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2-16 21:20:10

설악면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2e3091>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b6f1>
군청
가평읍
북면 설악면 상면 조종면 청평면
}}}}}}}}} ||
가평군
설악면
雪岳面 | Seorak-myeon
<colbgcolor=#2e3092><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경기도
기초자치단체 가평군
행정표준코드 4160025
관할 법정리 15리
하위 행정구역 28행정리 75반
면적 141.64㎢
인구 9,634명[1]
인구밀도 68.34명/㎢
정치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국회의원 | 포천시·가평군

최춘식 (초선)
경기도의원 | 가평군 선거구

임광현 (초선)
가평군의원 | 나 선거구

김경수 (초선)

김종성 (초선) }}}}}}}}}
행정복지센터 한서로 8 (신천리 156-1)
설악면 행정복지센터
1. 개요2. 역사3. 하위행정구역4. 교통5. 출신 인물
[clearfix]

1. 개요

가평군의 면. 군의 최남단이자 북한강의 남쪽에 위치하며 면사무소 소재지는 신천리다.

이 지역은 과거부터 양근군 또는 양평군에 속해 있었으나 1942년 이후 가평으로 편입되었다.

2. 역사

백제시대에는 거사참(去斯緻), 항양(恒陽), 양근(楊根)군에 속해 있던 미원장(迷源莊)이었다. 757년 신라 경덕왕 16년에는 빈양(濱陽)군에 속해 있었고, 940년 고려 태조(고려) 23년에는 양근군에 예속되었으며, 그 후 광주부(廣州府)에 편입되었다가, 1175년 양근현에 감무가 부임하여 편입되고, 고종(고려) 44년인 1257년 영화(永化)현의 감무를 받고, 1267년 위사공신 김자정(金自廷)의 고향이라는 덕으로 익화현(益化縣)으로 승격되어 현감이 부임하니 미원장은 익화현 북면이었다.

공민왕 5년인 1356년 고려시대 국사승(國師僧) 보우(普愚)의 세거지라하여 익화현은 양근군(楊根郡)으로 승격되고, 미원장은 미원현(迷源縣)으로 격상되었으나, 미원현[2]은 인구가 희소하고 교통이 불편하여 현이면서도 양근군 감무의 지시를 받아야 했다.

조선시대에 들어 미원현으로 남았다가 효종(조선) 9년인 1658년에는 양근군과 더불어 지평군(砥平郡)에 예속되었다가, 현종(조선) 9년인 1668년 양근군[3]에 감무를 받고, 영조 4년인 1728년 양근군이 현으로 강등되고 미원현은 상북, 하북면으로 갈려 예속되었다.

영조 17년인 1741년 양근군으로 다시 승격되고 미원현은 상도면 하도면으로 개칭되었다. 영조 23년인 1747년 군을 갈산(葛山)으로 옮기고, 군수가 부임하여 미원은 상도, 하도 그대로 두었다. 정조(조선) 9년인 1785년에 강등되었던 현이 다시 군으로 승격되는 우여곡절이 있었으나 미원현은 상도와 하도로 있었고, 계속하여 속현으로 예속되었다. 이때의 관할은 여주진(驪州鎭)이었다. [4]

1895년 관재개혁에 의하여 양근군 설악면으로 개명되고, 1896년 관제개혁으로 양평군의 북상도면과 북하도면으로 분리되었다가 1914년 군면 개편과 함께 설악면으로 개칭되었다. 1942년 행정개편에 의하여 설악면은 가평군으로 편입되어 현재에 이른다.[5] 1973년 양평군 서종면 노문리의 일부를 편입하여 이천리가 되었다.

3. 하위행정구역

4. 교통

조종면과 인구가 비슷한 설악면의 경우 서울양양고속도로 설악IC가 생기면서 서울 등 수도권 및 강원도와의 교통이 매우 편리해졌다.[6]

설악IC 나들목 이정표지판에는 '설악( 가평군)'이라 표기되어 있는데, 서울양양고속도로가 마침 설악산이 있는 양양군, 속초시 일대로 가는 고속도로다 보니 설악산을 가려는 사람들이 혼동하여 여기서 잘못 내릴 수 있기 때문이다. 당연히 이 지역은 강원특별자치도에 있는 설악산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7]

가평 버스 7000번(잠실행)과 가평 버스 8005번(청량리행)의 두 버스만이 서울로 간다.[8] 청평터미널로 가는 버스는 20~30분에 한 대씩 다니는 게 유일한데, 이게 산을 타고 달린다. 8005번 광역버스는 가평 버스 8005 문서를 참조하면 알겠지만 하루에 5회 운행에 배차간격은 4시간이다.[9] 7000번은 원래 시외버스였으나 2020년 1월 1일부터 직행좌석버스로 전환되었다. 전환된 덕에 기본 요금으로선 부담이 줄어든 셈이다.

국도로는 86번 지방도를 통해 이동하거나[10], 청평으로 나가서 46번 국도 45번 국도를 이용하여 이동할 수 있으며, 버스도 자주 다니지 않기 때문에 대중교통은 매우 열악한 곳이다.

37번 국도를 통해 양평군 옥천면과 연결되어 있다.

5. 출신 인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36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36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39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39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2023년 9월 주민등록인구 [2] 미원초등학교에 명칭이 남아있다. [3] 현재의 양평군이다. [4] 당연하겠지만 여주진(驪州鎭)은 현재의 이천시 옆의 여주시이다. [5] 청평수력발전소가 준공되면서 양평군에서 가평군으로 편입되었다. [6] 자가용으로 서울까지 30분대로 빠르게 이동이 가능하지만, 여기에는 고속도로마저 없어 서울까지 자가용으로 장장 1시간이나 걸린다. [7] 한자가 '악' 자가 다른데, 설악산과 설악면 모두 '설' 자는 ''로 동일하지만, 설악산의 악은 ''인 반면 설악면의 악은 ''이다. 다만 이 두 개의 악 모두 '큰산 악'인데, 보다시피 모양은 다르다. [8] 서울로 왔다갔다하는 점에 있어서 조금 개선된 부분이 있다. [9] 그래서 외곽 지역에 사는 중ㆍ고등학생의 경우 시내버스가 아닌 광역버스를 타고 등교하는 경우도 많다. [10] 서쪽으로 다락재를 지나면 양평군 서종면이, 동쪽으로 널미재를 지나면 홍천군 서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