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24 17:56:10

The Powder Toy/물질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The Powder Toy
1. 개요2. 벽 탭3. 전기 탭4. 전원 탭5. 센서 탭6. 힘 탭7. 폭발물 탭8. 기체 탭9. 액체 탭10. 가루 탭11. 고체 탭12. 방사능 물질 탭13. 특별 탭14. 생명 탭15. 도구 탭16. 숨겨진 물질들17. 물질이 아닌 탭18. 즐겨찾기 탭19. 데코레이션 탭20. 검색창 탭

1. 개요

*물질을 설명하실땐 현실 물질 이름(파우더토이 물질 이름)형식으로 써 주시기 바랍니다. ex)먼지(DUST)
* 네모 상자 안의 글은 물질을 선택하면 위에 나오는 짧은 설명 글을 직역한 것입니다.

The Powder Toy의 수많은 물질 종류를 설명하는 곳이다.
파우더 토이 위키 기준으로 작성되었지만 위키에도 잘못된 내용이 가끔 있기 때문에 주의하자.


파우더 토이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물질은 형태에 따라 크게 벽, 액체, 기체, 고체, 가루, 에너지 입자로 나눌 수 있다.

2. 벽 탭

각종 벽들이 존재하는 탭이다. 대부분의 벽은 특정 물질을 막는 역할을 한다. 물질이라고 보기에는 좀 애매하다.[4]
벽탭 에서 설명하는 '중력'은 시뮬레이션 자체의 중력[5]이 아니라 중력 펌프(GPMP)와 중력 생성 툴에 의해 생성되는 뉴턴중력을 말한다.
벽탭 에서 설명하는 표의 'PSTN'은 PSTN으로 어떤 물질을 밀었을 때의 통과 여부를 말한다.

3. 전기 탭

전자 회로와 관련된 물질들의 탭이다. 회로를 만들 때 필수적인 물질들이 모여 있는 탭이다. 이 물질들을 잘 이용하면 계산기 정도는 물론이고 실제 컴퓨터 매커니즘에 따라 컴퓨터를 만들어 작동시킬 수 있다. 물론 파우더 토이 시스템의 한계로 속도는 보장 못한다.[10]

4. 전원 탭

전기로 각종 행동을 제어할 수 있는 물질들의 탭이다. 대부분의 전원 탭 물질들이 PSCN의 전기를 받으면 활성화되며 밝아지고 NSCN의 전기를 받으면 비활성화되며 어두워진다.(1px 떨어진 거리에서 전기를 받아도 똑같이 작용한다)

5. 센서 탭

특정 조건을 만족하면 전기를 생성하거나 물질이 통과할 수 있게 하는 물질들의 탭.

6. 힘 탭

특정 조건을 만족하면 물체를 이동(가속)시키거나 압력을 생성하는 물질들의 탭이다.

7. 폭발물 탭

각종 폭약으로 폭탄을 만들 수 있는, 시밤쾅폭발시킬 수 있는 물질들의 탭이다. 이 게임의 하이라이트이자 존재 의미
발화점보다 뜨거운 물질에 닿으면 폭발한다. 폭발할 때에는 대부분 압력을 동반한 불(FIRE)로 폭발하는데 종류에 따라 불꽃(EMBR), 플라즈마(PLSM)가 동반되는 경우도 있어 뜨거운 물질과 압력으로 변화하여 다른 물질을 녹이거나 파괴한다.
불(FIRE)로 폭발하는 대부분의 폭탄은 폭발시키는 방법과 무엇으로 폭발하는지는 생략한다.
그리고 게임 내의 폭발물에서 거의 유일하게 모든 부분이 동시에 폭발하는 폭발물이다.[34]

8. 기체 탭

기체 물질의 탭.

9. 액체 탭

모두 다 타고나면 소량의 돌가루가 생긴다.

10. 가루 탭

녹은 STNE에 BCOL등이 닿았을 때 생성 가능하다.
녹은 상태에서 산소(OXYG)가 만나면 돌가루(STNE), 모래(SAND), 점토(CLAY)로 변하며, 온도가 7450℃ 이상이면 깨진 석영(PQRT)으로도 변한다. 또한 녹은 상태에서 녹은 깨지는 금속(BRMT)과 만나면 N-타입 실리콘(NSCN)으로, 일반 금속(METL)과 만나면 P-타입 실리콘(PSCN)으로 변한다. 산(ACID)에 녹지 않는다.

11. 고체 탭

12. 방사능 물질 탭

파토에서 플루토늄이 들어가는 핵폭탄에 이용된다.

13. 특별 탭


14. 생명 탭

모든 미생물들은 콘웨이의 생명 게임을 기반으로 생명력과 전투력(?)을 가지며, 미생물 마다 각자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변화가 일어 나는 곳은 뜨거워지며, 변화가 없는 곳은 차가워진다. 이를 이용해 뜨거운 레이저 포나 차가운 레이저 포, 냉각기등을 만들 수 있다.

15. 도구 탭

압력, 온도, 중력 등을 마음대로 바꿀 수 있다.

이외에도 할 수 있는게 많다.

16. 숨겨진 물질들

이 문단의 물질들은 탭에는 없으며 다른 물질의 반응이나 검색 기능으로만 찾을 수 있다. 다른 물질의 반응이나 상태 변화로도 만들 수 없는 물질은 ☆ 표시한다.

17. 물질이 아닌 탭

물질 탭들을 쭉 보다보면 맨 밑에(일시정지 버튼은 제외) 여기에 나와있지 않은 탭이 3개가 있을 것이다.[116] 물질 탭과 맞붙어 있기 때문에 다른 물질 탭으로 착각하기 쉽지만 이것은 물질 탭이 아니다. 인터페이스 문단에도 나와 있지만 간략히 설명하자면 각각 최근 사용했던 물질들이 있는 탭, 데코레이션 탭, 물질 찾기 탭이다.

18. 즐겨찾기 탭

ctrl + shift + 좌클릭으로 즐겨찾기 할 수 있다. 즐겨찾기에 표시된 물질은 왼쪽 위에 노란 하트가 생긴다.

19. 데코레이션 탭

다른 탭과 달리 한 번 좌클릭을 해야 들어갈 수 있는 이 탭은[117] 물질들을 색칠할 수 있다. 왼쪽 7 개의 색들은 기본 지정 색이고, 그 옆에 탭은 지금 선택한 색을 보여준다. 중간에 정사각형 모양의 탭은 색깔을 정교하게 바꿀 수 있도록 해준다. 오른쪽 탭은 순서대로 색 그리기 툴, 색 지우기 툴, 색 그라데이션 툴, 색을 조절해주는 툴들이다. Ctrl+b로 데코레이션을 안보이거나 보이게 할 수 있다.

20. 검색창 탭

물질들을 검색할 수 있다. EQVE 같은 숨겨진 물질도 보여준다.
[118]


[1] 적당히 액체와 고체의 중간정도라고 생각하면편하다 [2] 중력 펌프(GPMP), 블랙홀(BHOL) 등의 인공 중력에는 영향을 받는다. [3] 다만 아예 안나는 게 아니라 미미하게 밝다. [4] 4x4 크기에 고정되어 위치가 제한적이며, 온도를 가지고 있지도 않고, 설치해도 픽셀 수가 다른 물질들과 달리 늘어나지도 않는다. 모든 벽들은 벽 제거 툴 이외에 다른 물질로 제거할 수 없다. 반대로 벽 제거 툴로 다른 물질을 제거할 수도 없다.(다이아몬드(DMND)도 PSTN으로 밀어내거나 DRAY를 이용해서 덮어씌우면 없앨 수 있다) [5] 가루와 액체에만 작용하는 기본 중력 [6] 벽 한칸에 1500×16픽셀의 물질이 들어간다. [7] 사실 스틱맨 등에게 제트팩을 신기는 기능은 여전히 쓸 수 있다 [8] 조종하는 방향키가 없기 때문. [9] 중성자(NEUT)나 양성자(PROT)등의 물질 [10] FPS가 뚝 떨어질 것이다. 복잡할수록 더욱 그렇다. 좋은 컴도 예외는 아니다. [11] 액정(LCRY), 전원식 클론(PCLN) 등 전원 탭의 물질과 스위치(SWCH) [12] 파우더 토이 내 설명이 이렇다. [13] 처음 그릴때의 브러시 크기로 정해진다. [14] 온도차가 100℃가 아니라, 1℃~100℃, 101~200℃ 이렇게 100℃ 단위로 나뉘어진다. 즉 온도가 1℃인 와이파이와 50℃인 와이파이는 서로 연결할 수 있다. [15] 비활성, tmp0 [16] 일렉트론 헤드, tmp0 [17] 일렉트론 테일, tmp1 [18] 컨덕터, tmp2 [19] 그래서인지 이 와이어를 3X3픽셀 이상의 크기로 그린 뒤 1픽셀의 크기로 전기를 놓으면 무한전기가 생긴다. [20] 이 정도 온도까지 가기 전에 배터리가 온도를 못 견뎌 폭발하므로 그 이후엔 직접 온도를 높여야 한다. [21] 천천히 압력을 높이면 생각보다 큰 압력을 견딜 수 있다. [22] 놀랍게도 이게 다다. [23] ctype을 설정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설정할 물질을 설정시킬 물질 위에 클릭하면 된다. 그래서 실수로 다른 물질(특히 금속)을 그리다 탐지기(DTEC)위를 지나가면 ctype으로 설정되어 전기가 마구 흐르게 된다. 그냥 콘솔 쓰자 [24] 에너지 입자뿐으로 알고있는 경우가 있지만 입자.가루.액체.기체 전부 가속이 된다.단 중력때문에 알기 어렵다. [25] 기본적으로 31픽셀이지만 .tmp로 더 많이 밀거나 적게 밀도록 설정할 수 있다. [26] 물(WATR), 증류수(DSTW), 탄산수(BUBW), 소금물(SLTW) [27] 번개가 아니다! 번개는 LIGH으로 두 물질은 전혀 다른 물질이다. [28] 번개는 아니지만 이해를 돕기 위해 이렇게 써 놓은 듯하다. [29] 256압력인데 정말 쎄서 폭발하는것처럼 보인다. [30] 2~5프레임동안만 유지된다고 한다. [31] 마우스 스크롤을 올리면 커서 영역의 반경이 커진다. [32] Origial Version of Fireworks(폭죽의 원래 버전) 라고 나와 있다. [33] 8픽셀 크기라고 한다. [34] 다른 폭발물들은 불에 타듯이 좀 느리게 터진다. [35] 전기로 폭발시켜도 되지만 IGNC는 실제 도화선과 타는 모습이 비슷해서 쓴다. [36] 정확히는 불에 닿으면 tmp값이 1이 되는데, 이때 life값이 3에서 시작해 서서히 줄어들다 0이 되면 FIRE과 EMBR로 변하면서 사라진다. [37] 약 2500도 [38] TPT에는 탄소가 없으니 이걸로 대체한 듯 하다. [39] '연소'라는 개념을 표현할 방법이 없어(TPT에서는 산소(OXYG)가 없어도 불만 붙이면 잘만 탄다.) 그냥 산소를 수소처럼 불 붙게 설정한 것이지만 실제로는 당연히 그렇지 않다. 실제로 그랬다면 지구는 불바다가 됐을 것이며 우리는 하루도 살아갈 수 없다. 산소의 자세한 역할은 산소 문서 참고. [40] 그렇다고 고열과 고압이 필요하지 않다는 것은 아니다! [41] 실제론 철(IRON)이 생성되지만 파우더 토이에서는 깨지는 금속(BMTL)이 생성된다. [42] 그이유는 이산화 탄소, 연소 문서 참고 [43] NBLE도 같은 현상이 일어난다. [44] 한참 예전 버전에는 있었으나 아무 쓸모 없다는 이유로 삭제되었다. [45] 실제로 탄산음료에 가루멘토스를 넣으면 장관을 볼 수 있다. [46] 보통 물질은 뜨거워지면 녹고 차가워지면 굳지만 이건 그 반대다! [47] 뜨거운 물질이 닿아도 2픽셀까지만 열이 전달된다. 절연체(INST)보다 좀 더 현실적인(?) 단열재로도 쓸 수 있다. [48] 단, 색칠된 비누는 색을 지울 수 없다. [49] 기계가 불규칙적으로 계속 움직이는 기계라던가... [50] 바이러스는 불도 감염시키기(!) 때문에 불로 태우기 은근히 힘들다. 물론 폭약의 도움을 받으면... [51] LOVE와 LOLZ모양인 각각 하트와 LOL을 구성하고 있는 부분이 1픽셀이라도 남아있으면 즉시 원상태로 복구하기 때문에 바이러스에 닿아도 쉽게 사라지지 않는다. [52] 전염되는 속도가 바이러스(VIRS)보다도 약간 더 빠른 수준이다. 또한 전염력은 온도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53] 부서진 금속(BRMT)과 합쳐져 테르밋(THRM)을 만드는 것 때문이라고 한다. [54] 나무의 tmp값과 관련이 있다. [55] 증류수(DSTW)나 소금물(SLTW)이 아닌 물(WATR)이어야 한다. [56] 오목 렌즈 모양과 볼록렌즈 모양을 만들고 광자(PHOT)를 쏘면 굴절되는 방향이 다르다. [57] 설명은 이렇지만 물에도 부식된다. [58] 물(WATR)과 증류수(DSTW)만 정상적으로 흡수한다. [59] 이걸로 잘하면 소금 필터도 만들수 있다. [60] 원래 물이지만 너무 뜨거워 물이 수증기로 바뀐 것이다. [61] 게다가 뿜어져 나온 수증기(WTRV)가 뜨거운 용암(LAVA)이나 중성자(NEUT)가 직접 스펀지에 닿는 것을 막아주기 때문에 더 수월하게 막는다. [62] 그 최강이라던 다이아몬드(DMND)도 압력만큼은 완전히 막지 못한다. 다른 물질들도 어느 정도는 막아도 조금은 압력이 새어 나와 불편하다. 그러나 스파크(SPRK)가 흐르거나 데미지(DMG)가 발생시키는 강력한 압력은 간혹 티타늄(TTAN)을 통과할 수 있다. [63] 4픽셀 이내 [64] 두께가 두꺼우면 더 많은 중성자를 흡수한다. [65] 2위는 텅스텐(TUNG)이 3422°C에 녹는다. [66] 이도 다른 물질들보단 꽤 높은 온도에 녹는다. [67] 이 과정에서 전기(SPRK)와 열도 발생하므로 연료전지를 만들 수 있다. [68] 1/7확률이라고 한다. [69] 이 때문인지 PROP을 이용해 스틱맨의 체력을 높여놓아도 중성자를 여러대 맞으면 후두둑 깎여나가는 체력을 볼 수 있다. [70] 지금은 거의 안쓰인다. 초보자들만 조금 쓰는 정도 [71] 사실 중성자가 아닌 중성자의 압력에 의해 반응하는것이다.압력이 매우 낮으면 핵분열하지 않는다. [72] 돌이 녹은 것이다. [73] 중수소(DEUT)는 압축이 가능하고 양성자(PROT)와 중성자(NEUT)를 가리지 않고 터지기 때문 [74] 중수소(DEUT)는 압축시킬시 거의 즉발로 터진다. [75] 볼록 렌즈 모양과 오목 렌즈 모양을 만들어 광자(PHOT)를 쏘아보자. [76] 우라늄은 압력을 받으면 열을,보일가스는 열을 받으면 압력을 만든다 [77] 특이점(SING)이 터질때 발생하는 전자(ELEC)와 양성자(PROT)가 만나 수소(HYGN)를 생성하고 수소(HYGN)가 높은 압력과 열을 받아 핵융합하여 비활성기체(NBLE)가 되고.. 이 과정이 일어나기 때문에 핵융합 폭탄이라고 하나 여기서는 핵폭탄(핵분열 폭탄)과 구별하기 위해 퓨전 폭탄이라고 한다. [78] tmp나 ctype등의 변경은 PROP 툴에서 할 수 있다. [79] 특이점 폭발은 엄청 높은 고열까지는 아니기 때문에 중수소 핵폭발로 고열을 발생시킨다. [하지만] 그 전에 물(WATR)이 수증기(WTRV)가 되어 체감하기 어렵다 [81] 수소는 양성자 하나, 전자 하나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를 구현한 것이다.그런데 중성자는 왜..? [82] 워프 이론에 등장하는 질량이 음수 내지는 허수인 물질. 공식 파우더토이 위키에서는 이상한 액체로 표기하고 있다. [83] 대부분은 전자(ELEC)와 섞여 예쁜 무지개 빛깔로 나온다. [84] 열, 압력, 에너지 입자 [85] 심지어 PROT끼리 가속시켜서 충돌시켜도 된다. [가속기] (ACEL)로 가속해서 충돌하면 핵융합 반응에서 나오는 모든 물질과 폴로늄(POLO)), 우라늄(URAN), 플루토늄(PLUT)도 생성된다 [87] 하지만 대부분 Radial 중력 모드가 쓰인다. [88] 폴로늄(POLO)만으로는 250°C정도까지 올라간다. [89] 정확히는 CTYPE의 물질을 복제하는 것이다. [90] 하지만 고체는 피스톤(PSTN)으로 밀어도 사라지지 않는다. [91] 346도 이상의 고온에서는 아예 불로 완전히 타버린다. [92] 플루토늄(PLUT), 우라늄(URAN), 중성자(NEUT) 등 [93] 정확히는 틱당 100의 피해를 입는데, 어차피 기본 체력이 100이므로 PROP으로 체력을 뻥튀기시키지 않는 이상 즉사한다. [94] 사실 폭발보다 방출에 가깝다 [95] 플라즈마(PLSM) 대미지만 안 받는 것이라서 폭발물 옆에서 날아 플라즈마(PLSM)가 폭발물에 닿으면 터진다. [96] ctype은 따로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처음 닿은 물질로 설정된다. [97] A, D는 이동, W는 점프, S는 가진 물질을 뿌린다. [a] 모바일은 Search탭에서 찾아야 했으나 현재는 있으며 조종할 수는 없다. [99] 하지만 별로 똑똑하지 않은 것 같다. [100] 대각선 방향으론 움직이지 않고 위, 아래, 양옆으로만 움직인다. [101] 그래도 충돌하는 경우가 있다. [102] 블랙홀을 쓰려면 뉴턴 중력이 켜져 있어야 한다는 말이다. [103] 화이트 홀을 쓰려면 뉴턴 중력이 켜져 있어야 한다는 말이다. [104] 블랙홀로 빨아들인 물질이 화이트 홀로 나오지는 않는다. [105] DMG는 맞으면 죽을 수도 있는데도 뿌리지 않는다! 물론 맞는 지점에 따라 안죽을 확률이 더 높다. [106] 하지만 항상 100명이 나온다. [107] 그래도 분사되는 플라즈마(PLSM)에 죽을 수 있다. 그러니 무시하지 말자. [a] [109] 전염 속도는 바이러스(VIRS)보다도 약간 더 빠른 수준이다. 개발자에 따르면 효모(YEST)와 죽은 효모(DYST)가 뒤섞여서 지저분하게 되는 것을 막기 위해 전염성을 넣었다고 한다. [110] 하지만 왠지 모르게 유저들 사이에서 꽤 유명하다 [A] 한 픽셀이라도 모양이 생기기에 이런 물질들이 물질은 흐트러 놓으니 이런듯. [112] 하지만 그냥 폭탄(BOMB)은 반대로 웃음이 없어진다. [A] [114] 위와같이 폭탄(BOMB)에 사랑이 없어진다. [115] TPT에서 유일하게 이름이 다섯글자이다. 그래서 이름이 상자를 뚫는다 [116] 배너모양, 페인트 롤러 모양, 돋보기 모양탭 [117] B 키로도 가능하다 [118] E키로도 열 수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58
, 2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58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