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2 01:19:35

장릉(영월)

노산군묘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color: #ffd400; min-height: 33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목조 효공왕후 익조 정숙왕후
덕릉德陵 안릉安陵 지릉智陵 숙릉淑陵
도조 경순왕후 환조 의혜왕후
의릉義陵 순릉純陵 정릉定陵 화릉和陵
태조 신의왕후 신덕왕후 정종, 정안왕후
건원릉健元陵 제릉齊陵 정릉貞陵 후릉厚陵
태종, 원경왕후 세종, 소헌왕후 문종, 현덕왕후 단종
헌릉獻陵 영릉英陵 현릉顯陵 장릉莊陵
정순왕후 세조, 정희왕후 덕종, 소혜왕후 예종, 안순왕후
사릉思陵 광릉光陵 경릉敬陵 창릉昌陵
장순왕후 성종, 정현왕후 공혜왕후 제헌왕후
공릉恭陵 선릉宣陵 순릉順陵 회릉懷陵
연산군, 거창군부인 중종 단경왕후 장경왕후
연산군묘燕山君墓 정릉靖陵 온릉溫陵 희릉禧陵
문정왕후 인종, 인성왕후 명종, 인순왕후 선조, 의인왕후, 인목왕후
태릉泰陵 효릉孝陵 강릉康陵 목릉穆陵
공성왕후 광해군, 문성군부인 원종, 인헌왕후 인조, 인열왕후
성릉成陵 광해군묘光海君墓 장릉章陵 장릉長陵
경기 [[남양주시|{{{#bf1400
효종, 인선왕후 현종, 명성왕후 장렬왕후 숙종, 인현왕후, 인경왕후
영릉寧陵 숭릉崇陵 휘릉徽陵 명릉明陵
인경왕후 옥산부대빈 경종, 선의왕후 단의왕후
익릉翼陵 대빈묘大嬪墓 의릉懿陵 혜릉惠陵
영조, 정순왕후 정성왕후 진종, 효순왕후 장조, 헌경왕후
원릉元陵 홍릉弘陵 영릉永陵 융릉隆陵
정조, 효의왕후 순조, 순원왕후 문조, 신정왕후 헌종, 효현왕후, 효정왕후
건릉健陵 인릉仁陵 수릉綏陵 경릉景陵
철종, 철인왕후 고종, 명성황후 순종, 순명효황후, 순정효황후
예릉睿陵 홍릉洪陵 유릉裕陵
폐지된 능호
소릉昭陵 | 회릉懷陵 | 숙릉肅陵 | 성릉成陵 | 문릉文陵
}}}}}}}}} ||

파일:영월군 CI_White.svg 영월10경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영월읍 장릉 청령포 별마로 천문대 돌돌 어라연
김삿갓면 김삿갓 유적지 고씨동굴
한반도면 한반도 지형 재약산
무릉도원면 법흥사 요선정 요선암
}}}}}}}}} ||
파일:영월_장릉_전경 문화재청.jpg
파일:영월 장릉 한국문화관광연구원(공공누리).jpg
영월 장릉의 모습

1. 개요2. 상세3. 시설4. 일화5. 기타

1. 개요

莊陵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에 있는 왕릉. 이전에는 노산군묘(墓)로 불려왔다가 노산군으로 강등되었던 단종이 추존복위됨에 따라 노산군묘에서 장릉으로 승격되었다.

1970년 사적 제196호로 지정되었으며, 2009년 스페인 세비야에서 열린 제55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2. 상세

장릉이라는 능호는 조선왕릉 중에 총 세 군데에서 사용되고 있다. 다만 '장'에 해당하는 부분의 한자는 모두 다르다.
단종의 장릉은 조선왕릉 가운데는 유일하게 서울이나 경기도가 아닌 곳에 있는 능이다.[1] 이는 아래의 복잡한 사정이 있었기 때문이다. 숙부인 세조에 의해 노산군으로 강등되어 영월에서 귀양살이를 했던 단종이 영월에서 죽게 되고 시신이 영월 동강에 버려지면서 지역 호장(戶長)인 엄흥도가 동강에서 그의 시신을 운구하여 동을지산 자락에 암장(暗葬)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서슬퍼런 세조의 눈을 피해 암장했던 만큼 단종의 무덤에 아무도 관심이 없었다. 그 후 1541년 중종 때, 노산군의 무덤을 찾으라는 명을 받고 수소문했으나 찾을 수 없어 난감해하던 차에 영월군수 박충원이 발견하여 묘소를 정비하게 되었고, 1580년 주변에 비석들이 세워지기는 했으나 이 당시까지 노산군으로 강등되었던 상태여서 묘(墓)라는 칭호를 유지해왔다가 1698년 숙종이 단종을 복위시킴에 따라 무덤도 능으로 격상되고 장릉이라 이름하였다. 이때, 단종의 시신을 모셨던 엄흥도에게는 공조판서가 추증되었다. 왕릉 공사를 담당하는 부서가 공조였던 것을 감안한 셈.

3. 시설

입구에서부터 단종의 행적을 기리는 단종역사관이 있다. 옆에 엄흥도의 장려비와 박충원의 행적을 새긴 비석이 있다. 특히 정자각 앞에 계유정난 사육신 사건 당시 단종을 위해 죽은 인물들을 정조 대에 배향한 배식단도 존재하는데, 이는 다른 왕릉에서는 볼 수 없는 구조이다.

봉분 주변에는 상석과 망주석이 있으며 문인석, 석마(石馬) 등도 갖추었는데, 봉분과 정자각이 일직선이 아니라 경사가 꽤 있는 언덕이다. 일반 관람객은 봉분 앞까지 가서 볼 수 있다. 정자각에서 바로 올라가지 못한다.

무인석이 없다. 단종이 무신 세력을 등에 업은 세조에게 왕위를 찬탈당했기 때문이라 한다. 또한 조선왕릉 중 망주석에 세호(細虎)[2]가 새겨지지 않은 유일한 왕릉이다.

한편, 장릉 주변에는 남양주시에서 가져온 소나무들이 눈에 들어오는데, 이는 단종의 왕후인 정순왕후 송씨가 묻혀있는 사릉에서 가져왔다.

4. 일화

단종이 죽고 동네 호장이었던 엄흥도가 밤중에 몰래 아들들을 데리고 가서 단종의 시신을 수습해 인근 산에 올랐다.[3] 그러나 급하게 일어난 일인데다가 날씨조차도 눈보라가 쳐서[4] 맨 땅을 찾을 수 없었다. 그때 산속에 앉아있던 노루 한 마리가 일행을 보고 놀라서 달아났는데 노루가 앉았던 그 자리에는 눈이 녹아서 맨 땅이 드러나 있었다. 이를 보고 엄흥도 일행은 천우신조라 여겨 그곳에 단종의 시신을 매장한 후, 식솔을 거느리고 자취를 감추었다. 후에 단종이 정식으로 복권되어 왕릉을 이장하기 위해 지관을 조정에서 내려보냈는데 그들이 살펴보니 단종이 묻힌 그 자리가 이미 천하의 명당이었기에 이장하지 않고 묘제만 고쳤다고 한다.

단종이 복권되지 않은 시절, 장릉은 봉분도 없어 그냥 평평한 맨땅이었기에 다른 땅과 구분이 가지 않았고 풀도 무성한 자리였다. 그러나 그 지역 사람들 중에 그 자리를 밟거나 지나가는 사람이 아무도 없었는데 심지어는 어린아이들도 그 주변에서 놀 때, 그 자리를 향해서 돌을 던지지 않았다는 이야기가 있다. 소재지가 알려지지 않았다고는 해도 인근 백성들은 암암리에 알고 있었고 이를 관에 고하지 않았던 것으로 생각할 수 있는 이야기. 비슷한 이야기로 단종의 시신과 엄흥도의 식솔이 하루아침에 사라지자 관에서 엄흥도 일가의 행방을 수색했는데 사실 마을 사람들은 그들이 숨은 곳을 짐작하고 있었지만 아무도 관에 고하지 않아서 찾지 못했다고 전한다.

엄흥도는 중인 출신의 지방 아전으로 세조의 눈을 피해 단종의 장사를 지낸 일로 후대에 높게 평가를 받게 된다. 단종이 복위되기 전인 선조 때 이미 그 자손은 노산군의 묘역을 관리하는 대신 병역을 면제받는 특권을 누렸고 후에 정조가 단종의 충신들을 정리하여 등급을 결정할 때, 단종 복위운동과 관련하여 죽은 이들 바로 다음으로 엄흥도를 놓았는데 아무리 절의를 다했다 하더라도 직접적으로 단종과 관련되어 죽은 것이 아닌 이상은 사육신들과 동급으로 대우받지 못한다는 원칙에서 유일하게 예외이자 심지어는 생육신들보다도 더 위였으며, 고종 때에는 아예 정승급의 관직을 추증한다. 죽은 이의 장례를 매우 중히 여겼던 조선 시대에 누구나 억울함을 알지만 감히 장사지낼 생각을 못했던 단종의 시신을 목숨걸고 수습한 공을 높이 산 것이다.

이 외에도 다른 왕릉과 달리 장릉에는 관련된 일화가 상당히 많은 편인데 아무래도 비극적인 단종의 생애와 수도에서도 먼 곳에 방치되어 민간층에서 관리되었던 점이 함께 작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 덕분인지 조선왕조의 다른 장릉들과는 달리 가장 존재감이 큰 장릉이기도 하다. 그래서 해마다 영월군에서 주최하는 '단종문화제'에서는 단종 국장 행렬도 진행한다.

5. 기타


[1] 아무래도 별다른 사연이 없는 한 능은 수도에 비교적 가까우면서 명당자리인 곳에 쓰는 것이 일반적이었기 때문에 대다수의 능이 현재 행정구역 기준으로도 서울 관내나 바로 근처에 있다. 조금 멀리 있다고 해도 파주시, 여주시, 화성시 등 경기도 권역에 들어간다. 심지어 조선왕릉 가운데 유일하게 북한이 실효지배 중인 곳에 위치한 정종 후릉도 분단 전까지 경기도 소속이던 개성시에 있으며, 폭정과 실정으로 폐위된 연산군 광해군조차 묘지가 수도권에 있다. 즉 단종은 조선시대 왕들 중 가장 사후에 대접이 안 좋았던 왕이기도 한 셈이다. [2] 왕릉이나 고관대작의 무덤 앞에 세우는 망주석에 새기는 상상의 동물. 일단 이름에 호랑이(虎)가 들어가기는 하는데, 실제로는 호랑이라기보다는 도마뱀 비슷한 외형이며 정확히 무슨 동물이 모티브인지는 알 수 없다. 일반적으로 두 개의 기둥 중 하나는 올라가는 모습, 다른 하나는 내려가는 모습으로 새겨진다. [3] 이때 사용한 관과 수의는 당시 고령이었던 엄흥도의 노모를 위해서 준비해둔 것이었다고 한다. [4] 단종은 1457년 11월 7일 사망했는데, 이 때가 음력인 것을 환산하면 적어도 양력 12월로 추정된다. [5] 보덕사는 장릉 바로 옆에 자리해있으며, 청령포는 30분 정도 걸으면 다다를 수 있다. [6] 덕분에 평일 월요일에 관람할 수 있는 유일한 조선왕릉이다. 궁능유적본부가 관리하는 왕릉은 일괄적으로 공휴일이 아닌 경우 월요일을 휴일로 운영중이지만, 영월군이 관리하는 관계로 연중 무휴로 관람할 수 있다. [7] 최장수 왕은 21대 영조이며 조선왕릉에 안장된 조선왕조 임금들 중 최고령이다(당시 83세). [8] 역대 조선 임금들은 거의 30대 이후에 승하하였다. 8대 예종과 24대 헌종의 경우 20대에 승하하였지만 미성년자는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