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하계 세계대학경기대회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rowcolor=#373a3c>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1959 토리노 |
1961 소피아 |
1963 포트알레그레 |
1965 부다페스트 |
1967 도쿄 |
|
<rowcolor=#373a3c> 6회 | 7회 | 8회 | 9회 | 10회 | |
1970 토리노 |
1973 모스크바 |
1975 로마 |
1977 소피아 |
1979 멕시코시티 |
|
<rowcolor=#373a3c> 11회 | 12회 | 13회 | 14회 | 15회 | |
1981 부쿠레슈티 |
1983 에드먼튼 |
1985 고베 |
1987 자그레브 |
1989 뒤스부르크 |
|
<rowcolor=#373a3c> 16회 | 17회 | 18회 | 19회 | 20회 | |
1991 셰필드 |
1993 버팔로 |
1995 후쿠오카 |
1997 시칠리아 |
1999 팔마 |
|
<rowcolor=#373a3c> 21회 | 22회 | 23회 | 24회 | 25회 | |
2001 베이징 |
2003 대구 |
2005 이즈미르 |
2007 방콕 |
2009 베오그라드 |
|
<rowcolor=#373a3c> 26회 | 27회 | 28회 | 29회 | 30회 | |
2011 선전 |
2013 카잔 |
2015 광주 |
2017 타이베이 |
2019 나폴리 |
|
<rowcolor=#373a3c> 31회 | 32회 | 33회 | 34회 | 35회 | |
2021 청두 |
2025 라인-루르 |
2027 충청 |
2029 노스캐롤라이나 |
미정 |
|
<rowcolor=#373a3c> 둘러보기 : 역대 동계 세계대학경기대회 | }}}}}}}}} |
<colbgcolor=#123274><colcolor=#ffffff> 제33회 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 XXXIII Summer World University Games 2027 충청권 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 |
|
|
|
대회기간 | 2027년 8월 1일 ~ 8월 12일 |
개최지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충청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북도, 충청남도 |
유치 확정일 | 2022년 11월 12일 |
비전 |
Creative and Innovative Challenge to the N.E.X.T. (미래를 향한 창조적이며 혁신적 도전) |
슬로건 |
With U, with heart (충청과 함께 한마음으로 새로운 미래를 향해 걷고 뛰고 도약하자) |
모토 | Step, Jump, Leap |
마스코트 | 흥이, 나유[1] |
참가국 | 150개국 |
참여 인원 |
150개국 약 15,000명 (선수 10,000여명. 임원, 미디어 5,000여명) |
경기종목 | 18개 종목 (기본 15개, 선택 3개) |
개막 선언 | 대한민국 대통령[2] |
선수 선서 | |
심판 선서 | |
코치 선서 | |
성화 점화 | |
개·폐회식장 | 개회식장: 대전광역시 대전월드컵경기장 |
폐회식장: 세종특별자치시 세종종합경기장 주경기장 | |
공식 사이트 |
<colbgcolor=#123274><colcolor=#ffffff> 2027 충청권 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 개막 |
D[dday(2027-08-01)] |
[clearfix]
1. 개요
2027년 대한민국 충청(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북도, 충청남도)에서 개최 예정인 하계 세계대학경기대회 대회.1997 무주·전주 동계 유니버시아드와 2003 대구 하계 유니버시아드, 그리고 2015 광주 하계 유니버시아드에 이은 대한민국의 4번째 유니버시아드 대회이자 세 번째 하계 대회다. 아울러 21세기 들어 12년 간격[3]으로 하계 세계대학경기대회를 개최하게 되었다.
2. 유치 선정
처음에는 권선택 전 대전광역시장이 2030년 아시안 게임을, 충북에서 2025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유치를 제안했다. 그리고 최문순 전 강원도지사가 2021년 동계 아시안 게임 유치 추진을 하면서 동시에 2025 남북 동계 유니버시아드를 검토한다는 소식이 있었다. 이후 이시종 당시 충청북도지사와 이춘희 당시 세종특별자치시장이 공동 유치에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면서 유니버시아드를 포기하고 아시안 게임 유치서를 문체부에 제출했으나 제출 기한을 넘기는 바람에 고배를 마셨다. 아시안 게임 유치 실패 후 충청도는 충청지방정부연합을 추진하며 2027년 하계 유니버시아드의 유치를 추진, 문체부에서 2027 대회 유치를 승인하게 되었으며 이후 FISU에 정식으로 유치 신청을 하였다.2027년 대회의 최종 후보지는 총 2곳으로, 대한민국의 충청과 미국의 노스캐롤라이나였다. 특히 미국은 여러모로 한국보다 더 강국이기에 충청 입장에서는 유치 경쟁에 어려움이 많았었다. 2022년 11월 12일에 브뤼셀에서 열린 집행위원회 총회에서 미국 노스캐롤라이나가 605점, 충청이 574점으로 경기장 등 인프라 면에서 우수한 노스캐롤라이나가 우세했으나 집행위원 투표 결과 충청 14표, 노스캐롤라이나 7표로 최종 승리를 거뒀다. #
유치 경쟁에서 패배한 노스캐롤라이나는 2023년 1월 10일, 2029년 대회 유치에 성공했다.
3. 대회 상징
3.1. 엠블럼
<colbgcolor=#1A237E><colcolor=#ffffff> |
2027 충청권 하계 세계대학경기대회 엠블럼 |
2024년 2월 16일에 엠블럼이 최종 선정되었다. 조직위원회는 선정된 엠블럼에 대하여 3월 스위스 로잔에서 열리는 FISU(국제대학스포츠연맹) 집행위원회의 최종 승인을 받았다.
U 형태의 엠블럼은 곡선을 그리며 날갯짓하는 듯한 모습을 표현하고 충청 4개 시‧도 CI의 색상을 반영한 디자인으로 밝은 미래를 이끌고 글로벌 리더를 배출하며 스포츠를 통해 전 세계의 선수들에게 긍정적, 희망적인 기회를 제공하는 세계대학경기대회를 표현하고 있다.
3.2. 마스코트
대회 마스코트 개발에 조기 착수하여 2024년 마스코트 개발을 완료하였다.2024.11.4.(월) 2027 충청권 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 마스코트 선포식에서 처음으로 마스코트 흥이, 나유가 공개되었다. 두 마스코트의 이름을 연이어 부르면 신나서 흥이 난다는 뜻의 충청 방언이 완성된다.
- 충청지역의 옛 역사와 설화에 자주 등장하는 공동체의 수호 동물인 호랑이와 지혜롭고 상서로운 지역상징 새인 까치를 모티브 삼아 마스코트를 형상화했다. 푸른호랑이 "흥이"는 충청도가 가진 힘(잠재력)과 맑고 푸른 자연환경을 상징하고 까치 "나유"는 기쁜 소식을 전해주는 매개자로서 모두 함께 즐기는 대회의 나와 너를 상징한다.
2024년 말 마스코트 흥이, 나유가 공개됐다. 그러나 일본 모 회사 마스코트와의 유사성 논란이 터지자, 당국은 억울함을 표했지만 비슷해보이는 것을 인정하고 재검토 해 보겠다 밝혔다.
호랑이를 형상화 한 두 마스코트의 색상, 얼굴의 형태에서 유사점이 있다는 보도가 있었으나 디자인의 유사성은 없다는 것이 여러 디자인전문가 및 법률 자문 결과이며, 조직위도 문제 없다고 결론을 내렸다.
관련 KBS 기사 :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8101654&ref=A
※유사성에 대한 추가 설명
- 호랑이를 표현한 얼굴의 속성은 캐릭터를 단순화하려는 전형적인 형태로 동물을 의인화할 때 흔히 사용되는 표현 방법임
- 흥이의 충청의 ‘ㅊ’을 형상화한 이마 무늬, 머리와 몸통이 하나의 형태로 이어진 점 등 지배적인 주요 부분의 특징이 다름
- 한국의 민화 호작도의 까치에서 모티프를 얻어 까치 캐릭터를 추가하였고 익숙한 호랑이 캐릭터와의 차별화를 위해 충청(忠淸)의 ‘맑을 청’과 청춘(靑春)의 푸른 빛을 담음
3.3. 픽토그램
<colbgcolor=#1A237E><colcolor=#ffffff> |
2027 충청권 하계 세계대학경기대회 픽토그램 |
4. 개최 종목 및 경기장
개최 종목은 FISU(국제 대학 스포츠 연맹)에서 지정한 필수 종목 15개 종목과 개최지의 선택 종목 3개 종목으로 총 18개 종목이 치러진다. 현재 조직위에서는 선택 종목으로 축구, 조정, 요트를 FISU와 협의해서 넣을 계획이다.충청도 4개 시도 8개 도시[4]에서 경기가 진행된다. 현재 계획에 따르면 지역별 경기장은 다음과 같다.
지역 | 경기장 | 종목 | 신설여부 | 비고 | |
대전광역시 | 서구 | 서남부종합스포츠타운(주경기장, 다목적체육관)[@] | 축구, 펜싱 | 신축 예정 | 개회식장 |
유성구 | 대전월드컵경기장 | 축구 | |||
동구 | 용운국제수영장 | 경영, 다이빙 | |||
세종특별자치시 | 세종종합경기장(주경기장, 실내체육관, 실내수영장)[#] | 육상, 탁구, 수구 | 신축 예정 | 폐회식장 | |
충청남도 | 천안시 | 천안종합운동장(주경기장, 유관순체육관, 테니스장) | 축구, 배구, 테니스 | 증축 예정[7] | |
천안축구센터 | 축구 | ||||
대한민국 축구종합센터 | 건설 중[8] | ||||
단국대학교 체육관 | 배구 | ||||
상명대학교 계당관 | |||||
남서울대학교 성암문화체육관 | |||||
아산시 | 이순신종합운동장(주경기장, 이순신체육관) | 축구, 배구 | |||
배미수영장 | 수구 | ||||
보령시 | 보령요트경기장 | 요트 | |||
대천해수욕장 | 비치발리볼 | [9] | |||
충청북도 | 청주시 | 청주종합경기장(주경기장, 청주체육관) | 축구, 농구 | ||
오송체육관(가칭) | 기계체조, 리듬체조 | 건설 예정[10] | |||
김수녕양궁장 | 양궁 | ||||
오창산업단지체육관(가칭) | 농구 | [11][12] | |||
청주대학교 석우문화체육관 | |||||
충북대학교 CBNU스포츠센터 | |||||
충주시 | 호암체육관 | 배드민턴 | |||
탄금호 국제조정경기장 | 조정 | ||||
충주체육관 | 유도, 태권도 | [13] | |||
증평군 | 증평종합운동장 | 축구 |
개최 종목이 확정되지는 않았으나, 현재 계획된 종목별 경기장은 다음과 같다.
- 경영, 다이빙 : 용운국제수영장
- 펜싱 : 서남부스포츠타운 다목적체육관
- 축구 : 대전월드컵경기장[주], 서남부스포츠타운 주경기장, 천안종합운동장, 천안축구센터, 대한민국 축구종합센터, 이순신종합운동장, 청주종합경기장, 증평종합운동장
- 육상 : 세종종합경기장
- 탁구 : 세종실내체육관
- 수구 : 세종실내수영장, 아산 배미수영장
- 조정 : 탄금호조정경기장
- 유도, 태권도 : 충주체육관
- 양궁 : 김수녕양궁장
- 기계체조, 리듬체조 : 오송체육관
- 농구 : 청주대학교 석우문화체육관, 청주체육관, 충북대학교 실내체육관, 오창산업단지체육관
- 테니스 : 천안종합운동장 테니스장
- 배구 : 유관순체육관[주], 단국대학교 체육관, 상명대학교 체육관, 남서울대학교 체육관, 아산이순신체육관
- 배드민턴 : 호암체육관
- 요트 : 보령요트경기장
- 비치발리볼 : 대천해수욕장
8개 도시에서 분산 개최되는 경기다 보니 1곳을 제외한 모든 경기장은 기존에 있거나 추진 중인 체육시설을 그대로 사용할 예정이다. 유일하게 대회를 위해 지어지는 경기장은 청주에 신설되는 7천 석 규모 체육관이 전부.[16] 추가적으로 천안종합운동장 테니스장은 기존 시설을 증축하고, 나머지 기존 체육 시설들도 간단한 개보수를 통해 대회 경기장으로 사용 될 예정이다. 청주 신설 체육관을 제외한 나머지 건설 예정 경기장들은 대회 유치 이전부터 사업이 추진되던 경기장이다. 이들 경기장들은 예산 부족이나 토지 보상 등의 문제로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던 상황이었는데, 세계대학경기대회 경기장으로 확정되어 행정적 지원과 국비 확보를 통해 사업 추진이 가속화 될 전망이다. 충청도의 체육시설 인프라가 상당히 낙후되고 미흡하기 때문에 국제 대회 이후 주로 거론되던 경기장 사후문제에 대해서는 비교적 자유로울 것으로 보인다.
개최지역의 범위가 넓기 때문에 여러 대회 지원 시설들도 분산 설치된다. 미디어 센터는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대전컨벤션센터를 주 미디어 센터를 두고 세종과 충북, 충남에 보조 미디어 센터를 설치한다. 선수촌 역시 세종 5-2 생활권의 임대아파트를 주 선수촌으로 활용하고, 보조 선수촌은 충주와 대천에 설치하며 해당 지역의 리조트나 기업 연수원을 활용할 예정이다.
5. 논란
5.1. 경기장 건설 문제와 대체
대회 개최가 3년도 안 남은 2024년 10월 현재 대전 서남부스포츠타운 완공이 2029년으로 지연되어 결국 대체 시설 물색에 들어갔다. 또한 세종종합체육시설도 공사가 계속 유찰되면서 탁구 등을 정부청사 시설에서 대체하는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충남 테니스장은 유찰을 반복하다 최근 간신히 낙찰됐다. 원활한 대회 사용을 위해서는 최소한 2025년 초에는 경기장 착공이 되어야 하는 상황이라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1]
변경 가능성 있음. 문단 참조.
[2]
제21대 대통령 선거의 당선자 대통령이 할 예정이다.
[3]
즉, 양띠 해마다
[4]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북도(
청주시,
충주시,
증평군), 충청남도(
천안시,
아산시,
보령시)
[@]
개최 전 완공 불가 확정 및 대체시설 물색중. 논란 문단 참조.
[#]
지속되는 유찰로 타 시설 대체 가능성이 있다. 논란 문단 참조.
[7]
테니스장에 한하여 대회를 위해 증축할 예정이다.
[8]
2022년 4월 착공, 2025년 준공 예정.
[9]
해수욕장 모래사장에 간단한 관중석과 시설물을 설치하고 경기를 진행한다. 이미 이러한 방식으로 올림픽 예선 등의 경기를 진행한 적이 있다. 또한 비슷한 시기에 열리는
보령머드축제와의 연계도 계획되어있다.
[10]
유일하게 대회를 위해 건설하는 시설이다. 본래 오송읍 만수리에 건설될 예정이었으나, 예산 및 토지보상 문제로 강내면 흥덕구청 ~ 경부고속도로 사이 부지에 신축할 예정이다. 7천석 규모로 예정되어 완공되면 충청북도 최대 규모의 실내체육관이 될 예정.
#
[11]
오창읍 주성리 575번지 일원. 오창 2산단 오창지구대 뒤편 공터이다. 2018년부터 1500석 규모로 추진되던 다목적체육관이다.
[12]
건설중이었지만 2024년에 시공사의 자금난으로 현재는 공사가 중단되었다. 이렇게 되면 장소가 변경될 가능성이 크다.
[13]
원래는 신축 예정인 전통무예진흥시설을 이용하려 했다. 하지만 설계까지 완료되어 착공 직전까지 갔으나,
이시종 전 충북지사의 무예진흥 사업이 예산 낭비 논란과 함께 전면 재검토에 들어가면서 사업이 사실상 무산된 상황이다. 사업이 중단된 기간 동안 원자재 가격 급등 등의 문제로 사업비가 2배 이상 불어나 다시 추진하기도 어려운 상황.
김영환 충북지사가 기자회견에서 "경기장 신축 계획도 장소와 규모 모두 원점에서 다시 검토하겠다"고 밝혀 다른 체육시설에서 경기가 진행되거나 아예 충주 이외의 지역에서 치러질 수도 있다.
# 결국 전통무예진흥시설 신축은 무산되었고 준공된지 30년 이상 지나 노후화된 충주실내체육관을 리모델링하여 사용하기로 했다.
#
[주]
종목 주경기장
[주]
[16]
세계대학경기대회는
이시종 당시 충청북도지사가 먼저 제안하고 추진한
충청북도의 역점 사업이었음에도 개막식과 폐막식을 각각 대전과 세종에서 진행하게 된 것이 이 때문이다. 청주시는 인구 규모에 비해 체육시설 인프라가 턱없이 부족하여 대규모 체육관 신설을 이전부터 추진해왔는데, 예산 부족으로 난항을 겪고 있던 상황이었다. 세계대학경기대회를 유치하고 대회를 위한 시설로 체육관을 만들게 되면 확보할 수 있는 국비도 늘어나고 사업 추진도 더 빨라지기 때문에, 개/폐막식을 양보하고 신설 체육관을 청주에 짓기로 합의한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