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6 15:42:23

강원도와 홋카이도 비교

파일:강원특별자치도기.svg
파일:홋카이도 도기.svg
강원특별자치도
대한민국
홋카이도
일본국
1. 개요2. 공통점3. 차이점4. 다른 비교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강원특별자치도 홋카이도를 비교한 문서이다. 대한민국 군사분계선 이남 지역과 일본의 지역 비교에서, 남쪽 지역의 대표적인 비교가 제주도와 오키나와 비교라면,[1] 북쪽 지역의 대표적인 비교는 강원특별자치도와 홋카이도의 비교라 할 수 있다.[2] 실제로 양국의 민간과 언론에서 이 둘을 비교하는 내용을 자주 언급하곤 한다.[예시]

2. 공통점

3. 차이점

4. 다른 비교

사실 한반도 전체( 통일 한국)와 일본을 비교하자면 홋카이도는 함경도와 비교하는게 지리적, 역사적으로는 더 잘 맞는다. 실제로 고려~ 조선 대에 북방 확장은 함경도 위주로 이루어져왔다. 역사적 북방 이민족도 여진족/ 아이누로 대응된다.[35][36] 이들 이민족 지역 일부를 장악했지만 이웃 거대 민족( 한족/ 러시아인)에게 일부 빼앗겼다는 점까지도 비슷하다.[37] 그렇게 비교한다면 홋카이도 최대 도시인 삿포로시가 함경도 최대 도시인 함흥시와 비교가 되었을 것이다. 다만 함흥의 오랜 역사,[38] 정부에 반기를 들었던 이력[39] 등을 고려하면 하코다테시와 비슷하다고 볼 여지도 아주 없진 않다. 위치적으로는 하코다테시가 함남 영흥군, 고원군에, 홋카이도의 도북(道北), 도동(道東) 지역이 라선시(나진)+ 회령시, 청진시+ 성진시( 김책시) 정도에 대응될 수 있겠다.[40] 두 지역 다 한국/일본 내에서 유일하게 러시아와 맞닿아있다는 공통점도 있다.

반대로 강원도는 일본의 고신에쓰 내륙과 호쿠리쿠를 합친 것과 비교하는게 더 정확할 수 있다. 그러면 각각 강원도 영서/영동과 대응이 된다. 산 투성이인 주부 북부의 중심도시인 나가노와 역시 산악지대인 영서지방의 중심도시인 원주시의 인구도 크게 차이나지 않고 호쿠리쿠 지방(니가타 제외)[41]과 영동 지방은 여러 면에서 판박이다.[42] 다만 고신에쓰와 호쿠리쿠가 속해있는 주부 지방의 최남부는 수도권 간토 간사이 사이에 있다는 점 때문에 한국의 수도권 경상도 사이에 있는 충청도와 비교되는 경우가 잦다.[43]

아니면 강원도를 주고쿠 또는 시코쿠 지방과 비교하기도 한다. 주고쿠 지방은 동해에 접한 산인과 그 남쪽인 산요로 나뉘는 것이 강원도도 동해에 접하는 영동 태백산맥 서쪽인 영서로 나뉘는 것과 비슷해서이고, 시코쿠 지방은 각 국가를 대표하는 시골이며 인구가 가장 적은 곳이라는 점에서 비슷하기 때문이다. 시코쿠는 인구가 적고 인지도가 낮은 지역이라는 공통점도 있어 황해도로 대응되기도 한다.

5. 관련 문서



[1] 다만, 제주특별자치도 대한민국의 최남단에 위치해 있는 반면, 오키나와현은 그보다 남쪽에 도쿄도 오가사와라촌이 있다. 다만 해당 지역은 워낙 인구가 적은 지역이라서 많은 일본인들이 일본의 남쪽 지역으로 오키나와현을 가장 먼저 떠올린다. [2] 양국의 명목상 영토의 최북단 지역은 각각 함경북도와 홋카이도이다. 홋카이도는 일본의 영토 전체와 실효 지배 지역 모두에서 최북단에 위치해 있으나, 영토 전체에서는 시베토로촌이, 실효 지배 지역에서는 왓카나이시가 최북단에 위치해 있다. [예시] 네이버 뉴스 기사 1. 네이버 뉴스 기사 2. 네이버 뉴스 기사 3. 네이버 뉴스 기사 4. 네이버 블로그 글. 데일리팝 기사. 브런치스토리 글. 서울신문 기사. [4] 한일 양국의 영토 전체에서 강원특별자치도는 국토의 중앙에 위치해 있고, 홋카이도는 여전히 국토의 북쪽에 위치해 있다. [5] 강릉선 한국고속철도는 2017년에, 홋카이도 신칸센은 2016년에 개통되었다. [6] 대한민국의 북쪽 끝에 있는 함경도 지방은 일본 홋카이도와 마찬가지로, 불곰이 주로 서식한다. [7] 홋카이도 왓카나이시의 소야곶, 네무로시에서는 각각 사할린섬과 하보마이 제도를 육안으로 바라다볼 수 있다. 이처럼 일본에서는 육안으로 볼 수 있는 타국의 몇몇 영토가 있다. 쓰시마섬에서 대한민국 부산광역시를 볼 수 있고, 요나구니섬에서 타이완섬을 볼 수 있다. [8] 일본 전체에서 대한민국에 준할 만큼 군사적 긴장이 고조된 지역은 홋카이도 정반대편에 있는 오키나와현이다. 주일미군의 절대다수가 오키나와현에 주둔해 있으며 그로 인해 주민과 마찰을 빚는 사고가 잊을 만하면 발생하곤 한다. [9] 러시아의 위협이 있고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홋카이도 점령 계획도 실제로 있었으나( 관련 기사) 당시 소련은 독소전쟁으로 인해 아시아에 신경을 쓸 여력이 없었기에 상륙전을 감행하기보다는 육지로 붙어있어 보다 진격이 쉬운 만주국 한반도 8월의 폭풍 작전이 이루어졌다. [10] 올림픽 개최 당시에 명칭이 강원도였다. [11] 2024년 1월 31일 기준. [12] 2024년 2월 기준. [13] 2024년 3월 기준. [14] 2023년 기준. [15] 군사분계선 이남 지역의 인구 밀도는 2024년 2월 기준으로 90.59명/㎢로, 전체 인구 밀도보다 조금 더 낮다. [16] 대한민국의 최북단에 위치한 함경도 지방은 2020년 기준으로 강원도보다 인구가 많다. 물론 이건 함경도 지방이 대한민국의 전체에서 가장 넓기 때문이고, 함경도 지방 역시 인구 밀도가 낮다. [17] 마찬가지로, 인천광역시는 강화군 함박도가 군사분계선 이북 지역에 위치해 있고, 경기도는 개성시, 개풍군, 연천군의 일부, 장단군, 파주시의 일부가 군사분계선 이북 지역에 위치해 있다. [18] 2010년대에 강원특별자치도의 명칭은 강원도였다. [19] 수도권에 대한 접근성 기준으로 이런 오지는 경상북도 내륙( 봉화군, 영양군, 청송군 등), 전북특별자치도 내륙( 무주군, 장수군, 진안군 등), 군사분계선 이북 지역에 가깝다. 이러한 지역은 철도가 존재하지 않거나 도로 사정이 매우 열악하기 때문에 수도권에서 대중교통으로 가려면 기본적으로 5시간 이상이 걸린다. 심지어 군사분계선 이북 지역은 국가보안법으로 인해 수도권에서 가는 것이 불가능에 가깝다. [20] 일본에서 수도인 도쿄도와와 가까운 특별한 자연환경의 휴양지 느낌을 지닌 대표적인 지역로는 나가노현 카루이자와역이 유명하다. 영서 지방은 종종 고신에쓰 지방과 비교되곤 한다. [21] 실제로 도 산하의 진흥국은 현과 면적이 거의 비슷한 편이다. [22] 오키나와현, 홋카이도는 해당하지 않는다. [23] 고대에는 말갈족이 살았지만 말갈족이 일찍이 예인과 맥인이 통합한 탓에 천연성이 강해졌다. [24] 20만 명 정도가 남아 있다지만 실제로 외모가 좀 서양인 같은 혼혈 일본인 정도로 여겨지는 경향 때문인지 실제로 인지하는 경우는 적다고 한다. [25] 특히 교육의 영향으로 스스로를 소수민족이라기보다는 일본인이라 생각하는 인식이 강해졌다. [26] 아이누족 외에도 니브흐족, 오로치족, 윌타족 등의 소수민족도 있는데 이들은 아이누족보다 훨씬 극소수의 비중을 차지한다. [27] 군사분계선 이북 지역의 인구 합산 시 약 230만 명이다. [28] 대한민국의 광역시, 특례시와 비슷한 취급을 받는다. [29] 원주시의 인구는 약 36만 명, 삿포로시의 인구는 약 200만 명이다. [30] 그래서 삿포로시에서 최북단 왓카나이시까지는 야간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31] 대한민국 전체에서는 개마고원이 겨울에 경기도, 강원특별자치도보다 훨씬 춥다. [32] 면적이 대한민국 군사분계선 이남 지역의 80% 정도이다. [33] 군사분계선 이남 지역에서는 경상북도가 가장 넓다. [34] 강원특별자치도는 대한민국에서 함경남도, 평안북도에 이어 3번째로 넓고, 군사분계선 이남 지역에서는 경상북도에 이어 2번째로 넓다. [35] 그래서 한국/일본의 북방 군사 지도자들은 각각 여진족/아이누와 얽혔다. 이성계가 ( 여진족 설이 있을 정도로) 여진족과 얽혔던 것은 유명하고 이순신 역시 임진왜란에서 일본군과 싸우기 전에는 원래 여진족을 주로 상대하던 인물이었다. 마찬가지로 일본의 막부 체계의 우두머리인 정이대장군은 '오랑캐', 즉 아이누를 토벌하기 위한 장군이다. [36] 여담으로 유라시아 북부에서는 이들의 권역이 약간 겹쳐서 사할린처럼 여진족/아이누 명칭(사할린/카라프트)이 모두 존재하는 지역도 있다. 여진족과 마찬가지로 퉁구스계 민족인 윌타인은 사할린에서 아이누와 공존했다. [37] 인구 비율적으로는 한국 인근 지역의 한민족 비율이 일본 인근의 일본인 비율보다 훨씬 더 높다.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패망 이후 일본인은 강제 퇴거 조치되었기 때문이다. 일례로 사할린의 대표 도시인 유즈노사할린스크는 1945년까지 일본인이 90% 이상인 지역이었지만 오늘날에는 러시아인이 대부분이고 그 다음은 일본인이 아니라 오히려 억지로 끌려온 사할린 한인(12%)이 차지하고 있다. 반면 조선족 자치주 지역은 일제 침탈 시기에 함께 반일 활동을 했다는 보상으로 일찍부터 자치주 지위를 얻는 등 러시아 지역 내 일본인의 처지와는 비교하기 어렵다. 그럼에도 중국 한족의 인구가 압도적으로 많은 탓에 오늘날 조선족 자치주에는 한족 인구의 비율이 더 많아지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러시아는 반대로 그나마 있던 러시아인이 유럽으로 쏠리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어 원주민 비율이 점차 늘어나고 있지만, 일본령이었던 지역은 앞서 언급한 일본인 퇴거 조치로 인해 일본인 비율의 유의미한 상승이 나타나지 않는다. 인접성 측면에서도 중국은 같은 공산권 우방이었던 북한과 육지로 맞대고 있는지라 지속적인 교류가 유지되었지만 러일관계는 예나 지금이나 우호적이었던 적이 별로 없고 바다를 사이에 두고 있어 전쟁 이후 다시 교류가 확장되기 어려웠다. [38] 함흥은 고려 시대부터 한민족 국가가 차지하고 있었던 지역이며, 하코다테 역시 에도 시대부터 마츠마에 번이 차지하고 있었다. [39] 함흥에 본적을 두고 있던 이성계는 아예 고려를 타도하고 조선을 세웠다. 일본에서는 근대에 하코다테를 주축으로 에조 공화국을 세웠다가 토벌당한 예가 있다. [40] 마찬가지로 홋카이도에 인접한 도호쿠 지방은 통일한국의 평안도 지방으로 현지화하기 매우 적절하다. 특히 대체역사물로 일본이 분단되는 경우 북부 일본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도는 센다이시가 차지한다는 설정의 작품이 있다. 그리고 도호쿠 최북단인 아오모리현 평안북도 최대 도시인 신의주시와 대응될 수 있다. 각각 홋카이도, 중국으로 가는 관문이기 때문이다. [41] 니가타는 일본 제일의 다설지라는 것을 빼면 청진시 다음가는 동해 제2의 항구도시인 원산시이 위치하고 있는 함경남도 남부와 대입될 수 있겠다. 원산은 북한 정권에서 북강원도에 속하지만 둘 다 동해와 접하고 위도도 엇비슷하며 니가타도 우라니혼(일본의 동해에 접한 부분을 일컫는다.) 유수의 항구도시이기 때문이다. 그러면 그 아래에 있는 호쿠리쿠 지방은 금강산 등에 대응될 수 있겠다. [42] 동해에 면하고 있으며 각각 영서지방과 주부 북부에 비해 열악한 교통망과 인프라로 인해 뚜렷한 인구 감소를 보이고 있는 것과 동시에 영동지방과 영동지방을 아우르는 관동이라는 대분류가 있듯이 호쿠리쿠 지방은 도카이 지방과 함께 주부라는 대분류로 자주 묶인다는 것. [43] 그래서 주부 지방 최대도시인 아이치현 나고야시가 충청도의 최대도시인 대전광역시로 비유되곤 한다. 두 도시는 지역색이 적은 밋밋한 도시라는 인식도 유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