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5 16:37:40

진보당/지지 기반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진보당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B7DDF5><colcolor=#d6001c> 역사 2020년 이후
지지 기반 · 다른 정당과의 관계
당직선거 제2기(2022) · 제3기(2024)
선거 20대 대선 소금꽃 선거대책위원회 · 공약 · 결과
8회 지선 결과
22대 총선 후보자 · 결과
재보궐선거 2021년 · 2023년 상반기 · 2023년 하반기 · 2024년 상반기 · 2024년 하반기
주요 정치인 김재연 · 윤종오 · 정혜경 · 전종덕 · 김종훈
산하 조직 청년진보당 · 진보정책연구원
연대 단체 민주노총·진보정당 연석회의 · 반기득권 공동정치선언 · 더불어민주연합 · 한국진보연대
관련 조직 민주노동자전국회의 · 경기동부연합 · 광주전남연합 · 울산연합 · 인천연합 · 민중당 · 민중연합당 · 새민중정당
관련 틀 역대 상임대표 · 역대 원내대표 · 지도부 · 21대 국회의원 · 22대 국회의원 · 기초자치단체장 · 광역의회의원 · 기초의회의원 · 계파 분류
}}}}}}}}} ||


1. 지역기반2. 민주노총 내 기반3. 선거에서 유리한 점4. 선거에서 불리한 점5. 전망

1. 지역기반

크게 지지 기반을 요약하자면 아래와 같다.

해당 지역들의 경우는 오랜 지역 활동으로 인한 당원 조직력과 노동조합, 농민회 등과의 연계가 있기 때문에 진보당의 세가 존재한다.

특히 아래에서 후술한 진보당의 유리한 점인 높은 조직력은 정의당, 노동당 등 다른 진보정당보다 더 유리한 입지에 있는 데 도움이 된다. 대한민국의 선거는 비례대표 비율은 낮고 소선거구제 기반의 지역구 비율이 높기 때문에 지역구에서 일정부분 조직력이 있는 정당이 훨씬 유리한 위치에서 시작하기 때문이다.

2. 민주노총 내 기반

민주노총 내 정파인 " 민주노동자전국회의(일명 전국회의)"의 사실상 배타적인 지지를 받고 있다. 전국회의 소속이자 현 위원장인 양경수 또한 진보당의 당원으로 20대 대선 때 김재연 후보 캠프에 참여해 선거운동을 했다. 다만 22대 총선 도중 진보당의 더불어민주연합 참여와 관련해 의견이 분열되어, 전국회의[10] vs 평등의길[11] + 전국결집[12] 구도가 되어버린 상황이라 입지가 위태로운 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국회의의 지분이 민주노총 내부에서 워낙 강하고, 그나마 현장파 소속 인원들과 전국회의의 지분이 약하면서 견제를 하고 있는 공공운수노조[13]가 2024년에 대대런, 노동절 대회 난입 및 한국경제 취재 등의 삽질을 일으키면서 민주노총 내부에서 무정파 조합원들에게 반감을 산 바 있기에 민주노총 내부에서 전국회의의 지분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진보당의 의원 3명 모두 민주노총 운동가 출신(윤종오 - 금속, 정혜경 - 학교비정규직, 전종덕 - 보건의료)인만큼 22대 국회에서 민주노총과 진보당의 연계 활동이 강화될 가능성이 높다.

산별노조 별로는 서비스연맹 건설노조에서 지지세가 강력하다. 최근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학교비정규직노조(학비노조), 마트노조 등에게는 배타적인 지지를 받고 있으며, 평등의길 지분이 가장 높은 금속노조[14]와 전국결집 지분이 가장 높은 공공운수노조[15] 중 공항항만노조에서도 지지세가 약하지 않다. 두 노조에서도 삼파전 구도 정도는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것.

3. 선거에서 유리한 점

4. 선거에서 불리한 점

5. 전망



[1] 김미희 전 의원의 선거구이다. 성남하이테크밸리 등이 있는 노동자벨트로서 전통적인 성남 본시가지(원도심, 구성남) 중심지인 수정구보다도 더 진보적이다. 한편 원도심과 달리 부촌에 고액 자산가, 고소득층이 많이 거주하여 진보의 험지라 불리는 분당구에도 진보당이 당협을 세우고 지역구 활동을 넓혀가고 있는데 여수동 도촌동이 개발되어 분당구와 중원구가 매우 가까이 붙어있기 때문이다. [2] 이상규의 선거구가 여기에 있었다. [3] 윤종오 의원의 선거구이자 현대자동차가 있는 곳 [4] 김종훈 전 의원의 선거구이자, 그가 구청장으로 있는 지역, 현대중공업이 존재하기도 한다. [5]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때 유일한 진보정당 기초의원이였던 노정현이 재선을 한 지역구였다.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45%를 득표며 낙선하였다. [6] HJ중공업이 있는 곳이자 민주노동당 시기에 기초의원 의석이 있었던 자치구 중 하나다. 여담으로 이번에도 불과 170표 차이로 아쉽게 기초의석을 확보하지 못했다. [7] 정확히는 반송동 등 해운대구 동부 지역이다. 국민참여당에서 울산연합으로 전향한 고창권이 활동했던 지역구이자, 앞의 영도구,연제구와 같이 민주노동당이 기초의원을 배출했던 자치구 중 하나다. 다만 이번 선거에서는 낙선했다. [8] 통합진보당이 해산된 이후 서울 지역의 통진당 지지 기반 대부분이 경기동부와 함께 민중연합당으로 갔던 반면, 노원구 쪽은 울산연합과 함께 새민중정당으로 갔다. 새민중정당 서울시당 위원장 출신 최나영이 노원구 나선거구에서 기초의원으로 당선되는 등 노원구에서는 진보당 세가 강한 편. 진보당은 노원구 갑 쪽에서 활동하고, 정의당은 노회찬의원의 지역구였던 상계동 쪽에서 주로 활동한다. [9] 진보당은 해당 5곳 모두에서 기초의원을 배출했다. [10] 진보당 지지 정파 [11] 정의당 지지 정파 약칭으로 평길이라 불리운다. [12] 노동당 지지 정파, 민주노총 내부에선 좌파 내지 좌단위라 불리우며 국힘, 민주당 양당에 가장 적대적이다. [13] 현 집행부는 노동당에 대해 배타적으로 지지하며, 정의당에 대한 지지도 강하다. 한 가지 웃지 못할 건, 정작 노조 선거 때는 전국회의의 몰표를 받아서 평길을 이길 수 있었다는 것. [14] 녹색정의당 후보로 출마한 여영국이 금속노조 출신이다. [15] 노동당 후보로 출마한 이장우가 공공운수노조 출신이다. [16] 뜬금없이 웬 서울? 이럴 수 있는데, 통합진보당 분당 당시 인천연합 지도부가 정의당으로 탈당하자, 그들의 영향을 받았으면서도 사수파에 남은 서총련 출신들이 있었다. 이들은 노선대(경기동부의 전신)와도 별개의 조직을 유지하고 있었기에 부울경과 같이 활동하다가 이제는 아예 일체화가 되어버린 것. 당장 주민대회가 열리는 지역을 검색해보면 바로 답이 나온다. [17] 물론, 정의당도 노동 의제를 중시하지만, 현실 정치에 머무르면서 활동 선명성이 상당히 희석됐고, 노동 운동 필드에서 뛰는 인력은 진보당보다 적기 때문에 불리한 점이 존재한다. [18] 창당 무렵 당원의 70% 이상이 기존 진보정당 당적이 없던 것으로 공식 집계된 적이 있다. [19] 블랙 코미디지만, 정의당의 부채가 40억에 육박하자 빚, 혼자 고민하지 마세요 진보당의 가계부채119에서 상담받으라는 개드립이 회자된 적도 있다. 물론 민생상담센터는 개인 부채를 상담하는 곳이므로 해당사항이 없다. [20] 이는 더불어민주당이 2020년에 비례연합정당이자 위성정당인 더불어시민당을 조직할 초창기 당시 진보당의 전신인 민중당을 과감히 참여주체에서 탈락시킨 것에서 잘 알 수 있다. 즉 이들이 비례연합정당인 더불어시민당에 참여하면 득은커녕 강성 NL계와 함께하는 모습을 보이면 (안보적으로 보수적인 편인) 중도층의 이탈을 불러올 수 있어 더불어민주당까지 타격을 입을 정도로 해악을 입힌다고 당 지도부와 국회의원 그리고 당원들이 판단을 한 것이다. 통합진보당과 야권연대를 맺었던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의 실패를 반면교사로 삼은 것이기도 하다. [21] 그러나 결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연대하게 되었다. 윤석열 퇴진이라는 공통분모, 갈수록 보수화되는 부동산 민심 속에서 지역구의 캐스팅보트 정도는 될 수 있는 진보당의 조직력 등을 더는 무시할 수 없게된 것. 물론 이재명 체제의 민주당 지도부도 (진보정당 전체적으로 망언을 내뱉은 윤호중 등은 이미 지도부에서 퇴장했고) 연대에 긍정적이고, 그나마도 후보 사퇴 등의 논란이 있었지만, 어쨌든 적게는 수 개, 많게는 십여 개의 경합 지역구에서 승리를 거둘 수 있게 되었다. 참고로 단일화를 위해 진보당이 사퇴한 지역구는 대략 70여개에 달하며 (이상헌 리스크를 비롯한 정무적 판단 때문에 내줬다가 불복 파동 끝에 결국 경선을 치른) 울산 북구와 경선에서 승리한 부산 연제구, 그리고 단일화를 거부한 비명 정태호의 지역구 관악 을과 단일화 예외 지역인 호남과 대경권(그러나 지역당끼리 자체적으로 단일화했다) 등을 비롯한 21개 지역구에서만 후보가 출마했다. [22] 다만 진보당 입장에서는 이 전략이 유효한 게 통합진보당 해산 당시 반대하던 국민이 10~30% 정도 있었고 이들의 지지만 얻어도 진보계에서는 정의당을 제치고 확고한 입지를 다질 수 있기 때문이다. 어차피 지지하지 않을 사람들도 통합진보당 잔당과의 연관을 어느정도 아는 탓에(당장 간부 리스트만 봐도 각이 나온다.), 이런 사람들을 굳이 의식하는 것은 별 의미가 없다. 단 대다수가 이미 해산 이후 공백기 동안 정의당으로 넘어간 탓에 지금 당장 소득을 기대하기는 힘들다는 게 문제다. [23] 하지만, 진보당을 이루는 적지 않은 당원은 이 당의 정책적 선명성에 기대를 하는 경우가 많기에, 급진성을 포기하면 다른 문제가 생겨날 수 있다. 또한 조국혁신당처럼 거대정당이 아닌 소수정당이기 때문에 급진적으로 나거더라도 크게 영향이 가지 않을 수도 있다. [24] 다만 이게 마이너스가 아니란 견해도 있긴 한데, 왜냐면 민주노총 내부에 진보당에 우호적인 집단인 전국회의가 대다수를 차지하기 때문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