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6 07:55:56

현상범

현상수배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현상수배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용병단의 컨텐츠에 대한 내용은 하스스톤/용병단/현상수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2. 현상범 사례
2.1. 한국의 현상범 리스트2.2. FBI 10대 수배범
2.2.1. 2010년: FBI 10대 현상범2.2.2. 2012년: FBI 10대 현상범2.2.3. 2015년: FBI 10대 현상범2.2.4. 2017년: FBI 10대 현상범2.2.5. 2020년: FBI 10대 현상범2.2.6. 2021년: FBI 10대 현상범2.2.7. 2022년: FBI 10대 현상범2.2.8. 2023년: FBI 10대 현상범
2.3. 세계 10대 현상범
2.3.1. 2008년 4월: 세계 10대 현상범2.3.2. 2008년 8월: 세계 10대 화이트칼라 현상범2.3.3. 2011년 5월: 세계 10대 현상범

1. 개요

현상범()은 범죄자 중에서 그 대상을 포획 또는 살해를 하는 대가로 현상금이 걸린 자를 말한다. 이 단어는 대한민국에서 꽤 쓰이긴 하지만 정작 국어사전에는 없다. 대신 지명수배 시 포상금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아 '지명수배범'이 현상범의 유의어처럼 쓰인다.

한국에서는 경찰이 현상수배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미국 등에는 현상금 사냥꾼이 실존하기도 한다.

중국의 경우에는 아이 어른 비롯해서 카드놀이를 즐기는 일상이 흔하다고 한다. 마오쩌둥도 근절하지 못한 게 도박의 일종인 마작인 것도 있고. 이 같은 국민성을 이용해서 플레잉 카드를 시민들에게 무료로 발급해 나눠주고 카드놀이를 즐기면서도 범죄자의 현상수배를 해 시민들에게 신고하도록 유도한다.

다만 일반 시민이 신고하기 전에 경찰이 먼저 잡거나 범인이 자수하면 현상금은 절대로 받을 수 없게 된다.

2. 현상범 사례

2.1. 한국의 현상범 리스트

현상범 공개수배서에는 죄질 순서대로 나열된다. 보통 살인>강도살인[3]>상해치사>폭행치사[4]>살인미수[5]>강도[6]>폭행[7]>성범죄>[8]특경법(사기)>사기[9]>횡령[10]>절도[11]>도박범죄 순이다.[12]
고유번호 이름 나이/성별 죄명
1 박종윤 63/남 강도살인
2 성치영 53/남 살인
3 이범용 63/남 살인
4 이준세 62/남 살인
5 최용배 64/남 살인
6 김양민 54/남 성폭력
7 한종철 50/남 마약(향정)
8 노은주 45/남 도박공간개설
9 강양일 48/남 사기
10 김동진 44/남 사기
11 김수현 32/남 사기
12 김태오 33/남 사기
13 장민수 31/남 사기
14 검거
15 김순철 58/남 특경법(사기)
16 신경근 55/남 특경법(사기)
17 오철호 55/남 특경법(사기)
18 윤동현 49/남 특경법(사기)
19 장의정 41/여 특경법(사기)
20 정덕기 59/남 특경법(사기)

2.2. FBI 10대 수배범

FBI 사이트, 10대 수배범

영문위키

BOI 시절에는 공공의 적 명단이 있었고 이후 이 명단 좀 더 발전하여 FBI 10대 수배범이 된다.

미국 FBI에서 지정한 수배범들 가운데 특히 유명하고 악질적인 인물 10명을 Most Wanted 라고 하여 수배하고 있다.

2.2.1. 2010년: FBI 10대 현상범

2.2.2. 2012년: FBI 10대 현상범

아래 인물이 추가되었다.

2.2.3. 2015년: FBI 10대 현상범

아래 인물이 추가되었다

2.2.4. 2017년: FBI 10대 현상범

아래 인물이 추가되었다

2.2.5. 2020년: FBI 10대 현상범

아래 인물이 추가되었다

2.2.6. 2021년: FBI 10대 현상범

아래 인물이 추가되었다.

2.2.7. 2022년: FBI 10대 현상범

아래 인물이 추가되었다.

2.2.8. 2023년: FBI 10대 현상범

2023년 1월 검거된 호세 루돌프 비야레알 페르난데스가 제외되었고, 아래 인물이 추가되었다.

2.3. 세계 10대 현상범

미국 포브스지에서는 세계 최악의 현상범 10명을 선정했다.

2008년도에 선정한 것이 처음으로 이 현상범들은 국제법에 따라 범인 인도를 요청받은 상태이다. 전세계적으로 추적대상이며, 2011년을 마지막으로 더 이상 선정하고 있지 않다.

2.3.1. 2008년 4월: 세계 10대 현상범

2.3.2. 2008년 8월: 세계 10대 화이트칼라 현상범

위키백과

2.3.3. 2011년 5월: 세계 10대 현상범

오사마 빈 라덴의 죽음으로 생긴 공석을 2위인 멕시코 마약왕이 메꿨고 오미드 타흐비리가 순위에서 밀렸다. 새로 추가된 사람들은 아래를 참조.


[1] 해당 사건의 용의자 중 한 명인 조왕(1968년 7월 15일생, 당시 44세)이 2013년 하반기 1번을 시작으로 2015년 하반기까지 등록되었다. [2] 이는 대한민국도 안고 있는 문제다. 중요 지명수배자 공고에서 20명만 넣을 수 있다는 것. [3] 살인 또는 강도살인의 경우 서로 뒤바뀌어 나오는 경우도 있는데, 2002년 하반기~2003년 하반기 2015년 상반기~2018년 상반기 및 2020년 상반기~2023년 상반기가 있으며, 강도살인은 보통 1명만 올라오나 드물게 2~3명(2003년 하반기 및 2015년 하반기 2명, 2002년 하반기~2003년 상반기 3명)이 올라올 때도 있었다. 맨 앞번호가 부여되는 만큼 몇 명이 올라오냐에 따라 그 뒤쪽으로 각각 어느 번호가 부여되는지 갈린다. [4] 치사죄는 흔치 않게 뒷번호에 나오는 경우도 있다. 2011년 하반기(20번)가 대표적인 예.(해당 용의자는 2013년 상반기엔 반대로 10번에 등록되었다.) [5] 다만 2008년 하반기는 살인과 강도살인 사이에 살인미수가 2번으로 등록되었다. [6] 살인 용의자가 적게 등록될 경우 보통 살인 용의자 번호 대역에 등록되는 경우가 있다. 2011년 하반기 2~3번이 대표적인 예. (이 당시엔 살인 용의자가 1번으로 단 1명만 등록되었다.) [7] 이것도 거의 끝번호에 수배되는 경우가 있다. 2010년 하반기와 2011년 상•하반기(하반기는 중상해가 19번)가 대표적인 예. [8] 예외로 2024년 상반기에는 성범죄자가 1번으로 등록 됐다. [9] 2024년 상반기 수배전단 처럼 특경법(사기) 용의자와 사기 용의자는 순서가 뒤바뀔 때가 있다. [10] 이 역시 특경법(사기) 앞에 붙는 경우가 있다. 2010년 하반기(14번)와 2011년 상반기(9번)가 대표적 예시.(해당 사례는 동일인물인 1976년 생(최초 수배 당시 나이 34세) 이00이다.) [11] 이것도 약간 중반쯤에 위치하는 경우가 있다. 2007년 상반기(10번)가 대표적인 예. [12] 간혹가다 마약사범(현재 기준 7~10번에 주로 등록되나 2006년 하반기는 19번에 등록)이나 공무집행방해치상 용의자나 방화범(또는 현주건조물방화치사범. 이 역시 거의 끝에 등록되었으나 예외로 2007년 상반기는 9번에 등록)이나 위조범, 조세포탈범, 알선수재범, 유사수신행위 용의자 등이 등록되는 경우도 존재한다. [13] 미국에서는 테러단체로 간주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