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가나 오십음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
<colbgcolor=#eee,#2d2f34> | あ단 | い단 | う단 | え단 | お단 | |
あ행 | あ | い | う | え | お | ||
か행 | か | き | く | け | こ | ||
さ행 | さ | し | す | せ | そ | ||
た행 | た | ち | つ | て | と | ||
な행 | な | に | ぬ | ね | の | ||
は행 | は | ひ | ふ | へ | ほ | ||
ま행 | ま | み | む | め | も | ||
や행 | や | ゆ | よ | ||||
ら행 | ら | り | る | れ | ろ | ||
わ행 | わ | ゐ | ゑ | を | |||
ん | ん | ||||||
기타 | 탁점 · 요음 · 촉음 · ヴ · ヶ, ヵ | }}} |
* 음영 처리: 현대에 잘 쓰이지 않거나 쓰지 않는 가나 * 둘러보기: 틀:히라가나 · 틀:가타카나 |
1. 개요
히라가나 | 가타카나 |
'''よ''' | <colbgcolor=white,#1f2023> '''ヨ''' |
국립국어원 표기법 | 요 |
라틴 문자 표기 | yo |
IPA | [jo̞][1] |
히라가나 자원 | 与의 초서 |
가타카나 자원 | 與의 약자 |
일본어 통화표 | [ruby(吉野, ruby=よしの)]のヨ(요시노노 요) |
유니코드 | U+308(E)8 |
일본어 모스 부호 | -- |
2. や행 전반에 해당되는 사항
や행의 초성은 유성 경구개 접근음이다. 또한 /j/가 들어간 모음들을 표시하기 위해 い단과 조합할 수 있는데, キャ / ジャ 등이 그 예이다. 이를 요음이라고 한다. 그 외에 ヴ / フ / テ와도 조합해 /vja/, /fya/, /tya/를 낼 수도 있다.3. お단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
모음은 후설 원순 중모음(/o̞/)으로 ㅗ(/o/)와 비슷하다.4. 모양
줄 여(与)에서 따왔다. 특이하게도 이 글자는 與의 약자인데 與가 예전에는 与로도 쓰였기 때문에 그렇다. 약자로 与를 쓰게 된 건 이전의 용례를 다시 되찾아온 것이다. 지금도 이 한자는 よ라고 읽는다.
히라가나는 위 상(上)과 닮았다.
가타카나 ヨ는 ㅌ나 E를 뒤집은 것처럼 생겼다. 또, '있음'을 뜻하는 수학 기호 ∃와 닮아있기도 하다. 디지털화된 숫자 3과 유사하기도 하다. 키릴문자에서 З(ze)를 Ш(sh) 쓰듯이 썼다면 정말 닮았겠지만 둥글둥글하게 쓸 때가 많다.
5. 발음
6. 쓰임
6.1. 주장을 나타내는 종조사
주로 강조하는 용도로 쓰이며, 한국어로는 "-야" "-라고" "-거든“ 정도에 가깝다. ね와 함께 일본어에서 자주 쓰이는 종조사로 처음에 배운다. "-よね"로 ね랑 같이 쓸 수도 있다.무언가를 상대에게 알려준다는 느낌적인 느낌도 있다. 때문에 너무 よ를 남발하면 '나도 아는데 상대가 나를 무시하나?'라는 느낌을 줄 수 있다. 말 그대로 미묘한 느낌이여서 뜻에 익숙해지는 수밖에 없다.
한국어 존대 어미 " -요"와 음이 같다 보니 번역 초보자들이 존댓말로 오역하는 경우가 아주 많다. "-ですよ" 정도가 "-요"로 옮겨도 오역이 아닌 사례.
6.2. 기타
위키피디아에 따르면 일본어 키보드에서 よ는 숫자 9 위치에 배당되어 있어서 이를 이용한 은어도 있다고 한다.고전적 용법으로, 이름이나 호칭 뒤에 붙어 '~여,' '~이시여' 등의 의미로 쓰이기도 한다.
일본 가부키 같은 전통 무용극에서 나오는 기묘한 효과음이기도 하다(정확히는 요→오↗). 하야시카타의 카케고에( 추임새)로, 표기는 ヤ로 한다. 일본 전통을 소재로 한 음악에서도 샘플링처럼 많이 쓰인다.
7. 한자
7.1. 음독
日 | 韓 | 한자 | 韓 | 한자 | 특수 |
ヨ (5) |
여 | 与余 | 예 | 予[2]誉預 | [3] |
ヨウ (22) |
양 |
羊洋揚陽瘍 様養 |
용 | 用庸容溶踊 |
엽(葉) 옹(擁)[4] |
유 | 幼[5] | 요 |
妖要腰窯曜 揺謡 |
||
ヨク (6) |
욕 | 欲浴 | 익 | 翌翼 | |
옥 | 沃[6] | 억 | 抑 |
輿(가마 여)는 상용한자에 들어가있지 않아, 輿論( 여론)이라는 단어는 현재에는 世論으로 바꿔서 쓸 때가 많다. 世論은 본래 セイロン으로 읽지만 輿論을 대체하는 용법인 경우에는 世를 훈독해서 ヨロン으로 읽는다.
7.2. 훈독
世夜四代 등이 있다. 世와 代는 지명이나 사람 이름에 꽤 많이 쓰이며, 千代( 치요)나 代々木( 요요기), 君が代( 기미가요) 등이 있다. 이 때의 代와 世는 꽤 긴 시간대를 가리킨다는 점에서 비슷한데, 代는 주로 '시대'/'치세', 世는 '세상', '천하' 등 미묘하게 다르다. 아무튼 꽤나 세월의 무상함을 드러내기에 시에서 두루두루 잘 쓰이는 표현이다. 世는 훈독 よ도 폭넓게 쓰여서 輿論을 世論으로 대체하기도 했다. 輿論에서 輿라는 글자가 상용한자에 없는 글자라서 대체할 표기를 찾던 중 마침 世論이라는 단어가 있어서 輿論을 世論으로 대체하게 된 것이다. 世の中(よのなか)는 '세상'이란 뜻으로 자주 쓰이는 표현이다.夜는 주로 よる의 줄임으로 합성어에서 よ가 된다. 夜空(よぞら), 夜中(よなか), 夜目(よめ) 등이 있다.
숫자 4는 어째서인지 다른 숫자들은 음으로 읽다가도 4에서만 훈으로 よ라고 읽는 경우가 꽤 있다. さんこ(3개)에서 よんこ(4개)가 되는 게 그 예이다. 아마도 여타 한자문화권처럼 4의 음인 し가 死와 발음이 같다 보니 이를 회피하기 위함인 것으로 보인다.
8. 한글 표기
무난하게 늘 '요'라고 적는다.
[1]
유성 경구개 접근음 +
후설 원순 중모음인데 정확히는 ɤ̞와 o̞의 중간이다.
[2]
予의 훈음은 '나 여'지만
豫(미리 예)의 속자로도 쓰인다.
신자체에서는 豫를 予로 쓰는 것을 공식으로 인정하였다.
[3]
한국 한자음으로 '요'인 것은 모두 장음이다. 대개 아래 ヨウ이며, 凹(오목할 요)만이
オウ이다.
[4]
상용한자표 한자 중 한국 한자음으로 '옹'으로 읽는 글자는 이 글자 외에 翁뿐이며 그 글자는
オウ이다.
[5]
보통 '유'로 읽는 글자는
일본 한자음으로도 ユ, ユウ 등 ユ 계열이 많다.
[6]
상용한자 내에 한국 한자음으로 '옥'인 글자는 獄玉屋沃 네 글자가 있는데 네 개가 모두 일본 한자음이 다르다. 각각 ゴク, ギョク, オク, ヨク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