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 적용 차량인 캐딜락 스빌 1세대 | 최후 적용 차량인 캐딜락 드 빌 7세대 |
GM K Platform / K-Body |
1. 개요
제너럴 모터스가 1975년부터 1999년까지 사용한 준대형차 ~ 대형차용 자동차 플랫폼이다.2. 플랫폼 설명
캐딜락의 첫 준대형 세단인 캐딜락 스빌을 시작으로 캐딜락 차량에만 주로 탑재되었다. 개발 비화는 캐딜락 스빌 문서에 나와있듯이 BMW, 메르세데스-벤츠 같은 유럽산 고급차들이 인기가 높아졌는데 '세계의 표준'이라고 표명했던 캐딜락의 이미지가 젊은층의 구매자들 사이에서 떨어지자 구매층을 20대로 낮춰 브랜드 이미지를 되살리려는 것이 시작이었다.처음 개발됐을 때는 캐딜락 스빌 전용 플랫폼이었지만 1994년에 스빌보다 윗급인 캐딜락 드 빌이 해당 플랫폼을 쓰게 되면서 의미는 없어졌다. 후술할대로 준중형차용인 X 플랫폼(후륜)과 퍼스널 럭셔리 카 모델에 주로 탑재된 E 플랫폼과 여러 요소를 공유하였다.
플랫폼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적용 차량 문단에 세대별로 따로 서술했으니 참조할 것.
3. 적용 차량
3.1. 1세대 (1975 ~ 1979)
처음에는 X 플랫폼(후륜)의 축거를 늘린 파생형 플랫폼으로 시작하였다. 구동방식도 후륜구동이었고 X 플랫폼과 여러 부품을 공유한 것은 물론 파워트레인 및 현가장치의 구조물에 의한 진동원으로부터의 고립 역시 개선이 이루어졌다. 또한 각 플랫폼의 구조에 맞게 조정된 전방 및 후방 서스펜션 시스템을 공유하였다.전륜 현가장치는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을[1], 후륜 현가장치는 리지드 액슬 서스펜션을 사용하였다.[2] 제동장치는 전/후륜 모두 디스크 브레이크가 적용되었고 디스크 브레이크 로터를 사용하는 수정된 스티어링 너클이 적용되었다.[3]
엔진은 배기량이 5.7L(350큐빅 인치)로 같은 올즈모빌 로켓 350 엔진과 올즈모빌 디젤 엔진 2종이 사용되었고 TH-400형 3단 자동변속기가 사용되었다.
플랫폼 적용 차량의 생산은 미국 미시간주 디트로이트에서만 생산되었다.
캐딜락의 K 플랫폼(1세대) 적용 차량 | ||
<rowcolor=#fff> 적용 차종 | 적용 기간 | 비고 |
1975 ~ 1979 | ||
스빌 (1세대) |
3.2. 2세대 (1979 ~ 1985)
여기서부터 E 플랫폼의 파생형으로 바뀌어 E 플랫폼과 많은 요소 및 특징을 공유하였다. 기반이 기반이니만큼 구동방식이 전륜구동으로 바뀌었고 축거 길이는 E 플랫폼과 동일해진 데다 후륜 현가장치도 세미 트레일링 암 서스펜션으로 바뀌었다.엔진은 이전 세대의 것을 그대로 썼지만 뷰익의 V6 엔진과 캐딜락의 V8 엔진도 추가했다. 변속기는 THM325형 4단 자동변속기가 사용되었다.
플랫폼의 적용 차량의 생산도 E 플랫폼과 같은 뉴저지주 린덴에서 생산되었다.
캐딜락의 K 플랫폼(2세대) 적용 차량 | ||
<rowcolor=#fff> 적용 차종 | 적용 기간 | 비고 |
1979 ~ 1985 | ||
스빌 (2세대) |
3.3. 3세대 (1985 ~ 1999)
제너럴 모터스의 대형차 플랫폼 | ||||
C 플랫폼(전륜) | → | K 플랫폼(3세대) | → | G 플랫폼(전륜) |
엔진은 캐딜락 하이테크놀로지 엔진과 노스스타 엔진으로 재편되었고 변속기는 THM440-T4형을 쓰다가 나중에는 4T60-E 또는 4T80-E형으로 교체되었다.
플랫폼 적용 차량의 생산은 1세대처럼 다시 미시간주 디트로이트에서 생산되었다.
1991년에는 스빌이 4세대로 풀체인지되면서 전장이 다시 5m를 넘어 준대형급으로 회귀했다. 1994년에 캐딜락 드 빌이 해당 플랫폼을 쓰게 되면서 캐딜락 스빌 전용 플랫폼이라는 이미지를 벗겨냈고 이전 세대가 사용한 C 플랫폼(전륜)의 일부도 대체했다. 1997년에 캐딜락 스빌이 5세대로 풀체인지되면서 G 플랫폼으로 대체되었고 2년 후에 캐딜락 드 빌 역시 8세대로 풀체인지 되면서 G 플랫폼으로 대체되어 사라졌다.
캐딜락의 K 플랫폼(3세대) 적용 차량 | ||
<rowcolor=#fff> 적용 차종 | 적용 기간 | 비고 |
1985 ~ 1991 | ||
스빌 (3세대) | ||
1991 ~ 1997 | ||
스빌 (4세대) | ||
1994 ~ 1999 | 최후 적용 차량. | |
드 빌 (7세대) |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000,#e5e5e5 |
<rowcolor=#fff><colbgcolor=#0771D8><colcolor=#fff> 차급 | 현역 플랫폼 | 퇴역 플랫폼 |
소형차 소형 SUV |
VSS-F | Y, T, P, M, J, H(RWD), 4200, 감마, SCCS피아트 공동 개발, G2XX | |
준중형차 | D2XX | X(RWD), X(FWD), L, R, T, Z, 델타 | |
중형차 | E2XX, 알파 | F, A(FWD), W, J, 2900, N( GMX130), 입실론, 프리미엄피아트 공동 개발 | |
준대형차 | VSS-R미정, P2XX, 알파Ⅱ | V, K, W, 시그마, 제타, 입실론 | |
대형차 | 오메가 | A(RWD), B, C(FWD), C(RWD), E, D, HQ, H(FWD), G(FWD), G(RWD), V, 제타 | |
스포츠카 | Y2XX | 카파 | |
SUV | VSS-S, C1XX | GMT200, 세타, 람다 | |
트럭 | VSS-T, T1XX |
GMT325,
GMT330,
GMT355,
GMT360,
GMT400, GMT600, GMT700, GMT800, GMT900, K2XX, 31XX |
|
MPV | SGM258, SGM358 | - | |
전기자동차 | BEV2, BEV3, BT1 | BEV1 | |
개발도상국용 | GEM, PATAC-K | - |
[1]
관형 유압 충격 흡수제로 감쇠된 코일 스프링, 볼 조인트, 엘라스토머 부싱 및 용도에 따라 비율이 다른 재순환 볼 스티어링 박스가 사용되었다.
[2]
관형 유압식 충격 흡수장치가 적용되었다.
[3]
이는
B 플랫폼 적용 차량의 왜건 사양과 리무진 및 상용차 섀시를 제외한 C 플랫폼 혹은 D 플랫폼에 적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