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 4륜 | 명칭 |
그랜드 투어러 | 슈퍼 GT | |
오픈휠 | 슈퍼 포뮬러 | 슈퍼 포뮬러 라이츠 | 포뮬러 지역 일본 챔피언십 | |
주니어 포뮬러 | FIA 일본 F4 | 포뮬러 비트 | 슈퍼FJ | |
내구 레이스 | 슈퍼 다이큐 | |
투어링카 | TCR 일본 | |
랠리 | JAF 전일본 랠리 챔피언십 | |
짐카나 | JAF 전일본 짐카나 챔피언십 | |
카트 | JAF 전일본 카트 챔피언십 | |
원메이크 | 인터프로토 시리즈 | 86/BRZ 레이스 | 야리스 컵 | VITA Race (교조 컵) | 포뮬러 Enjoy | |
<rowcolor=#fff> 2륜 | 명칭 | |
로드 레이스 | MFJ 전일본 로드레이스 챔피언십 | |
내구 레이스 | 스즈카 8시간 내구 레이스 | |
모토크로스 | MFJ 전일본 모토크로스 챔피언십 | |
엔듀로 | MFJ 전일본 엔듀로 챔피언십 | |
트라이얼 | MFJ 전일본 트라이얼 챔피언십 | |
슈퍼모토 | MFJ 전일본 슈퍼모토 챔피언십 | |
원메이크 | Ninja Team Green cup | HRC GROM Cup | HRC NSF250R Challenge | NSF100 HRC 트로피 | CBR250RR Dream Cup |
슈퍼 포뮬러 챔피언십 | |||
영문 명칭 | Super Formula Championship | ||
일문 명칭 | スーパーフォーミュラ | ||
창설 | 1973년 | ||
드라이버 | 21명2025 | ||
참가팀 | 12팀2025 | ||
엔진 |
토요타 TRD01F 혼다 HR-417E |
||
섀시 | 달라라 SF23 | ||
타이어 공급업체 | 요코하마 타이어 | ||
최근 드라이버 챔피언 | 츠보이 쇼 (반테린 팀 톰스, 2024) | ||
최근 팀 챔피언 | 도코모 팀 단데라이언 레이싱 (2024) | ||
링크 | | |
[clearfix]
1. 개요
2. 상세
슈퍼 GT가 아시아의 스포츠카 최고 시리즈라면[1] 슈퍼 포뮬러는 아시아의 포뮬러 최고 시리즈라고 볼 수 있다. 물론 전세계적으로 따져 보면 당연히 포뮬러 원이 최고 시리즈이다. 슈퍼 포뮬러는 그 속도가 F1 피더 시리즈인 F2[2]와 나란히하는, 흔히 포뮬러 1 다음으로 빠른 오픈휠 레이스라 불리는 챔피언십이다.슈퍼 포뮬러는 피더의 역할이라기보다 아시아의 인디카 시리즈를 표방하고 있다. 젊은 일본인 드라이버들의 등용문이기도 하지만, 고바야시 카무이, 안드레 로테러 등등의 전직 F1 드라이버들도 활약한 적이 있고, 르망 24시 출신이나, 슈퍼 GT 출신 드라이버들도 모여드는 아시아권 포뮬러 레이싱의 최상위 대회이다.
2024시즌 기준으로 12팀 21대 레이스카가 투입된다. 캘린더는 일본에서 내로라하는 유명 서킷들이 포함돼서 9라운드로 진행되고 스즈카 서킷이 개막전과 최종전을 맡는다. 드라이버는 일본인이 많지만 다른 국적의 드라이버들도 많이 참가한다. 대표적인 선수로 뉴질랜드 출신 드라이버인 닉 캐시디가 있고 현 F1 드라이버인 피에르 가슬리도 2017년에 참가한 경력이 있다. 당시 0.5 포인트차로 아쉽게 종합 2위를 기록했다. 그리고 슈퍼 포뮬러에 참가하는 드라이버들은 슈퍼GT나 다른 레이스 카테고리에도 참가한다. 예로 2018 슈퍼 포뮬러 챔피언인 야마모토 나오키는 슈퍼 GT에서 젠슨 버튼과 함께 팀을 이뤄 GT500 클래스 챔피언까지 획득했었고 2020년에도 슈퍼 포뮬러와 슈퍼 GT GT500에서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레이스 랩수는 총 주행거리에 따라 사전에 정해져 있고 F1 처럼 한명의 드라이버가 모든 랩을 소화한다. 현 슈퍼 포뮬러 규정으로 전체 레이스시간은 1시간 30분으로 제한되어 있다. 피트스탑 역시 진행되는데 한번 레이스에서 소프트와 미디엄 컴파운드는 1세트 이상 반드시 쓰여야 한다. 또 타이어 교체 포함해서 재급유까지 허용하고 있었다.[3] 하지만, 이 내용은 2021년경까지의 규정이고 현재는 아래와 같이 변동되었다.
2022년 규정 기준으로는 모든 경기의 전체 레이스 시간이 종전 1시간 30분에서 1시간 15분으로 축소, 또한 타이어 교환은 이뤄지나 재급유가 안 된다!
2.1. 역사 및 국내 모터스포츠와의 관계
슈퍼 포뮬러는 1973년부터 시작했다. 이는 1993년부터 시작한 JGTC(현 Super GT)보다 나름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그 동안 명칭이 많이 바뀌었는데 변천사는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4]- 전일본 포뮬러 2000 선수권(1973~1977) : 양산차 엔진 및 레이싱용 엔진이 혼재된 포뮬러 2 시대.[5]
- 전일본 포뮬러 2 선수권(1978~1986) : 1976년, 유럽에서 포뮬러 2의 기술 규정이 변경되면서, 이름이 바뀌었다.
- 전일본 포뮬러 3000 선수권(1987~1995) : 유럽에서 포뮬러 2 규정으로 열리던 레이스가 개발비용 상승 등의 이유로 없어지고 이 자리를 메운 것이 포뮬러 3000, 일본도 이를 받아들여 포뮬러 3000 규정의 대회를 열었다. 본래 1988년부터 포뮬러 3000 선수권이 열려야 했지만, 1987년에 열릴 예정이었던 포뮬러 2 선수권이, 일본자동차연맹과의 논의 없이 바로 포뮬러 3000으로 이행하면서, 1987년은 전일본 선수권으로는 열리지 않았다.
- 포뮬러 닛폰(1996~2012) : 현 운영사인 JRP가 출범하면서 전일본 포뮬러 3000의 명칭을 변경한 것이 바로 포뮬러 닛폰, 국제 포뮬러 3000과는 다르게 전개되었다.
- 슈퍼 포뮬러(2013~)
한국인 드라이버로는 최해민 선수가 2013년 프리시즌 테스트에 참여한 전력이 있고 임채원이 슈퍼 포뮬러 주니어에 참전한 적이 있다. 원래 2013년에 슈퍼 포뮬러 한국 대회가 열릴 예정이었고 김동은이 낙점되었지만 대회를 1개월 앞두고 취소된 전력이 있다.
2025 시즌 4라운드 경기를 한국에서 개최한다는 소식이 알려졌다. # 하지만, 기한까지 요건이 정돈되지 않았다며 한국 개최를 철회했다. #
2.2. 포인트 시스템( FIA 슈퍼 라이선스)
2019년까지의 포인트 제도는 아래와 같았다.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6위 | 7위 | 8위 | 폴 포지션 |
10 | 8 | 6 | 5 | 4 | 3 | 2 | 1 | 1 |
2020년부터는 아래와 같이 변경되었다.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예선 | 3 | 2 | 1 | |||||||
결선 | 20 | 15 | 11 | 8 | 6 | 5 | 4 | 3 | 2 | 1 |
드라이버 챔피언십의 경우 예선 성적을 반영하지만 팀 챔피언십의 경우 예선 성적을 반영하지 않기에 더하는 것에서 차이가 날 수 있다. 포인트 합산 방식은 2021년까지 가장 성적이 좋았던 5개 경기만 반영했지만, 2022년 시즌부터는 모든 경기를 반영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슈퍼 포뮬러에서 빠르면 2년 내에 F1에서 뛸 수 있는 ' FIA 슈퍼 라이선스'를 획득할 수 있다. 2년 연속 시즌 챔피언을 두 차례(25포인트+25포인트) 차지하거나, 2년 동안 시즌 챔피언 1번(25포인트), 종합 2위(20포인트)를 하게 되면 슈퍼 라이선스 40포인트를 획득해 F1 시트에 앉을 수 있는 자격을 얻게 된다. 참고로, 슈퍼 GT의 경우 시즌 챔피언을 차지하면 20포인트, 종합 2위를 차지하면 16포인트를 얻는다.
시즌 | 1위 | 2위 | 3위 |
슈퍼 포뮬러 | 25 | 20 | 15 |
슈퍼 GT | 20 | 16 | 12 |
2024년 10월, FIA가 슈퍼포뮬러의 슈퍼 라이선스 포인트가 기존의 25pt에서 30pt로 상승 조정되었음을 발표했다. 25년부터 적용 시행될 예정이다.
시즌 | 1위 | 2위 | 3위 |
슈퍼 포뮬러 | 30 | 25 | 20 |
슈퍼 GT | 20 | 16 | 12 |
3. 역대 대표 선수
슈퍼 포뮬러에 출전했던 역대 대표 선수로는 미하엘 슈마허, 피에르 가슬리 등이 있다. 미하엘 슈마허는 전일본 포뮬러 3000 선수권 시절 팀 르망 소속으로 한 차례 출전한 바 있다. 피에르 가슬리의 경우 2017시즌에 참가해 종합 2위에 이름을 올린 바 있다.또, 르망24 종합 우승을 3차례나 한 나카지마 카즈키와 인디카 3회 챔피언 알렉스 팔로도 슈퍼 포뮬러를 거쳐갔다. 이외에도 리암 로슨이 지난 시즌 F1에 데뷔했고, 히라카와 료가 F1 맥라렌 리저브 드라이버 엔트리에 이름을 올렸다.
4. 레이스카
섀시는 각팀이 따로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달라라(Dallara)에서[6] 공급하는 원메이크 섀시를 사용한다. 그래서 팀간의 성능격차는 엔진과 셋업에서 결정되는 편이다. 2018 시즌까지 SF14라는 명칭의 섀시가 사용되었고, 2019 시즌까지는 헤일로가 장착된 SF192023 시즌부터는 탄소 중립을 위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75% 감소한 Bcomp사의 바이오 복합 소재를 적용하고, 추월 기회를 늘리기 위해 에일러론과 플로어 등 에어로다이나믹을 수정한 달라라의 SF23 섀시를 사용한다. 이전의 SF19와 마찬가지로 엔진은 혼다와 토요타가 그대로 공급한다.
엔진은 혼다와 토요타가 경쟁 체제로 공급하고 있다. 규격은 2.0L 4기통 터보 엔진으로 슈퍼 GT의 GT500과 같은 규격의 엔진이다.[7] 출력은 550마력을 가뿐히 넘긴다. 때문에 차빨을 많이 받는다는 F1과는 달리 인디카처럼 드라이버의 기량이 상당히 중요하게 여겨진다.
기어박스는 6단 패들 시프트를 사용하고 있고, 요코하마 타이어의 ADVAN 브랜드가 독점 공급하고 있다. 2020 시즌에는 드라이 컴파운드와 악천후 상황에 사용되는 웻 컴파운드[8]를 합쳐서 총 2가지의 타이어를 사용했다. 레이스카는 드라이버 탑승시 670kg 이상이어야 한다.
차량 성능은 전체적으로 우수하다. [Autosports magazine]의 소스에 따르면, F1 다음으로, 퍼포먼스 레벨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밖에 인디카, F2, 슈퍼 GT 등이 슈퍼 포뮬러 다음을 잇고 있다.
5. 2025년 시즌 출전 엔트리
2025 슈퍼 포뮬러 참가 팀 및 드라이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25 시즌 | |||||||
No. | 소속 | 파워 유닛 컨스트럭터 | 국적 | 성명 | ||||
1 | 반테린 팀 톰스 | 토요타 | 츠보이 쇼 | |||||
37 | 사샤 페네스트라즈 | |||||||
3 | 콘도 레이싱 | 토요타 | 야마시타 켄타 | |||||
4 | 잭 오설리번 | |||||||
5 | 도코모 팀 단데라이언 레이싱 | 혼다 | 마키노 타다스케 | |||||
6 | 오타 카쿠노신 | |||||||
7 | Kids com 팀 KCMG | 토요타 | 코바야시 카무이 | |||||
8 | 후쿠즈미 니레이 | |||||||
12 | 쓰리본드 레이싱 | 혼다 | 미야케 아츠시 | |||||
14 | 도코모 팀 비즈니스 루키 | 토요타 | 오시마 카즈야 | |||||
15 | 팀 무겐 | 혼다 | 이와사 아유무 | |||||
16 | 노지리 토모키 | |||||||
19 | 팀 임펄 | 토요타 | 올리버 라스무센 | |||||
20 | 미츠노리 타카보시 | |||||||
28 | KDDI TGM GP TGR-DC | 토요타 | 코타카 카즈토 | |||||
29 | 타이라 히비키 | |||||||
- | 노나카 세이타[1] | |||||||
38 | 산키 버텍스 파트너스 세루모ẞ 인깅 | 토요타 | 사카구치 세나 | |||||
39 | 오유 토시키 | |||||||
50 | San-Ei Gen with B-Max | 혼다 | 코이데 슌 | |||||
64 | 포노스 나카지마 레이싱 | 혼다 | 사토 렌 | |||||
65 | 이고르 오무라 프라가 |
[1]
리저브
}}}}}}}}} ||
5.1. 2025 시즌 엔트리 변경점
-
16년 챔피언인
쿠니모토 유지 또한 14시즌을 보내고 작년을 마지막으로 은퇴하였다.
-
키무라 이오리는 2024년 12월 13일,
HRC와 결별을 하여 내년 시트가 불분명해진 상황이다.
- 팀 무겐와 레드불의 스폰서가 2024년 12월 31일을 끝으로 종료 되어, 내년부터는 레드불 스폰서를 볼 수 없게 된다.
- 2024년 F2를 시즌 도중 자금난으로 인해 중도 은퇴한 잭 오설리번이 슈퍼 포뮬러에 출전한다.
- 24시즌 동안 부진했던 노다 주주는 25년 엔트리에 포함되지 않는다.
- 전 허츠 팀 죠타 소속 드라이버인 올리버 라스무센이 팀 임펄 소속으로 첫 출전한다.
6. 2025년 시즌 캘린더
정규 시즌 | ||||
라운드 | 기간 | 개최지 | 서킷 | 비고 |
1 | 3/7~9 | 미에현(스즈카시) | 스즈카 서킷 | |
2 | 4/18~20 | 도치기현(하가군) | 트윈 링 모테기 | |
3 | 5/16~18 | 오이타현(히타시) | 오토폴리스 서킷 | |
4 | 7/18~20 | 시즈오카현(오마야정) | 후지 스피드웨이 | |
5 | 8/8~10 | 미야기현(시바타군) | 스포츠랜드 스고 | |
6 | 10/10~12 | 시즈오카현(오마야정) | 후지 스피드웨이 | |
7 | 11/21~23 | 미에현(스즈카시) | 스즈카 서킷 |
[1]
현재 ACO에서 운영하는 아시안 르망 시리즈는 단일 최고 시리즈보다는 아시아내에서 르망 24시 클래스별로 출전권을 획득할 수 있는 하위 시리즈에 가깝다.
[2]
폐지된 전 GP2에 해당
[3]
F1은 2009년 이후로 재급유 규정을 폐지했다.
헤이키 코발라이넨이 급유 파이프를 달고 나갔다가 뒤따라오던
키미 라이코넨의 차에 불을 지른다던지,
펠리페 마싸가 급유 파이프를 달고 나가버린다던지 하는 크고 작은 사고들이 있었기 때문.
[4]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Super Formula 항목
[5]
이는 당시 국제자동차연맹의 규정상 포뮬러 2는 양산차 엔진을 기반으로 해야 한다고 했으나, 미쓰비시자동차가 공급한 엔진이 순수 레이싱용 엔진이었다는 변수로 인해서, 포뮬러 2000이라고 불렀다
[6]
포뮬러 2,
인디카 시리즈 공급사와 같다.
[7]
실제로 2009년부터 동일한 규격으로 들어갔다.
[8]
연습전이나 예선전에서는 기상 악화를 경고해주지만, 본선전에서는 알려주지 않아서 팀별로 대처를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