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원의 직급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
<colbgcolor=#eee,#000> 임원 | 명예회장 | 회장 | 부회장 | 사장 |
부사장 | 전무이사 | 상무이사 | 이사 | ||
중간관리직 | 부장 | 차장 | 과장 | 대리 | |
실무자 | 계장 | 주임 | 사원 | 인턴 | |
기타 | 주재원 | 정규직 | 무기계약직 | 비정규직 |
1. 개요
次 長차장 문서 중 사기업 내 직급을 설명한 문서.
2. 사기업 내 정의
- 일반적으로는 회사 등에서 장(長) 다음가는 직위로 정의를 내릴 수 있다.
- 일본어에서는 부장(副長)이라고도 한다[1]. 영어로는 Deputy Manager. 다만 한국어에서는 발음이 같은 부장(部長)과 헷갈릴 소지가 많기 때문에 쓰지 않는 표현이며, 굳이 따지자면 부부장(副部長)으로 써야 하겠지만, 이 경우는 보통 부장과 차장 사이의 직급을 뜻할 때 쓰인다.
3. 사기업 내 직위
- 대기업에는 사장에서 이사까지 1% 정도의 임원과 사원에서 과장까지 90% 정도의 실무자가 있다. 임원이 직접 모든 실무자를 통제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므로 차장이나 부장 같은 중간관리직을 둔다.[2]
- 차장은 부장 다음으로 가는 높은 지위자이며 부장의 부재, 유고, 사고 등으로 본업을 수행할 수 없을 때 직무대행 등으로 일시적으로 부장 역할을 하기도 하며 실적에 따라 장으로 승격될 수 있다.
- 부장과 과장 사이의 계급이다. 주로 차장부터 가장 낮은 부서장의 역할을 담당한다. XX파트의 파트장인 차장은 김OO 파트장, XX부( 部)의 부장(部長)인 차장의 호칭은 이OO 부장처럼 부르면 된다.
- 규모가 작아진 증권 계열 기업들에서는 대리 달고 과장 계급을 스킵 후 바로 차장 계급을 달아주는 경우가 있지만, 기업의 규모에 따라 다르다. 계급 인플레이션을 막기 위해서 올라가기는 힘들며 차장까지 왔다는 의미는 그 지점 또는 회사에 13~19년 정도 근무했다는 의미가 된다. 직급이 올라가기 힘든 증권가 계열의 특성상 이 직급에서 정년을 바라보거나 퇴직하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의 지점에서 지점장(부장)-팀장-차장 이렇게 톱 3로 관리한다. 경우에 따라서 해당 지점에 차장이 여럿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3]
4. 사기업 중 언론사의 특징
- 신문사와 방송사 등 언론사에서는 현장 취재 기자 중 10년 차 이상 경력을 갖춘 고참 기자들에 붙는 직급이다. 부서 내 팀제인 언론사에서는 보통 차장들이 팀장 역할을 맡는다. 이들은 주로 취재 현장에서 굵직한 기사들을 쓰며 간혹 데스크로 불리는 부장을 보필하기도 한다. 차장 직급에서 기사의 파급력이 좋거나 혹은 영업 성과가 좋은 이들은 부장으로 승진하곤 한다. 이외에도 정년 퇴직이 임박한 50대 언저리의 고참 기자들에게 그동안 회사에서 일하느라 수고 많았다고 말년 예우해주는 차원에서 차장 직급을 주는 경우도 많다. 물론 명예 계급에 가까운 만큼 실질적인 지휘권을 쥐고 있지는 않다.
5. 중소기업의 특징
- 중소기업에서는 다른 직급이 다 그렇듯이 그냥 대중없다고 보면 된다. 일부 기업은 직급별 권한, 책임, 혜택 자체가 아예 없는 경우도 있는데 이런 곳에서는 햇수만 채우면 직급을 올려주는 식이라 차장을 달아도 그냥 부장보단 직장 경력이 짧고 과장보단 높은 사람이구나 하는 정도의 의미뿐, 사실상 아무 의미가 없다.
- 이런 중소기업에서의 직급은 그냥 립서비스다. 그래서 20대 차장도 얼마든지 나오고, 립서비스에서 적체 따위에 신경 쓸 이유가 없으므로 평사원보다 과장 이상 매니저급의 직원 수가 더 많아지기도 한다.[4] 물론 반대로 대기업이나 공무원처럼 나름대로 체계를 갖추고 권한, 책임, 혜택을 부여하는 기업들도 얼마든지 있다.
[1]
일본어에서는 部長은 ぶちょう, 副長은 ふくちょう로 발음이 달라서 헷갈릴 일이 없다.
[2]
다만 간혹 과장이 중간관리직 중
파트장을 맡는 경우도 있다.
[3]
입사 13년 차에 차장을 달았다면 그야말로 논스톱으로 승진을 했다고 봐도 되지만, 보통 그런 경우는 거의 없다.
포스코그룹의 경우 사원, 대리, 과장을 각각 4년씩 하며 입사 13년차 차장이 많이 나온다.
[4]
이런 중소기업의 "팀장" "연구소장" "본부장" 등이 실질적인 직급 노릇을 하곤 하지만, 저런 직급마저 얼굴마담용으로 그냥 남발하는 곳들도 있으니 확실한 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