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3 10:08:00

장윤희(배구)

장윤희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장윤희의 역임 직책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c72c30> 파일:image_1527657991585.png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주장
(올림픽, 아시안 게임)
}}}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2c292a; margin:-5px -1px -11px"
1962 자카르타 AG 1964 도쿄 OG 1966 방콕 AG 1968 멕시코시티 OG 1970 방콕 AG
김영봉 서춘강 이춘일 문경숙 김영자
1972 뮌헨 OG 1974 테헤란 AG 1976 몬트리올 OG 1978 방콕 AG 1980 모스크바 OG 예선
김영자 이순복 윤영내 변경자
1982 뉴델리 AG 1984 LA OG 1986 서울 AG 1988 서울 OG 1990 베이징 AG
김영숙 이운임 심순옥 박미희
1992 바르셀로나 OG 예선 1994 히로시마 AG 1996 애틀랜타 OG 1998 방콕 AG 2000 시드니 OG
이도희 장윤희 박수정
2002 부산 AG 2004 아테네 OG 2006 도하 AG 2008 베이징 OG 예선 2010 광저우 AG
김남순 구민정 김사니
2012 런던 OG 2014 인천 AG 2016 리우 OG 2018 자카르타·팔렘방 AG 2020 도쿄 OG
김사니 김연경
2022 항저우 AG
박정아
1 1980 모스크바 올림픽은 예선 탈락 후 보이콧이 결정되었고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과 2008 베이징 올림픽도 예선에서 탈락했다.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 역대 감독 | 역대 주장
}}}}}}}}} ||
장윤희의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59a1ad><tablebgcolor=#59a1ad> 파일:대통령배전국남녀배구대회 로고.png 대통령배 · 슈퍼리그 · V-투어
여자부 MVP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000000,#e5e5e5
제1회 (1984) 제2회 (1985) 제3회 (1986)
박미희
미도파 / 센터
이은경
미도파
김정순
미도파
제4회 (1987) 제5회 (1987) 제6회 (1988)
이은경
현대
이운임
대농
양혜숙
현대
제7회 (1990) 제8회 (1991) 제9회 (1992)
유영미
현대
장윤희
호남정유 / 레프트
이도희
호남정유 / 세터
제10회 (1992) 제11회 (1993) '95 슈퍼리그
홍지연
호남정유 / 센터
박수정
호남정유 / 센터
장윤희
호남정유 / 레프트
'96 슈퍼리그 '97 슈퍼리그 '98 슈퍼리그
정선혜
LG정유 / 레프트
장윤희
LG정유 / 레프트
장윤희
LG정유 / 레프트
'99 슈퍼리그 2000 슈퍼리그 2001 슈퍼리그
장윤희
LG정유 / 레프트
구민정
현대건설 / 레프트
장소연
현대건설 / 센터
2002 슈퍼리그 2003 슈퍼리그 2004 V-Tour
강혜미
현대건설 / 세터
장소연
현대건설 / 센터
구민정
현대건설 / 레프트
V-리그 챔피언 결정전 MVP
MVP · 신인상 · 베스트 6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59a1ad><tablebgcolor=#59a1ad> 파일:대통령배전국남녀배구대회 로고.png 대통령배 · 슈퍼리그 · V-투어
여자부 베스트 6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000000,#e5e5e5
<colcolor=#ffffff> 대통령배 <colcolor=#ffffff> 제1회 <colbgcolor=#ffffff,#191919> 박미희 (미도파) · 김옥순 (미도파) · 이은경 (현대) · 김정순 (현대) · 정옥남 (한일) · 이영선 (호유)
제2회 김정순 (현대) · 김종순 (현대) · 이운임 (미도파) · 박미희 (미도파) · 화경련 (한일) · 이영선 (호유)
제3회 이은경 (현대) · 김정순 (현대) · 이운임 (미도파) · 박미희 (미도파) · 윤정혜 (한일) · 김애경 (호유)
제4회 이은경 (현대) · 김정순 (현대) · 지경희 (현대) · 주선진 (미도파) · 이운임 (미도파) · 심순옥 (한일)
제5회 이운임 (대농) · 박미희 (대농) · 이명희 (대농) · 김귀순 (한일) · 심순옥 (한일) · 지경희 (현대)
제6회 임혜숙 (현대) · 지경희 (현대) · 유영미 (현대) · 장윤희 (호유) · 김성민 (호유) · 박혜경 (선경)
제7회 임혜숙 (현대) · 지경희 (현대) · 유영미 (현대) · 박미희 (대농) · 장경희 (대농) · 정학숙 (선경)
제8회 장윤희 (호유) · 이도희 (호유) · 김성민 (호유) · 지경희 (현대) · 이인숙 (현대) · 박미희 (대농)
제9회 이도희 (호유) · 홍지연 (호유) · 박수정 (호유) · 김호정 (호유) · 김영숙 (현대) · 김남순 (한일)
제10회 장윤희 (호유) · 이도희 (호유) · 박수정 (호유) · 지경희 (현대) · 이인숙 (현대) · 김남순 (한일)
제11회 장윤희 (호유) · 이도희 (호유) · 홍지연 (호유) · 박수정 (호유) · 김남순 (한일) · 정은선 (흥국)
슈퍼리그 1995 장윤희 (호유) · 이도희 (호유) · 홍지연 (호유) · 정선혜 (호유) · 이인숙 (현대) · 장소연 (선경)
1996 장윤희 (호유) · 이도희 (호유) · 홍지연 (호유) · 정선혜 (호유) · 김남순 (한일) · 장소연 (선경)
1997 장윤희 (LG) · 강혜미 (선경) · 홍지연 (LG) · 정선혜 (LG) · 김남순 (한일) · 장소연 (선경)
1998 장윤희 (LG) · 강혜미 (선경) · 정선혜 (LG) · 박수정 (LG) · 이윤희 (LG) · 장소연 (선경)
1999 장윤희 (LG) · 김귀현 (LG) · 홍지연 (LG) · 박수정 (LG) · 장소연 (현대) · 구민정 (현대)
2000 장윤희 (LG) · 이윤희 (LG) · 강혜미 (현대) · 이명희 (현대) · 장소연 (현대) · 구민정 (현대)
2001 김성희 (LG) · 정선혜 (LG) · 강혜미 (현대) · 이명희 (현대) · 장소연 (현대) · 구민정 (현대)
2004 V-투어 강혜미 (현대) · 구민정 (현대) · 장소연 (현대) · 정대영 (현대) · 박미경 (도공) · 한송이 (도공)
MVP · 신인상 · 베스트 6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ee193a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000,#e5e5e5
<rowcolor=#FFF> 득점상 공격상 서브상 블로킹상 세터상 수비/리베로상 리시브상 디그상
1977
포마레스 에가미 유미 차오후이잉 마츠다 노리코 조혜정
1981
하이먼 리에코 아카미노바 쑨진팡 히로세 미요코
1985
미레야 루이스 미츠오 사나에 페레즈 양시란 사토 이치코
1989
미레야 루이스 장윤희 카브라할 나카다 구미 사토 이치코 모니카 루그
1991
미레야 루이스 칼데론 페레즈 마팡 장윤희
1995
바바라 옐리치 미레야 루이스 레페링크 카브라할
1999
바바라 옐리치 소콜로바 아구에로 프란시아 바실레프스카야 소콜로바 히로코
2003
글란카 자오뤼뤼 바로스 메네지스 펑쿤 자비에르 저우쑤훙
2007
스코브론스카 카릴로 산토스 시모나 지올리 포펑 카둘로 사노 유코 사노 유코
2011
데 라 크루스 후커 데 라 크루스 퓌르스트 다케시타 남지연 올리베이라 사노 유코
아래 연도부터 기록상 수상을 폐지하고 베스트팀 수상으로 변경되었다.
2015
김연경 주팅 장창닝 로야스 마르테 코가 카스티요
2019
곤차로바 주팅 니제티치 코롤레바 미야 로빈슨 김해란
MVP · 기록상
}}}}}}}}}}}}}}} ||
}}} ||
파일:external/www.sportsq.co.kr/20998_42575_858.jpg
<colbgcolor=#002063><colcolor=#ffffff> 장윤희
張潤喜 | Chang Yoon-Hee
출생 1970년 5월 22일 ([age(1970-05-22)]세)
전라북도 남원시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전주근영여자고등학교 (졸업)
한국체육대학교 (학사)
종교 개신교
포지션 아웃사이드 히터
등번호 4번
신체 170cm[1]
국가대표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1989~1998)
소속 구단 호남정유-LG정유 (1988~2002)
수원시청 배구단 (2005~2009)
부천시 체육회 직장팀 (2009~?)
GS칼텍스 서울 KIXX (2011)
지도자 GS칼텍스 서울 KIXX 코치 (2010~2011)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코치 (2016~2017)
대한민국 여자 배구 유스 대표팀[2] 감독 (2020~ )
중앙여자고등학교 감독 (2021~ )
링크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현역 시절
2.1. 짧은 현역 복귀
3. 현역 은퇴 이후
3.1. 해설3.2. 지도자
4. 플레이 스타일5. 선수 경력
5.1. 국가대표 경력5.2. 개인 수상5.3. 기타 기록
6. 여담7.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파일:Cip3176UUAAB36b.jpg
국가대표 시절

대한민국 배구 선수 출신 감독. 現 SPOTV의 해설 위원이자 서울 중앙여자고등학교 배구부 감독.

대통령배-슈퍼리그 시절 호남정유/LG정유의 전성기를 이끈 선수로 MVP 5회 수상, 베스트6 10회 수상한 한국 여자 배구계의 레전드.

2. 현역 시절

파일:external/pds.joins.com/htm_200903230934380107000001070100-001.jpg
파일:201503011913583267245A_1.jpg
<rowcolor=#FFF> 영광의 LG정유 시절 GS칼텍스의 레전드

1990년대 여자 배구 중흥기의 중심 선수이자 대한민국을 대표했던 거포다. GS칼텍스의 코치를 맡았던 2010-2011 시즌 중 9년 만에 현역으로 복귀하여 전주원을 제치고 현역 최고령 여자 스포츠 선수로 잠시 활약하기도 했다.[3]

장윤희는 1988년 전주시 근영여자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호남정유에 입단했다. 당시 세터 이도희가 고군분투하며 1987-1988 시즌을 준우승으로 이끌었던 호남정유에 장윤희가 입단하며 팀은 물론 대한민국 여자배구의 판도를 완전히 바꿨다. 그리고 장윤희는 국내외 코트를 휘저으며 10년 간 대한민국 여자배구의 간판으로 활약했다.

1990-91시즌을 시작으로 1998-99시즌까지 호남정유-LG정유가 무려 9연패를 달성하는데 핵심선수로 큰 공을 올렸다. 물론 세터 이도희와 윙스파이커 박수정, 정선혜, 센터 홍지연 등이 최절정의 기량을 보였던 시기였기도 했지만 명장 김철용 감독의 지휘 아래 전무후무한 성적을 냈다.
파일:SSI_20210105180622_O2.jpg
국가대표 시절

또한 장윤희는 호남정유+ 한일합섬 김남순이라는 별명이 붙었던 국가대표에서 역시 맹활약을 하며 1994년 브라질 세계선수권대회 4위, 히로시마 아시안 게임 금메달, 1997년 월드그랑프리 3위, 1999년 월드컵 4위 등 한국배구의 중흥기를 이끄는데 주역으로 활약했다.

1999-2000시즌에 출산으로 잠시 공백기를 가졌다. 1999-2000 시즌이 끝난 후 2000 시드니 올림픽 최종예선전을 앞두고 있었는데 당시 임신 중이었던지라 쿨하게 국가대표를 반납했다. 그런데 당시 역대 최강 전력이었던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이 메달권도 노릴 수 있었지만 큰 공격을 맡아서 해줄 장윤희의 부재 때문이었는지 미국과의 8강전에서 풀세트 접전 끝에 석패를 당했다.
파일:2001 슈퍼리그 은퇴식.jpg
2001 슈퍼리그 폐막식[4]

이후 장윤희는 출산 후 2001-2002 시즌 한 시즌을 더 뛰며 은퇴를 했다.

은퇴 이후 한국체육대학교를 졸업하고[5] 2005년부터는 수원시청 배구팀 창단멤버로 입단하였다. 2009년 부천시 체육회 직장팀 소속으로 이적했는데, 당시 본인은 "출산 때를 제외하면 코트를 떠난 적이 별로 없다"고 했다. #

또한 친정팀인 LG정유-GS칼텍스의 코치로 잠깐 활약하다 2010-11 시즌 코칭스탭이 대대적으로 바뀔 때 정식 코치로 선임됐다.

2.1. 짧은 현역 복귀

파일:IE001279031_STD.jpg

2010-11 시즌 GS칼텍스가 2009-10시즌의 분위기를 이어가지 못하고 연패에 빠져 있을 때 많은 팬들은 '아! 장윤희가 코트 위에 있었다면...'라는 상상을 했는데 결국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당시 구단의 코치로 있던 장윤희는 2011년 1월 27일 對 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와의 홈 경기에서 3세트에 교체 선수로 나와 3득점했다![6] 사실은 장윤희가 복귀하기 바로 전날 경기였던 26일 對 인삼공사와의 홈경기에서 선수 등록을 했고, 후배들과 같이 경기를 관전했다.

2011년 현역으로 복귀하여 녹슬지 않은 활약을 보여주었다. 코트 위에서의 기민한 움직임이나 과감한 C속공은 앞으로 후배들에게 살아있는 교육이 될 듯. 2009-10시즌 장소연이 복귀한 후 센터(미들히터)들의 이동공격 시도가 늘어난 걸 보면 장윤희의 복귀도 상당히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였으나, 결국 몇 경기만 뛴 걸로 봐서는 팬서비스 차원으로 경기에 투입된 듯 싶다. 물론 장윤희와 장소연 등 은퇴한 선수들이 복귀해서 좋은 모습을 보이는 건 올드팬들에게도 기쁜 일이지만, 이들의 나이와 결혼-출산으로 인한 1차 은퇴연도를 생각해보면 아직도 통하는 기량이라는 건 바꿔 말하면 여자배구의 선수층이 대단히 빈약하다는 걸 말해주는 것이기도 하다.

어쨌든 장윤희의 복귀 후의 활약은 그동안 배구 팬들이 생각하던 "배구선수는 수명이 짧다"라는 선입관을 지우는 계기이기도 하였다. 여자배구 쪽을 보면 일본 다케시타 요시에는 은퇴 직전 2012 런던 올림픽까지 34세라는 나이에도 국대 주전으로 활약했다. 물론 다케시타는 세터라는 포지션을 감안해야 한다. 그밖에 상기됐던 장소연이 2013-14 시즌에 여전히 V-리그에서 플레잉코치로 뛰고 있으며, 장윤희의 팀 후배인 박수정이 불혹을 넘어서도 실업 리그에 뛰고 있다. 국내의 경우 남자배구에서 방신봉, 이영택, 방지섭 등 현역 은퇴 후 복귀한 선수들 모두 자의 은퇴보다는 구단에 의한 강제 은퇴에 가까웠다. 2009-2010 시즌에 매튜 존 앤더슨의 대체 선수로 현대캐피탈에서 뛰던 오스발도 에르난데스는 장윤희보다 2살 어리고 2014년 현재 현대캐피탈 박희상 수석코치와는 동갑내기. 역시 결과적으로 자기관리가 중요한 것이다. 덧붙이자면 장윤희는 몸이 금으로 된 前 야구선수와 동갑이다.

3. 현역 은퇴 이후

3.1. 해설

2010-2011 시즌이 끝나고 다시 현역 선수에서 물러나 MBC 스포츠 플러스에서 해설위원으로 데뷔해 V-리그 중계를 했다. 2013-2014 시즌부터 V-리그 중계권이 MBC 스포츠 플러스에서 SBS Sports로 넘어가며 이도희 해설위원은 방송사를 옮겼지만 장윤희는 김철용과 함께 엠스플에 남아 김연경 터키 여자배구 및 월드그랜드챔피언스컵 등 국제 대회 해설을 했다.

MBC에서 올림픽, 아시안 게임 등의 이벤트가 있을 때마다 해설로 참여했고 2018-19 시즌부터는 SPOTV의 김연경의 터키 배구 리그 해설위원으로 합류했다. SPOTV에서 제작하고 TV조선에서 방송된 2018년 여자배구 세계선수권 대회 중계방송에서도 해설위원으로 출연했다.

그러나 해설위원으로서의 평가는 영 좋지 않다. 경기가 잘 안풀릴 때는 매우 신경질적으로 질책하듯이 해설을 하는데, 이는 기본적으로 부정확한 딕션, 성급한 발성, 까랑까랑하고 높은 목소리 톤과 시너지를 일으켜 보는 시청자가 혼나는 듯한 불쾌한 느낌이 든다는 평이 압도적이다. 선수들의 몸 상태, 감독의 전술적 역량은 전혀 고려하지 않고 선수 한명 한명의 플레이의 오류를 지적하기 급급할 때도 많다. 심지어 무난한 플레이로 득점을 했을 때도 아쉬움을 표현하며 어떠한 플레이가 더 나았을 것이라고 지적하는 경우도 빈번하다. 종목의 레전드 선수 출신으로서 경기의 흐름을 읽는 시각, 선수들의 플레이 및 기술을 짚어주는 능력은 훌륭하나, 정보 전달이라는 해설 본연의 임무보다는 비판과 평가에 가까운 해설 경향으로 여자배구판 모두까기 인형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또한 본인의 현역 플레이 스타일을 반영한 것처럼 작은 신장을 극복하는 점프력과 빠른 스윙이 주 득점원인 공격수들에 주로 이입하여 칭찬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김연경, 김희진, 박정아와 같이 큰 신장을 바탕으로 타점에서 우위를 가지거나, 파워가 득점원인 공격수들에게는 상대적으로 인색하다. 심지어 터키 리그를 중계하던 당시 김연경과 함께 엑자시바시 소속으로서 세계 최고의 아포짓으로 평가받는 티아나 보스코비치에게도 예외는 없었다. 큰 신장의 선수들이라면 당연히 점수를 내주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따라서 선배 여성 해설위원들인 박미희, 이도희에 비해 평가가 낮은 편이며, 이숙자, 김사니, 한유미 등의 후배 여성 해설위원들과 비교해서도 선호도가 떨어진다.[7] 이러한 비판들을 본인도 인지하였는지 연차가 쌓일 수록 최대한 목소리 톤을 가다듬고 흥분을 가라앉혀 정제된 내용을 전달하고자 노력하는 모습을 보이며, 질책성의 해설의 빈도도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으로 볼 수 있다.

3.2. 지도자

2016년에는 코치진 인력난을 겪게 된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의 감독을 다시 맡게 된, 현역 시절 스승이었던 김철용 감독의 부름을 받아 여자배구 국가대표팀 코치로 임명되었다. 홍성진 감독이 지휘했던 2017년까지 대표팀에 머물다가 2018년 차해원이 전임 감독을 맡게 되면서 하차하게 되었다.

차해원 감독이 사퇴 후 인터뷰한 내용을 보면 차해원 역시 장윤희가 코치로 남아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배구협회에서 거절했다고 한다.

이후 GS칼텍스에서 유소년 지도를 하다가 2021년 중앙여자고등학교 배구부 지휘봉을 잡았다.

2022년 AVC U18 감독을 맡았다. 김세빈의 오픈이 주 득점 루트인건 아쉬웠지만 신은지와 곽선옥도 윙에서 좋은 활약을 했고 유가람을 중심으로 짜여진 수비 조직력은 좋은 평가를 받았다.

2024년 U20감독을 맡는 동안 페퍼저축은행, GS칼텍스, 포항시체육회 배구단과 합동 훈련을 실시했다.

4. 플레이 스타일

장윤희 활약 모음 #1 #2

현역 시절에 별명은 '악바리', '짱돌'이라는 후덜덜한 별명에서 볼 수 있듯, 탄력 있는 점프에 호쾌한 스파이크를 바탕으로 근성 있고 강력한 공격을 구사했다. 윙공격수치고는 꽤나 작은 170cm의 키가 마이너스 요소였지만 그 작은 키를 상쇄하고도 남을 수직점프와 체공력, 그리고 강한 스윙이 있었기에 무시무시한 공격이 가능했는데, 오픈 공격 시 날카로운 공격은 물론이거니와 연타도 그냥 넘기는 게 아니라 바로 공격으로 이을 만큼 과감하게 공격을 했다. 또한 1990년대 스피드를 이용한 배구를 했던 여자 대표팀의 핵심 선수로 C속공 상황에서 갑툭튀 하는 공격도 탁월했다. 위치를 가리지 않고 기민한 전천후 공격이 가능한데 완벽한 세팅 상황에서 상대를 농락하는 시간차 공격도 일품이었다.

거기에 덤으로 후위에서 무섭게 날아오르는 백어택까지 했었다. 이 백어택이 여자선수들 수준에서는 쉽지 않은데 장윤희는 그 백어택마저도 남자선수들의 그것과 못지않게 자유자재로 구사할 수 있었고, 그 파괴력도 대단했었다. 그야말로 공격 그 자체는 후덜덜한 수준. 한편, 장윤희는 국내 여자배구 선수로서는 최초로 스파이크 서브를 구사했었다. 오오오! 그것도 공을 살짝 띄어놓고 때리는 점핑서브 수준을 넘어선 스파이크 서브를 구사했다. 종합적으로 봤을 때 장윤희의 공격력은 당대에 세계구급이라고 해도 손색없을 정도였다.

김철용 대한민국 여자배구[8]의 수비를 대표하는 선수다보니 리시브, 디그 능력은 대한민국 여자배구에선 올타임 넘버원 후보로 손꼽힐 만하다. 다만 약점은 작은 신장 때문에 어쩔수 없이 낮은 블로킹 높이. 그래도 유효 블록은 잘 잡아내는 편이었다.

이러한 플레이스타일 덕택에 현재 프로리그에서도 키가 작은 공격수가 등장하면 바로 제 2의 장윤희 칭호를 붙여버린다. 일례로 김지수, 이소영, 양유나, 이재영, 서채영 등이 있다. 비슷하게 키가 큰 공격수가 등장하면 제 2의 김연경이 된다. 박정아, 김희진 등이 그렇다.

5. 선수 경력

5.1. 국가대표 경력

5.2. 개인 수상

5.3. 기타 기록

6. 여담

7. 관련 문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4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4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프로필상 신장. 노는 언니 2022년 1월 4일 방송분에서 실제로는 168cm라고 밝혔다. [2] 2022년 U18, 2023년 U19, 2024년 U20 [3] 이 기록은 2015-2016 시즌에 수련 선수로 등록하여 현역으로 복귀한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이수정(1972년 8월 25일생) 플레잉코치가 만 43년 2개월 17일로 장윤희의 기록을 넘어섰다. 2016년 2월 17일 현재 이수정 플레잉코치의 최고령 현역 기록은 계속되고 있다. [4] 사진 속 선수들은 박종찬, 최천식, 윤종일, 박수정, 장윤희, 어연순, 유연경, 정은선 출처 [5] 선수 생활 중에 합격하여 대학교에 입학했다. [6] 그런데 나오자 마자 황연주서브를 날려먹었다. 요즘 서브 구질이 워낙 변화무쌍해서 장윤희도 곧바로 적응하기는 힘들었을듯. [7] 다만 김사니, 한유미도 해설위원으로서의 평가는 그다지 좋은 편이 아니다. [8] 이 시기 한국 여자배구는 극도의 랠리가 이어지던 수비배구였고 그 핵심에는 호남정유의 김철용 감독이 있었다. 호남정유의 특성상 센터 홍지연을 빼면 다들 신장이 열세라 수비배구를 구사할 수밖에 없었지만 당시 대한민국 여자배구는 대부분의 팀이 3:0 경기도 1시간 반~2시간, 풀세트는 3시간이 넘어가는 초 장기전까지도 가능한 무시무시한 수비배구다보니 여자배구 지상파 중계가 정말 어려웠던 시절이다. 25점 랠리포인트제 도입 이후에는 보통 3:0 원사이드한 승리의 경우 1시간 내외, 풀세트 접전의 경우 2시간 30분~3시간 정도가 맥시멈. [9] 이날 7득점 12득권을 따내며 한국승리를 이끈 장윤희는 대회최우수선수에 선정됐다. 한국여자배구 일본 꺾고 96애틀랜타올림픽 본선 진출 [10] 단기 대학들이 참가하는 리그인 NJCAA에 속한팀으로 실력은 NCAA 디비전 3 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