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중장거리 지대공 미사일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777,#333> 대한민국 | 천궁 / 천궁-Ⅱ / L-SAM |
미국 | 나이키 / 호크 / 로워 / 패트리어트 / THAAD / GBI / 이지스 어쇼어 | |
러시아 | S-25 / S-75 / 2K12 쿠프 / S-125 / 9K37 부크 / S-200 / S-300 / S-350 / S-400 / S-500 / A-135 / A-235 | |
중국 | HQ-9 / HQ-12 / HQ-16 / HQ-22 / HQ-19 | |
영국 | 블러드하운드 | |
SAMP/T | ||
이탈리아 | ||
독일 | MEADS / IRIS-T (SLM/SLX) | |
일본 | 03식 中SAM / N-SAM | |
이스라엘 | 애로우 / 다비즈 슬링 / SPYDER | |
대만 | 톈궁 | |
이란 | 탈라스 대공방어시스템 / 바바르-373 | |
인도 | 아카시 / 바락 8 | |
튀르키예 | 시페르 | |
북한 | 번개 미사일( 번개-5(KN-06) ) / 별찌 미사일( 별찌-1-2) | |
남아공 | 움콘토-LR | }}}}}}}}} |
패트리어트 미사일 MIM-104 Patriot |
|
|
|
PAC-3(MSE) 발사 장면 | |
|
|
표적에 명중하는 PAC-3 미사일 | |
개발국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clearfix]
1. 개요
|
|
이 미사일 프로젝트는 사실 1960년대부터 계획된 것이다. 그러나 미군은 강력한 공군력을 이용하여 제공권을 장악하는 교리를 채택한데다, 실전에서도 강력한 공군력 덕에 이런 지대공 병기가 없더라도 제공권 장악에 큰 문제가 없었기에 이 프로젝트는 취소되고 기억속에서 사라지는 듯 했다. 그러나 4차 중동전쟁이 발발하면서 이야기는 달라젔다. 소련산 SA-6 미사일이 이스라엘의 미국산 전투기를 우수수 격추시키기 시작하면서 지대공 미사일? 그거 먹는건가요? 하던 미국은 그 생각을 바로잡고, 1980년대에 호크 미사일의 짧은 사정거리를 보완하기 위해 새로운 장거리 지대공 미사일을 보유할 필요성을 느꼈고 미사일 잘 만드는 레이시온사에 새 지대공 미사일 개발을 요청하면서 시작되었다.
주로 ABM이라는 특수한 발사관에 탑재해 발사하기에 일일이 트럭으로 견인해야 하는 호크보다 백 배는 더 편하다. 또한, 단순한 비행기 격추용 지대공 미사일이 아닌 상대방 미사일까지 요격이 가능한 미사일이라, 하늘을 날아다니는 것이면 어떤 것이든 때려맞추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탄도탄 대응용으로서만 따지면 처음부터 이렇게 잘나간건 아니라 초기형인 PAC-1과 PAC-2는 공중에서 폭발해 파편으로 적 미사일을 요격하는 방식이라 확률에 의존하며, 후기형인 PAC-3에 와서야 비로소 완벽하게 요격할 수 있도록 개선되었다.
그러나 PAC-2의 성능도 무시할 수 없는 것이, 걸프 전쟁에서 스커드 미사일을 격추[1]한 전적을 가지고 있는 것을 보면 그렇게 떨어진다고 할 수도 없는 성능이다. 따라서 현재 이것을 개량한 PAC-3의 성능은 탄도탄 격추 성능에서는 세계 정상급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러시아, 이란, 북한을 비롯한 미국의 적성국들은 패트리어트 미사일을 겨냥해 새로운 성능의 탄도미사일들을 등장시키고 있지만 여전히 패트리어트 미사일은 신형 탄도미사일들에 대해서도 위용을 과시하고 있다. 최근에 발생한 예멘 내전과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에서도 패트리어트 미사일은 맹활약중이다.
그리고 전투기는 일단 걸리면 사망이다. 특히 PAC-2는 탄두의 폭약 중량만 무려 32kg으로, 일반 공대공 미사일의 1~5kg[2] 남짓한 폭약과는 비교도 안되는 살상 반경을 갖고 있다.
한국은 현재 독일에서 운용하던 PAC를 도입해 PAC-2 미사일+주한미군 PAC-3의 통제체계를 통합한 시스템을 운용하고 있다. 독일의 MAN사의 SX45 트럭에 모든 체계를 탑재해 HEMTT 연결식 M901 견인트레일러에 탑재된 미군사양보다 기동성이 우수하다. 다만 중고이고 1980년대 구닥다리 장비라서 예방정비에 애를 먹고 있다. 2013년 5월에 공군에 미사일 탑재 작전차량의 제작사로부터 수리부속 단종으로 인한 계약해지가 통보되는 등 중고도입의 대가로 운용에 애로사항이 꽃피고 있다. 결국 현행 체계 및 전 장비를 PAC-3 미사일까지 발사할 수 있도록 전면 개량할 예정이며 PAC-3 미사일 또한 2016년 부터 도입을 시작하여 2020년까지 전력화를 마칠 예정이다. #[3]
한국 내의 자료들 중 2012년에 7600억을 들여 패트리어트를 PAC-3/conf2로 개량했다는 이야기들이 있다. # # 그러나 이것은 사실이 아니다. '독일이 한국에 판매 제안한 장비는 PAC-3/Conf-2이며 유도탄은 PAC-1, 2 Standard Digit, SOJC, ATM탄으로 이를 요약하면 주장비는 PAC-3이고 유도탄은 PAC-I, PAC-2에 해당하는 구형 유도탄이다.' [4]라는 증언이 있다. 또한 '공군이 도입하려는 독일 잉여 패트리엇트 장비는 PAC-3, 형상 2로서 미국과 독일이 형상 3으로 개량하기 전 장비와 동일한 장비임'[5]라는 증언도 있다. 결정적으로 당시 국방예산에 7600억이나 지출한 내역 또한 없으며, DSCA 홈페이지에서도 2013년 GEM-T탄 구매와 2014년 PAC-3 개량내역만 언급될 뿐 2012년의 개량 관련 내역은 검색에도 나오지 않는다.
2. 제원
MIM-104 Patriot | ||||
형식 |
PAC-1 (Standard/ASOJ) MIM-104A/B |
PAC-2 (GEM/GEM+T/C) MIM-104C/D |
PAC-3 (ERINT/CRI/MSE) MIM-104F |
|
분류 | 지대공 미사일 | |||
제조사 |
Raytheon Hughes RCA |
Raytheon |
Lockheed Martin 체계 통합 Raytheon 탐색기 제조 Boeing |
|
운용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아랍에미리트| ]][[틀:국기| ]][[틀:국기| ]] | [[사우디아라비아| ]][[틀:국기| ]][[틀:국기| ]]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독일| ]][[틀:국기| ]][[틀:국기| ]]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네덜란드| ]][[틀:국기| ]][[틀:국기| ]] | [[스페인| ]][[틀:국기| ]][[틀:국기| ]] | [[대만| ]][[틀:국기| ]][[틀:국기| ]] | [[그리스| ]][[틀:국기| ]][[틀:국기| ]] | [[요르단| ]][[틀:국기| ]][[틀:국기| ]] | [[쿠웨이트| ]][[틀:국기| ]][[틀:국기| ]] | [[이스라엘| ]][[틀:국기| ]][[틀:국기| ]] | [[카타르| ]][[틀:국기| ]][[틀:국기| ]] | [[이집트| ]][[틀:국기| ]][[틀:국기| ]] | [[폴란드| ]][[틀:국기| ]][[틀:국기| ]] | [[루마니아| ]][[틀:국기| ]][[틀:국기| ]] | [[우크라이나| ]][[틀:국기| ]][[틀:국기| ]] |
|||
전장 | 5.3m | 5.18m | 5.2m | |
수평타 길이 | 840mm | 840mm | 510mm | |
직경 | 406mm | 406mm |
255mm MSE 300mm |
|
중량 | 914kg | 914kg | 315kg | |
속력 | 마하 2.8 | 마하 5 | 마하 5+ | |
탄두 | 비산파편탄두 |
32kg HE 비산파편탄두 GEM 지향성 폭발탄두 |
HTK + 11kg HE 비산파편탄두 | |
추진체 | TX-486 1단 고체 로켓 | TX-486 1단 고체 로켓 |
1단 고체 로켓 / ACM[6] MSE 2-Pulse 고체 로켓 / ACM |
|
레이더 | AN/MPQ-53 PESA | AN/MPQ-53 PESA | AN/MPQ-65 PESA | |
주파수 | C-band | C-band | C-band & G/H-Band | |
유도 |
TVM[7] MSE Ka-band 능동 레이더 |
|||
사거리 | 160km | 160 ~ 180km |
대 항공기 70km 대 탄도탄 55km MSE 90km |
|
최대 상승 고도 | 24km | 24.2km |
25km+ MSE 40km+ |
|
최저 요격고도 | 60m | |||
요격방식 | 폭발파편방식, HTK[8] | |||
탄도탄 대응거리 | - | - |
30km MSE 40km |
|
탄도탄 요격고도 | - | 15 ~ 20km |
20km[9] MSE 30km[10] |
|
운반 | - | M901/902 이동식 포대 | M903 이동식 포대 |
3. 유도 방식
패트리어트는 아무래도 첫 등장이 1970년대이다보니 최신형 지대공 미사일들에 비하면 좀 고전적인 방식을 사용한다. TVM(Track Via Missile)이란 방식으로 지령유도 방식과 반능동 레이더 유도방식의 중간쯤 되는 방식이다. 패트리어트 미사일 앞에는 전파를 수신만 할 수 있는 안테나가 달려있다. 지상의 패트리어트 유도용 레이더가 표적을 비추면, 미사일은 표적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전파를 수신한다. 여기까지만 놓고 보면 반능동 레이더 유도 방식 미사일과 비슷하지만 패트리어트는 전파를 수신하여 다시 지상의 관제소에게 그 정보를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토스한다. 지상 관제소의 컴퓨터는 미사일과 표적사이의 상대속도와 방향등을 고려, 미사일에게 직접 조종명령을 내리며 미사일은 여기에 맞춰 움직인다.이 방식은 기존의 지령유도 방식, 즉 미사일과 적 미사일을 별도의 레이더로 각각 추적하는 것에 비하면 미사일과 표적사이의 상대적인 속도나 방향을 더 확실히 알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미사일 자체에 자신이 표적을 향해 어떻게 날아가야 할지 계산하는 고성능 CPU를 박아 넣을 필요는 없으므로 결국 소모품인 미사일 자체의 단가는 싸진다. 그러나 미사일이 자체적으로 표적에 어떻게 날아갈지 계산하는 유도기능은 없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시간지연문제나 전파방해에 취약하며, 동시 교전능력을 늘리는데 있어 불리해진다.
PAC-3부터는 표적에 정확히 명중해야 하고, 지상포대가 빠르게 대응할 수 있어야 하기 대문에 표적에 접근한 이후부터는 미사일 자체의 레이더가 전파를 발신/수신하고 그 정보를 토대로 알아서 표적을 향해 날아가는 능동형 레이더 유도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다만 미사일 자체의 탐색기는 크기의 한계상 표적에 명중하기 직전인 십 수 km 이내에서만 작동이 가능하므로 중간단계까지는 지상포대의 도움을 받아서 표적을 향해 날아가는 지령유도 방식을 섞어서 사용한다.
4. 형식
자세한 내용은 패트리어트 미사일/형식 문서 참고하십시오.5. 파생형
5.1. ALHTK
|
Air Launched Hit To Kill |
17년 후, 미군은 패트리어트 미사일의 공대공화 대신 SM-6 함대공 미사일을 공대공화한 초장사정 미사일인 AIM-174를 개발해 배치했다.
5.2. 함대공화
|
2024년 5월, 록히드 마틴은 지상 이지스 테스트 시설에서 PAC-3 MSE를 Mk.41 VLS로 발사하여 이지스 시스템이 탐지한 목표물을 요격하는 시험에 성공했다. #
6. 실전
자세한 내용은 패트리어트 미사일/실전 문서 참고하십시오.7. 운용국
자세한 내용은 패트리어트 미사일/운용국 문서 참고하십시오.8. 대중매체
자세한 내용은 패트리어트 미사일/대중매체 문서 참고하십시오.9. 모형화
- AFV CLUB
10. 기타
- patriot(애국자)이란 단어는 본래 무기의 원산지인 미국식으로 읽을 때 페이트리엇이라 읽어야 맞다. '페이츄리엇 미슬' 정도로 발음해야 미국인이 알아듣는다.
- 2022년 11월 3일 실시된 대한민국 공군의 유도탄 사격대회에서 발사 전 레이더 오류로 인해 발사가 취소되었다.
PAC-2 발사 장면 (발사차량은 독일 연방군의 트럭 일체형 발사대) |
PAC-3 MSE(왼쪽)와 PAC-2(오른쪽) 캐니스터 |
각 버전의 관제 콘솔 |
11. 둘러보기
현대 스위스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스위스군 (1945~현재) Schweizer Armee |
|||
<colbgcolor=#DA291C> | <colbgcolor=#DA291C> |
{
스파이크 LR2} |
NLAW |
PAL BB 77 드래곤R |
||
탑재형
|
기갑차량 {
스파이크 LR2} |
PAL BB 85 TOW |
PAL BB 65 BANTAMR
|
|||
공대지
|
고정익기 Flz Lwf LB 66 "NORAS"R |
Flz Lwf LB 82 매버릭R
|
|||
유도포탄 |
지대지
|
12cm Mw int G 96 STRIX (120mm, Mö 16) | 15,5cm Kan int G 01 SMArt (155mm, Pz Hb M109) | ||
L Flab Lwf BL 94 스팅어 | ||||
단거리
|
Mob Flab Lwf 레이피어R | |||
장거리
|
{
BODLUV GR 패트리어트} |
Flab Lwf BL 64 블러드하운드R | |
|||
단거리
|
Flz Lwf LL AIM-9X "SIWA" | Flz Lwf LL (63/80 · 63/90 · 63/91) | Flz Lwf LL (63 · 63/75)R | |||
중장거리 | Flz Lwf LL (64 · 64/79) "팔코"R | Flz Lwf LL 97 · AMRAAM 120C-7 | |||
※ 윗첨자R: 퇴역 무장 ※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및 대표 발사 플랫폼 |
||||
※둘러보기 :
스위스군의 운용장비 |
유도무기
|
}}}}}}}}} |
현대 루마니아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루마니아군 (1991~현재)
Forțele Armate Române |
||
<colbgcolor=#002B7F><colcolor=#FFF> | <colbgcolor=#002B7F><colcolor=#FFF> | 스파이크-LR | FGM-148F 재블린 (특수부대용) | 9K111 파곳 | |
탑재형
|
기갑차량
스파이크-(LR/LR2) |
9K113 콘쿠르스 |
9K11 말륫카R
|
||
공대지
|
회전익기
스파이크-ER고정익기
AGM-65K 매버릭 | Kh-23R
|
||
유도로켓 |
''' 지대지 '''
|
M30A1 · M31A1 GMLRS (227mm, HIMARS) | |
MGM-164 ATACMS 2000 | |||
함대함
|
{ NSM} | P-22 · P-21 · P-15(M) 테르밋 | ||
지대함
|
{ NSM} | P-22 · P-21 (4K51 루베즈) | ||
어뢰 |
경어뢰
|
스팅레이 Mod 0 | |
중어뢰
|
TEST-71 | 53-65K | ||
신궁 | CA-94(M) | |||
단거리
|
TABC-79 CA-95 | 9K33M3 오사-AKMR | ||
중거리
|
MIM-23P I-호크 XXI | 2K12 쿠프R | S-125M 페초라R | ||
장거리
|
MIM-104E PAC-2 GEM-T | MIM-104F PAC-3 MSE | ||
''' CIWS '''
|
CA-94 ( 즈보룰급) | ||
단거리
|
AIM-9(X/M) 사이드와인더 | 파이썬-3R | R.550 매직 IIR | R-73ER | R-60MR | R-13MR | ||
''' 중장거리 '''
|
AIM-120C-5 AMRAAM | R-27RR | R-23RR | ||
유도폭탄 | GBU-38 JDAM | GBU-12 페이브웨이 II | IAI 그리핀 | 엘빗 오퍼(Opher) | MAM-L | ||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및 대표 발사 플랫폼 |
|||
{{{#!wiki style="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 |
현대 우크라이나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우크라이나 국군 (1991~현재) Збройні Cили України |
||||
<colbgcolor=#0056B9> | <colbgcolor=#0056B9> | 참고: 틀:현대전/우크라이나 보병장비 | |||
탑재형
|
배리어 | { AGM-114 헬파이어}D | BGM-71F TOW 2D | 브림스톤D | 9K114 슈투름 | ||||
포발사
|
콤바트( 125mm, T-80 등) | 9K117 바스티온( 100mm, MT-12) | 9K112 코브라( 125mm, T-64 등) | ||||
공대지
|
회전익기
9M114 코콘고정익기 {
AGM-65G 매버릭}D |
Kh-29T |
Kh-25ML
|
||||
유도포탄 |
곡사포
|
M982 엑스칼리버D | SMArt 155D | BONUS 155D| 불카노 155D | M712 코퍼헤드D | |||
유도로켓 |
지대지
|
R624(M)( 300mm, 빌카-M) | GMLRSD( 227mm, HIMARS/ MLRS) | GLSDBD( 290mm, HIMARS) | APKWSD( 70mm, 테크니컬) | TRLG-230D | FZ275 | |||
배회폭탄 |
지대지
|
보버 | ALTIUS-600 | RAM II | Tu-141 | Tu-143 | 스카이나이츠 2 | 피닉스 고스트D | 스위치블레이드 (300/600)D | WB 워메이트D | 사제 FPV 자폭드론 | Vidsich | { 트렘비타} | {AQ-400} | AN-196 류티 | A-22 폭스배트 | R-15 | 팔야니챠 | OSKARD | |||
공대지 (ALCM)
|
스톰 쉐도우/SCALP-EGD( Su-24) | ||||
MGM-140 ATACMSD | |||||
OTR-21 토치카-U | 흐림-2 | |||||
함대함
|
{ RGM-84L 하푼 Block 2} | ||||
지대함
|
R-360 넵튠 | RGM-84L-4 하푼D | RBS 17D | ||||
어뢰 |
경어뢰
|
{ MU90 임팩트} | |||
무인 자폭정 | TLK-150 | 시 베이비 | 마구라-5 | 마리치카 | 마마이 | {스토커 5.0} | ||||
참고: 틀:현대전/우크라이나 보병장비 | |||||
단거리
|
마틀렛 LWMD | 크로탈-NGD | 9K33BM3-P1 종드워D | 9K330 토르 | 9M311( 퉁구스카) | 9K35M 스트렐라-10M3 | 9K33M3 오사-AKM | R-73( 오사 TEL) | ASRAAMD(트럭형 TEL) | ||||
중거리
|
NASAMSD | RIM-7 시스패로우D( 부크 TEL) | MIM-23 호크D | IRIS-T SLMD | 아스피데 2000 · 스파다D | S-125 네바-SCD | 9K37M1 부크 M1 | 2K12M3 쿠프 M3 | S-125 페초라-(2D/2M/BM) | ||||
장거리
|
MIM-104D PAC-2 · MIM-104F PAC-3D | SAMP/TD | S-300PMUD | S-300(PS/PT) | S-200 | ||||
개함방공 | { VL-MICA M} | R-73마구라 V5 | ||||
단거리
|
AIM-9(M/X) 사이드와인더D | R-73E | R-60MK | ||||
중장거리 | AIM-120B 암람D | AIM-7M 스패로우D | R-27(ET/ER/R1) | ||||
유도폭탄 | JDAM-ERD | MAM-CD | MAM-LD | KAB-1500L | KAB-500Kr | AASM-250D | SDBD MiG-29 | { GBU-12 Paveway IV}D | { AGM-154 JSOW}D | ||||
AGM-88(B/E) HARMD | |||||
기만체 미사일
|
ADM-160B MALDD MiG-29 | ||||
※ 윗첨자D: 공여받은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렛첨자(□□□): 대표 발사 플랫폼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우크라이나군의 운용장비 | 유도무기 | }}}}}}}}} |
🚀 유도무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685050><colcolor=white>북미 |
미국 |
|||
남미 | |||||
서유럽 | |||||
''' 중부유럽 '''
|
독일 |
폴란드 |
오스트리아 |
스위스 |
|
체코 |
슬로바키아 |
헝가리 |
|||
남유럽 |
이탈리아 |
스페인 |
포르투갈 |
그리스 |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슬로베니아 |
크로아티아 |
||
세르비아 |
|||||
북유럽 |
스웨덴 |
노르웨이 |
덴마크 |
핀란드 |
|
리투아니아 |
라트비아 |
에스토니아 |
|||
동유럽 |
러시아 |
우크라이나 |
|||
''' 동아시아 '''
|
대한민국 |
북한 |
|||
''' 동남아시아 '''
|
베트남 |
태국 |
말레이시아 |
인도네시아 |
|
필리핀 |
싱가포르 |
||||
''' 남아시아 '''
|
인도 |
파키스탄 |
방글라데시 |
||
''' 중앙아시아 '''
|
|||||
서아시아 |
이란 |
||||
''' 오세아니아 '''
|
|||||
아프리카 | }}}}}}}}} |
[1]
일부 시민단체 등에선 명중률이 0~40%인 고물 미사일이라는 주장을 펼치나, 이는 고폭 파편탄두로 Hit-to-kill(직접명중)이 불가능한 PAC-2의 특성, 확실한 요격을 위해 1개의
탄도 미사일에 2발 이상의 PAC을 할당한
미군의 교리(초탄이 명중하면 2탄은 자폭한다.)를 고려하지 않은 억지 주장이다. 다만 PAC-2 GEM+의 탄두는 스커드 미사일을 완전히 날려버리기엔 적합치 않았고(파편에 의한 요격은 확실한 격추를 장담할 수 없다. 그리고 애초에 GEM+는 탄도탄 요격만을 위한 전용 미사일이 아니다.) 따라서 이후 PAC-3 ERINT에선 Hit-to-kill 방식의 진일보한 탄두를 채택했다.
[2]
보통 탄두 중량이라고 써진 무게의 절반 이하만 폭약의 중량이다.
AIM-9 사이드와인더는 4~5kg 남짓, 더 큰 사이즈의
AIM-7 스패로우는 10kg 남짓한 작약이 들어간다. 다만 전봇대
AIM-54 피닉스의 경우 설계시 목표가 대형 폭격기이기 때문에 탄두 중량이 60kg이다.
[3]
2017~2018년에
천궁 PIP형을 개발완료함에 따라 KAMD는 PAC-3와 천궁 PIP형이 담당할듯하다. 한국 공군의 패트리어트 운용은
이 문서를 참고
[4]
SAM-X 무기체계에 대한 오해와 진실, 김병용, 주간국방논단 제 1068 호
[5]
1차출처: 송영선 국회의원의 패트리어트 미사일에 대한 질의에 대한 공군본부의 서면 답변, 2차 출처:
링크
[6]
Attitube Control Motors
[7]
Track-Via-Missile, 미사일 경유 추적
[8]
Hit-to Kill, 직격 파괴 방식
[9]
최신기사, 2010년대에는 15km라고 하는 경우도 많았음
기사
[10]
최신기사, 40km로 표기한 기사도 있음
기사
[11]
NCADE는 암람 개조형이라 당연히 더 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