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08:52:38

쇼팽 국제 피아노 콩쿠르

세계 3대 음악 콩쿠르
쇼팽 국제 피아노 콩쿠르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 차이콥스키 콩쿠르
International Chopin Piano Competition
Międzynarodowy Konkurs Pianistyczny im. Fryderyka Chopina[1]
쇼팽 국제 피아노 콩쿠르
파일:external/2.bp.blogspot.com/L1010978_1.jp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1. 개요2. 참가 대상3. 특징4. 역대 입상자 목록5. 기타

[clearfix]

1. 개요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개최되는 피아노 콩쿠르로, 프레데리크 쇼팽 연구소(Narodowy Instytut Fryderyka Chopina)에서 주관한다. 피아노 분야에서 최고의 역사와 권위를 지닌 대회이다. 전세계의 내로라하는 피아니스트들이 몰려든다.

또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단일 음악 콩쿠르다. 1927년에 시작되었고 5년마다 개최되고 있다.[2]

폴란드가 낳은 역사상 최고의 피아니스트 중 한 명인 프레데리크 쇼팽의 이름이 붙은 콩쿠르답게 다른 콩쿠르들과는 달리 오로지 쇼팽의 작품만이 연주된다. 심사위원장은 쇼팽의 출신국인 폴란드 출신이 전통적으로 맡는다.

2. 참가 대상

국제 음악 콩쿠르 참가에는 대개 나이 제한이 있는데 보통 만 17~30세 사이이다. 쇼팽 콩쿠르도 이와 같은 기준을 적용하여, 해당 나이 범위 안에 들어가야 참가할 수 있다.

나이 제한이 있는 것은 아래와 같이 비슷한 이름의(그리고 조금 다른 취지의) 대회들이다.
같은 이름으로 아마추어를 위한 콩쿠르 또한 열리고 있다.

3. 특징

세계적인 명성을 지닌 콩쿠르인 만큼 많은 세계구급 피아니스트들이 이 콩쿠르에서 이름을 알렸다. 블라디미르 아슈케나지(1955년 2위), 마우리치오 폴리니(1960년 1위), 마르타 아르헤리치(1965년 1위), 크리스티안 지메르만(1975년 1위), 스타니슬라프 부닌(1985년 1위) 등 클래식 피아노계의 전설적인 이름들이 수상자 명단에 등장한다. 1990년대 이후에는 그 명성이 다소 주춤한 감이 있지만[3] 2000년에 중국인 피아니스트 리윈디가 15년만에 우승을 차지하였고, 젊은 피아니스트들을 계속 발굴하고 있다.

역대 심사위원들 또한 만만찮은데, 겐리흐 네이가우스, 에밀 폰 자우어, 빌헬름 박하우스,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그리고 지금은 작곡가로 더 유명한 연주자 모리스 라벨 등이 심사위원직을 맡은 바 있으며, 아쉬케나지나 아르헤리치 등 역대 수상자들이 심사위원을 맡기도 했다. 1980년 대회에서 마르타 아르헤리치는 참가자였던 이보 포고렐리치가 3라운드에서 탈락하자 항의의 의미로 심사위원을 사퇴하여 화제가 되기도 했다. 당시 말이 많았는데 아시아 최초 우승자인 당타이선을 두고 포고렐리치보다 못하다고 한 것. 하지만 심사위원장이 천재라서 그를 우승시킨 것이지, 인기가 많다고 우승한 게 아니라고 반발했다. 2005년 대회에 한국인으로서는 처음으로 강충모가 심사를 맡은 바 있다.

콩쿠르가 흔히 그렇듯이, 순위에 적합한 참가자가 없다고 판단되면 그 순위는 그냥 비워버린다. 현재까지는 1위는 두 차례(1990, 1995년 연속), 2위는 한 차례(2005년) 공석이었다. 참고로 2005년 대회에서는 임동민, 임동혁, 손열음 세 사람의 한국인 연주자가 결선에 진출하였으며, 이 중 임동민, 임동혁 형제가 공동 3위를 수상했다. 그리고 2015년 한국인 최초로 조성진이 1위를 수상했다.

연주자의 취향에 맞게 야마하, 스타인웨이, 카와이, 파지올리 중 하나의 연주회용 그랜드 피아노를 선택할 수 있다. 2015년도 이외의 쇼팽 콩쿠르에서는 뵈젠도르퍼가 나오기도 하였다.
2015년 쇼팽 콩쿠르 우승자인 조성진의 파이널 라운드 연주

2015년 대회를 기준으로 예선과 본선으로 나뉘며, 오로지 프레데리크 쇼팽의 곡만으로 평가가 이루어진다.

먼저, 참가 희망자가 보낸 연주 영상을 토대로 160명의 예선 참가자가 결정된다.[4] 영상 심사에서 합격했다면 참가자들은 본인 부담으로 바르샤바까지 와서 예선에 참가한다. 대회가 인정하는 주요 콩쿠르에서 입상한 경력이 있는 연주자들을 바로 본선으로 직행시키기도 한다. 정해진 곡 목록에서 참가자가 연주할 곡을 선택하며, 레퍼토리는 에튀드, 녹턴, 마주르카, 발라드/스케르초/환상곡/뱃노래 10곡 중 한 곡이다. 심사위원들은 이를 심사하여 80명의 본선 참가자를 뽑는다.[5]

본선은 다시 네 단계로 구분된다. 역시 참가자가 각각의 곡 목록에서 연주할 곡을 선택하는 방식.
종합 성적 외에도 최고의 폴로네이즈, 마주르카, 협주곡, 소나타 연주자에게는 특별상이 수여된다.

4. 역대 입상자 목록

회차/연도 순위 이름 국적
제1회
1927년
1위 레프 오보린
[[소련|]][[틀:국기|]][[틀:국기|]]
2위 스타니수아프 슈피날스키
[[폴란드|]][[틀:국기|]][[틀:국기|]]
3위 루자 에트킨-모슈콥스카
[[폴란드|]][[틀:국기|]][[틀:국기|]]
4위 그리고리 긴즈부르크
[[소련|]][[틀:국기|]][[틀:국기|]]
명예상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소련|]][[틀:국기|]][[틀:국기|]]
제2회
1932년
1위 알렉산드르 유닌스키[11]
[[소련|]][[틀:국기|]][[틀:국기|]]
2위 웅가르 임레
[[헝가리|]][[틀:국기|]][[틀:국기|]]
3위 볼레수아프 콘
[[폴란드|]][[틀:국기|]][[틀:국기|]]
4위 아브람 루페르
[[소련|]][[틀:국기|]][[틀:국기|]]
5위 켄트네르 러요시
[[헝가리|]][[틀:국기|]][[틀:국기|]]
6위 레오니트 사갈로프
[[소련|]][[틀:국기|]][[틀:국기|]]
제3회
1937년
1위 야코프 자크
[[소련|]][[틀:국기|]][[틀:국기|]]
2위 로자 타마르키나
[[소련|]][[틀:국기|]][[틀:국기|]]
3위 비톨트 마우추진스키
[[폴란드|]][[틀:국기|]][[틀:국기|]]
4위 랜스 도소어
[[영국|]][[틀:국기|]][[틀:국기|]]
5위 염보르 어기
[[헝가리|]][[틀:국기|]][[틀:국기|]]
6위 에디트 피히트-악센펠트
[[독일|]][[틀:국기|]][[틀:국기|]]
제4회
1949년
1위 벨라 다비도비치
[[소련|]][[틀:국기|]][[틀:국기|]]
할리나 체르니-스테판스카
[[폴란드|]][[틀:국기|]][[틀:국기|]]
2위 바르바라 헤세-부콥스카
[[폴란드|]][[틀:국기|]][[틀:국기|]]
3위 발데마르 마치셉스키
[[폴란드|]][[틀:국기|]][[틀:국기|]]
4위 게오르기 무랍로프
[[소련|]][[틀:국기|]][[틀:국기|]]
5위 부아디수아프 켄드라
[[폴란드|]][[틀:국기|]][[틀:국기|]]
6위 리샤르드 바크스트
[[폴란드|]][[틀:국기|]][[틀:국기|]]
제5회
1955년
1위 아담 하라셰비츠
[[폴란드|]][[틀:국기|]][[틀:국기|]]
2위 블라디미르 아슈케나지
[[소련|]][[틀:국기|]][[틀:국기|]]
3위 푸총
[[중국|]][[틀:국기|]][[틀:국기|]]
4위 베르나르 린제셍
[[프랑스|]][[틀:국기|]][[틀:국기|]]
5위 나움 시타르크만
[[소련|]][[틀:국기|]][[틀:국기|]]
6위 드미트리 파페르노
[[소련|]][[틀:국기|]][[틀:국기|]]
제6회
1960년
1위 마우리치오 폴리니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2위 이리나 자리츠카야
[[소련|]][[틀:국기|]][[틀:국기|]]
3위 타니아 아초트-하루투니안
[[이란|]][[틀:국기|]][[틀:국기|]]
4위 리밍창
[[중국|]][[틀:국기|]][[틀:국기|]]
5위 지나이다 이그나톄바
[[소련|]][[틀:국기|]][[틀:국기|]]
6위 발레리 카스텔스키
[[소련|]][[틀:국기|]][[틀:국기|]]
제7회
1965년
1위 마르타 아르헤리치
[[아르헨티나|]][[틀:국기|]][[틀:국기|]]
2위 아르투르 무레이라 리마
[[브라질|]][[틀:국기|]][[틀:국기|]]
3위 마르타 소신스카
[[폴란드|]][[틀:국기|]][[틀:국기|]]
4위 나카무라 히로코
[[일본|]][[틀:국기|]][[틀:국기|]]
5위 에드워드 오어
[[미국|]][[틀:국기|]][[틀:국기|]]
6위 엘즈비에타 구앙봅나
[[폴란드|]][[틀:국기|]][[틀:국기|]]
제8회
1970년
1위 게릭 올슨
[[미국|]][[틀:국기|]][[틀:국기|]]
2위 우치다 미츠코
[[일본|]][[틀:국기|]][[틀:국기|]]
3위 표트르 팔레츠니
[[폴란드|]][[틀:국기|]][[틀:국기|]]
4위 유진 인딕
[[미국|]][[틀:국기|]][[틀:국기|]]
5위 나탈랴 가브릴로바
[[소련|]][[틀:국기|]][[틀:국기|]]
6위 야누슈 올레이니차크
[[폴란드|]][[틀:국기|]][[틀:국기|]]
제9회
1975년
1위 크리스티안 지메르만
[[폴란드|]][[틀:국기|]][[틀:국기|]]
2위 디나 요페
[[소련|]][[틀:국기|]][[틀:국기|]]
3위 타탸나 페드키나
[[소련|]][[틀:국기|]][[틀:국기|]]
4위 파벨 길릴로프
[[소련|]][[틀:국기|]][[틀:국기|]]
5위 딘 크레이머
[[미국|]][[틀:국기|]][[틀:국기|]]
6위 디아나 칵수
[[브라질|]][[틀:국기|]][[틀:국기|]]
제10회
1980년
1위 당타이선[12]
[[베트남|]][[틀:국기|]][[틀:국기|]]
2위 타탸나 셰바노바
[[소련|]][[틀:국기|]][[틀:국기|]]
3위 아루튠 파파쟌
[[소련|]][[틀:국기|]][[틀:국기|]]
4위 수상자 없음
5위 에비 아키코
[[일본|]][[틀:국기|]][[틀:국기|]]
에바 포부오츠카
[[폴란드|]][[틀:국기|]][[틀:국기|]]
6위 에릭 베르쇼
[[프랑스|]][[틀:국기|]][[틀:국기|]]
이리나 폐트로바
[[소련|]][[틀:국기|]][[틀:국기|]]
제11회
1985년
1위 스타니슬라프 부닌
[[소련|]][[틀:국기|]][[틀:국기|]]
2위 마르크 라포레
[[프랑스|]][[틀:국기|]][[틀:국기|]]
3위 크시슈토프 야부온스키
[[폴란드|]][[틀:국기|]][[틀:국기|]]
4위 코야마 미치에
[[일본|]][[틀:국기|]][[틀:국기|]]
5위 장-마르크 뤼사다
[[프랑스|]][[틀:국기|]][[틀:국기|]]
6위 타탸나 피카이젠
[[소련|]][[틀:국기|]][[틀:국기|]]
제12회
1990년
1위 수상자 없음
2위 케빈 케너
[[미국|]][[틀:국기|]][[틀:국기|]]
3위 요코야마 유키오
[[일본|]][[틀:국기|]][[틀:국기|]]
4위 코라도 롤레로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마르가리타 셰브첸코
[[소련|]][[틀:국기|]][[틀:국기|]]
5위 안나 말리코바
[[소련|]][[틀:국기|]][[틀:국기|]]
타카하시 타카코
[[일본|]][[틀:국기|]][[틀:국기|]]
6위 카롤린 사제망
[[프랑스|]][[틀:국기|]][[틀:국기|]]
제13회
1995년
1위 수상자 없음
2위 필리프 주시아노
[[프랑스|]][[틀:국기|]][[틀:국기|]]
알렉세이 술타노프
[[러시아|]][[틀:국기|]][[틀:국기|]]
3위 가브리엘라 몬테로
[[베네수엘라|]][[틀:국기|]][[틀:국기|]]
4위 렘 우라신
[[러시아|]][[틀:국기|]][[틀:국기|]]
5위 미야타니 리카
[[일본|]][[틀:국기|]][[틀:국기|]]
6위 마그달레나 리사크
[[폴란드|]][[틀:국기|]][[틀:국기|]]
제14회
2000년
1위 리윈디
[[중국|]][[틀:국기|]][[틀:국기|]]
2위 잉그리드 필테르
[[아르헨티나|]][[틀:국기|]][[틀:국기|]]
3위 알렉산드르 코브린
[[러시아|]][[틀:국기|]][[틀:국기|]]
4위 천싸
[[중국|]][[틀:국기|]][[틀:국기|]]
5위 알베르토 노세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6위 사토 미카
[[일본|]][[틀:국기|]][[틀:국기|]]
제15회
2005년
1위 라파우 블레하츠[폴로네이즈][마주르카][콘체르토][16]
[[폴란드|]][[틀:국기|]][[틀:국기|]]
2위 수상자 없음
3위 임동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임동민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4위 세키모토 쇼헤이
[[일본|]][[틀:국기|]][[틀:국기|]]
야마모토 타카시
[[일본|]][[틀:국기|]][[틀:국기|]]
5위 수상자 없음
6위 리카링(콜린 리)
[[홍콩|]][[틀:국기|]][[틀:국기|]]
제16회
2010년
1위 율리아나 아브제예바
[[러시아|]][[틀:국기|]][[틀:국기|]]
2위 루카스 게뉴서스
[[러시아|]][[틀:국기|]][[틀:국기|]]

[[리투아니아|]][[틀:국기|]][[틀:국기|]]
잉골프 분더
[[오스트리아|]][[틀:국기|]][[틀:국기|]]
3위 다닐 트리포노프
[[러시아|]][[틀:국기|]][[틀:국기|]]
4위 에브게니 보자노프
[[불가리아|]][[틀:국기|]][[틀:국기|]]
5위 프랑수아 뒤몽
[[프랑스|]][[틀:국기|]][[틀:국기|]]
6위 수상자 없음
제17회
2015년
1위 조성진[폴로네이즈]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2위 샤를 리샤르-아믈랭[2번][소나타]
[[캐나다|]][[틀:국기|]][[틀:국기|]]
3위 케이트 리우[마주르카]
[[미국|]][[틀:국기|]][[틀:국기|]]
4위 에릭 루
[[미국|]][[틀:국기|]][[틀:국기|]]
5위 토니 이케 양
[[캐나다|]][[틀:국기|]][[틀:국기|]]
6위 드미트리 쉬스킨
[[러시아|]][[틀:국기|]][[틀:국기|]]
제18회
2021년
1위 브루스 리우
[[캐나다|]][[틀:국기|]][[틀:국기|]]
2위 알렉산더 가지예프[소나타]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슬로베니아|]][[틀:국기|]][[틀:국기|]]
소리타 쿄헤이
[[일본|]][[틀:국기|]][[틀:국기|]]
3위 마르틴 가르시아 가르시아[콘체르토]
[[스페인|]][[틀:국기|]][[틀:국기|]]
4위 고바야시 아이미
[[일본|]][[틀:국기|]][[틀:국기|]]
야쿱 쿠즐릭[마주르카]
[[폴란드|]][[틀:국기|]][[틀:국기|]]
5위 레오노라 아르멜리니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6위 제이 제이 준 리 부이
[[캐나다|]][[틀:국기|]][[틀:국기|]]

5. 기타


[1] 폴란드어 [2] 다만 제2차 세계 대전이 진행 중이었던 1942년에는 열리지 못했고, 그 후 7년 후인 1949년에 개최되었다. 1955년부터는 매 5년마다 개최되고 있다. [3] 1990년 12회, 1995년 13회에는 1위 수상자가 없었다. [4] 전공자들 사이에서는 이 과정을 DVD 예선, 그냥 줄여서 디비디라고 부른다. 대부분의 국제 콩쿨은 단순히 참가를 희망한다고 참가할 수 있는 게 아니고, 이렇게 예비심사를 통해 참가자를 선발하는 Screening Audition에서 합격을 해야 비로소 정식 참가자로서 경연할 수 있는 자격을 얻게 된다. [5] 국제 콩쿠르 치고는 참가자를 굉장히 많이 뽑는 편이다. 당장 차이코프스키와 밴 클라이번 국제 콩쿠르가 30명을 뽑아서 경연한다. 이 외의 다른 국제 콩쿠르도 보통은 30~40명 선에서 출발하는 것을 생각하면 특별한 점이다. 아무래도 개최 주기가 무려 5년으로 무지하게 길어서, 일생에 1~2번 참가할 수 있을까 말까이기 때문에 많이 뽑는 듯. [6] A/B그룹으로 나뉘어 각각에서 1곡씩 선택, A: 10-1,4,5,8,12,25-11 B: 10-2,7,10,11,25-4,5,6,10 [7] 9-3, 27-1, 27-2, 37-2, 48-1, 48-2, 55-2, 62-1, 62-2 [8] Op. 10 중 3번과 6번, Op. 25의 7번 등 3곡이다. [9] 18, 34-1, 34-3, 42, 64-3 [10] 22(오케스트라 없음), 44, 53, 또는 26-1과2 [11] 이 당시 1위와 2위의 희비가 어이없게 엇갈렸는데, 심사위원들의 최종 투표 결과 유닌스키와 웅가르가 같은 수의 표를 얻게 되자 동전 던지기(...)로 둘의 순위를 결정했다고 한다. 그러니까 유닌스키와 임레는 사실상 공동 1위인 것. 이것이 이후 강한 비판을 받게 되자 동수의 표를 얻은 결선 진출자의 경우 해당 순위에 공동 입상시키는 것으로 콩쿠르 규정이 변경되었다. 이것이 처음 적용된 사례는 제4회의 1위 입상자 결정 때였다. 당시 혼란한 국제정세를 반영하듯 두 사람 다 출신국가에서 활동하지 않았는데, 유닌스키는 미국으로 건너가 활동했고 임레는 네덜란드에서 주로 활동했다. [12] 최초 아시아인 우승자이며, 역대 쇼팽 콩쿠르 중 유일하게 피아노 협주곡 2번으로 우승했다. [폴로네이즈] 최우수 폴로네이즈상 [마주르카] 최우수 마주르카상 [콘체르토] 최우수 피아노 협주곡상 [16] 사상 유일한 전부문 우승자. [폴로네이즈] [2번] 17회 최종 결선 진출자 중 유일하게 피아노 협주곡 2번을 연주했다. [소나타] 최우수 소나타상 [마주르카] [소나타] [콘체르토] [마주르카] [24] 2001년에 향년 78세로 사망. 오늘날 기준으로는 살짝 아쉬운 나이지만 2000년대 초반에는 충분히 장수였다. [25] 90년대에 암이라는 악재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기억력과 체력 둘 다 젊은 피아니스트들과 비교해서 손색이 없을 정도다. [26] 유명 음악 유튜버 Rick Beato가 이것에 대해 "아니 이게 어떻게 가능하지?"라는 동영상을 올려서 화제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