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8 07:16:54

스탠퍼드 대학교/출신 인물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스탠퍼드 대학교
1. 정관계2. 경제계3. 문화계4. 학계5. 스포츠6. 한인 동문

1. 정관계

2. 경제계

스탠퍼드 동문들이 세운 회사들의 총 수입이 2.7조 달러.[5][6] 캘리포니아에만 스탠퍼드 동문에 의해 설립된 회사가 약 18,000개이다. 뿐만 아니라 조사기관 Wealth-X 의 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 기준 74명의 억만장자가 스탠퍼드 출신.[7]
파일:sam altman.webp
샘 올트먼(학부 중퇴) - Open AI CEO
파일:instagram.jpg
케빈 시스트롬(학사)와 마이크 크리거(학사) - 인스타그램 공동 창업자
파일:jerry yang.webp
제리 양(전기공학 학사) - 야후 창업자
파일:에반 스피겔.jpg
에반 스피겔(학부 중퇴) - 스냅챗 창업자
파일:Peter_Thiel_by_Gage_Skidmore.jpg
피터 틸(철학 학사/법학 J.D.) - 페이팔 창업자

3. 문화계

4. 학계

5. 스포츠

6. 한인 동문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42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42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스탠퍼드 1회 졸업생이자 여기서 교수도 하고 공대 총장까지 했었다. 부인도 학교 다니면서 만났고. 그래서 학교의 상징 중 하나인 빨간색 둥근 지붕 탑인 후버탑(Hoover Tower)이 이 사람 이름을 땄다. 참고로 후버탑 맨 위층에는 전망대가 있고 올라가서 보는 전망이 또 남다르다. 외부인은 2달러를 내야 하지만 재학생은 학생증만 있으면 무료. 그리고 후버탑 자체는 공화당 쪽 유명한 싱크탱크 후버 연구소(Hoover Institute)가 있는 연구소다. [2] 여담으로 나홀로 집에2 에서도 케빈이 플라자 호텔에 묵을때 직원이 이분을 이름을 떠올리며 여기에 묵은적이 있다며 하는 장면도 있다.> 플라자 호텔 직원 : 여기 왼쪽으로. 허버트 후버도 여기에 묵은적이 있어. 케빈 : 청소부 아저씨 인가요?? 플라자 호텔 직원 : 아니, 옛날 대통령셨지... 그리고 가족들에게는 지배인이 "전망이 다 보이는 호화특실로 모시겠습니다. 얼마전에 우스터 백작 부인이 묵으셨던 방이죠." 라고 나온다. [3] 스탠퍼드 비즈니스 스쿨을 잠깐 다녔지만 졸업은 안 했다. 그리고 케네디는 짧은 기간 동안만 스탠퍼드를 다녔기 때문에, 학교 내에서는 보통 후버만이 유일한 스탠퍼드 출신 미국 대통령으로 인식한다. [4] 다니다가 브리검 영 대학교로 편입했다. [5] https://www.forbes.com/sites/petercohan/2012/11/06/stanfords-2-7-trillion-economic-jolt-beats-mits-2-trillion/#d73f68f1e469 [6] 이전에는 총 수입을 GDP로 오인하고, '스탠퍼드 동문들이 독립해 나라를 세우면 한국보다 훨씬 GDP가 높다' 라고 표현되어 있었으나 GDP는 순 부가가치로 계산해야 하기 때문에 매출보다 훨씬 적다. 한국 기업들의 총 매출은 통계청 영리법인 기업체 행정통계로 2018년 기준 약 5천조 원이다. 삼성 매출이 한국 경제의 20%를 차지한다는 오해와 비슷한 종류이다. [7] https://www.bizjournals.com/sanjose/news/2018/05/18/stanford-harvard-billionaires-bay-area-zuckerberg.html [8] 경영대학원 재학 중퇴. [9] 박사 이틀 만에 자퇴함 [10] 실리콘밸리에서 창업을 하기위해서는 스탠퍼드로 가야한다는 말이 있을정도로 스탠퍼드 동문 네트워크가 튼튼하다. 진학한 후 이틀 만에 자퇴한 이유도 스탠퍼드 동문 네트워크를 활용하기 위해서 진학을 한 이유가 크다. 결과적으로 쿠데타를 당했지만 페이팔 공동창업자도 역시 스탠퍼드 출신이다. [11] 스탠퍼드의 경우 IT기업 창업자가 무척 많다. 그래서인지 건물 이름이 IT기업 창업자인 경우가 많다. 동문이 자기 이름으로 건물을 기부하기 때문. [12] 2011년에 엔지니어링 빌딩을 아예 크게 하나 통으로 지어주셨다. [13] 부친이 아서 레빈슨이다. [14] 라틴문학과 역사를 전공. 이후 UCLA에 진학했다. [15]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가 주연한 <이 소년의 삶>이란 영화의 원작소설의 작가. [16] 스탠퍼드에서 학사부터 박사까지 다 땄고, 우주에 올라가서도 스탠퍼드 부심을 부렸다고(…). [17] 전공은 경제학. [18] 헤일리 스펠만과 스탠퍼드 대학 생물학 선후배 사이 [19] 10대 때부터 유학가서 대학 학부과정까지 미국에 있었고 건강상의 문제로 병역을 면제받았다고 한다. 3년 3개월 만에 차석으로 조기졸업했기 때문에 숨마쿰라우데가 된다. [20] 3년 만에 수석으로 조기졸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