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1 10:54:39

임주완(게임 해설가)

포니(게임 해설가)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92B><tablebgcolor=#1C192B> 파일:LCK 로고 흰색.svg LCK
중계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1C192B> 진행 전용준 성승헌
해설 고수진 이채환 이현우 임주완
}}}}}}}}} ||
임주완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width=320><tablebordercolor=#1C192B><tablebgcolor=#1C192B> 파일:LCK 로고 흰색.svg LCK
분석위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19년 2020년
하광석 · 강형우 · 홍민기 · 현수환[1] 하광석 · 김배인 · 남태유 · 허원석[2]
2021년 2022년
하광석 · 강범현 · 이서행 · 신정현[3] 하광석 · 강범현 · 남태유 · 이서행[4] · 정민성[5]
<rowcolor=#fff> 2023년 · 2024년 2025년
강형우 · 고수진 · 신동진 · 임주완 고수진 · 신동진 · 임주완 · 이채환
<colbgcolor=#ffffff,#1f2023> [1] 2019 서머 플레이오프부터 합류.
[2] 2020 서머에 합류.
[3] 2021 서머에 합류.
[4] 2022 스프링 시즌까지만 진행.
[5] 2022 서머부터 합류.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92B><tablebgcolor=#1C192B> 파일:LCK 로고 흰색.svg LCK
시크릿 보드룸 멤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1C192B> 고정
{{{#!wiki style="margin: -16px -11px" 김의중
Seoul
신동진
Vegas
임주완
Berlin
정노철
Shanghai
}}}
객원
한왕호
Wanghoya
마틴 라르손
008
홍창현
Mark
복한규
Regeliang
장하권
Myway
이정훈
Guillotine
엄성현
General Um
오현택
Noah
아뚱
Addeung
}}}}}}}}} ||

<colbgcolor=#1C192B><colcolor=#fff> 前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파일:포니 해설.jpg
Pony[1]
임주완[2] (Lim Ju-wan)
출생 1992년 2월 12일 ([age(1992-02-12)]세)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ID 임주완 계정 목록 #
직업 게임 해설가
포지션 서포터
링크 파일:치지직 아이콘.svg |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해설자 경력
3.1. LCK
4. 인터넷 방송인 시절5. 플레이한 게임6. 기타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前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現 LCK 해설 겸 인터넷 방송인. 선수 시절 포지션은 서포터.

리그 오브 레전드가 한국에서 정식 서비스하기 전 북미 서버 시절부터 롤을 즐겼으며, 프로게이머 및 해설자 활동을 하기 이전에 인터넷 커뮤니티에서의 활동이 비교적 잘 알려져 있다. 당시 사용하던 아이디로는 '대통령 박정희'[3], '산고양이'[4], 그리고 가장 잘 알려져 있는 '포니짱짱걸'[5]이 있다.

2. 선수 경력

리그 오브 레전드 한국 진출 이전에도 롤을 즐겼던 것으로 보인다. 북미 계정명도 sangoyangee인데, "hotshot hug me"라는 밈으로 단숨에 초창기 롤갤여신이 됐던 역사가 있다.

이후에도 계속 롤을 플레이했으며, 티어제 도입 이후에는 다이아 티어에 주로 서식한다. 주 포지션은 서포터로 천상계 솔로랭크 게임에서 자주 이름을 드러냈다. 공식적으로 얼굴과 이름을 알린 것은 시즌 3 시절로, 나이스게임TV에서 진행했던 방송인 은밀한 개인교습에 조연[6]으로 등장했다. 사실 게임에 등장하는 사람들은 많았기 때문에 이 자체로는 그냥 그런갑다 하겠지만...

컨셉이 브로니라는 것 때문에 컬트적인 인기를 얻게 된다. 게임 내 닉네임도 그의 별명 중 가장 유명한 '포니짱짱걸S'였고 '내 일생 조국과 포니를 위하여(...)'를 비롯하여, 팀원을 다독일 때도 '포니 화이팅!'을 외치는 등 나미 서포터로 독특한 컨셉을 보인 이후 은밀한 개인교습에 정식 출연해서 얼굴이 공개되었다. 롤갤러들은 OME를 외쳤다고 한다. 얼굴을 팔고 레전드급 재미를 얻었다 해설진들이 폭소를 터트릴 정도로 긍정적인 멘탈과 함께, 실력이 탄탄하고 입담도 괜찮았기 때문에 방송은 흥했다고 한다. #

이후 프로를 지망한 건지, 아니면 재미삼아 참가한 것인지는 잘 모르지만 롱판다, 캬하하, 박종우(현재의 피닉스박)와 함께 Team NB라는 팀을 이루어 LOL the Champions Summer 2013에 출전했다. # 영어 아이디는 포니덕답게 Mylittlepony인 듯. 아마추어 최강의 M씨 가문 서포터라 카더라 그러나 속한 팀은 오프라인 예선에서 탈락했다. 다음 대회인 League of Legends Champions Winter 2013-2014에선 예선을 통과해서 롤챔스 본선에 진출했다. 그런데 조합이 최악이었다. 같은 조에 월즈 우승팀, (시기상 나중이지만) WCG 우승팀, 롤챔스 예선 최강팀이 배치됐기 때문이다. 결국 모두의 예상대로 Team NB는 NLB로 강등됐다. 이후 NLB에서도 원딜의 트롤링[7]에 힘입어 12강에서 탈락.

다음 시즌인 빅파일 NLB Spring 2014에서는 강퀴, , 헤르메스 등의 전 프로게이머들이 결성한 Team OLYMPUS에 식스맨으로 들어갔다. 팀은 12강에서 탈락. 이후에는 대회 출전을 하지 않으며 점차 해설과 방송에 주력하게 된다.

3. 해설자 경력

프리랜서 활동을 하면서, 트위치 개인 방송으로 국내 LCK(승강전 포함), 월즈, MSI, 올스타전 등을 중계했었다. 프리랜서 해설 전향 이후 클템 방송에 종종 출연하고 있다. 주로 경기 리뷰나 메타 평가, 승패 예측 영상에 등장하는데 민심 칼럼니스트로 둔갑하여 네티즌들의 대변인 컨셉으로 롤 커뮤니티에 나온 의견을 종합해서 말해주는 편. 클템과 자주 연락하는 탓인지 해설 중에도 클템 관련 밈을 자주 사용한다.

프리랜서 활동 목록은 다음과 같다.
8강 두 경기(충남대 vs 고려대, 인천대 vs 코리아텍)에서 네클릿, 캡틴잭과 호흡을 맞췄고, 결승전(전남과학대 vs 서경대)에서는 최광원, 네클릿과 호흡을 맞췄다.

3.1. LCK

2023년 1월 5일, 2023 LCK 스프링 시즌부터 LCK 해설로 합류하였다. 1월 19일 분석 데스크에 합류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 확진으로 출연하지 못했다. 1월 20일에 해설을 맡았다. 이렇게 되면서 LEC 해설에는 자동으로 하차할 듯 보인다.

정식 해설로 합류한 후, 빠른 속사포 해설과 정확한 딕션으로 많은 LCK 팬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LCK 해설의 상징인 클템과 같이 해설을 했을 땐 LCK 복기 콘텐츠 '찍어X3'을 근 3년간 같이 진행하기도 했고 서로가 마치 랩배틀을 방불케 하는 속사포 해설을 해서 클템과의 시너지 역시 매우 좋다고 호평이다. 특히나 노페 등 다른 해설들이 날카로운 형세 판단과 정확한 구도 예측 등 정석적인 해설이 장점이라면 포니는 찰떡 같은 비유와 센스 넘치는 드립으로 해설의 '맛'이 살아있다는 평이 많다.[8] 무력한 요네를 보고 '칼 든 조이'라 평하는 등 클템을 닮은 쓰레기 드립은 덤. 클템, 노페 다음으로 많은 중계를 소화하고 있다[9].

굳이 단점을 지적하자면, 목소리 톤과 발성 자체가 클템이나 꼬꼬갓에 비해 좋은 편은 아니라, 차분할 때에 비해 텐션이 올라오면 목소리가 가늘어지는 편이다. 흔히 말하는 샤우팅이 '맛이 없다'는 평. 그러다보니 클템으로 대표되는 한국의 샤우팅 해설보단 상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전달하는 해외의 속사포 해설에 가까운 편이라고 할 수 있다.

4. 인터넷 방송인 시절

2013년 챔피언스 윈터 오프라인 예선 참가를 위해 서울에 온 후 나겜에서 숙식을 해결하고 그 대가로 개인 방송을 했다. 입사는 아니고 숙식을 무료 제공하는 대신 하고 싶은 방송을 한다는 조건. 이후에 2014 롤챔스 스프링 시즌에는 SKT T1 K와 KT Arrow의 경기를 직관하러 왔다가 시간을 잘못 알아(...) 당일 늦은 시간에 올라오는 바람에 다시 나겜에서 장기 체류하며 LCS의 객원해설역을 잠시 맡기도 했다. 이에 대해서 홀사장은 얘를 입사시켜야 되나 고민하기도 했다고 한다. 집에 있는 걸 싫어하고 이 생활을 즐기고 있는 것 같다고(...) 거의 나겜 직원급이다. 2014년 6월 1일에 방송됐던 클랜배틀 고수전에도 나겜 직원들과 같이 모습을 드러내기도 했다. 그리고 2014년 여름 LCS 해설을 진행하면서 나겜에 단기 계약직으로 입사한 듯 하다. 2014년 7월 19일 날 벌어진 커맨더지코와 홀스의 멸망전을 짱세와 함께 해설하면서 정식 LCS 해설 때는[10] 하지 못했던 미친 드립[11]을 짱세와 함께 폭발시키며 아직 입담이 죽지 않았다는 것을 과시했다.

그 후 2014 시즌 월즈 해설을 기점으로 인벤 방송국에 입사하며 나겜 출연은 그만 두었다. 2014년 12월에 개최된 아프리카 BJ 멸망전 해설 초기에 BJ들을 인터뷰를 하는 과정에서 언짢은 듯한 표정을 지어보여 프로답지 않다는 지적을 받았으나, 피드백을 한 모양인지 이후로는 한결 여유 있는 표정으로 방송을 진행하고 있다. 나겜 시절보다 훨씬 감량하고 옷매무새에 신경 쓰는 등 정식 입사한 만큼 겉으로 비춰지는 모습에도 노력을 기울이는 모양. 다만 아직은 신입사원이라 그런지 예전만큼 재밌는 드립이 빵빵 터져나오지 않아 아쉬워하는 반응이 존재한다. 그러나 인벤에서 오래 활동하지는 않았으며 곧 퇴사했다.

2016년 들어서는 트위치에서 개인 방송 위주로 활동했다. 그러던 중 나이스게임TV에서 2016 시즌 LCS 해설을 맡게 되면서, 8월 4일에는 롤러와에도 출연하는 등 나겜에서도 활동을 재개했다. 에스퍼란자의 하차가 원인이기도 했지만, 나겜 방송에서도 여전히 겜잘알로서의 분석과 재미있는 입담을 보여주며 입지를 다졌다. 시청자와 출연진 모두 그를 거의 나이스게임TV의 주력 방송 인력(...)으로 생각할 정도. 인드라와 마찬가지로 죽어도 입사는 싫단다 OGN의 인터넷 플랫폼 방송인 만년 다이아에서도 몇 번 나와 좋은 입담을 보여주며 시청자들에게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냈다. 여담으로 양 방송사에서 썰을 풀 때 이름을 말할 수 없는 그 분과 롱판다와의 대회 출전을 언급하면서 '팀 인성'으로도 매우 화제가 되며 재평가 받았다. 한동안 롤러와에 고정 출연진으로 나오다가 2017년 1월 6일 방송에서 홀사장님 오피셜로 하차. 롤러와에서 롤을 제외한 이야기를 할 때 할 이야기가 없고 부담감이 심해서 그만 나오기로 했다고...

OGN에서도 평가가 나쁘지 않은 듯, OGN의 인터넷 플랫폼인 OGN PLUS에서도 영상을 촬영했다. 일명 '포니짱짱걸의 LoL 한타학개론'. Youtube 영상 주소. 2016년 월즈 경기 분석을 시작으로 2017년 롤챔스 스프링도 진행했다. 다만 한타학개론은 기존에 클템이 하던 것을 물려받은 것이며, 클템 때보다 분석력이 좀 떨어진다는 비판도 간혹 보인다.

본인은 개인 방송에서 굉장히 부끄러워하나, 시청자들 왈 놀리는 맛이 있다는 듯. 시청자라면 포니의 기분을 봐가면서 언급해보자. 정작 프로필란의 사진은 한타학개론 출연시의 모습이다. 2017년 2월 OGN에서 중계한 IEM 월드 챔피언십 조별 예선에 해설자로서 출연하는 등 점차 메인스트림 해설자로서도 입지를 넓히는 중이다.

5. 플레이한 게임

'종합게임방송'을 지향하며, 치지직을 통하여 송출하고 있다. 콘솔(PS4 Pro) 게임, 온라임 게임, 모바일 게임 등 다양한 게임들을 즐긴다. 2017년 9월부터 날짜가 정확히 확인 가능한데, 플레이 했던 방송을 순서대로 적어 두었다. 이 외는 저장된 클립과 저장된 영상을 통하여 확인 가능한 영상만 작성하였다.

6. 기타

7. 둘러보기

파일:족가핵.png {{{#ffffff 족가핵}}}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PT
해기님
빌기릭 분쇄기
도현
NOGANK1NG
악어
악어는죽지않는다
푸린
이기적인원딜왕자
미미미누
미미미누
감독 <colbgcolor=white,#191919> 뉴클리어
DWG Nuclear
코치 블라썸정글, 사신미드, 와디드서포터[1]
일일코치: 강퀴탑, 감독대행
지수소녀, 익수, 울부짖는마오카이이상 탑, 포니
바텀 펑고: 페비나이트,
상세정보 [ 펼치기 · 접기 ]

[1] 계정 공유 사건으로 인한 기록 말소.

파일:보석함JND.png 보석함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PT
얍얍
번복스톤 얍얍
푸린
공략스톤 푸린
정예지
지져스톤 예지
피유[1]
소통스톤 피유
한동숙
통제스톤 한동숙
감독 대행 <colbgcolor=white,#191919> 강퀴[2][3]
코치 애드[4], 라일락[5], 리라정글, 바텀 원딜, 울프서포터
포니밴픽 총괄
일일코치: 크레이지[6], Ping9팀 피드백 지원[7], 릭비정글[8]
상세정보 [ 펼치기 · 접기 ]

[1] 와디드-김여뉴 계정 공유 사건으로 인한 김여뉴 참가불가에 의해 교체 [2] 와디드-김여뉴 계정 공유 사건으로 인한 감독 경질에 의한 감독 대행 [3] 선임 전, 경매전 요청을 받아들여 시간이 맞을때 코칭 지원, 애드 소속팀 합류 이동기간에 따른 탑 코치 대행 12/30 ~ 1/1 [4] ~ 1/7, 팀 연습 시작으로 활동 종료 [5] 국선코치 미배정, 1/3 ~ [6] 애드 소속팀 합류 이동기간에 따른 대행, 12/30 ~ 1/1 [7] 류재건, LJL Crest Gaming Act 코치, 정글 바텀 코치 대행 12/31 ~ [8] 리라 코치 개인사정으로 인한 정글 코치 대행 1/1



[1] 前 MyLittlePony [2] 개명 전 이름은 임시현. [3] 딱히 정치적인 의미가 있는 건 아니고, 당시 지인들과 '대통령 XXX'로 롤 아이디를 맞춰서 놀았는데 중복이 아닌 것을 찾기 위해 전대 대통령으로 계속 내려가다 보니 박정희까지 가게 되었다고. 그때 당시에는 산업화 드립을 쳤었다. [4] 이 명칭은 DC 판타지 갤러리에서의 주옥 같은(...) 활동으로 유명하다. [5] 주로 보였던 닉네임은 여기에 S를 더해 '포니짱짱걸S'. [6] 이 방송은 게스트를 초대하여 챔피언에 대한 노하우를 배우는 방송이었는데, 방송에서 직접 게스트가 솔로 랭크 게임을 진행했다. 이때 같은 게임에 속해 있는 멤버로 출연한 것이다. [7] 아예 불참했다. 상술했듯 이때 원딜이었던 사람은 캬하하. 팀은 다른 원딜을 급히 대타로 구해 경기를 치렀으나 패배했다. [8] 클템의 장점으로 꼽히는 부분이기도 하다. [9] 클템은 주 3~4회, 노페는 주 2~3회, 포니는 주 1~2회, 꼬꼬갓과 후니는 주 1회 중계를 소화중. [10] 나겜에서 LCS를 정식으로 계약해서 중계하기 이전에 아프리카에서 개인 방송으로 LCS 중계를 하기도 했다. 대표적인 드립은 자크의 패시브가 터질 때 도수, 임프, 세나임, 썸데이로 외친 드립이 있다. [11] 물론 아예 안 치는 건 아니고(...) 중간중간 조금씩 흘러나온다. '최고로 HIGH한!' 같은 아는 사람만 아는 드립을 흘리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