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7 14:14:29

해주 석씨

한국의 성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 · · · · · 강전 · · · · · · · · · · · · · · · · · · · · ·
· · · 남궁 · · · · ·
· · · · · · · 독고 · · · 동방 · · · 등정
· · · · · · · ·
· · 망절 · · · · · · · · 무본 · · · ·
· · · · · · · · · · · · · ·
· 사공 · · · · · 서문 · · · 선우 · · · · · 소봉 · · · · · · · · ·
· · · · · · 어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곡 · · · · · · 제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황목 · 황보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
{{{#!wiki style="margin: -15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px><tablebordercolor=#000> 파일:명나라 석 상서.png 海州 石氏
해주 석씨
}}}
<colcolor=#000><colbgcolor=#fff> 관향 황해도 해주시
시조 석성(石星)
중시조 석담(石潭)[1]
집성촌 경상남도 산청군 금서면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추성리
인구 2,664명(1985년)

1. 개요2. 역사3. 인물

[clearfix]

1. 개요

황해도 해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 석성(石星)은 명나라 병부상서(兵部尙書)로서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조선에 원병을 파견하는 데 기여하였으나, 명나라 국운이 쇠하여진 책임을 지고 투옥(投獄)되자, 그의 아들 석담(石潭)이 조선으로 망명하였다.

2. 역사

시조 석성(石星)은 위군(魏郡) 동명(東明) 사람으로, 1559년(가정 38년) 진사가 되고, 이과급사중(吏科給事中)에 발탁되었으며, 신종(神宗) 때 호부(戶部)와 공부(工部)의 상서(尙書)를 지내고, 병부 상서(兵部尙書)에 이르렀다. 1584년(신종 12년) 종계변무에 힘써 성공시켰으며, 임진왜란 때 조정의 반대를 무릅쓰고 조선에 원병(援兵)을 파견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해주석씨족보》(海州石氏族譜)에 따르면, 석성의 계부인(繼夫人) 류씨(柳氏)는 남경 호부시랑(戶部侍郞)의 딸로서, 일찍이 부모를 여의고 곤란을 당하던 중 조선의 역관(譯官) 홍순언의 구호를 받은 바 있어, 그 보은의 뜻으로 조선의 종계변무와 임진왜란 때의 원병을 지원하게 하는데 숨은 공적이 컸다고 한다. [2]

그 후 명나라 신종(神宗)은 사신(使臣) 심유경을 조선에 보내 왜군과의 화의를 추진했으나 실패하자, 막대한 군비 조달로 국운이 쇠하여진 책임을 석성에게 물어 투옥시켰다.

석성의 옥중(獄中) 유언에 따라 그의 아들 중 장남 석담은 유배지에서 풀려나와 어머니 류씨를 모시고 해주에 이르자 이 수양군(首陽君)에 봉하고 수양산 아래의 땅을 식읍으로 하사하여 해주로 사적(賜籍)하였다. 그 후 석담의 작은 아들 석귀당(石貴棠)과 손자 석난(石亂 : 귀실의 아들)이 청나라 사람을 피하여 산음현(山陰縣) 모호리(毛好里 : 지금의 경상남도 산청군 생초면 평촌리 추내동)에 이거(移居)하여 세계를 이어왔다.

3. 인물



[1] 명나라에서의 휘는 무은(茂恩)이다. 조선에서의 휘는 재운(在雲). 참고로 석담은 명나라에서 정4품에 해당하는 지휘첨사(指揮僉事)에 임명된 기록이 있다. 남동생 석재금(石在錦)은 조주, 성주 석씨 중시조이다. 여동생은 명나라 장수 만세덕에게 출가. [2] 다만 홍순언과의 일화는 믿기 어려운 이야기다. 왜냐하면 홍순언과 있었던 모든 일화는 다 잡기에만 나오는 내용이고, 또 종계변무 당시 석성은 장거정의 일 때문에 낙향하였던 상태여서 종계변무를 석성이 해결해줬다는 내용은 사실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석성이 조선에 원병을 파견하는데 숨은 공적이 크다는 사실은 변하지 않는데, 석성이 얼마나 원병 파병에 진심이었는지는 옛 고문서와 조선왕조실록에 검색해보면 쉽게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석성이 조선에 원병을 파병하게 된 결정적인 이유는 서천 부원군(西川府院君) 정곤수(鄭崑壽)와 사신 신점(申點), 유몽정(柳夢鼎)의 외교노력으로[7] 인하여 석성이 그들의 뜻에 감동해 원병 파병의 뜻이 굳어져 말 많던 중국 조정 대신들의 반대를 뚫고 명 만력제를 설득하여 원병 파병을 이끌어내었다는 내용이 정설이지[8] 사실 확인도 어려운 홍순언과 있었던 일화 때문에 종계변무를 해결해주고 조선에 원병을 파병하는데 힘써줬다는 말도 안되는 얘기는 그냥 야사로만 보도록 하자. [3] 석담이 수양군에 봉해졌다는 기록은 석씨 족보 이외의 공식 기록에선 찾을 수 없다. 아마 선조가 석담이 조선으로 오자 해주의 수양산 아래의 땅을 좀 준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것을 가문에서 부풀려 수양군에 봉했다고 한 것 같다. [4] 1884년(고종 21) 3월 19일 고종실록 기사에도 같은 내용이 나타난다. [5] 龍이라고도 표기한다. [6] 1907년 대한제국의 군대가 해산되자 의병 항쟁이 치열해져 갔다. 석상룡은 인근의 화전민과 산포수 50여 명을 모아 의병대를 조직하고 스스로 의병장이 되어 의병들과 함께 지리산을 근거지로 하여 항일 투쟁을 전개했다. 비호장군으로 불린 석상룡은 양한규(梁漢奎)·고제량(高濟亮)·문태수(文泰洙) 등 의병장들과 제휴하여 경상남도 함양·산청과 전라북도 남원 일대에서 활약하였다. 실상사 전투, 성삼재 전투, 벽소령 전투, 쑥밭재 전투 등을 거치며 일본의 진영을 급습하여 다수의 일본군을 살상하였다. 석상룡 부대는 1910년 일제의 국권 강탈 이후에도 지리산을 배경으로 계속 의병 항쟁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결국 무기 결핍과 병력 열세로 석상룡은 1912년 일본군에 체포되었고, 5년 옥고를 치르고 1926년에 석방되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