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08-31 19:25:47

양보청


파일:태평천국 국기.svg
태평천국의 지도자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기
천왕 홍수전 동왕 양수청 서왕 소조귀
남왕 풍운산 북왕 위창휘 익왕 석달개
후기
천왕 홍수전 충왕 이수성 영왕 진옥성
시왕 이세현 보왕 양보청 예천왕 홍천귀복
태평천국 천왕 }}}}}}}}}

楊輔淸
병음: Yang Fuqing, 양후칭
(?~1874)

1. 개요2. 생애
2.1. 유년기2.2. 태평천국 운동 초반2.3. 태평천국 운동 중반2.4. 태평천국 운동 후반
3. 기타

1. 개요

태평천국의 장수. 정식 칭호는 전전호부부지요개조각충군사정천부조강보왕위천세(殿前戶部副地僚開朝愨忠軍師頂天扶朝綱輔王威千歲). 가장 잘알려진 명칭은 보왕(輔王).

2. 생애

2.1. 유년기

고향은 광서성 계평(桂平)이다. 아명은 아칠(阿七)이며 본명은 양금생(楊金生). 별명은 칠마자(七麻子).
한족이며 조상은 객가의 고향이라 불리는 광동의 매주(梅州) 출신이라는 설이 있지만 확실하지 않다.

2.2. 태평천국 운동 초반

형인 양근원(杨根元)과 함께 금전기의에 참여했고 태평천국의 난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형인 양근원은 일찍 죽었는데 양수청의 눈에 들어서 그의 의형제가 됐고 양수청의 이름 중 청(淸) 자를 받아서 양보청(楊輔淸)으로 개명했다. 또한 지도자인 양수청의 의동생이 돼서 국종(国宗)[1]에 들어갔다.

그 후 장군으로서 두각을 드러냈는데 1852년에는 전주(全州)를 점령한 후 도주(道州)를 얻을 때 참여했다. 뒤이은 호남성의 성도인 장사 공략에는 실패했다. 하지만 양수청의 휘하에서 다시 진격하여 익양(益阳)을 점령한 후 장강의 물길을 따라 나아가서 무창, 구강(九江), 안경을 점령했고 남경 함락에도 공을 세워 오군주장(五軍主將) 중 중군주장에 임명됐다.

1856년, 양보청은 홍수전의 명을 따라서 강서성로 진격하여 서주(瑞州)[2]를 점령했다.

2.3. 태평천국 운동 중반

1856년에 양보청이 강서에 주둔하는 동안 남경에서는 천경사변(天京事變)이 발생했다. 오랜 기간의 권력 싸움이 누적돼서 위창휘 진일강 양수청을 죽이고 양수청 휘하 부하들을 학살한 큰 사건이었다. 이 때 양보청은 남경에 있지 않아서 목숨을 건질 수 있었지만 위창휘와 진일강이 날뛰고 있어서 남경으로 돌아갈 엄두는 내지 못하고 무주(抚州)[3]에 머물렀다.

1857년, 잠시 안휘성에 있던 양보청은 다시 출병하여 강서성으로 향했는데 팽택(彭泽)[4], 요주(饶州)[5], 이양(弋陽)[6]을 지나 복건성으로 들어갔다. 복건에서는 광제(光泽)[7], 소무(邵武)[8], 건녕(建宁)[9]을 얻는데 성공했고 복건의 태평천국의 세를 확대시키는데 성공했고 9월에는 다시 강서성으로 돌아왔다.

같은해 10월, 천경사변 이후 홍수전 일파의 견제를 견디지 못하고 따로 병력을 꾸려 출병한 석달개 안경에서 출발하여 강서성을 지났는데 이 때 양보청의 군대도 합류했다. 양보청은 석달개를 도와서 다시 복건성을 공략했고 이 때의 공으로 태평천국의 작위 중 하나인 목천의(木天義)를 받았다.

1858년, 석달개 태평천국을 완전히 이탈하여 사천성 방향으로 나가기 시작했는데 양보청은 여기에는 합류하지 않았다. 대신 10월에 그는 복건성 포성(浦城)[10]에 머물던 본대를 이끌고 강서성의 경덕진(浦城県)[11]를 함락시켰다. [12]. 양보청은 증국번을 상대로 반년 간 경덕진을 지켰다.

1859년 6월, 증국번을 당해내지 못한 양보청은 안휘성의 기문(祁门)[13], 건덕(建德)[14]으로 후퇴했다. 이 때 지주(池州)에는 위창휘의 친동생인 위준이 머무르고 있었다.

그런데 위준은 이전에 천경사변을 일으킨 위창휘의 동생으로 홍수전을 포함한 많은 태평천국 간부들에게 의심을 받는 처지였고 특히 양보청은 위준을 매우 싫어했다. 이유는 당연히 위준의 형인 위창휘가 양보청의 의형이자 상관인 양수청을 죽였기 때문이었다.

홍수전은 천경사변 이후 위준을 우군주장에 임명하는 등 달래는 시늉도 했으나 위창휘에게 당한 것이 있다보니 위준을 견제하는 편이었다.[15] 거기에 당초 양보청은 위준이 무창을 수비할 때부터 시비를 자주 거는 등 사이가 좋지 못했고 진옥성 역시 위준과 사이가 좋지 않아[16] 군사들끼리 싸우기도 하는 등 위준은 위협을 느끼고 있었다.

이에 위준은 자신이 있는 지주(池州)로 아교(峨橋)[17], 번창(繁昌)[18]의 부대를 회군토록 하고 상군(湘軍) 수사제독(水師提督) 양악빈(楊岳斌)에게 항복을 약속했다. 이 때 위준은 황문금(黄文金), 유관방(刘官芳), 고륭현(古隆賢), 뇌문홍(頼文鴻)의 4인에게 장강 중류의 요충지 무호(蕪湖)를 공격토록 하여 안전하고 확실하게 항복코자 했다.

이때 4명의 장수들은 뒤늦게 위준이 배신의 뜻이 있다는 것을 알고 회군했는데 양보청은 이들과 합세하여 위준을 공격했고 지주를 얻는데 성공했다. 이 때의 공적을 홍수전이 크게 기뻐하며 양보청을 보왕(輔王)에 임명했다.

1860년 2월, 태평천국은 재차 남경이 포위되자 이수성, 홍인간의 총지휘 아래 강남대영의 2차 격파를 시도했다. 이수성, 이세현 등이 이끄는 동로군은 2월 11일에 진군을 시작했다. 절강성을 목적으로 삼아서 항주를 포위하여 강남대영의 지원군 1만 3000 여명을 유인하는데 성공했고 4월 8일에 대다수 주력군을 다시 회군 시킨 후 안휘성 건평(建平)[19]에서 대다수 장령들을 모아서 회의를 연 후 작전을 개시했다.

양보청은 잠시 천경으로 돌아가 있다가 작전에 참여하여 진곤서(陳坤書), 황문금(黄文金), 유관방(刘官芳)과 함께 안휘성 영국부(寧國府)[20] 동쪽의 홍림교(​洪林橋)에서 출발했다. 4월 12일 양보청은 다른 장수들과 고순(高淳)[21]을 함락시켰고 특히 고순의 동파(東坝)[22]를 함락시켜 장강을 통한 남경으로의 압박을 풀었다.

이후 18일에는 율수(溧水)[23]를 함락시키고 23일에는 말릉관(秣陵關)을 탈취했다.[24][25].

29일, 병력은 둘로 나뉘어졌는데 양보청은 황문금과 함께 우화대(雨花臺)[26][27]를 점거하려 갔다. 유관방, 진곤서는 고교문(高橋門)으로 향해 역시 성 남쪽의 포위를 푸는데 성공했다.

한편 4월 13일부터 이수성, 이세현은 다시 동로군을 맡아서 각각 남경의 서쪽과 동쪽의 포위를 풀었다.

4월 말 태평천국군은 안휘성 북부에서 양동작전을 펼치던 진옥성 오여효(吳如孝)까지 불러들이니 약 10만 여명의 군대는 남경으로 돌아와 강남대영을 포위했다.

5월 2일 태평천국군은 총공격을 시작했는데 이세현, 이수성, 진옥성, 유관방· 진곤서, 양보청은 각각 한 방향을 맡아 진격했다. 5월 5일에 태평천국군은 청나라가 남경 남쪽에 쌓은 참호를 격파한 후 밤새 싸워 포위를 완전히 해소했다.

한편 기세를 탄 양보청은 1860년 8월에 고륭현, 뇌문홍과 함께 영국(寧國)에 있는 호남제독(湖南提督) 대리 주천수(周天受)를 살해하는데 성공했다.

2.4. 태평천국 운동 후반

태평천국군은 남경의 포위가 해제되자 1860년 여름부터 강소성, 절강성으로 주력군을 동진시켰다. 이 틈을 탄 증국번, 호북순무(湖北巡撫) 호림익(胡林翼)은 약 5만의 군대를 이끌고 호북성에서 안휘성으로 침범했는데 주요 목표는 태평천국의 거점이자 서대문이라 할 수 있는 안경이었다.

수사제독(水師提督) 양재복(楊載福)과 증국번의 동생인 증국전(曾國荃)은 각각 수군 4000명과 육군 5만 명을 이끌고 안경으로 육박했는데 부도통(副都統) 다륭아(多隆阿), 안찰사(按察使) 이속의(李續宜)는 2만명의 기마병과 보조병을 이끌고 지원했다. 안경은 태평천국군의 주요 도시로서 남경의 서쪽에 위치해 서대문의 역할을 하며 교통의 중심지였다. 중요성을 잘 알고 있던 태평천국군은 분전했지만 청나라군을 당해내지 못하고 6월 20일부터 안경은 포위됐다.
홍수전은 9월 하순에 장수들을 집합시켜서 위위구조의 계략으로 안경의 포위를 풀기로 하는데 양보청은 황문금과 함께 장강 남안을 따라 진격하여 강서성 북면을 공략하러 출발했다.

유관방이 기문(祁门)에 있는 증국번을 공격했지만 실패하자 근처에서 견제하던 양보청은 1861년 7월 하순부터 진옥성과 함께 안경을 직접 공격하기 시작했다. 진옥성은 이수성과 약속하여 위위구조의 계략으로 무창을 공격한 후 안경의 포위를 풀기로 했지만 이수성이 시일을 어겨서 어그러진 탓에 몇 번 실패한 후 양보청을 부른 것이었다.

양보청은 진옥성의 요청에 응하여 8월 6일에 안경 서쪽의 태호(太湖)[28][29]에 이르렀고 8월 7일부터는 동진하여 안경 북편에 있는 괘차하(掛車河)에 도착했다. 이곳은 다륭아가 지키고 있었는데 괘차하 바로 위에 있는 동성(桐城)[30]에 머무르던 임소장(林紹璋), 황문금, 오여효는 양보청과 연합하여 다륭아를 공격했지만 이길 수 없었다.

그러자 21일부터 24일간 양보청은 진옥성과 함께 안경 북편에 바로 붙어있는 집현관(集賢關)에 5만 여명의 군대를 이끌고 진입했고 안경 안에 있던 수비군 2만 명도 성의 서문에서 대기하며 협공을 노렸다. 25일부터 28일까지 양보청과 진옥성은 안경을 포위하던 청나라 군대를 10여 차례나 맹공했는데 주요 목표는 참호였다. 당시 청나라군은 이중 참호를 파서 한 곳은 성의 보급을 차단하고 다른 쪽은 외부의 지원군을 막는 형세였다. 양보청과 진옥성은 참호를 메우기 위하여 전투를 진행함과 동시에 병사들에게 풀을 짊어지고 가서 참호에 던져 넣도록 했다. 막대한 사상자가 나왔지만 태평천국군은 청나라의 맹공을 받으면서도 참호를 메우기 시작하여 쓰러진 시체와 풀들로 참호를 메웠다. 또한 성 내의 수비 책임자인 평서주장 오정채 역시 서문을 열고 나와 맹공을 퍼부었다. 하지만 독전대까지 운영하며 맞서는 증국번의 지휘 아래 공격은 실패했다.

28일부터 9월 2일까지 다시 태평천국군은 공격을 시도했지만 실패했고 안경성 밖의 들판은 시체가 가득차고 주변의 강들은 피로 붉게 물들 정도였다.

성안의 병사들은 보급이 끊겨서 화력이 부족했고 또한 굶고 있었는데 이에 청나라군은 9월 4일밤 안경성 주변의 마산(馬山) 밑에 땅굴을 만들었고 9월 5일 오전 8시 경에 폭파하여 성벽을 무너뜨리고 성을 점령하는데 성공했다. 성을 지키던 오정채, 엽운래, 장조작 등의 장수와 병사 만 여명이 결사항전 하다가 사망했다. 성 안에서는 3일간 학살과 약탈이 벌어졌다.

9월 6일에 성이 함락된 것을 확인한 양보청과 진옥성은 분노를 삼키며 퇴각을 시작했는데 집현관(集賢關)을 빠져나와 동성(桐城)으로 탈출을 기도했다. 하지만 다륭아가 이끄는 부대는 왕교두(王橋頭)에서 나와 양보청, 진옥성의 측면을 공격하여 큰 피해를 안기니 오히려 9월 7일에 동성을 잃었다. 10월경에 안경 서남쪽의 랍수과(蜡树窠)까지 후퇴했지만 재차 다륭아는 공격해 진옥성은 태호(太湖)로 물러나 호북성으로 진출하고자 했다. 이는 양양, 덕안(德安)[31]으로 물러나 군대를 다시 모으고자 함이었는데 부하들의 반대로 진옥성은 산을 넘어 육안(六安)[32]으로 갔다가 합비로 후퇴했다. 양보청은 9월 7일에 동성을 잃자 부대를 인솔하여 안휘성 남쪽으로 후퇴했다.

1862년 5월 안휘성 영곽(宁郭)[33]을 잃자 양보청은 강소성으로 후퇴했고 다른 태평천국군들 역시 속절 없이 밀리며 5월에는 남경 부근의 우화대까지 청군은 진입했다. 홍수전의 명령에 따라 남경을 지키기 위해 남경 남쪽 외곽의 고교문을 지키던 양보청은 9월에 고교문을 잃었고 고순(高淳)으로 후퇴했다.

1864년 봄, 양보청은 황문금, 이원계(李远继)와 함께 절강성 북부의 호주(湖州)[34]의 수비를 맡았고 호왈 수십만의 군대를 이끌고 있었다. 하지만 같은해 7월 19일 남경은 함락 됐다.

그러자 양보청은 호주를 황문금에게 맡긴 후 삭발하여 위장한 후 상하이로 홀로 향했다. 그 후, 절강성, 복건성, 마카오 등지를 떠돌다가 다시 고향인 광서성의 계평으로 돌아갔다. 이는, 기회를 엿보다가 호남성, 귀주성, 호남성, 안휘성 등지에서 사람을 모집하여 다시 태평천국을 건설키 위함이었다.

1874년까지 어둠 속에서 살던 양보청은 같은 해 일본 대만을 침공하여 각 성의 방비가 허술해지자 이 때를 기회라고 여겨 다시 복건성으로 돌아갔다. 하지만 태평천국을 배신했던 마융화(馬融和)[35]는 양보청을 발견한 후 민절총독(閩浙總督)[36] 이학년(李鶴年)에게 신고했다. 결국 양보청은 밀고로 인해 복건성 진강현(晋江县)[37]에서 체포당했고 복주(福州)[38]에서 살해당했다.[39]

3. 기타


[1] 태평천국 지도자들의 친척을 칭하는 말 [2] 현재의 가오안(高安) 시 [3] 현재의 푸저우(抚州) 시 [4] 현재 펑저현(彭泽県) [5] 현재 라오저우(饶州) 시 [6] 현재 이양현(弋陽県) [7] 현재 구안제현(光泽県) [8] 현재 사오우(邵武) 시 [9] 현재 젠닝현(建宁県) [10] 현재의 푸청현(浦城県) [11] 현재의 징더전(景德镇) 시 [12] 경덕진은 옛날부터 도자기가 유명한 곳으로 물산이 풍부하고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고 하천이 복잡하여 지키기에 좋은 곳이었다. 또한 포양호(鄱阳湖)에 근처에 위치하여 남창, 구강(九江)의 청나라 군을 견제하기 위한 요지였다. [13] 현재의 치먼현(祁门县) [14] 현재는 츠저우(池州) 둥지현(東至県) [15] 홍수전은 위준이 수비하는 무창 보급을 소홀히 하여 위준은 결국 무창을 잃었다. 이수성 위준을 감싸는 편이라 큰 처벌은 당하지 않았다. [16] 당초 진옥성의 숙부인 진성용(陳成瑢)이 위창휘를 도와 양수청을 죽이고 훗날 함께 살해당하는 등 인연이 있어서 사이가 좋았다. 하지만 진옥성이 영왕(英王)에 오르고 위준이 진옥성의 부하가 되면서 사이가 급격히 나빠졌다. [17] 현재의 이치아오진(峨桥镇) [18] 현재 판창현(繁昌县) [19] 현재 랑시현(郎溪县) [20] 현재의 닝궈(寧国) 시 [21] 현재 남경 고순구(高淳区) [22] 동쪽에 있는 방죽이라는 뜻. 고순구 동부에 위치 [23] 현재 남경 율수구(溧水区). 남경 중심에서 42km 떨어져 있으며 장강 삼각주의 서쪽 구릉지 부근. 남경을 관통하는 진회하(秦淮河)의 본류인 율수하(溧水河)가 흐른다. [24] 현재 남경 강녕구(江宁区) 중부의 말릉진(秣陵镇)이며 옛 말릉교(秣陵橋) 서남부. [25] 운대하(雲台河)의 북안에 위치했으며 남경의 남쪽 요충지였다. 남경의 서남쪽에서 남경을 향해 공격할 수 있는 유일한 경로였기 때문 [26] 남경의 중화문(中華門) 남단에 있는 높이 100m, 길이 3000m 정도의 언덕. 남경보다 지대가 높아서 공격이 용이한 곳이었다. [27] 중화문(中華門)은 현재 남아 있는 중국의 성문 중에서 가장 크다. 당시 남경성에서도 주요 출입구였다. [28] 현재 안휘성 타이후현(太湖県) [29] 강소성에 있는 태호(太湖)와는 다른 곳 [30] 현재 퉁청(桐城) 시 [31] 현재 더안현(德安县) [32] 현재 루안(六安) 시 [33] 현재 쉬안청(宣城) 시 [34] 현재의 후저우(湖州) 시 [35] 마륭화는 진옥성의 친척이자 부하인 부왕(扶王) 진득재(陳得才)의 부장 출신이라 양보청을 알고 있었다. [36] 복건성과 절강성의 군무, 민정을 총괄하는 총독 [37] 현재 진장(晋江) 시 [38] 현재 푸저우 [39] 마융화는 보상을 받지는 못했다고 한다. [40] 현재 이싱(宜興)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