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1-13 15:57:50

친디언

아프리카의 민족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수단·남수단·차드
누비아인 수단 아랍인 베쟈족 바까라족 푸르족
딩카족 누에르족 사라족 투부족 카누리족
누바족 이집트인 베두인 부두마족
아프리카의 뿔
암하라인 오로모인 아파르족 소말리인 티그라이인
티그리냐인 티그레인 무르시족 수르마족 베타 이스라엘
동아프리카
루오족 마사이족 스와힐리족 말라가시인 후투족
투치족 코모로인 세이셸인 모리셔스인 투르카나족
키쿠유족 간다족 차고스인 체와족 야오족
키가족 통가족(말라위)
서아프리카·서부 사헬 지대
투아레그족 모리타니 아랍인 월로프족 풀라족 하우사족
요루바 소닝케족 아샨티족 만딩카족 밤바라인
아칸족 에웨족 모시족 이그보족 퐁족
도곤족 세레르족 송가이족 카보베르데인 무어인
자르마족 만자크족 발란타족 로마족(서아프리카) 수수족
크루족
남아프리카
코이산족 나마족 줄루족 소토족 보어인
인도계 남아공인 케이프 컬러드 케이프 말레이인 츠와나족 헤레로족
코사족 !쿵족 스와티족 로베두족 은데벨레족
친디언 포르투갈계 남아프리카 공화국인 독일계 나미비아인 영국계 남아프리카 공화국인 총가족
튀르키예계 아프리카인 몽고족(아프리카) 응구니족 푸티족 통가족(잠비아와 짐바브웨)
중앙아프리카
팡족 반다족 쇼나족 콩고족 부비족
음부티족 상투메 프린시페인 암분두족 바야족 라리족
벵가족 아잔데족 바야카족 오빔분두족 테케족
베티족 룬다족 루바족 트와족 렌두족
헤마족 페르난디노족 코토코족 앙골라인
기타
러시아 흑인 아랍 흑인
※ 현존 민족만을 표기
※ 다른 지역·국가의 민족 둘러보기 }}}}}}}}}

동남아시아인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태국인 베트남인 필리핀인 크메르인 라오인
인도네시아인 자바인 발리인 아체인 미낭카바우
부기스인 마카사르인 다약 카다잔두순 마두라인
바탁 네그리토 말레이인 태국계 말레이시아인 말레이계 태국인
버마족 샨족 카렌족 로힝야
인도계 싱가포르인 중국계 싱가포르인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중국계 태국인 중국계 필리핀인 / 상글레이 스페인계 필리핀인
참족 수이족 태족 모로인 사마 바자우
비사야인 프라나칸 친디언 브루나이인 타갈로그인
테툼족 라카인족 비콜라노인 파푸아인 고산족
※ 현존 민족만을 표기
※ 다른 지역·국가의 민족 둘러보기 }}}}}}}}}
말레이시아의 친디언.
1. 개요2. 지역별 분포3. 전근대 역사 기록상4. 여담

[clearfix]

1. 개요

중국인 인도인 혼혈을 지칭하는 어휘이다.

2. 지역별 분포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같은 동남아시아 국가들에서는 생각보다 흔하지 않은데 이 지역은 인도계와 중국계가 결혼 배우자를 별로 멀지 않은 곳에 있는 고향 본토에서 데려오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수리남, 가이아나, 트리니다드 토바고 같은 카리브 국가 그리고 동아프리카 섬나라 모리셔스에 흔하다. 이 지역 역시 근대 쿨리 시스템에 의해 중국인, 인도인 이주노동자들이 정착하게 되었는데 인도인 이주민 중에서는 여성이 적지 않았던 반면 중국인 이주노동자들 중에서는 남녀성비가 9~99:1 수준이었기 때문이다. 중국인 이주노동자들 중 진짜 돈을 많이 번 경우나 본토의 지연, 인맥, 운이 매우 좋은 경우가 아니면 중국인 여성과 결혼할 수 없었고 이런 상황에서 적지 않은 중국인 남성들이 인도계 여성들과 결혼했다고 한다.

물론 이른바 친디언이라는 별개의 인종으로 통계가 잡히는 것은 아니고 카리브해나 동아프리카 섬나라 사회에서 이들은 인도계로 분류된다. 인도계 쿨리들 역시 이민 당시 중국계보다는 상황이 낫다 뿐이지 여성보다 남성 이민자가 더 많은 것은 마찬가지라서 이민 1세대에 한해서 일처다부제가 이루어졌는데, 이런 상황에서 인도계 이민자 후손들이 이민 1세대 가족사 관련해서 쉬쉬하면 모를까, 자랑스럽게 "우리 조상 중에 중국인 있었지" 이런 식으로 공개하고 다니길 기대하기는 힘든 법이다.

중국계 쿨리들은 애초에 금의환향한다는 다시 말해서 이민간 곳에 뼈를 묻는다는 생각 대신 돈 벌어서 다시 중국으로 돌아간다는 생각이 강했기 때문에, 흑인 여성과 결혼한 중국인 남성의 후손은 같은 중국계라기보다는 그냥 흑인으로 취급하였다. 인도계 쿨리들은 흑인 여성과의 혼혈 후손들을 나름 인도계로 받아들이며 이들을 따로 두글라(Dougla)라고 애증을 담아 부른 것과는 대조적이다. 중국계에서 중국인 남성과 인도인 여성 사이의 혼혈들을 중국계로 인정하지 않으면서 현지 인도계로 흡수되었다는 추정도 내릴 수 있다.

홍콩에도 인도인/ 파키스탄인 방글라데시인들이 적지 않으니 종종 볼 수 있긴 하다.

3. 전근대 역사 기록상

고대 인도의 브라만교 경전 기록을 보면 요바나( 그리스인)들과 치니( 중국인)들은 브라흐민이 수행하는 제례에 참여하지도 않고 공양을 드리지 않아 수드라 계급이 강등되었다."라는 내용을 볼 수 있다. 그리스인들이 인도 관련하여 남긴 역사 기록을 보면 박트리아 북인도의 그리스인들은 순순히 자신들이 수드라로 계급이 강등되는 것을 받아들이지 않고 불교로 개종한 것으로 보이지만, 중국계에 관련해서는 영 참고할만한 기록이 남아있지 않다. 같은 맥락에서 그리스인들이 어떻게 인도로 오게 되었는지는 이런저런 역사 기록을 통해 남아있는 것과는 반대로, 인도 문화권 중국 문화권 역시 서로 거리가 마냥 가까운 것은 아니었는데 어떻게 중국인들이 인도로 오게 되어 수드라로 강등당했는지조차 기록이 남아있지 않다.

유사 사례로 당나라 장안에서도 따로 힌두교도들이 거주하는 구역이 존재했다 하지만 이들의 후손들이 어떻게 되었는지 관련한 기록은 아직 발굴되지 않았다.

물론 동남아시아에 인도계 이주민들과 중국계 이주민들이 골고루 많았던 것은 사실이다. 고대 남인도의 촐라 제국 동남아시아 각지에 식민지를 건설하였으며 근세 명나라 때부터 엄청난 수의 중국인 어부들과 빈농들이 동남아시아 각지에 정착하기 시작한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이러한 역사 기록을 바탕으로 동남아시아의 특정 인종 그룹을 친디언이라고 함부로 규정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1]

말레이시아의 경우를 예로 들어, 말레이인 상당수가 말레이시아 광산에 이주노동자로 와서 말레이인 여성과 결혼한 중국인 남성을 조상으로 두고 있는데, 드물지만 할아버지는 파키스탄계 할머니는 중국계 그리고 외할아버지와 외할머니는 말레이인인 경우도 있다. 하지만 여타 말레이인들처럼 이슬람을 믿는다면 굳이 이런 혼혈인들을 친디언-말레이 혼혈 인종 등으로 분류하는 대신 말레이인, 말레이시아인이라고 분류하는 것이 더 자연스럽다. 중국에 사는 인도-중국 혼혈이나 반대로 인도에 거주하는 경우라면 따로 친디언이라는 정체성이 있을 수도 있다. 그러나 동남아시아나 카리브 각지에 중국계와 인도계가 어울려 사는 나라는 원래 여러 민족 및 국민 사이의 혼혈이 너무 복잡하게 이루어져서 혼혈 자체가 특별한 존재가 아니고, 같은 맥락에서 따로 친디언이라는 정체성을 가진 사람을 통계를 내기 어려운 것이다.

4. 여담

일본이나 한국 같은 국가에도 인도계 혼혈들이 있지만 이 두 민족들은 화교처럼 크게 전세계로 퍼지지 않아 그리 흔하진 않다.


[1] 한국 사례를 예를 들어서 쉽게 설명하자면 한국의 성씨 중 상당수는 중국이 기원이지만, 중국계 성씨를 가진 사람이라고 중국인 혼혈이라던가 한문을 더 잘 읽고 쓰는 것도 아니고 베트남계 시조를 둔 화산 이씨 위구르계 시조를 둔 경주 설씨가 특별히 더 베트남어를 잘하거나 이슬람를 믿는 인구가 많거나 뭐 이런 것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