수 있지만, 가독성이 떨어지고 \vec
문법은 글자 수에 맞춰 길이가 변하지 않으므로 로만 볼드체 표기를 권장합니다.
[44]
행렬같은 대형 수식은
이곳에서 입력 후 붙이는 것이 낫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