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008c95>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자치구 | |||
중구 |
[[울산광역시청| 시청 ]]
남구
|
동구 |
북구 |
|
자치군 | ||||
울주군 |
}}}}}}}}} |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3eb94e>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행정동 | 법정동 | ||||||
<colbgcolor=#3eb94e> 농소1동 | 호계동 | 창평동 | 매곡동 | 신천동 | ||||
농소2동 | 중산동 | |||||||
농소3동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달천동 | 천곡동 | 상안동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시례동 | 가대동 | }}} | |||||
송정동 | 송정동 | 화봉동 | ||||||
효문동 | 효문동 |
구청
연암동 |
명촌동 | 진장동 | ||||
양정동 | 양정동 | |||||||
염포동 | 염포동 | |||||||
강동동 | {{{#!wiki style="margin: -16px -11px -15.6px" | 정자동 | 어물동 | 신현동 | ||||
신명동 | 구유동 | 산하동 | ||||||
대안동 | 당사동 | 무룡동 | }}} | }}}}}}}}} |
울산광역시의
자치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
북구
北區 Buk-gu |
}}} | |||
<colbgcolor=#3eb94e><colcolor=#fff> 구청 소재지 | 산업로 1010 (연암동) | |||||
광역자치단체 | 울산광역시 | |||||
하위 행정구역 | 8 동[1] | |||||
면적 | 157.36㎢ | |||||
인구 | 216,561명[2] | |||||
인구밀도 | 1,376.21명/㎢[3] | |||||
구청장 |
|
박천동 (재선) | ||||
구의회 |
|
3석[4] | ||||
|
3석[5] | |||||
|
1석[6] | |||||
|
2석[7] | |||||
시의원 |
|
2석[8] | ||||
|
1석[9] | |||||
국회의원 |
|
윤종오 (재선) | ||||
상징 | <colbgcolor=#3eb94e><colcolor=#fff> 구화 | 참나리 | ||||
구목 | 느티나무 | |||||
구조 | 산까치 | |||||
지역번호 | 052 | |||||
| | | | | |
[clearfix]
1. 개요
울산광역시의 중북부에 위치한 자치구로 울산의 자치구들 중에서 면적이 가장 넓다. 과거에는 대부분의 지역이 경상남도 울주군 → 울산군 → 울산시 울주구(현 울산광역시 울주군) 소속이었고, 울산의 광역시 승격시 울산시 울주구의 농소읍, 강동면 지역[10]과 일부 중구[11] 및 동구[12] 지역을 합쳐 설치된 자치구로 특별·광역시의 자치구치고는 농어촌 비중이 꽤 높다. 하지만 21세기 들어서 진행된 급속도의 개발로 인해 자치구 설치 23년 만인 2020년 9월 중구의 인구를 추월하였다.[13]심벌마크는 구청 소개에 따르면 '전체 둥근 원은 북구 구민의 화합을 의미하며, 위의 녹색부분과 아래의 청색부분은 북구의 지역적 특색인 산과 바다를 함께 지니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며, 중앙의 주황색 둥근 원은 동해의 일출과 희망의 태양 및 북구에 위치한 자동차 산업 등 공업의 메카를 의미'한다고 한다. 구화는 참나리, 구목은 느티나무, 구조는 산까치, 구 마스코트는 아래에 나오는 쇠부리와 참나리.
2. 상징
북구의 CI |
전체 둥근 원은 북구 구민의 화합을 의미하며, 위의 녹색부분과 아래의 청색부분은 북구의 지역적 특색인 산과 바다를 함께 지니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며, 중앙의 주황색 둥근 원은 동해의 일출과 희망의 태양 및 북구에 위치한 자동차 산업등 공업의 메카를 의미한다. |
북구의 브랜드 슬로건 |
북구의 대표축제인 쇠부리축제를 중심으로 달천 철장, 불빛경관 명소화 전략 등 북구를 대표하는 ‘불’의 이미지와 도시정원 조성을 의미하는 ‘꽃’의 이미지를 융합했으며, 세상을 뜻하는 ‘누리’를 더해 미래로 성장하는 도시 이미지를 의미한다. |
북구의 마스코트 |
쇠부리는 철 제련 시 필요한 용광로의 타오르는 불처럼 뜨거운 열정을 지닌 구민을 상징적으로 표현 |
북구의 상징물 | |
<colbgcolor=#fff,#1c1d1f> 구목 느티나무 |
느티나무는 화합, 번영, 안정성과 강한 생명력을 상징하는 장수성 나무로서 북구의 힘찬 번영과 도약을 의미하며 미래를 선도하는 북구의 희망을 상징한다. |
구화 참나리 |
참나리꽃은 청초 우아함과 순결함을 지닌 꽃으로 번식력이 강하여 신설 북구의 깨끗함과 번영을 상징한다. |
구조 산까치 |
산까치는 친숙성과 아름다움을 함께 갖추고 있으며 자연환경과 잘어울리는 새로 더불어 사는 북구의 희망과 친환경성으로 자연과 함께 하는 이미지를 상징한다. |
3. 역사
신라시대 때 박제상이 일본으로 건너간 율포항을 망부석 등 다른 박제상 관련 설화와 연계하여 오늘날 울산 북구의 정자항으로 보기도 하는 등 역사적으로는 굉장히 오래된 지역 중 하나. 울산과 경주의 경계 지역이기 때문에 통일신라 때 여기에 관문성이 지어졌다. 역할은 말 그대로 서라벌 남쪽의 관문.조선 태종 때 3포를 개항하는데, 3포 중 하나인 염포이기도 하다. 다만, 일본에서 거리가 멀어 이쪽으로 일본인들이 잘 오지는 않았다고.
1895년 부남면이 하부면으로, 농소면이 농동면으로, 수서면이 농서면으로, 유포면이 강동면으로 개칭되었다.
1997년 7월 15일에 경상남도 울산시의 광역시 승격에 따라 중구 송정동, 효문동, 양정동 등 동천강 이동 지역, 울주구 농소동(구 농소읍), 강동동(구 강동면), 동구 염포동[14]을 분리해 만들어진 구로 울산광역시에서 가장 마지막에 생긴 구이자 전국의 자치구 중에서도 가장 마지막으로 생긴 구[15]이다.
4. 지리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3eb94e><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3eb94e> | }}} | |
{{{#!wiki style="color: #0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로 | ||
<colbgcolor=#3eb94e> ㄱ | <colbgcolor=#ffffff,#191919> 강동산하1로 · 강동산하2로 · 강동산하3로 · 강동산하4로 · 강동산하5로 · 고래로 · 고헌로 | ||
ㄴ | 농서로 | ||
ㄷ | 달천로 · 동남로 · 동대로 · 동대중앙로 · 동천서로 · 동해안로 | ||
ㅁ | 마동로 · 매곡1로 · 매곡2로 · 매곡3로 · 매곡로 · 매곡산업로 · 매산1로 · 매산2로 · 매산3로 · 매산4로 · 매산5로 · 매산6로 · 매산로 · 명촌로 · 모듈화산업로 · 무룡1로 · 무룡로 · 미포산업로 | ||
ㅂ | 박상진1로 · 박상진2로 · 박상진3로 · 박상진4로 · 박상진5로 · 박상진6로 · 박상진7로 · 박상진8로 · 박상진9로 · 박상진10로 · 박상진11로 · 박상진12로 · 박상진13로 · 박상진14로 · 방어진순환도로 · 번영로 · 북부순환도로 | ||
ㅅ | 산성로 · 산업로 · 산하중앙1로 · 산하중앙2로 · 산하중앙3로 · 상방로 · 숙보로 · 신답로 · 신천로 · 신천소공원로 | ||
ㅇ | 아산로 · 아진1로 · 아진2로 · 아진로 · 염포로 · 오토밸리로 · 이예로 | ||
ㅈ | 죽전로 · 중산공업로 · 중산동로 · 중산로 · 중산산업로 · 중산서로 · 진장로 · 진장유통1로 · 진장유통로 | ||
ㅊ | 천곡남로 | ||
ㅎ | 호계로 · 호계매곡1로 · 호계매곡2로 · 호계매곡3로 · 호계매곡4로 · 호계매곡5로 · 호계매곡6로 · 호수1로 · 호수2로 · 호수중앙로 · 화동로 · 화봉로 · 화산로 · 화산중앙로 · 활밤로 · 효문1로 · 효문2로 · 효성로 · 효암로 · 효자로 | ||
미개통 도로 | |||
ㅁ | 농소~외동 도로 | ||
울산광역시의 도로 틀 둘러보기 | }}}}}}}}} |
북에서 남으로 동천강이 흘러 태화강에 합류하며 강 주변을 따라 띠를 이루며 평야지대가 위치한다. 동천강 양 옆으로 산맥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서쪽으로는 산지지형이 많아 달천, 상안, 천곡지역 일부를 제외하고는 개발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편이다. 동쪽으로는 제법 경사가 완만한 지형이 이어지다가 동대산, 무룡산과 같은 산이 형성되어져 있다. 이 완만한 평야를 따라 옛부터 시가지가 형성되었으며 그 대표적인 예가 농소1동 주민센터 주변(구 농소읍내 지역), 화봉동 일대이다. 최근 송정택지지구, 호계매곡지구 등 택지 조성사업이 활발하게 진행 중인 곳도 이 평야 일대이다.
동대산, 무룡산의 경우 동해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횡압력에 의해 형성된 산맥이며 동천강의 동쪽 지역에 완만한 평야가 형성될 수 있었던 곳도 이들 산맥에서 흘러나온 하천의 토사가 쌓여 가능했던 것이다. 이들 산맥은 동쪽으로 급한 경사를 이루고 있으며 북구 해안 지역의 경우 평야가 협소한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지리적으로 경주시와 붙어있으면서 월성 원자력 발전소와 가깝다. 최근 방사능폐기물로 인해 북구 일대가 난리가 났다.경주시민은 생각하면서 정작 인구 110만명 울산시민들은 생각을 안해줬기 때문에, 한때 북구 시내 일대가 원전에서 반경 10km라고 항의할 정도로 심한 상황까지 올 정도였다.
울산항 일부는 북구에 걸치며, 현대자동차에서 생산한 자동차를 수출하는 자동차부두가 북구에 있다. 이와 별개로 동쪽에는 어항 정자항과 정자해수욕장이 있다.
5. 인구
울산광역시 북구 인구 추이 (1997년~현재) |
1997년
7월 15일 경상남도 울산시 → 울산광역시 승격 중구 동부지역[16] + 울주구 농소읍·강동면 → 북구 승격 분리 |
1997년 104,577명
|
1998년 3월 1일 동구 염포동 → 북구 편입 |
1998년 117,496명
|
1999년 119,317명
|
2000년 121,598명
|
2001년 123,046명
|
2002년 125,116명
|
2003년 132,566명
|
2004년 139,937명
|
2005년 146,117명
|
2006년 150,078명
|
2007년 157,212명
|
2008년 166,469명
|
2009년 171,674명
|
2010년 177,488명
|
2011년 182,504명
|
2012년 184,088명
|
2013년 185,695명
|
2014년 188,733명
|
2015년 191,063명
|
2016년 195,285명
|
2017년 200,718명
|
2018년 206,434명
|
2019년 217,796명
|
2020년 219,014명
|
2021년 218,735명
|
2022년 218,670명
|
2023년 216,477명
|
2024년 10월 216,561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
행정동별 인구 통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농소2동 42,282명
|
농소3동 36,782명
|
|
송정동 36,315명
|
|
농소1동 35,966명
|
|
효문동 29,128명
|
|
강동동 16,024명
|
|
염포동 10,076명
|
|
양정동 9,452명
|
|
2023년 11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
2020년 9월 중구의 인구를 23년 만에 제쳤다. 울주군과의 인구도 3000여 명 차이로 좁혀졌다. 2023년 기준 울산 북구와 인구, 면적, 인구밀도가 모두 비슷한 해외도시로는 네덜란드 흐로닝언 등이 있다.
===# 행정동별 인구 #===
농소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6년 10,902명
|
1970년 10,494명
|
1975년 10,876명
|
1980년 13,248명
|
1985년 14,183명
|
1990년 15,379명
|
1995년 3월 2일 농소면 → 농소읍 승격 |
1995년 38,987명
|
1997년
7월 15일 울산광역시 북구 신설 농소읍 폐지 및 농소1동, 농소2동, 농소3동 설치 |
2000년 16,053명
|
2005년 21,003명
|
2010년 24,054명
|
2015년 30,853명
|
2020년 37,470명
|
2023년 9월 36,107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
농소2동 인구 추이 (2000년~현재) |
1997년
7월 15일 울산광역시 북구 신설 농소읍 폐지 및 농소1동, 농소2동, 농소3동 설치 |
2000년 23,151명
|
2005년 21,992명
|
2008년 29,602명
|
2009년 29,659명
|
2010년 31,862명
|
2011년 33,176명
|
2012년 33,153명
|
2013년 32,672명
|
2014년 32,702명
|
2015년 32,521명
|
2016년 34,958명
|
2017년 36,205명
|
2018년 37,328명
|
2019년 40,120명
|
2020년 40,329명
|
2021년 41,750명
|
2022년 42,082명
|
2023년 9월 42,432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5만 명 |
농소3동 인구 추이 (2000년~현재) |
1997년
7월 15일 울산광역시 북구 신설 농소읍 폐지 및 농소1동, 농소2동, 농소3동 설치 |
2000년 22,759명
|
2005년 27,376명
|
2008년 38,637명
|
2009년 39,710명
|
2010년 40,866명
|
2011년 41,281명
|
2012년 41,754명
|
2013년 42,400명
|
2014년 42,959명
|
2015년 43,104명
|
2016년 42,787명
|
2017년 41,909명
|
2018년 41,127명
|
2019년 39,763명
|
2020년 39,096명
|
2021년 38,117명
|
2022년 37,555명
|
2023년 9월 36,971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5만 명 |
강동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6년 8,598명
|
1970년 7,753명
|
1975년 6,926명
|
1980년 5,856명
|
1985년 4,979명
|
1990년 5,079명
|
1995년 5,236명
|
1997년
7월 15일 울산광역시 북구 신설 강동면 → 강동동 전환 |
2000년 4,745명
|
2005년 4,403명
|
2010년 4,717명
|
2015년 9,589명
|
2020년 16,634명
|
2023년 9월 16,155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
효문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6년 4,239명(명촌동 557명 + 진장동 629명 + 연암동 1,837명 + 효문동 1,216명)
|
1970년 4,272명(명촌동 347명 + 진장동 737명 + 연암동 1,956명 + 효문동 1,232명)
|
1972년
10월 1일 행정동제 실시 명촌동 + 진장동 → 진장동 신설 연암동 + 효문동 → 효문동 신설 |
1975년 5,737명(진장동 1,634명 + 효문동 4,103명)
|
1980년 9,283명(진장동 2,378명 + 효문동 6,905명)
|
1985년 10,158명(진장동 2,660명 + 효문동 7,498명)
|
1990년 10,818명(진장동 2,666명 + 효문동 8,152명)
|
1995년 12,433명(진장동 1,696명 + 효문동 10,737명)
|
1998년 10월 1일 진장동 + 효문동 → 효문동 합동 |
2000년 16,114명
|
2005년 29,102명
|
2010년 29,234명
|
2015년 29,091명
|
2020년 29,904명
|
2023년 9월 29,360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
송정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6년 2,222명(화봉동 1,215명 + 송정동 1,007명)
|
1970년 2,195명(화봉동 1,183명 + 송정동 1,012명)
|
1972년
10월 1일 행정동제 실시 화봉동 + 송정동 → 송정동 신설 |
1975년 2,295명
|
1980년 2,511명
|
1985년 2,774명
|
1990년 3,282명
|
1995년 6,767명
|
2000년 13,281명
|
2005년 14,029명
|
2010년 20,352명
|
2015년 21,159명
|
2020년 35,440명
|
2023년 9월 36,619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75만 명 |
양정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6년 1,268명
|
1970년 2,967명
|
1972년
10월 1일 행정동제 실시 양정동 일시 폐동 → 염포동 편입 |
1975년 -명
|
1979년 5월 1일 염포동 → 염포1동, 염포2동 분동 |
1980년 14,561명
|
1983년 5월 1일 염포1동 → 양정동 개칭 |
1985년 17,026명
|
1990년 19,391명
|
1995년 15,808명
|
2000년 12,258명
|
2005년 9,322명
|
2010년 12,846명
|
2015년 12,370명
|
2020년 10,063명
|
2023년 9월 9,495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
염포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6년 2,170명
|
1970년 3,159명
|
1972년
10월 1일 행정동제 실시 염포동 + 양정동 → 염포동 신설 |
1975년 12,155명
|
1979년 5월 1일 염포동 → 염포1동, 염포2동 분동 |
1980년 14,548명
|
1983년 5월 1일 염포2동 → 염포동 개칭 |
1985년 17,909명
|
1990년 17,748명
|
1995년 14,481명
|
2000년 9,893명
|
2005년 14,077명
|
2010년 13,557명
|
2015년 12,376명
|
2020년 10,078명
|
2023년 9월 10,183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
6. 교통
남북축을 잇는 도로망은 잘 발달되어 있어서 중구나 남구 지역으로 가는 데 불편함은 없다. 다만 현대자동차를 비롯해서 공단이 사방에 있다 보니 화물차가 다녀 위험하기도 하고 노면도 고르지 못한 도로가 많다. 거기에 동구나 남구에서 올라오는 화물차들도 있고 오토밸리로, 이예로 등을 개통시켜 이런 통행량을 분산시키고자 하는데 동해고속도로도 구를 지나가지 않아서 화물차들이 어쨌든 북구를 관통해야 하는 상황이다.옛 동해선이 구를 관통했었으며, 여객열차가 정차했던 역은 호계역 하나였다. 2021년 12월에 이설된 구간에 신설된 북울산역까지 동해선 광역전철이 운행될 예정이다. 송정동에 울산공항이 있다. KTX 운행 이후 밀리던 세가 현재는 안정되면서 나름의 경쟁력을 유지하고 선방하는 중이다.
*북구지역 항구.어항 보유현황
- 국가어항 : 정자항
- 지방어항 : 당사항
- 어촌정주어항 : 굼바우항, 신명항, 어물항, 제전항
- 소규모어항 : 우가항, 윗우가항, 판지항, 화암항
7. 교육
울산광역시 북구의 초등학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강동초등학교 | 고헌초등학교 | 농서초등학교 | 농소초등학교 |
동대초등학교 | 동천초등학교 | 매곡초등학교 | 매산초등학교 | |
명촌초등학교 | 상안초등학교 | 송정초등학교 | 신천초등학교 | |
약수초등학교 | 연암초등학교 | 염포초등학교 | 울산양정초등학교 | |
은월초등학교 | 이화초등학교 | 중산초등학교 | 천곡초등학교 | |
호계초등학교 | 화봉초등학교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울산광역시 북구의 중학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
||||
강동중학교 | 고헌중학교 | 농소중학교 | 달천중학교 | 매곡중학교 | |
상안중학교 | 연암중학교 | 울산스포츠과학중학교 | 이화중학교 | 진장중학교 | |
천곡중학교 | 호계중학교 | 화봉중학교 | 효정중학교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울산광역시 북구의 고등학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
||||
강동고등학교 | 달천고등학교 | 매곡고등학교 | 무룡고등학교 | ||
울산동천고등학교 | ▣ 울산마이스터고등학교 | ▣ 울산스포츠과학고등학교 | ▣ 울산에너지고등학교 | ||
▣ 울산외국어고등학교 | 호계고등학교 | 화봉고등학교 | 효정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학교 틀 둘러보기 |
- 고등학교
- 강동고등학교 (산하동 산61-11)
- 달천고등학교 (달천동 1-17)
- 매곡고등학교 (매곡동 336)
- 무룡고등학교 (연암동 1153)
- 울산동천고등학교: 구 농소고 (천곡동 376-1)
- 울산마이스터고등학교: 구 울산정보통신고 (효문동 34-1)
- 울산스포츠과학중고등학교 (산하동 799)
- 울산외국어고등학교 (중산동 203-5)
- 울산에너지고등학교: 구 화봉공고→울산컴퓨터과학고 (화봉동 453)
- 호계고등학교 (호계동 262-4)
- 화봉고등학교 (화봉동 1441)
- 효정고등학교 (효문동 507)
- 중학교
- 초등학교
- 강동초등학교 (산하동 산98-7)
- 고헌초등학교 (송정동 1237-3)
- 농서초등학교 (달천동 1-19)
- 농소초등학교 (호계동 858-1)
- 동대초등학교 (신천동 125)
- 동천초등학교 (천곡동 381-4)
- 매곡초등학교 (매곡동 497)
- 매산초등학교 (매곡동 334)
- 명촌초등학교 (명촌동 887-1)
- 상안초등학교 (천곡동 434-1)
- 송정초등학교 (화봉동 427)
- 신천초등학교 (신천동 316-4)
- 약수초등학교 (중산동 1006)
- 연암초등학교 (연암동 354)
-
연암초등학교 효문분교(효문동 767): 2020년부로 폐교 - 염포초등학교 (염포동 179)
- 울산양정초등학교 (양정동 470)
- 은월초등학교 (호계동 1009-1)
- 이화초등학교 (중산동 710)
- 중산초등학교 (중산동 156)
- 천곡초등학교 (천곡동 560-1)
- 호계초등학교 (호계동 266)
- 화봉초등학교 (화봉동 1339)
- 특수학교
- 태연학교 (대안동 156)
- 메아리학교 (중산동 492-2)
8. 의료기관
원래 종합병원이 없었으나, 도시가 발전하면서 종합병원도 2개가 생겼다. 연암동의 울산시티병원(259병상)이 가장 크며, 그 다음으로 호계동에 울산엘리야병원(164병상)이 있다. 이외 울산어린이병원도 있다.필요하면 동구의 울산대병원이나 중구의 동강병원으로 간다.
9. 정치
자세한 내용은 북구(울산광역시)/정치 문서 참고하십시오.10. 하위 행정구역
11. 출신 인물
자세한 내용은 분류:북구(울산) 출신 인물 문서 참고하십시오.
[1]
27개
법정동, 8개
행정동.
[2]
2024년 10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
[3]
2024년 10월 기준.
[4]
북구 나선거구 (농소2동, 농소3동): 박정환
북구 다선거구 (강동동, 효문동, 양정동, 염포동): 손옥선
북구 비례대표: 조문경 [5] 북구 가선거구 (농소1동, 송정동): 김정희, 박재완
북구 나선거구 (농소2동, 농소3동): 이선경 [6] 북구 다선거구 (강동동, 효문동, 양정동, 염포동): 강진희 [7] 북구 나선거구 (농소2동, 농소3동): 김상태
북구 다선거구 (강동동, 효문동, 양정동, 염포동): 임채오 [8] 북구 제2선거구 (농소2동, 농소3동): 문석주 (재선)
북구 제3선거구 (강동동, 효문동, 양정동, 염포동): 백현조 (초선) [9] 북구 제1선거구 (농소1동, 송정동): 손근호 (재선) [10] 이들 지역은 이미 울산시 출범 이래로 울주군 → 울산군 → 울산시 울주구의 산으로 가로막힌 곳이다. 두 지역을 잇는 길이 있기는 하나 험한 산길이다. [11] 이전의 울산시 중구 중 동천강 이동 지역. [12] 염포동 한정. 단, 광역시 출범 이전에는 중구 소속이었다가 광역시 출범 후 동구로 잠시 넘어간 것을 거쳐 북구로 편입되었다. [13] 중구 원도심의 노후화 및 북구 주택의 저렴한 가격이 원인이다. [14] 다만 염포동은 다음 해인 1998년 2월에 편입되었다. 광역시 승격 이전에는 중구 소속. [15] 2026년 인천광역시 검단구와 영종구가 신설되면 이 타이틀은 갱신될 예정이다. [16] 진장동, 효문동, 송정동, 양정동
북구 다선거구 (강동동, 효문동, 양정동, 염포동): 손옥선
북구 비례대표: 조문경 [5] 북구 가선거구 (농소1동, 송정동): 김정희, 박재완
북구 나선거구 (농소2동, 농소3동): 이선경 [6] 북구 다선거구 (강동동, 효문동, 양정동, 염포동): 강진희 [7] 북구 나선거구 (농소2동, 농소3동): 김상태
북구 다선거구 (강동동, 효문동, 양정동, 염포동): 임채오 [8] 북구 제2선거구 (농소2동, 농소3동): 문석주 (재선)
북구 제3선거구 (강동동, 효문동, 양정동, 염포동): 백현조 (초선) [9] 북구 제1선거구 (농소1동, 송정동): 손근호 (재선) [10] 이들 지역은 이미 울산시 출범 이래로 울주군 → 울산군 → 울산시 울주구의 산으로 가로막힌 곳이다. 두 지역을 잇는 길이 있기는 하나 험한 산길이다. [11] 이전의 울산시 중구 중 동천강 이동 지역. [12] 염포동 한정. 단, 광역시 출범 이전에는 중구 소속이었다가 광역시 출범 후 동구로 잠시 넘어간 것을 거쳐 북구로 편입되었다. [13] 중구 원도심의 노후화 및 북구 주택의 저렴한 가격이 원인이다. [14] 다만 염포동은 다음 해인 1998년 2월에 편입되었다. 광역시 승격 이전에는 중구 소속. [15] 2026년 인천광역시 검단구와 영종구가 신설되면 이 타이틀은 갱신될 예정이다. [16] 진장동, 효문동, 송정동, 양정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