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7 04:17:32

조숭(삼국지)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10E0E 0%, #A11 20%, #A11 80%, #810E0E); color: #ece5b6;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조위 曹魏
처사군 고제 태제 무제
손오 孫吳
효의왕 무열제 장사환왕 문제
}}}}}}}}}

조숭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후한의 태위
{{{#!wiki style="border-right: 2px solid transparent; border-left: 2px solid transparent;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ece5b6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1대

조희
2대

우연
3대

조희
4대

모융
5대

포욱
6대

등표
7대

정홍
8대

송유
9대

윤목
10대

장포
11대

장우
12대

서방
13대

장우
14대

이수
15대

사마포
16대

마영
17대

유개
18대

양진
19대

풍석
20대

유희
21대

주총
22대

유광
23대

방참
24대

시연
25대

방참
26대

왕공
27대

환언
28대

조준
29대

이고
30대

호광
31대

두교
32대

조계
33대

원탕
34대

호광
35대

황경
36대

호광
37대

황경
38대

유구
39대

양병
40대

진번
41대

주경
42대

유구
43대

문인습
44대

유총
45대

곽희
46대

문인습
47대

이함
48대

단경
49대

진탐
50대

허훈
51대

유관
52대

맹욱
53대

장호
54대

진구
55대

교현
56대

단경
57대

유관
58대

허욱
59대

양사
60대

등성
61대

장연
62대

장온
63대

최열
64대

조숭
65대

번릉
66대

마일제
67대

유우
68대

동탁
69대

황완
70대

조겸
71대

마일제
72대

황보숭
73대

주충
74대

주준
75대

양표
76대

가후
※ 둘러보기: 한의 대장군 (大將軍) · 후한의 대사공 (大司空) · 후한의 대사농 (大司農) · 조위의 태위 (太尉) · 조위의 사도 (司徒) · 조위의 사공 (司空) · 손오의 승상 (丞相) · 촉한의 재상 (宰相) }}}}}}}}}}}}}}}

후한의 대사농(大司農)
{{{#!wiki style="border-right: 2px solid transparent; border-left: 2px solid transparent; margin: 0 -10px;"
{{{#ece5b6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81818,#e5e5e5
1대

이통
2대

송홍
3대

탁숭
4대

해양홍
5대

모융
6대

왕민
7대

유관
8대

정중
9대

송유
10대

윤목
11대

장우
12대

호광
13대

황창
14대

이고
15대

두교
16대

장흠
17대

황경
18대

충고
19대

허욱
20대

장온
21대

장순
22대

조숭
23대

사손서
24대

주준
25대

장의
26대

왕읍
※ 둘러보기 : 한의 대장군 (大將軍) · 후한의 태위 (太尉) · 후한의 대사공 (大司空) · 조위의 태위 (太尉) · 조위의 사도 (司徒) · 조위의 사공 (司空) · 손오의 승상 (丞相) · 촉한의 재상 (宰相) }}}}}}}}}}}}}}}

<colbgcolor=#00008b><colcolor=#ece5b6>
조위 추존 황제
조숭 | 曹嵩
출생 연대 미상
후한 예주 패국 초현
(現 안후이성 보저우시)
사망 193년
후한 연주 태산군 비현, 화현 일대
(現 산둥성 린이시 일대)
능묘 미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08b><colcolor=#ece5b6> 성씨 조(曹)
숭(嵩)
부모 양부 고황제
양모 고황후
배우자 태황후
자녀 6남
거고(巨高)
시호 태왕(太王) → 태황제(太皇帝)
}}}}}}}}} ||
1. 개요2. 정사 삼국지3. 삼국지연의4. 조숭은 하후씨인가?
4.1. 긍정설4.2. 부정설
5. 미디어 믹스

[clearfix]

1. 개요

후한 말의 인물. 조위 태조 무황제 조조의 아버지이며 고조 문황제 조비의 할아버지, 아내는 태황후 정씨. 는 거고(巨高).

출생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인물로 이 때문에 《 정사 삼국지》 <무제기>에는 조조가 전한 초창기의 상국 조참의 후손이라면서도 그의 아버지의 본말을 알 수 없다고 했다.[1] 중상시 조등의 양자로 들어갔다.

2. 정사 삼국지

성품은 인정이 많고 후하면서 신중했고, 도처에서 충효가 있었으며, 사례교위가 되었다가 영제의 발탁으로 대사농, 대홍려를 지내다가 최열을 대신해 태위에 올랐다. 중평 5년(188년)에 태위직에서 파면되었다.

장개에게 살해당할 당시 재산을 실은 수레만 100여 대에 달했다는 기록으로 보아 정말로 엄청난 부자였던 듯하며, 이 재산을 바탕으로 환관에게 뇌물을 바치고 영제에게 서원전(西園錢) 1억 전을 바쳐 매관매직해서 태위직을 샀다. 태위가 비록 명예직이라지만 사도, 사공과 함께 삼공 중 하나였던 것을 생각하면 이는 엄청난 사건이다. 이러한 그의 엄청난 재산은 조조가 성공하는데 있어서 큰 뒷받침이 되었다.

동탁 집권 중 동탁이 서도 장안으로 천도를 강행하며 낙양에 방화하여 초토화되자, 조숭은 도겸 치하의 서주 낭야로 떠나 전란을 피해 있었다. 그 후 초 지역을 안정시킨 조조가 부친 조숭을 모시고자 하여 조숭은 조조에게로 간다. 그러나 낭야에서 조조에게 가던 도중, 도겸이 보낸 부장 장개에게 태산군에서 아들 조덕 등과 함께 살해당했다. 그의 죽음은 서주 대학살의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이것에는 두 가지 상반된 기록이 존재하는데 서주 대학살을 참조하기를 바란다. 나중에 손자 조비가 조숭을 태왕(太王)에 추존했고 증손자 조예가 황제가 된 후에는 태황제(太皇帝)로 추존되었다.

조숭의 묘는 사망한 서주 낭야군 양도현에 쓰여졌는데 놀랍게도 제갈량이 어린 시절을 보낸 집터에서 아주 가깝다. 차편을 이용할 것도 없이 걸어서 갈 수 있는 거리. 사실 어린 소년이던 제갈량이 조숭의 죽음으로 일어난 서주 대학살을 겪으며 융중으로 이주 했다는 설이 있는걸 생각하면 의미심장한 부분. 하지만 지금은 평탄화로 사라졌고 옛 지도에서나 볼 수 있다고 한다.

3. 삼국지연의

조조 진류로 와서 의병을 일으킬 계획을 얘기하자 조숭은 조조에게 위홍을 소개해주며, 조조가 연주를 차지할 때, 도겸이 잘 챙겨 조조에게로 보내주려고 했다가 호위무사로 붙여준 장개가 본래 황건적 잔당 출신이었던 본성을 드러내어 재물을 빼앗고 죽인 뒤에 도망가는 이야기로 그려지는데 작가는 조조가 여백사의 일가를 죽인 것에 대한 업보라고 평가한다.

4. 조숭은 하후씨인가?

정사 삼국지》 <무제기>의 배주에서 《 조만전》의 “조숭은 원래 하후씨로 조등의 양자가 되었다”라는 말을 인용했다. 이 때문에 조숭을 하후씨라고 하는 것이나, 어쩌면 원래 조씨였을지도 모른다. 왜냐면 조조의 딸 청하공주가 나중에 하후돈의 아들 하후무와 결혼하는데 하후돈과 사촌지간이었다면 어느 정도 근친혼이 되기 때문이다. 중국은 고대부터 이미 부계, 모계를 포함한 동성동본 결혼을 금지했는데, 조숭이 하후씨라면 이를 어긴 것이다.

4.1. 긍정설

진수가 동성동본의 혼인을 대놓고 쓸 수 없어서 조숭이 하후씨라고 쓰지 않고 그렇다고 이를 안 쓸 수는 없어서 <종실전> 대신 <제하후조전>을 마련해 하후씨가 위나라 종실임을 암시했다는 의견도 있다. 학자중에선 반미처럼 진수가 대놓고 조숭의 출생본말을 알 수 없다고 뭉뚱그려 놓은 다음 여러 하후씨와 조씨를 한 권으로 만든 것 자체가, 하후씨가 조위의 종실임을 드러냈다고 보는 측도 있다. 하후씨가 조씨와 인척관계에 있을 뿐이라면 굳이 위나라 황실의 종실들만이 들어갈 자리인 '<종실전>'을 따로 두지,[2] '<제하후조전>'이란 이름으로 하후씨와 조씨를 묶지 않았을 것이다.

손성 조비 하후돈의 죽음을 애도할 때 같은 성씨의 예법을 어겼다고 비판했다. 즉 조비와 하후돈을 동성으로 본 것이다.

4.2. 부정설

반대로 하후씨와 조씨가 서로 겹사돈을 맺었기에 진수가 이들의 열전을 한 곳에 묶었다고 볼 수도 있다. 서로 겹사돈을 맺을 정도로 끈끈한 가문이었고, 워낙 친밀한 인물들이기에 같은 열전에 묶었고, 그래서 마치 조조가 하후씨 아니냐는 소문이 생겼다고 보는 것이다. 실제 조조는 조인 등을 일족의 장수로 취급했지만 하후돈에게는 친구같은 신하라고 했을 뿐이다.[3]

또한 왕침 등이 쓴 《위서》에 따르면 조등은 조절의 막내 아들로 위로 백흥, 중흥, 숙흥이라는 를 가진 세 명의 형이 있었다고 한다. 조등은 환관이 되었지만 위로 세 명이나 되는 형들이 있고 그만큼 조카들이 많았을 것인데, 굳이 가까운 곳에서 자손을 찾지 않고 혈연도 없는 하후씨를 양자로 들였을 가능성은 적어 보인다.[4] 물론 정황상 추측하는 것으로 사료나 근거가 부족하기 때문에 정확한 것은 아니며 조숭의 내면 등을 보고 일부러 혈연이 없는 조숭을 양자삼았을 수도 있다. 진수가 모르겠다고 한 것은 조숭의 내력이 아닌 출생이며 진수는 왕침의 《위서》에 있는 조숭의 내력에 대해 숨긴 적이 없다. 조숭의 양부가 조등이라는 사실은 <무제기>에도 나와 있는 기록이다. 일부 학자들은 조등에게 형제가 많았기에 조숭이 실제로는 조등의 조카였고, 따라서 조숭은 자연스레 숙부 조등의 양자로 들어갔을 가능성이 있다고 추측하기도 한다. 이 말은 곧 하후씨는 의형제를 맺을 정도로 단순히 조씨와 오래 전부터 친밀한 집안이며 실제 조조의 본가는 아니라는 것이다. 이러한 조씨와 하후씨의 관계처럼, 중국사에서 단순한 인간관계가 혈통을 뛰어넘는 경우는 허다하다. 유비, 관우, 장비는 어린시절부터 서로 듣도 보도 못한 사이인데도 의형제를 맺은 후 죽을 때 까지 생사고락을 같이 했고 유비 그 자신도 성씨가 다른 구봉을 양자로 들여 유봉으로 개명시켰다.[5]

2013년 중국 상하이 푸단 대학교 연구진이 전한의 상국 조참의 후손들과 조위 태조 무황제 조조의 후손들, 하후돈의 후손들의 DNA를 비교한 결과 세 가문은 서로 혈연관계가 아니라는 것을 확인했다고 한다. 《상하이저널》 <조조 DNA 확정..다른 인물 연구>에 응용 일단 연구진은 조사 대상이었던 이들이 조조의 후손이 아닐 확률은 매우 낮다고 주장했다.

다만, 이들이 정말로 조참과 조조, 하후돈의 후손인지는 별개의 이야기. 실제로 촉한 열조 소열제 유비의 후손이나 관우의 후손을 자처하는 사람들도 각각 유전자 검사를 해보면 다 다르게 나온다. 단적으로 그 계보가 확실하다는 유럽귀족 가문의 DNA를 조사해봐도 모계 DNA는 맞는데 부계의 DNA는 맞지 않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는 계보와 달리 실제로는 불륜으로 인해 아이가 태어났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연구법의 한계를 보여주는 단적인 예가 리처드 3세로, 실제 발견된 유해의 DNA조사 결과 부계 후손을 주장하던 이들은 모두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왔다. 리처드 3세의 경우처럼 조조와 하후돈, 조참의 유해가 발견되어서 DNA를 직접 얻어서 확인하면 정확하겠지만 현실적으로 그러기엔 어려우니 중국의 연구도 이러한 방법으로 접근했겠으나, 연구에 쓰인 방법이 애초에 2000여년 동안 계보대로 혈연이 유지되었을 거란 가정을 깔고 들어가기에 헛점이 많다. 마땅한 다른 방법이 없어서 그나마 인정해주는 연구법일뿐 그 자체로는 신뢰도가 높은 방법이라 할 수 없는 셈. 연구대상들이 후손이 아닐 가능성이 낮다는 주장 또한 해당 연구법에 다른 변수를 상정하지 않았을 때나 성립하는 한계가 있다.

특히 나폴레옹 3세의 경우처럼 DNA를 논하는 것은 당대에 밝혀졌을때나 문제가 되지 먼 후대에 밝혀지는 것은 별로 의미가 없다. 가문의 일원으로 인정받았고 쭉 그렇게 살았기 때문. 조숭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같은 가문임에도 혼외정사로 낳은 자식이 섞였을 수도 있다.

하나 짚어야 할 것은 조숭이 원래 하후씨였다는 것은 정사에 나오는 얘기가 아니라 배송지가 주석으로 인용한 조만전, 그리고 위진세어에 나오는 얘기란 점이다. 일단 위에 언급된 손성은 동진 사람으로 302년, 위나라가 멸망한지 거의 40년 후에 태어난 사람이고, 조만전은 신원미상의 오나라 사람이 쓴 책이며, 위진세어는 서진의 곽반이란 사학자가 쓴 책으로 제목대로 위나라와 진나라의 소문을 엮은 책이다. 물론 삼국지정사를 쓴 진수부터 조조보다 한참 뒤 인물이긴 하지만, 정사와 야사의 내용이 상충될 때 정사의 기록에 좀 더 무게가 실리는게 맞다.

5. 미디어 믹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조숭/기타 창작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이 때문에 조조가 조참의 후손이라는 내용도 ' 손견 손자의 후손일지도 모른다'는 식의 서술이 되어 버리는 바람에 진위 여부는 불확실하게 되었다. [2] 촉한은 유비의 아버지 유홍이 일찍 죽은데다가 유비의 숙부인 유자경이나 그를 후원해서 노식 문하에서 수업을 듣게 해준 친척어른인 유원기 정도 외에는 다른 형제나 친척 등이 있다는 기록이 없어 마땅히 종실이랄 사람이 없어서 '<종실전>'대신 '<이주비자전>'으로 유비의 가족들을 분류했고, 동오에는 '<종실전>'이 있어서 손권의 작은아버지와 사촌 형제 및 그 자손의 전을 묶어두고 있다. [3] 혈육관계가 어땠든 간에 조조에게 하후돈은 형제나 다름없는 존재였으며, 조조의 침실 (즉 군주가 완전히 무방비인 상태)에 드나들 수 있을 정도였다. 게다가 조조는 친척인게 확실하고 능력도 뛰어난 조인보다 하후돈에게 더 높은 직위를 줄 정도로 하후돈을 신임했다. 거기에 겹사돈까지 있으니 이것만으로 하후돈은 조조에게 가족이나 다름없는 존재란 걸 알 수 있다. 즉 열전을 같이 묶었다는 것만으로 친척이란 근거로 쓰긴 어렵다는 것이다. [4] 실제로 이런 식으로 가계를 잇기 위한 양자를 들이는 경우는 보통 친척 중에 양자를 들이는게 일반적이었다. 원소 역시 원봉의 친자식이자 얼자였지만, 원봉의 형 원성이 요절하자 삼촌의 가계로 입적되었다. 원소 역시 자신의 눈밖에 난 장자 원담을 형의 아들로 입적시켜 조카 취급을 했다. 즉 조숭의 세 형이 모두 아들이 없지 않은 이상, 굳이 조카들을 두고 혈연이 없는 하후씨의 후손을 양자로 들이는 경우는 일반적이진 않다. [5] 유봉의 경우는 모친이 한의 황족인 유씨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33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33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