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4 11:03:11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한전공대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0 -10px -5px"
{{{#0F315F,#8092AA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대학 정보
역사 생활 및 문화 캠퍼스
기타 정보
논란 및 사건사고
}}}}}}}}}}}} ||
파일: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국립고등교육기관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지역명 대학 교육대학
수도권 파일: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심볼.svg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 · 파일:인천대학교 엠블럼.svg 인천대학교
파일:한경국립대학교 UI.svg 파일:한경국립대학교 UI 블루.svg 한경국립대학교 · 파일:한국체육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체육대학교
파일:경인교육대학교 엠블럼.svg 경인교육대학교 · 파일:서울교육대학교 교표.svg 서울교육대학교
강원권 파일:강원대학교 엠블럼.svg 강원대학교 · 파일:강릉원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강릉원주대학교 파일:춘천교육대학교 엠블럼.svg 춘천교육대학교
충청권 파일:공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공주대학교 · 파일:한국교통대학교 심볼.svg 국립한국교통대학교 · 파일:한밭대학교 엠블럼.svg 국립한밭대학교
파일:충남대학교 엠블럼(Blue).svg 충남대학교 · 파일:충북대학교 심볼.svg 충북대학교 · 파일:한국교원대학교 심볼.svg 한국교원대학교
파일:공주교육대학교 교표.svg 공주교육대학교 · 파일:청주교육대학교 엠블럼.svg 청주교육대학교
경상권 파일:경북대학교 엠블럼.svg 경북대학교 · 파일:경상국립대학교 엠블럼.svg 경상국립대학교 · 파일:금오공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금오공과대학교 · 파일:부경대학교 엠블럼.svg 국립부경대학교
파일:안동대학교 엠블럼.svg 국립안동대학교 · 파일:창원대학교 심볼.svg 국립창원대학교 · 파일:한국해양대학교 심볼.svg 국립한국해양대학교 · 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
파일:대구교육대학교 엠블럼.svg 대구교육대학교 · 파일:부산교육대학교 로고.svg 부산교육대학교
파일:진주교육대학교 UI.svg 진주교육대학교
전라권 파일:군산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군산대학교 · 파일:목포대학교 심볼.svg 국립목포대학교 · 파일:목포해양대학교 교표.svg 국립목포해양대학교
파일:순천대학교 엠블럼.svg 국립순천대학교 · 파일:전남대학교 교표.svg 전남대학교 · 파일:전북대학교 엠블럼.svg 전북대학교
파일:광주교육대학교 UI.svg 광주교육대학교 · 파일:전주교육대학교 엠블럼.svg 전주교육대학교
제주권 파일:제주대학교 엠블럼.svg 제주대학교 -
분류 명칭
원격대학 파일:한국방송통신대학교 심볼.svg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전문대학 파일:한국농수산대학교 UI.svg 한국농수산대학교
각종학교 파일:한예종_엠블럼.svg 한국예술종합학교
대학원대학 파일: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엠블럼.svg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 파일:국립암센터국제암대학원대학교 엠블럼.svg 국립암센터국제암대학원대학교· 파일:한국학중앙연구원 엠블럼.svg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과학기술원 파일:KAIST_emblem.svg 한국과학기술원 · 파일:GIST_emblem.svg 광주과학기술원 · 파일:DGIST_emblem.svg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파일:UNIST_emblem.svg 울산과학기술원
사관학교 파일:육군사관학교 부대마크.svg 육군사관학교 · 파일:해군사관학교 마크.svg 해군사관학교 · 파일:공군사관학교 마크.svg 공군사관학교 · 파일:국군간호사관학교 마크.svg 국군간호사관학교 · 파일:육군3사관학교 부대마크.svg 육군3사관학교
그 외 파일:경찰대학 엠블럼.svg 경찰대학 · 파일:국방대학교 엠블럼.svg 국방대학교 · 파일:한국전통문화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전통문화대학교 · 파일: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 ||

파일:전라남도 휘장.svg 전라남도 대학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각 대학의 제1캠퍼스(본교)는 캠퍼스를 표기하지 않고, 2캠퍼스(이원화)부터 "OO대학교(AA캠퍼스)"과 같이 표기함. 분교는 캠퍼스명 표시에서 OO대학교 AA캠퍼스로 괄호 없이 표시함.
<colbgcolor=#fff,#191919> 파일:목포대학교 심볼.svg 국립목포대학교 · 파일:목포해양대학교 교표.svg 국립목포해양대학교
파일:순천대학교 엠블럼.svg 국립순천대학교
파일:전남대학교 교표.svg 전남대학교(여수캠퍼스)
파일: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파일:광주가톨릭대학교 UI.svg 광주가톨릭대학교
파일:동신대학교 엠블럼.svg 동신대학교
파일:목포가톨릭대학교 UI.svg 목포가톨릭대학교
파일:세한대학교 UI.svg 세한대학교
파일:영산선학대학교.jpg 영산선학대학교
파일:초당대학교 UI.svg 초당대학교
}}}}}}}}} ||
전문대학 목록 / 대학 목록 / 평생교육기관 목록

파일:나주시 CI_White.svg 나주시의 대학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각 대학의 제1캠퍼스(본교)는 캠퍼스를 표기하지 않고, 2캠퍼스(이원화)부터 "OO대학교(AA캠퍼스)"과 같이 표기함. 분교는 캠퍼스명 표시에서 OO대학교 AA캠퍼스로 괄호 없이 표시함.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국립 파일:목포대학교 심볼.svg 국립목포대학교(나주캠퍼스)
파일: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사립
파일:광주가톨릭대학교 UI.svg 광주가톨릭대학교
파일:동신대학교 엠블럼.svg 동신대학교
전문대학
파일:나주대학교 엠블럼.svg 나주대학교
}}}}}}}}} ||
<colcolor=#fff>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韓國에너지工科大學校
Korea Institute of Energy Technology
파일: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엠블럼.svg
파일: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로고.svg
<colbgcolor=#0F315F> 슬로건 A NEW ENERGY LEADER
국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분류 특별법법인[1]
개교 2022년 3월 2일 ([age(2022-03-02)]주년)
총장 (공석)
관련부처 산업통상자원부
주소 전라남도 나주시 혁신로 200 ,( 빛가람동 908-1),[2]


<colbgcolor=#0F315F><colcolor=#fff>
학부생
196명(2023년)
대학원생
87명(2023년)


전임교원 49명(2023년)
직원
82명(2023년)
웹사이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소셜 미디어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LinkedIn 아이콘.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hite {{{#!folding [ 지도 펼치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1. 개요2. 교육 목표3. 역사4. 학부 및 대학원5. 입시
5.1. 2022학년도 입시5.2. 2023학년도 입시5.3. 2024학년도 입시5.4. 2025학년도 입시
6. 생활 및 문화7. 캠퍼스8. 대중교통9. 논란 및 사건 사고

[clearfix]

1. 개요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소개영상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Korea Institute of Energy Technology, KENTECH)는 산업통상자원부 산하의 에너지특성화 공과대학교이다.

2. 교육 목표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법
제1조(목적) 이 법은 국가의 에너지 과학기술과 산업 생태계의 혁신을 주도할 고급인재를 양성하고 국내외 및 산업계와의 교육·연구교류를 촉진함으로써 국가과학기술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를 설립함을 목적으로 한다.

3. 역사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법
제5조(지원·조정 등)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및 「한국전력공사법」에 따른 한국전력공사는 한국에너지공대를 지원·육성하며,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한국에너지공대의 업무를 조정·감독한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17년 7월 당시 대통령인 문재인은 지역 공약으로 '광주 전남 상생' 기치를 내걸었고, 이후 문재인 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에 포함되면서 가칭 '한전공대'가 본격 추진되었다. 타당성, 중복투자 논란 문제가 불거졌으나, 문재인 정부는 임기 내 개교를 강행하였고, 임기 만료 직전인 2022년 3월 2일 입학식을 갖고 개교했다.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는 독립형 캠퍼스로 조성되고 학부와 대학원을 동시에 개교하는 방향으로 추진된다. 한국전력 지방자치단체에서는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설립 비용으로 5000억원, 연간 운영비로 1000억원을 각각 전망하고 있다. 전라남도 나주시 2022년부터 10년간 각각 100억 원씩 총 2천억 원을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운영비로 지원한다. 학생 규모 1000명, 교수진 100명, 대학부지 40만를 포함해 전체 대학 부지엔 120만㎡로 꾸려진다. 초대 총장으로는 윤의준 서울대 교수가 내정되었다. 기사

처음에는 한국전력공사 사립학교법에 따라 학교법인 한국전력공과대학교(약칭: 한전공대)를 설립하였고[3],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법이 만들어지면서 특별법법인으로 전환되어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라는 교명이 정식으로 확정되었다. # 영문 교명은 Korea Institute of Energy Technology의 약칭인 KENTECH(켄텍)으로 확정되었다. #

4. 학부 및 대학원

5. 입시

2022학년도 학부 신입생 모집 안내
수능, 내신, 자소서 등은 전부 필요없고 캠프 참여자들의 토론과 시민의식으로 선발할 예정이라고 했었다. 때문에 부모가 주도하는 학습을 받은 학생은 입학이 불가능한 시스템이라 한다. 기사. 하지만 결국 기득권층 자녀들처럼 부모 빨과 맞춤형 입시로 프로젝트 포트폴리오 준비를 잘해간 학생이 합격되는 구조가 될 수밖에 없다는 비판이 나왔다.[4] 또한 이러한 학생 선발 방식은 한전공대가 학습모델로 삼는 자기주도학습과도 관련이 있는데, 이 학습방법도 사실 논란이 있다.[5]

2020년 10월 26일에는 윤의준 대학설립추진위원장(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초대 총장 후보자)이 기자 간담회에서 위에서 소개한 입시 계획을 사실상 공식적으로 천명했다. 기사 해당 소식이 전해지면서 입시와 관련한 논란이 거세졌다. 그러자 한전은 하루만에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의 입시 계획은 아직 확정된 것이 아니라면서 기존 입장을 번복하였다. 기사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측은 100% 학생부 종합 전형으로 정원을 모집할 계획이었으나, 다른 이공계특성화 대학이 정시모집 인원을 일정 비율 반영하는 것에 따라 신입생 일부를 정시로 선발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이에 따라 2022학년도 학부 신입생으로 수시(학종-일반) 90명, 정원 외로 고른기회 전형 10명, 정시(수능 100%) 10명, 도합 110명을 선발한다. #

한국에너지공과대학은 특별법에 의해 설립되어 수시 6회 지원 제한은 물론 정시 모집군 제한에서 자유로운 특혜가 있어 과학기술원처럼 수험생들에겐 ‘추가지원카드’로 여겨진다. 게다가 이중등록 금지규정 적용도 받지 않아 타 대학 수시합격자도 정시 지원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물론 이중등록만 허용한다는 것이지 이중학적은 허용하지 않으므로 정시 지원하여 이 대학에 합격했다면 기존 수시 합격한 대학에 등록포기를 해야 한다.

2022학년도 대학원은 석사 80명, 석박사통합 120명, 박사 50명으로 총 250명을 선발한다. #

5.1. 2022학년도 입시

모집 첫 해인 2022학년도 수시에서는 2412여 명이 지원하여 경쟁률 24:1을 기록했다. 정시모집에서는 10명 모집에 953명이 지원하여 95.3:1의 높은 경쟁률로 마감했다. 2022학년도 정시 입시결과는 표준점수 평균 404.6점이다. #

5.2. 2023학년도 입시

출범 반년만에 경쟁률이 반토막 나며 급감했다. 2023년 수시 경쟁률은 12.63대 1로 최종 집계됐다. 언론에서는 지난 정부가 무리하게 한전공대 설립을 추진하며 빚어진 예견된 참사라고 보도했다. 졸속 개교, 종합부동산세 폭탄 등 한전공대를 둘러싼 논란에 학생들의 기피 현상이 심화됐다는 분석이다. # 정시 모집에서는 10명 모집에 603명이 지원하여 경쟁률 60.3대1으로 집계되어 전년도보다 크게 하락하였다.
23학년도의 정시 입시결과는 표준 점수 392점이 커트라인이였다.

5.3. 2024학년도 입시

2024학년도 수시모집 경쟁률이 15.38대 1로 최종 집계되며 전년도 경쟁률을 넘어섰다. 폐교 논란이 거듭되며 경쟁률이 낮아질 것으로 예측되었지만, 수시 마감을 불과 이틀 앞둔 9월 13일 방문규 산업통산자원부 장관 후보자가 에너지공대의 비위 사실에 대해 후속 조치를 하되 "인재양성 기관에 대한 지원은 계속돼야 한다"며 폐교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힘에 따라 마감 직전 경쟁률이 크게 올랐다. 반면, 정시에서는 다른 과기원들이 치중된 높은 선호도로 100:1의 경쟁률을 넘은 것과 달리 40.1:1을 기록하며 전년도 60.3:1보다 크게 하락하였다. 이는 원서 접수 1주일 전에 갑작스럽게 공표된 총장의 자진 사퇴, 그간 이어져 온 정부의 압박에 대한 학생들의 불안심리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2/1일 오전 10시에 합격자 조기발표가 나왔으며, 공개된 점수들을 기준으로 최초 컷은 39x(후반) 이하 최종 컷은 39x(중반)으로 계측되었다. 이는 당해 서울대 문과 컷과 겹치기에 입결 방어에 성공했다는 평이 주류.

5.4. 2025학년도 입시

수시모집 경쟁률 19.81대 1을 기록하며 경쟁률이 수직상승했다. 개교 이후 학부 4기 신입생 모집을 통한 편제 완성의 기대와 신설 대학으로서 가능한 교육혁신과 연구·창업을 비롯한 파격적인 학생 지원, 그리고 높은 재학생 등록률 및 만족도 등을 바탕으로 경쟁률이 상승한 것으로 분석된다. #

6. 생활 및 문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생활 및 문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캠퍼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캠퍼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대중교통

위치는 전라남도 나주시이지만 나주시 내의 타 지역보다는 광주광역시로 나가는 것이 훨씬 더 수월하다.

8.1. 시내버스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좌석02번 2023년 3월 30일에 한국에너지공대 캠퍼스 내부로 연장되면서 광주송정역, 상무지구, 유스퀘어 광주광역시 방면 교통이 매우 편리해졌다. 캠퍼스 내에 정류장이 있다.[6] 캠퍼스 밖에도 정류장이 한 곳이 있다. 셔틀버스는 같은 정류장에 양방향이 모두 정차하므로 번호를 잘 보고 탑승해야 하며, 배차간격이 긴 편이라 시간표를 보고 탑승하는 것이 좋다.

2023년 나주 시내버스 개편으로 혁신도시 내부, 나주역, 영산포터미널 방향 700번이 학교 앞을 지나게 되면서 나주역을 비롯한 나주 방향으로의 접근과 혁신도시 내부로의 교통이 비교적 수월해졌다. 하지만 배차간격은 여전히 좋지 못한 노선이라 셔틀이건 700번이건 시간표를 보고 타는 것이 낫다.[7] 또한 나주콜버스도 이용이 가능하다.

아래에 기술된 정류장 및 노선 이외에도 10분 정도를 걸어서 LH5단지(2895), 한아름유치원앞(2896) 정류장으로 가면 7000번, 7001번[8], 301번[9], 998번[10]을 이용할 수 있다.[11]

700번 한정으로 학교 입구에서 버스를 놓쳤을 때의 팁이 있는데, 해당 노선은 그린로 경유 노선이지만 북쪽으로 우정사업정보센터까지 갔다가 LH5단지로 돌아오므로 금방 버스를 놓쳤다면 빠르게 LH5단지 정류장으로 가면 버스를 잡아 탈 수 있다.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6100/6629[광주])
급행좌석
시내 [13][14]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입구(2907/6628[광주])
급행좌석
시내 [16] [17]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입구(2908)[18]
시내

8.2. 철도

도보 가능한 거리에 철도역은 없다. 가장 가까운 철도역은 호남선/ 호남고속선 나주역이지만 바로 가는 버스 통합 배차간격 35~40분인 700, 701번 뿐이라 불편하며, 더 자주 있는 노선을 타려면 학교에서 도보로 10~20분 거리에 있는 LH5단지(2895) 정류장에서 7000번, 7001번, 998번 중 먼저 오는 것을 타야 한다.

반면 상대적으로 멀리 있는 광주송정역의 경우에는 학교 안에서 좌석02번 하나만 타면 바로 역 앞까지 갈 수 있기 때문에 광주송정역으로 가는 것이 훨씬 편리하다.[19]

8.3. 고속/ 시외버스

가장 편리하게 고속/시외버스를 이용하는 방법은 캠퍼스에서 좌석02번을 타고 유스퀘어로 향하는 것이다. 광주전남의 고속/시외버스 중심인 만큼 일부 지역을 제외하면 어지간한 곳은 버스 노선이 다 뚫려있으며, 편수도 가장 많다.

가장 가까운 시외/고속버스 정차지는 빛가람동 내의 빛가람시외버스정류소이며, 서울호남(3회/일[20]), 부산서부(사상)(5회/일[21]), 내서/ 마산/ 창원/ 김해(2회/일[22]), 광주(유스퀘어)(11회/일[23]), 해남 완도(1회/일[24]) 방면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에너지공대 경유 시내버스 노선 중 혁신도시 셔틀버스를 비롯해 빛가람시외버스정류소를 경유하는 버스 노선이 아예 없기 때문에[25] 나주콜버스를 불러서 타거나 택시를 탈 것이 아니라면 이 곳으로 갈 바에는 좌석02번으로 유스퀘어로 가거나 ( 전라남도 서남부 일부 지역에 한해) 아래 나주버스터미널, 영산포공용터미널로 가는 것이 낫다.

나주 구시가지에는 나주버스터미널 영산포공용터미널이 있고, 이곳에서 목포, 강진, 진도, 장흥, 영암, 함평 방면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나주터미널은 바로 가는 버스가 없고 LH5단지 정류장에서 7000번, 7001번을 이용해 중앙로 정류장에서 내려서 걸어가야 하며, 영산포터미널은 학교 바로 앞에 서는 700번, 701번이 경유하며, LH5단지에서도 998번, 301번, 700번이 바로 데려다준다. 이들 터미널에서 이용할 수 있는 노선은 모두 유스퀘어에서도 운행하지만, 대부분 이들 터미널을 경유하거나 나주를 지나쳐야만 하는 노선들이라 유스퀘어까지 가서 이 노선들을 타면 역주행이 된다.

9. 논란 및 사건 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논란 및 사건 사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법이 통과되어 특별법법인으로 전환됐다. [2]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내 부영CC [3] 참고로 한국전력은 이전에 대학을 운영한 전력이 있다. 서울 마포구 수도공과대학을 운영했었는데, 지금 추진 중인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와 설립 취지도, 전액 장학금 지급이라는 기조도 비슷했다. 초기에는 무료라는 점에서 인기를 끌다가 재정난이 심각해지자 대학을 매각해버리게 되는데, 이를 인수한 곳이 당시 공학계열 학과가 부족했던 홍익대학교이다. 홍익대학교 서울캠퍼스 공과대학의 전신이 바로 수도공과대학이다. 수도공과대학을 합병하기 이전의 홍익대학 공학부에는 건축학과, 도시계획과와 같이 건축도시 계열의 학과들밖에 존재하지 않았다. 이름만 공학부였을 뿐 실질적으로는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과 같은 포지션이었다. 이후 수도공과대학을 합병하여 홍익대 공대의 규모가 커지자, 기존의 홍익대 공학부를 구성하던 건축학과와 도시계획과(도시공학과)는 홍익대학교 서울캠퍼스 건축도시대학으로 옮겨갔다. [4] 물론 이는 비단 한전공대나 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니다. 일부 교육인들이 찬양해 마지않는 미국의 대학 지원 시스템 미국 내에서는 빈부격차 조장 및 학생의 자살 문제로 비판이 많다. 해당 문서 참고. [5] 자기주도학습은 어릴 때 학업습관에는 도움이 될 수 있으나 대학과 같은 고등교육기관에서는 학생이 자기주도적으로 공부해서 지식을 습득하는 데는 한계가 있어서, 오히려 대학에서 자기주도학습 방식으로 배운 학생들은 학업수준이 상대적으로 떨어진다는 우려도 있다. 공학자 출신인 이영무 前 한양대 총장 같은 경우는 창의성을 강조하지만 창의성이란 지식의 축적 끝에서 나오는 것으로, 내가 가진 지식과 다른 사람의 지식이 융합되어 나오는 것이라며, 학생이 아는 것도 없는 상태에서 대학에서의 교육방식으로 자기주도학습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나타냈다. 물론 한전공대에 관한 이야기가 아니고, 한전공대 설립 수년 전에 대학에서의 자기주도학습에 관한 견해이다. [6] 엄밀히 말하면 학교 내 정류장은 6629, 6630 두 곳이 있으나 6630 정류장은 종점 정류장이라 기재하지 않았다. [7] 개편 당시 한빛-우정로 경유 701번도 에너지공대 경유로 변경하였으나, 2023년 12월 노선 조정으로 개편 전 노선으로 환원되면서 에너지공대를 경유하지 않게 되었다. [8] 나주역과 나주 시내(중앙로, 동신대학교) 방향으로 가는 노선이다. [9] 금천면, 영산동 농촌 지역을 지나 영산포터미널로 가는 노선이다. [10] 전남대학교, 남광주역, 조선대학교, 백운광장, 진월동, 남평 방향은 한아름유치원앞(2896) 정류장에서, 나주역, 영산포 방향은 LH5단지(2895) 정류장에서 타면 된다. [11] 700번도 이 정류장에 정차하지만, 어차피 학교 앞에서도 탈 수 있기 때문에 방금 버스를 놓친 것이 아니라면 10분을 걸어서 LH5단지까지 갈 이유는 별로 없다. [광주]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전산상의 번호이다. [13] 부영1단지, 우정사업정보센터, 빛가람병원후문 방향으로 가는 노선이다. 우정사업정보센터에서 타 노선으로 환승하려고 하거나 빛가람종합병원으로 가는 경우 이 노선을 타면 된다. [14] LH5단지, 빛가람초중교, 한국농어촌공사, 전력거래소, 우미린아파트, 산포농협하나로마트, 빛가람병원후문 방향으로 가는 노선이다. 빛가람종합병원으로 가는 경우에는 이 노선 말고 셔틀 1번을 타는 것이 훨씬 더 빠르다. [광주]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전산상의 번호이다. [16] 부영1단지, 우정사업정보센터, 빛가람병원후문 방향으로 가는 노선이다. 우정사업정보센터에서 타 노선으로 환승하려고 하거나 빛가람종합병원으로 가는 경우 이 노선을 타면 된다. [17] LH5단지, 빛가람초중교, 한국농어촌공사, 전력거래소, 우미린아파트, 산포농협하나로마트, 빛가람병원후문 방향으로 가는 노선이다. 빛가람종합병원으로 가는 경우에는 이 노선 말고 셔틀 1번을 타는 것이 훨씬 더 빠르다. [18] 이 곳에 서는 700번은 혁신도시와 나주시내가 아니라 신도리와 신도산단으로 향하는 버스이므로 주의해야 한다. 또한 이 정류장에도 셔틀 노선과 좌석02번이 정차하긴 하지만 셔틀은 학교를 찍고 다시 반대편 정류장(2907)으로 돌아 나가며, 좌석02번은 학교가 종점이고 마찬가지로 반대편 정류장(6628)으로 돌아 나가므로 거의 하차 전용으로만 쓰이니 의미가 없다. [19] 열차 편수도 광주송정역 나주역보다 훨씬 많으며, 특히 SRT의 경우 대다수 차량이 광주송정역에서 출발하고 일부만 나주역을 거쳐 목포역까지 운행하기 때문에 광주송정역으로 가서 이용하는 것이 백배 낫다. [20] 우등 2회, 프리미엄 1회 [21] 전회 우등 [22] 전회 우등 [23] 일반 3회, 우등 8회 [24] 전회 일반 [25] 402번이 경유하긴 하나 한국에너지공대까지 오지 않는다. 셔틀버스 정류장 중 가장 가까운 정류장은 부영2단지(6091) 정류장이며, 셔틀2번을 타면 갈 수 있다. 그러나 이곳마저도 빛가람시외버스정류소에서 도보로 10분이 넘는 거리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