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8 16:46:01

테루테루보즈

해나리 인형에서 넘어옴
파일:external/blogimg.goo.ne.jp/fb52c78ad4c73de4c2c6e5736442bd6b.jpg
파일:external/857fe4c2df5c90b9a27e6e2f8b55d32888716b57494b955942f28916a3600527.jpg
여러 가지 크기의 테루테루보즈.
1. 개요2. 어형3. 유래4. 문화 풍습과 미신5. 기타
5.1. 테루테루보즈 노래
6. 창작물에서의 묘사

[clearfix]

1. 개요

[ruby(照, ruby=て)]る[ruby(照, ruby=て)]る[ruby(坊主, ruby=ぼうず)]

일본에서 가 멎고 날씨가 맑게 개길 바라는 의미에서 걸어 두는 인형의 일종.

2. 어형

일본어 '테루(照る)'는 '(해 등이) 빛나다', '(날씨 등이) 개다'라는 의미이다. '보즈(坊主, 방주)'는 본래 어린 스님( 동자승)을 가리키는 이름으로, 현재는 그 의미가 확대되어 '어린 아이', '사내 아이' 또는 '중처럼 머리를 민 사람'을 두루 이르는 말이다.[1] 학술적으로는 '기청인형(祈晴人形)'이라고 하는데 한자를 풀이하면 '맑은 날[淸]을 바란다[祈]' 는 의미로 기우(祈雨)의 반의어이다.[2]

3. 유래

테루테루보즈의 기원은 확실하지는 않으나 에도 시대에 시작된 풍습으로 여겨진다. 당시에는 종이접기로 사람 모양을 만들어 걸어두는 식이었으나 현재와 같은 인형이 되었다고 한다. 고대 중국에는 비를 멈추게 한다고 전해지는 전설상의 소녀인 사오칭랑(掃晴娘)의 인형을 만들어 맑은 날을 기원하는 풍습이 있는데 이것이 테루테루보즈의 유래라고 보는 시각도 있다. 주로 중국에서 이 설을 토대로 테루테루보즈가 중국에서 전래된 풍습이라고 주장한다.

4. 문화 풍습과 미신

새하얀 천 위에 동그란 것을 올려 감싼 뒤 실로 묶어 창에 매단다. 사람을 형상화한 것이기 때문에 머리에 해당하는 부분에 눈, 코, 입 등 얼굴 모양을 그리는 경우도 있으며 그리지 않는 형태도 있다. 눈동자를 칠하지 않았다가 비가 멈추면 눈동자를 그려준다고도 한다. 전근대에는 비가 멈추면 테루테루보즈를 하천에 흘려보냈다고 한다.

민간 풍습이기는 하지만 마치 ' 인디언식 기우제'나 ' 날씨 알려주는 돌멩이'처럼 일기예보가 되긴 한다. 날씨가 습해지면 머리 부분의 천이 습기를 머금어 무거워지면서 머리가 아래쪽을 내려가면서 뒤집어진다고 한다. 다만 그 정도로 습기가 진한 날씨라면 굳이 이런 걸 안 달아도 예측이 가능하다.

거꾸로 매달면 반대로 비가 내린다는 이야기도 있다. 거꾸로 매달 경우 루테루테보즈, 아메아메보즈(아메=비), 후레후레보즈(후레=(비, 눈 등이) 내리다) 등으로 부른다.

5. 기타

5.1. 테루테루보즈 노래

테루테루보즈와 관련해 다이쇼 시대에 만들어진 동요가 있다.
(1절)
てるてる坊主 てる坊主
테루테루 보오즈 테루 보오즈
테루테루 보즈야 테루 보즈야

あした天気にしておくれ
아시타 텐키니 시테오쿠레
내일 날씨가 맑게 해다오

いつかの夢の空のよに
이츠카노 유메노 소라노 요니
언젠가 꿈 속의 하늘처럼

晴れたら金の鈴あげよ
하레타라 키인노 스즈아게요
날이 개면 금방울을 줄게

(2절)
てるてる坊主 てる坊主
테루테루 보오즈 테루 보오즈
테루테루 보즈야 테루 보즈야

あした天気にしておくれ
아시타 텐키니 시테오쿠레
내일 날씨가 맑게 해다오

私の願を聞いたなら
와타시노 네가이오 키이타나라
내 소원을 들었다면

あまいお酒をたんと飲ましょ
아마이 오사케오 탄토 노마쇼
달달한 술을 마시게 해줄게

(3절)
てるてる坊主 てる坊主
테루테루 보오즈 테루 보오즈
테루테루 보즈야 테루 보즈야

あした天気にしておくれ
아시타 텐키니 시테오쿠레
내일 날씨가 맑게 해다오

それでも曇って泣いたなら
소레데모 쿠못테 나이타나라
만약 날씨가 흐려서 비가 온다면

そなたの首をチョンと切るぞ

테루테루보즈 노래에 숨겨져 있는 의외의 비밀(일어)

이 동요의 가사를 지은 사람은 일본의 소설가이자 작사가였던 아사하라 로쿠로(浅原六朗, 1895-1977)이며 작곡가 나카야마 신페이(中山晋平, 1887-1952)가 여기에 멜로디를 붙였다. 이 동요가 처음 발표된 시기는 1921년이다. 당시에는 <테루테루보즈의 노래(てるてる坊主の歌)>라는 제목이었고 가사가 지금과는 조금 달랐다. 현재의 1절, 2절이 당시의 2절, 3절이었고 당시의 1절 후렴구절은 다음과 같았다.
(후렴 앞부분 생략)
もしも曇って泣いてたら
모시모 쿠못테 나이테타라
만약 날씨가 흐려서 비가 온다면

空をながめて みんな泣こう
소라오 나가메테 민나 나코오
하늘을 바라보며 모두 눈물짓자

그런데 1923년에 악보가 출판되면서 제목이 <테루테루보즈(てるてる坊主)>로 바뀌고 가사도 지금과 같은 형태로 바뀌었다. 아사하라에게 지인이 '어린아이를 위한 동요인데 왜 3절 가사를 그렇게 했느냐'라고 물어본 적이 있었는데 "어린아이들은 아무런 거리낌 없이 잠자리의 목을 떼고, 매미 날개를 뜯고, 개구리를 괴롭히고, 그런 끔찍한 짓을 하니까 상관없잖아."라고 대답했다고 한다. 딱히 틀린 말은 아니지만...

6. 창작물에서의 묘사

한국에서는 해나리 인형 내지는 맑음이 인형이라고 번역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당시에는 일본 대중문화 개방 전이었기도 하고 생긴 것도 비슷해서 대충 붙인 이름으로 보인다. 실제로 미스터 초밥왕 구판에서 '알사탕'이라고 했을 때 위화감이 없어 데루테루보즈를 아는 사람도 알사탕인 줄 알고 넘어갔다.

[1] 오보상(お坊さん), 보야(坊や) 등이 파생된 어휘다. [2] 기청제 ↔ 기우제 등. [그래서] 사람들은 비가 올 때마다 하얀 천을 마치 목매단 사람 모양으로 만들어 걸어두게 되었다. [4] 그 증거로 그 인형이 처음 달때는 인형이 창밖을 바라보는 형태였으나 아침에는 반대로 되어 있었다. [5] 이 코믹스에서의 모리는 상징색이 녹색이라는 점과 일륜 숭배라는 점을 반영해서 비가 오거나 흐려서 햇빛을 못 보면 기운이 없어져 축 늘어지는 모습으로 나온다 [6] 도라에몽에게 도구를 빌릴 생각으로 시작한 내기이다. [7] 물론 이는 테루테루보즈 인형의 영향이 아닌 도라에몽이 아침에 구름 쓰레기통으로 먹구름을 모두 흡수해버렸기 때문이다. [8] 정확히는 아메우라시 온나 [9] 작중 체리의 얼굴이 테루테루보즈의 얼굴과 심하게 비슷했기에 체리를 두려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