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7-07 22:19:22

처인성 전투

처인성에서 넘어옴

파일:고려 의장기 문양.svg 고려의 대외 전쟁·정벌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670000,#FFCECE>전쟁·정벌 전투 교전세력
<colbgcolor=#fedc89,#444444> 후삼국​통일전쟁
조물성 전투 후백제
대야성 전투 후백제
공산 전투 후백제
나주 공방전 후백제
삼년산성 전투 후백제
고창 전투 후백제
운주성 전투 후백제
일리천 전투 후백제
여요전쟁
봉산군 전투 요나라
안융진 전투 요나라
흥화진 전투 요나라
통주 전투 요나라
곽주 전투 요나라
서경 전투 요나라
애전 전투 요나라
삼교천 전투 요나라
금교역 전투 요나라
귀주 대첩 요나라
여진정벌 동북 9성 여진족
갈라수 전투 여진족
길주성 전투 여진족
거란 유민들의 고려 침공 강동성 전투 후요
여몽전쟁 귀주성 전투 파일:몽골 제국 국기.svg 몽골 제국
동선역 전투 파일:몽골 제국 국기.svg 몽골 제국
안북성 전투 파일:몽골 제국 국기.svg 몽골 제국
처인성 전투 파일:몽골 제국 국기.svg 몽골 제국
죽주산성 전투 파일:몽골 제국 국기.svg 몽골 제국
충주성 전투 파일:몽골 제국 국기.svg 몽골 제국
원나라의 일본원정 제1차 원정 파일:미나모토씨 가몬.svg 일본 (가마쿠라 막부)
제2차 원정 파일:미나모토씨 가몬.svg 일본 (가마쿠라 막부)
카다안의 침입
치악성 전투 합단적
연기 전투 합단적
장사성의 난 장사성의 난 장사성
홍건적의 침공 홍건적 홍건적
나하추의 침공 함흥평야 회전 나하추
기황후 주동의 원나라군 침입 수주 달천 전투 최유
여진족 장수 호발도의 침입 길주 전투 호바투
목호의 난 명월포 전투 원나라 목호
왜구의 침입 홍산 대첩 왜구
진포 해전 왜구
황산 대첩 왜구
관음포 전투 왜구
제1차 대마도 정벌 왜구
요동정벌 제1차 요동정벌 파일:원나라 국기.jpg 원나라
제2차 요동정벌 ( 위화도 회군) 파일:고려 의장기.svg 공요군
}}}}}}}}}
처인성 전투
處仁城 戰鬪
<colbgcolor=#fedc89,#444444><colcolor=#670000,#FFCECE> 시기 1232년 ( 고종 20년) 12월 16일
장소 고려 양광도 수주 처인부곡 처인성
(現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읍)
원인 몽골의 2차 침입
교전국 <rowcolor=black> 고려
(수세)
몽골
(공세)
주요 인물
지휘관

파일:고려 의장기.svg 김윤후
지휘관

파일:몽골 제국 국기.svg 살리타이
병력 고려군: 1,100여 명
- 피난 군민: 1,000여 명
- 승병: 100여 명
병력 규모 불명
피해 피해 규모 불명 피해 규모 불명
결과 고려의 대승
영향 * 몽골군 최고 지휘관 살리타이 전사 및 전면 철수
* 몽골의 2차 침입 저지
1. 개요2. 배경3. 처인성4. 전투의 시작5. 전투의 향방6. 2차 여몽전쟁의 종료7. 같이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external/hawkebackpacking.com/south_korea_seoul_war_memorial_07.jpg
▲처인성 전투의 상상화[1][2][3]

제2차 여몽전쟁의 전투 가운데 하나로, 처인부곡(현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에서 고려의 승장 김윤후가 살리타이를 저격해 사살한 뒤 몽골군을 대파시킨 전투이다. 전문적인 훈련을 받은 군인이 아니라 지역 주민들을 주축으로 몽골군을 상대하여 성공적인 방어전을 수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여몽전쟁의 가장 주요한 승리 중 하나이다.

2. 배경

1232년 8월. 몽골 제국의 대대적인 2차 침략이 시작되었다. 살리타이가 이끄는 몽골군은 서경 홍복원의 도움으로 무난히 함락시킨 후 같은 해 10월, 개경에 도달하게 된다. 하지만 이미 고종은 정부를 강화도로 이전한 상황. 살리타이 강화도를 건너서 공격할까를 고민하다[4] 결국 배를 모조리 불태워 버리고 고려 전체를 불태워 버려 고려 정부, 아니 고려 왕이 밖으로 나올 수밖에 없는 상황을 만들기 위해 남하를 시작했다. 1,000여 명의 별동대가 방화와 약탈을 일삼으며 빠른 속도로 남하를 진행하고 있었고[5] 살리타이가 이끄는 직할군인 제4군은 수갈래로 나뉘어 남진을 진행했다.

그해 11월 한양산성을 점령하고 경기도 광주에 도착한 살리타이는 광주성을 공격했지만, 목사 이세화를 필두로 결의를 다지던 광주성은 끝끝내 함락되지 않았다. 결국 살리타이는 귀주성에서의 안 좋은 기억 때문에 결국 공격을 포기하고 우회하게 된다. 그리고 그는 주력 병력을 강화 쪽으로 돌리고 직접 지휘하는 일부 병력으로 도달한 곳이 바로 현재의 용인시였다. 구성동에 위치했던 용구현성(龍駒縣城)을 무혈입성하여 함락시킨 후 제4군의 주력을 용인 수원 군포 → 부평 → 김포를 경유해서 강화도의 통진으로 진출시켜 강화도를 압박하게 하고 본인의 일부 병력으로 남하를 계속했다.

그리고 그곳에 둘레 425m[6]도 안 되는 작은 토성(土城)인 처인성(處仁城)을 마주하게 된다. 얼마나 작은지 좀처럼 감이 잡히지 않는다면, 100명 정도가 물자를 가지고 들어갔을 때 꽉 차는 정도라고 보면 된다.

3. 처인성

처인성은 위에도 언급했듯이 자그마한 토성이었다. 거기다 처인성이 위치한 지역은 바로 천민들의 거주지, 처인부곡(處仁部曲)이었고, 성 안에 피난해 있던 사람들은 모두 정규군이 아닌 용인시 일대 수령들이 이동시킨 약간의 병력과 백성들[7], 그리고 김윤후를 비롯한 승려 100여 명과 다수의 부곡민들이었다.

굳이 싸우지 않아도 될 싸움이었지만, 살리타이가 공격을 감행한 이유는 그곳에 있던 군량창고 때문일 것으로 추정된다.

사실 처인성 전투 자체가 우연에 우연을 거듭하여 벌어진 사건이었다. 원래 살리타이의 목표는 광주를 점령하여 남부 지방으로 항하려 했는데, 막상 광주에서 격렬한 저항에 부딪히는 바람에 할 수 없이 진로를 용인시로 바꾸었고, 막상 또 용인에 와 보니 주민들은 전부 피난가고 빈 성만 있었고, 그러다가 인근 처인성에 군량 창고가 있다는 소문을 듣고 그리로 향했는데, 막상 처인성에 소수의 천민들이 피난해 들어갔다는 정보를 입수하자 분풀이 대상으로 삼고자 공격한 것이었다.

사실 용인시의 주 방위산성은 처인성이 아니라 보개산성[8]이었다. 이미 귀주와 광주에서 한번 뜨끔하게 데인 살리타이는 그냥 공성전을 포기하고 지나가려는 찰나 처인성이라는 작은 토성에 군량창고, 거기다 수도 얼마 안 되는 부곡민들이 들어갔다는 정보에 싸움을 건 것이니, 애초에 싸움을 매우 쉽게 보았을 것이다.

살리타이가 처인성에 도달하고 본대에서 500여 기의 기병을 직접 차출해 처인성 동북쪽의 완장리, 매룡리 일대를 점령해 포위공격을 할 준비를 시작했다.

4. 전투의 시작

1232년 12월 16일. 처인성에서 동북쪽으로 50리 지점에 도착한 살리타이는 완장리, 매룡리 일대에 병력을 3개 대로 분산 배치해 완벽한 포위망을 설치하였다. 이에 대비해 처인성의 백성들은 싸우기로 결정, 승려 김윤후를 대장으로 추대했다. 김윤후는 백성들에게 무기를 나눠주고 그들의 동요를 막으며, 다가올 싸움에 대비를 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적들의 주요 공략지로 판단한 처인성 동문 밖 300m 지점에 저격수 수십 명을 배치시켜 유사시를 대비했다.

그리고 하늘이 도왔고 기적이 일어났다. 물론 운이라기보다는 전술이 빛을 발한 것이다. 당시 이런 저격 전술을 사용이나 했을까? 김윤후 스님의 시대를 앞선 전술에 대어가 낚인 것. 처인성 공격의 지휘자이자 고려침공군의 총사령관 살리타이가 김윤후의 화살에 맞아 전사한 것이다.

특히 몽골군은 총사령관이 전사하는 경우가 몽골 제국~ 원나라 역사에 있어서도 한손으로 꼽을 정도로 드물었기에, 진영이 순식간에 무너지고 사기가 땅으로 떨어졌다. 결국 본국으로 돌아가는 계기가 된다.

5. 전투의 향방

기록에 따라 다 다르게 나와있다. 12월 16일 살리타이의 지휘아래 대규모 공격을 감행했다는 기록과, 살리타이가 일부 기병을 데리고 처인성 동문을 정찰왔다가 저격병의 기습에 사망했다는 기록이 존재한다.

하지만 분명한 사실은 김윤후와 저격병들이 살리타이를 사살하는 전과를 올렸다는 것[9], 그리고 지휘관을 잃은 몽골군은 당황했고, 처인성의 승병과 천민들이 성문을 열고 나와 몽골군을 모조리 대파해버렸다는 것이다.

기본적으로 몽골군의 특징은, 총사령관이 죽는 순간 전투를 멈추고 돌아가는 습성이 있다. 비슷한 예로 몽골-남송 전쟁 중 합주 조어성 전투에서 몽케 칸이 전사하자 다른 전선에서 남송을 공격하던 쿠빌라이 우량카다이 등 3로군이 모두 철수했고, 머나먼 서방에서 정복전을 수행하던 서방 원정군 사령관 훌라구조차 쿠릴타이 참석을 위해 원정군 일부만 남겨두고 철수했다.

6. 2차 여몽전쟁의 종료

총사령관이었던 살리타이의 사망은 몽골군으로썬 굉장한 충격이었다. 부원수였던 테케는 고려 왕이 나올 때만을 하염없이 기다릴 수밖에 없는 상황속에서 다급해질 수밖에 없었고, 결국 고려와의 강화를 체결하고 철군하게 되었다. 이때 모습은 굉장히 다급한 철수라는 것이었다는 것도 기록으로 남아 있다.
"몽고 군사는 일시에 함께 돌아가지 않고, 혹은 먼저 가기도 하고 혹은 뒤에 떨어지기도 하고, 동으로 갈까 북으로 갈까 망설이면서 그 향할 곳을 알지 못하였다." - << 동사강목>>

이 전투 이후 고려 조정에선 김윤후에게 상장군의 직위를 내렸으나 김윤후는 거절하였다.[10]
저는 전시를 당해서도 무기를 잡고 일어서지 못했던 몸입니다. 그런데, 어떻게 하잘 것 없는 공으로 후한 상을 받겠습니까? - 고려사 권103, 김윤후열전

이러니 조정에서는 그의 거절을 받아들이면서도 고마움을 잊을 수 없어 조금 낮추어 종6품 정도의 직책을 내려주었다. 그러나 김윤후는 21년 뒤 장수가 되어 다시 활약을 하게 되니, 그것이 바로 충주성 전투이다.

처인부곡은 처인성 전투의 공을 인정받아 처인현으로 승격되었다.

7. 같이보기


[1] 전쟁기념관 소장. 그림 왼쪽에 있는 승장(僧將) 김윤후의 활을 쏘는 모습이 인상적이라 그런지, 국사 교과서 등에 이 사진이 올라오면 매우 높은 확률로 교과서 낙서의 희생양이 된다(…) [2] 상상화라 상식적으로 저지를 이유가 없는 장면이 들어가있는데, 바로 몽골군 기병들이 말을 타고 전속력으로 토성에 돌진하는 중이라는 것(…). [3] 사실 몽골 기병은 상상을 초월하는 기마술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추후 김윤후와 재대결하는 충주성 전투에서도 성벽 아래 나무와 풀 등으로 디딤대를 쌓아 성벽 위로 말을 탄 채 뛰어올라서 성벽을 제압하려고 시도했으나 충주성 측에서 바로 불을 던져버려서 무위로 돌아간 적이 있다. 따라서 저 그림에 묘사된 대로라면 처인성 정도의 작고 완만한 외부경사를 지닌 성 정도는 몽골 기병에게 전혀 어렵지 않다. 하지만 문제는 현실에서는 저 성벽 위에 목책 같은 것이 꽤 높이 올라가 있었을 가능성이 거의 100%라는 것. [4] 이때 포로로 잡힌 태주(현재의 평안북도 태천군)사람이었던 변여를 고문해서 해로를 알려고 했지만, 그는 끝내 모른다고 주장하였고 결국 사망했다. [5] 이때 충청도 대구광역시를 지나 부인사를 불태워 버렸고, 그때 초조대장경이 불타 없어지게 되었다. 이때 대구에서도 승려와 일반 백성들이 결사 항전했으나 패배했다는 기록이 전해진다. [6] 현재 남아 있는 성벽은 250m 가량이다. [7] 이들 합이 총 100여 명에 불과했다고 한다 [8] 길이 약 750m, 봉수대까지 있었다. [9] 원나라의 공식 기록인 원사에서도 유시(流矢)에 맞았다고 적혀있다. 눈먼 화살, 즉 난데없이 날라온 화살이라는 뜻. [10] 상장군은 고려의 장수 지위 중 가장 높은 벼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