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4 18:17:33

자기 퍼텐셜

전자기학
Electromagnetism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기초 개념
<colbgcolor=#009><colcolor=#fff> 관련 수학 이론 [math(boldsymbol{nabla})] · 디랙 델타 함수 · 연속 방정식 · 분리 벡터
전기 · 자기 개념 전자기력 · 전자기 유도( 패러데이 법칙) · 맥스웰 방정식 · 전자기파 · 포인팅 벡터 · 전자기학의 경계치 문제 · 전자기파 방사
정전기학 전하 · 전기장 · 전기 변위장 · 전기 퍼텐셜 · 가우스 법칙 · 전기 쌍극자 모멘트 · 유전율 · 대전현상 · 정전용량 · 시정수 · 정전기 방전
정자기학 자성 · 자기장 · 자기장 세기 · 자기 퍼텐셜 · 자기 쌍극자 모멘트 · 로런츠 힘 · 홀 효과 · 비오-사바르 법칙 · 앙페르 법칙 · 투자율
구현체 자석( 전자석) · 발전기 · 전동기
회로이론 · 전자회로 개념 회로 기호도 · 전류 · 전압 · 전기 저항( 비저항 · 전기 전도도) · 전력( 전력량) · 직류 · 교류 · 키르히호프의 법칙 · 중첩의 원리 · 삼상
소자 수동소자: 직류회로( 휘트스톤 브릿지) · RLC회로( 커패시터 · 인덕터 · 레지스터), 변압기
능동소자: 전원 · 다이오드 · 트랜지스터 · 연산 증폭기
응용 및 심화개념
관련 학문 상대론적 전자기학 · 양자 전기역학 · 응집물질물리학 · 고체물리학 · 전자공학 · 전기공학 · 제어공학 · 물리화학 · 광학 · 컴퓨터 과학( 컴퓨터 공학)
토픽 이론 광자 · 게이지 장( 역장 · 장이론) · 물질파( 광전효과) · 다중극 전개 · 맥스웰 변형 텐서 · 방사선 · 반도체 · 전기음성도 · 와전류 · 방전 · 자극 · 표피효과 · 동축 케이블
음향 앰프( 파워앰프 · 프리앰프 · 인티앰프 · 진공관 앰프) · 데시벨 · 네퍼
반 데르 발스 힘( 분산력) · 복사 · 전도( 전도체 · 열전 효과) · 초전도체 · 네른스트 식
광학 굴절( 굴절률 · 페르마의 원리) · 스넬의 법칙 · 산란 · 회절 · 전반사 · 수차( 색수차) · 편광 · 분광학 · 스펙트럼 · 렌즈( 얇은 렌즈 방정식) · 프리즘 · 거울( 구면 거울 방정식) · ( 색의 종류 · RGB)
전산 논리 연산 · 논리 회로 · 오토마타( 프로그래밍 언어) · 임베디드 · 컴퓨터 그래픽스( 랜더링) · 폴리곤 · 헥스코드
생물 생체신호( 생체전기 · BCI) · 신경계( 막전위 · 활동전위 · 능동수송) · 신호전달 · 자극(생리학)( 베버의 법칙 · 역치)
관련 문서
물리학 관련 정보 · 틀:전기전자공학 · 전기·전자 관련 정보 · 틀:이론 컴퓨터 과학 · 틀:컴퓨터공학 }}}}}}}}}


1. 개요2. 자기 벡터 퍼텐셜
2.1. 유일성 여부2.2. 방정식2.3. 자기 선속과의 관계2.4. 경계 조건2.5. 자기 쌍극자의 자기 벡터 퍼텐셜2.6. 관련 예제
3. 자기 스칼라 퍼텐셜4. 관련 문서

1. 개요

magnetic potential

전기장에서 퍼텐셜을 도입하였듯, 비슷하게 자기장에서도 퍼텐셜을 도입한 것이다.

이 문서에서는 정자기학 조건에서의 자기 퍼텐셜을 다루며, 정자기학에서 자기 퍼텐셜을 언급하면 거의 "자기 벡터 퍼텐셜"을 말하며, 그 외에도 특정한 조건에서 정의되는 "자기 스칼라 퍼텐셜" 두 가지가 있다.

2. 자기 벡터 퍼텐셜

자기장은 일반적으로 발산이 0인 비발산장이다. 즉,

[math( \boldsymbol{\nabla} \boldsymbol{\cdot} {\bf B} = 0 )]

이다. 이때, 자기장은 어떤 벡터의 회전이라 가정할 수 있다. 그 벡터를 [math(\bf A)]라 하면

[math( {\bf B} = \boldsymbol{\nabla} \times {\bf A} )]

이며, 이것을 처음 식의 발산 연산에 대입하면 이것 또한 0인 것에서 그 타당성을 생각해볼 수 있다. 따라서 여기서 나온 벡터 [math(\bf A)]를 "자기 벡터 퍼텐셜"이라 하며, 줄여서 "벡터 퍼텐셜"이라 하기도 한다.

2.1. 유일성 여부

벡터 퍼텐셜 [math(\bf A)]에 어떤 스칼라 [math(\Lambda)]의 그래디언트를 더한 새로운 벡터 퍼텐셜 [math(\bf A')]을 가정하자.

[math( {\bf A'} \equiv {\bf A} +\boldsymbol{\nabla} \Lambda )]

이때, 양변에 회전 연산을 취하면 다음 결과를 얻는다.

[math( \boldsymbol{\nabla} \times {\bf A'} = \boldsymbol{\nabla} \times {\bf A} +\boldsymbol{\nabla} \times (\boldsymbol{\nabla} \Lambda) )]

벡터 해석학적으로 우변의 제2항은 0이 되므로

[math( \boldsymbol{\nabla} \times {\bf A'} = \boldsymbol{\nabla} \times {\bf A} )]

가 되고, 두 퍼텐셜 [math(\bf A)], [math(\bf A')]은 같은 장을 기술하는 퍼텐셜이다. 곧, 어떤 자기장을 기술하는 자기 벡터 퍼텐셜은 유일하지 않다.

2.2. 방정식

앙페르 법칙에서

[math( \boldsymbol{\nabla} \times {\bf B} = \mu_{0} {\bf J} )]

임을 알 수 있었고, 자기 벡터 퍼텐셜을 이용하면

[math( \boldsymbol{\nabla} \times (\boldsymbol{\nabla} \times {\bf A}) = \mu_0 {\bf J} )]

라고 쓸 수 있다. 이때, 벡터 항등식을 사용하면

[math( \nabla^2 {\bf A} -\boldsymbol{\nabla} (\boldsymbol{\nabla} \boldsymbol{\cdot} {\bf A}) = -\mu_0 {\bf J} )]

라고 쓸 수 있다. 이때, 정자기학에서는 쿨롱 게이지(Coulomb gauge)를 도입하여 [math(\boldsymbol{\nabla} \boldsymbol{\cdot} {\bf A} = 0)]으로 둔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식으로 정리된다.

[math( \nabla^2 {\bf A(r)} = -\mu_0 {\bf J(r)} )]

이때, 직교 좌표계에서 위 식은 아래와 같이 푸아송 방정식으로 나온다.

[math( \nabla^2 A_i({\bf r}) = -\mu_0 J_i({\bf r}) \qquad (i=x,\,y,\,z) )]

이것은 전기 퍼텐셜을 기술하는 푸아송 방정식과 모양이 유사하므로, 이것의 해는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math(\displaystyle A_i({\bf r}) = \frac{\mu_0}{4\pi} \int \frac{J_i({\bf r'})}\xi \,{\rm d}V' \qquad (i=x,\,y,\,z) )]

여기서 [math(\xi)]는 분리 벡터의 크기이다. 또한, 각 성분의 합으로 아래와 같이 쓸 수 있다.

[math(\displaystyle {\bf A(r)} = \frac{\mu_0}{4\pi} \int \frac{\bf J(r')}\xi \,{\rm d}V' )]

따라서, 위 방정식을 이용하면 자기 벡터 퍼텐셜을 구할 수 있다. 또한, 자기 벡터 퍼텐셜의 방향은 전류 밀도의 방향과 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3. 자기 선속과의 관계

어떤 면적 [math(S)]를 지나가는 자기 선속(magnetic flux) [math(F)]는 아래와 같이 구할 수 있다.

[math(\displaystyle F = \iint_S {\bf B} \boldsymbol{\cdot} {\rm d}{\bf a} )]

이때, 자기 벡터 퍼텐셜을 이용하면

[math(\displaystyle F = \iint_S (\boldsymbol{\nabla} \times {\bf A}) \boldsymbol{\cdot} {\rm d}{\bf a} )]

이고, 스토크스 정리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이 [math(S)]를 둘러싸는 폐곡선 [math(C)]에 대한 적분으로 바뀐다.

[math(\displaystyle F = \oint_C {\bf A} \boldsymbol{\cdot} {\rm d}{\bf l} )]

따라서 자기 선속을 이용해도 자기 벡터 퍼텐셜을 구할 수 있다.

2.4. 경계 조건

파일:벡터퍼텐셜_경계 조건.png

위 그림과 같이 매질 [math(\rm I)], [math(\rm II)]를 고려하자. 정자기학에서 쿨롱 게이지 조건

[math(\displaystyle \boldsymbol{\nabla} \boldsymbol{\cdot} {\bf A} = 0 )]

을 만족하므로 이것은

[math(\displaystyle \oiint_S {\bf A} \boldsymbol{\cdot} {\rm d}{\bf a} = 0 )]

을 만족한다는 것과 동치이다. 따라서 [math(S)]를 윗면과 아랫면 모두 면적 [math(A)]이고 높이 [math(h)]인 원기둥으로 잡자. 이때, [math(h \rightarrow 0)]일 때, 옆면에 해당하는 영역의 적분 값은 상쇄된다. 따라서

[math(\displaystyle \oiint_S {\bf A} \boldsymbol{\cdot} {\rm d}{\bf a} = [ {\bf A_2} \boldsymbol{\cdot} \hat{\bf n} -{\bf A_1} \boldsymbol{\cdot} \hat{\bf n} ] \,l = 0 )]

이다. [math(\hat{{\bf n}})]은 영역 [math(\rm I)]에서 [math(\rm II)]를 향하며, 경계면에 수직한 벡터이다.

[math(\displaystyle {\bf A_1} \boldsymbol{\cdot} \hat{\bf n} = {\bf A_2} \boldsymbol{\cdot} \hat{\bf n} )]

로 경계면을 가로지를 때, 자기 벡터 퍼텐셜의 수직 성분은 연속임을 알 수 있다.

이번엔

[math(\displaystyle F = \oint_C {\bf A} \boldsymbol{\cdot} {\rm d}{\bf l} )]

를 이용하자. 선적분 영역을 위 그림과 같이 잡고, [math(h \rightarrow 0)]일 때를 고려하자. 이 경우, 경계면을 가로지르는 영역에 대한 선적분 값은 상쇄된다. 따라서

[math(\displaystyle \oint_C {\bf A} \boldsymbol{\cdot} {\rm d}{\bf l} = [ {\bf A_2} \boldsymbol{\cdot} \hat{\!\:\bf t} - {\bf A_1} \boldsymbol{\cdot} \hat{\!\:\bf t}] \,l )]

이 된다. 이때, [math(\hat{\!\:\bf t})]는 경계면에 접하는 단위 벡터이다. 그런데, [math(h \rightarrow 0)]이라는 점에서 해당 폐곡선 안을 통과하는 자기 선속은 면적이 [math(0)]으로 수렴하기 때문에, 적분 값은 [math(0)]으로 수렴한다. 따라서

[math(\displaystyle {\bf A_2} \boldsymbol{\cdot} \hat{\!\:\bf t} - {\bf A_1} \boldsymbol{\cdot} \hat{\!\:\bf t} = 0 )]

에서

[math(\displaystyle {\bf A_1} \boldsymbol{\cdot} \hat{\!\:\bf t} = {\bf A_2} \boldsymbol{\cdot} \hat{\!\:\bf t} )]

로 경계면을 가로지를 때, 자기 벡터 퍼텐셜의 접선 성분은 연속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두 성분이 모두 연속이므로, 위의 논의는 경계면을 가로지를 때 자기 벡터 퍼텐셜은 연속이어야 함을 얻는다. 즉, 경계면을 가로지를 때

[math(\displaystyle {\bf A_1} = {\bf A_2} )]

를 만족하여야 한다.

2.5. 자기 쌍극자의 자기 벡터 퍼텐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자기 쌍극자 모멘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6. 관련 예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자기 퍼텐셜/자기 벡터 퍼텐셜 예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자기 스칼라 퍼텐셜

위의 자기 벡터 퍼텐셜은 자기장이 비발산장이기 때문에 정의될 수 있었다. 그러나 자기장도 특정한 조건에서는 비회전장을 만족하기 때문에 전기장처럼 스칼라 퍼텐셜을 도입할 수 있다. 앙페르 법칙

[math(\displaystyle \boldsymbol{\nabla} \times {\bf B} = \mu_0 {\bf J} )]

에서 전류 밀도 [math({\bf J}=0)]이 성립하는 영역에 한해선

[math(\displaystyle \boldsymbol{\nabla} \times {\bf B} = 0 )]

으로 자기장 또한 비회전장이 된다. 따라서 장을 어떤 스칼라의 그레이디언트를 취하여 기술할 수 있다. 즉,

[math(\displaystyle {\bf B} = -\mu_0 \boldsymbol{\nabla} \Phi_m )]

의 형태[1]로 기술할 수 있으며, 여기서 나온 스칼라 [math(\Phi_m)]를 "자기 스칼라 퍼텐셜"이라 한다.

4. 관련 문서


[1] 앞에 붙은 [math(\mu_0)]는 자기장 세기 문서를 읽어보면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