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6 22:43:39

한일 해저터널

한일해저터널에서 넘어옴
이 교통 시설 또는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한일 해저터널
Korea–Japan Undersea Tunnel
韓日トンネル
파일:KORJAPTunnel_v2009.png
2010년 3월 논의 노선도 기준[1]
<colbgcolor=#003764><colcolor=#fff> 분류 고속철도(여객), 화물철도(물류)
거리 한일연구회 B안 기준 = 총 288km[2] (해저 128km)
부산연구원 C-1안 기준 = 총 222km (해저 147km)
1. 개요2. 역사
2.1. 초기 구상2.2. 1980년대2.3. 1990년대2.4. 2000년대2.5. 2010년대2.6. 2020년대
3. 논쟁거리4. 제안 노선
4.1. 1988년, 한일연구회 안4.2. 2009년, 부산연구원 안
5. 여담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한반도 일본 열도를 잇는 철도 전용 해저터널 구상.

2. 역사

2.1. 초기 구상

1917년, 일본 육군 참모본부의 고이소 구니아키[3]가 최초로 구상을 제안했다. 공사비 8억엔, 공사기간 21년, 철도 터널로 구상했다.

1930년대, '대동아 종관철도' 구상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일본, 한국, 만주(선양), 북중국(베이징), 남중국(난징), 베트남(하노이), 태국(방콕), 말레이반도(싱가포르)까지 철도 연결을 구상했다.

1935년, 일본 내무성 토목국 도로과가 공사비 10억엔, 공사기간 25년, 도로 터널로 구상했다.

1938년 2월, 일본 철도성의 '중앙아시아 횡단철도 계획'의 일부로 제안되었다. 이는 가상 적국인 러시아의 시베리아 횡단철도를 대체하자는 주장이었다. 이에 일본 체신성이 대한해협의 해저 지질조사를 계획했다.

1939년, 일본 철도성의 '유라시아 횡단 철도 계획'의 일부로 제안되었다. 이는 같은 추축국인 나치 독일과 연결하며, 태평양 전쟁으로 위험해진 해로를 대신해 육로로 교역길을 대체하자는 주장이었다.

1941년, 쓰시마섬에서 지질조사가 진행되어, 규슈 방향으로 600m 시험 굴착이 이뤄졌다. 5월엔 '동아시아 교통학회'가 설립되었다.
<colbgcolor=#000><colcolor=#fff>
파일:대동아종관철도v1942.03.png
1942년 3월 구상된 대동아종관철도

1942년
1943년, 일본 제국이 물자-인력이 부족해지자 대동아종관철도 건설 계획을 취소하고, 해당 토지계획 조직을 일본 내무성으로 재배치했다.

1949년, 일본 철도성이 도쿄~시모노세키 간 신칸센 건설 기준 책정시 부대적으로 한일 해저터널도 건설을 제안했다.

2.2. 1980년대

1981년 11월, 한국 통일교 문선명 총재가 서울에서 열린 '제10회 과학의 통일에 대한 국제회의'에서 세계인을 묶어 경제문화교류를 촉진하자는 취지에서 '국제평화고속도로(국제하이웨이)' 구상을 제안하고, 그 기점을 한일 해저터널로 삼아 논의를 재개했다. 이 회의에 참석한 니시호리 에이사부로 교토대 교수가 구상에 감명을 받고 일본에 귀국해 담론을 펴기 시작한다.

1982년
1983년
1986년
1988년

2.3. 1990년대

1990년 5월, 한국 노태우 대통령이 방일 당시 제안했다.

1991년 1월, 일본 가이후 도시키 총리가 긍정적으로 화답했다.

1992년 3월, 한국 측도 '한일터널 기술연구회'를 설립했다.

1994년 5월, 영국과 프랑스 사이를 잇는 채널 터널이 성공리에 완성되자, 한국과 일본 사이에서 담론이 일었다.

1996년 3월, 한국 건설교통부에 한일연구회 측이 '국제하이웨이 구상과 한일터널 프로젝트 추진현황'을 보고한다.

1999년

2.4. 2000년대

2000년
2002년
2003년
2004년 2월, 정동영 열린우리당 의장이 추진 명분이 있다고 언급했다.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5. 2010년대

2010년
2011년
2013년
2014년
2016년
2017년
2019년

2.6. 2020년대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3. 논쟁거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일 해저터널/논쟁거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제안 노선

1988년, 한일해저터널연구회와 일한터널연구회가 A, B, C 안을 냈다.
2009년 12월, 부산발전연구원[8]이 '한일터널과 동북아 통합교통망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보고서로, 한일연구회 C안을 보완하는 C-1, C-2안을 냈다. #
2024년 4월, 세이칸 터널을 건설한 다케우치 유우조 공학박사가 세계피스로드재단의 포럼에 참석해, 기본설계가 진행중이라고 밝혔다. 기존 2010년 3월에 부산연구원/일한연구회가 종합한 2개 노선안을, 지형-지질 조사 및 디지털 멀티채널 음파 탐사를 통해 좀 더 다듬었다. 신규퇴적층에 이수식 실드TBM공법으로 건설할 것을 제안하며, 공정-공사비-수요전력-발생토량-환경영향평가가 진행중이라고 밝혔다. #1, #2

4.1. 1988년, 한일연구회 안

한일해저터널 A안
역명 환승노선 위치
0.0 거제 巨濟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남부내륙선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경상남도 거제시
- 쓰시마 対馬
[[일본|]][[틀:국기|]][[틀:국기|]]
나가사키현 쓰시마시
- 이키 壱岐 나가사키현 이키시
209 카라츠 唐津 JR 큐슈 카라츠선, 파일:JRK-JK.svg 치쿠히선 (JK20) (이마리, 메이노하마 방면) 사가현 카라츠시
한일해저터널 B안
역명 환승노선 위치
- 부산 釜山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경부선, 파일:KTX BI.svg 파일:SRT BI.svg 경부고속선
파일:Busan1.svg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부산광역시 동구
- 가덕 加德 부산 도시철도 5호선 (예정) 부산광역시 강서구
0.0 거제 巨濟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남부내륙선 경상남도 거제시
- 쓰시마 対馬
[[일본|]][[틀:국기|]][[틀:국기|]]
나가사키현 쓰시마시
- 이키 壱岐 나가사키현 이키시
217 카라츠 唐津 JR 큐슈 카라츠선, 파일:JRK-JK.svg 치쿠히선 (JK20) (이마리, 메이노하마 방면) 사가현 카라츠시
한일해저터널 C안
역명 환승노선 위치
- 강서[9] 江西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부산신항선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부산광역시 강서구
0.0 가덕 加德 부산 도시철도 5호선 (예정)
- 쓰시마 対馬
[[일본|]][[틀:국기|]][[틀:국기|]]
나가사키현 쓰시마시
- 이키 壱岐 나가사키현 이키시
231 카라츠 唐津 JR 큐슈 카라츠선, 파일:JRK-JK.svg 치쿠히선 (JK20) (이마리, 메이노하마 방면) 사가현 카라츠시

4.2. 2009년, 부산연구원 안

한일해저터널 C-1안
역명 환승노선 위치
0.0 부산신항 釜山新港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부산신항선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부산광역시 강서구
- 가덕 加德 부산 도시철도 5호선 (예정)
- 쓰시마 対馬
[[일본|]][[틀:국기|]][[틀:국기|]]
나가사키현 쓰시마시
- 이키 壱岐 나가사키현 이키시
222.6 하카타 博多 JR 큐슈 파일:JRK-SKS.svg 큐슈 신칸센
JR 서일본 파일:JRW-SKS.svg 산요 신칸센, 하카타미나미선
파일:JRK-JA.svg 파일:JRK-JB.svg 가고시마 본선 (00), 파일:JRK-JC.svg 후쿠호쿠유타카선 (00)
후쿠오카시 교통국 파일:FM-kuko.svg 공항선 (K11)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 하카타구
한일해저터널 C-2안
역명 환승노선 위치
0.0 부산 釜山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경부선, 파일:KTX BI.svg 파일:SRT BI.svg 경부고속선
파일:Busan1.svg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부산광역시 동구
- 쓰시마 対馬
[[일본|]][[틀:국기|]][[틀:국기|]]
나가사키현 쓰시마시
- 이키 壱岐 나가사키현 이키시
215 하카타 博多 JR 큐슈 파일:JRK-SKS.svg 큐슈 신칸센
JR 서일본 파일:JRW-SKS.svg 산요 신칸센, 하카타미나미선
파일:JRK-JA.svg 파일:JRK-JB.svg 가고시마 본선 (00), 파일:JRK-JC.svg 후쿠호쿠유타카선 (00)
후쿠오카시 교통국 파일:FM-kuko.svg 공항선 (K11)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 하카타구

5. 여담

6. 관련 문서



[1] 한일연구회가 1988년 3개 안을 제시했다. 부산연구원이 2009년 2개 안을 추가제시했다. 2010년 3월에 두 단체가 5개 안을 함께 검토했다. 한일연구회 측은 시공 최적인 B안을, 부산연구원 측은 수요 최적인 C-1안을 선호한다고 밝혔다. 2024년 4월, 세이칸 터널을 건설한 다케우치 유우조 공학박사 역시 이 두 노선에 대해 기본설계를 진행한다. [2] 부산역이 아닌 거제역을 종점으로 보면 총 220km. [3] 이후 1938년 예편하여 대동아성 대신, 1942년 조선총독, 1944년 내각총리대신, 1945년 극동국제군사재판에서 전범 유죄, 1950년 사망. [4] 해변은 아니고 카라츠역 조금 북단이다. [5] 이는 2021년 재보궐선거를 앞두고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가덕도신공항으로 공세를 하자, 가덕도신공항만으론 경제가 나아질 수 없다는 취지였다. [6] 당시 열린민주당, 후일 합당 [7] 이 직전 아베 신조 피살 사건으로 일본 내 통일교에 대한 적대적 여론이 일어 통일교에 대한 기획취재가 늘었다. [8] 2018년 12월 '부산연구원'으로 개칭. 지방연구원 문서 참고. [9] 연구회 측에서 공개한 지도상 위치로 보아 부산신항선 부산신항역(구 녹산역)의 부지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