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6 19:04:37

이상룡

석주 이상룡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본명이 이상룡인 대한민국의 MC에 대한 내용은 허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동명의 1911년생 정치인에 대한 내용은 이상룡(1911)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동명의 1934년생 정치인에 대한 내용은 이상룡(1934)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90033, #330066 20%, #330066 80%, #190033); 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국무총리 대통령 국무령
초대 초대 제2대 초대
이승만 이승만 박은식 이상룡
<rowcolor=#ffffff> 국무령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양기탁 이동녕 안창호 이동녕
<rowcolor=#ffffff> 국무령 국무회의 주석
제6대 제7대 제1-2대 제3대
홍진 김구 이동녕 송병조
<rowcolor=#ffffff> 국무회의 주석 주석
제4대 제5-6대 제7대 제1-2대
양기탁 이동녕 김구 김구
<rowcolor=#ffffff> 주석
제3-4대
이승만 }}}
}}}}}}}}}
<colcolor=#fff><colbgcolor=#330066>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국무령
이상룡
李相龍 | Yi Sang-ryong
파일:이상룡_1.jpg
출생 1858년 11월 24일
경상도 안동대도호부 부내면 용상리 법흥골
(現 경상북도 안동시 법흥동[1] 임청각)
사망 1932년 6월 15일[2] (향년 73세)
만주국 길림성 서란현(舒蘭縣) 소과전자(燒鍋甸子)[3]
묘소 국립서울현충원 임시정부요인 묘역-2호
재임기간 초대 임시정부 국무령
1925년 9월 26일 ~ 1926년 2월 18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330066><colcolor=#ffffff> 본관 고성 이씨[4]
초명 이상희(李象羲) → 이계원(李啓元)
부모 아버지 이승목, 어머니 안동 권씨[5]
형제자매 남동생 이용희, 이봉희
배우자 김우락(1854~1934)[6]
자녀 아들 이준형
딸 강호석(姜好錫)의 처
학력 해당사항 없음
종교 유교 (성리학)
만초(萬初)
석주(石洲) }}}}}}}}}

1. 개요2. 생애3. 기타
3.1. 임청각 일제 훼손설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받았다.

2. 생애

1858년 11월 24일 경상도 안동대도호부 부내면 용상리 법흥골(현 경상북도 안동시 법흥동) 임청각(臨淸閣)에서 아버지 추암(秋巖) 이승목(李承穆, 1837 ~ 1873. 4. 27)[7]과 어머니 안동 권씨(1832 ~ 1902. 4. 5.) 사이에서 3남 1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1911년 김동삼, 박건과 함께 서 간도 통화현으로 망명 후 초명 상희(象羲)에서 계원(啓元)으로, 이어서 상룡(相龍)으로 개명하였다.

을미사변 다음 해인 1896년 박경종(朴慶鍾)과 함께 가야산에 군사 진지를 구축하고 의병 항전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일제의 근대적 군사력에 대항하는 국내에서의 의병 항쟁은 어렵다고 판단하였다. 그래서 그 뒤 류인식, 김동삼 등과 애국 계몽 운동을 전개, 1907년 협동학교(協東學校)를 설립하였다.

경술국치 다음 해인 1911년 1월 양기탁(梁起鐸)과 협의한 뒤 2월 서간도에 도착하여 한만관계사를 연구, 집필하였다.

1912년 경학사를 발전시켜 교포들의 자치기관으로 부민단을 조직하고 허혁에 이어 2대단장으로 추대되었다. 이들은 부민단의 기구를 정비하고 강화하기 위해 경학사를 해체하고, 소재지를 통화현의 합니하로 옮기고 신흥강습소도 함께 이전하여 제2의 새 기지를 정하였다.
그는 부민단 단장으로서 자치, 교육 등의 사업을 꾸준히 수행해 나갔다. 그 중에서 부서 조직에 있어서 중앙부에 서무·법무·검무(檢務)·학무·재무 등을 두었고, 단장과 각 부서 주임 관할 하에 지방·구·패로 나누어 주민을 관할하였다.

따라서 부민단은 이러한 4단계의 조직을 통하여 통화현, 임강현, 유하현, 해룡현, 몽구현 등 각 현에 있는 동포들을 결속하고 계몽했다. 특히 일본인을 귀자라 부르며 이 귀자와 연락하는 자는 엄벌에 처했고, 모든 민사 관계의 일도 이를 판결해 처리하는 등, 이주 동포들의 자치기관의 임무를 수행했다.

김동삼,박건과 함께 한족회를 조직했다

1919년 3.1 운동 후 그는 부민단을 해체하고 김동삼, 박건 등과 함께 새로운 자치단체로 한족회를 조직하였다. 그러나 이 한족회는 부민단과 거의 유사하여, 부서 등에서도 중앙부서의 단장, 주임을 총장, 부장으로 명칭의 일부를 개정하는데 그쳤다. 그리고 신흥강습소를 신흥무관학교로 개칭해 독립 운동 간부를 양성하였다. 상하이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자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지지하였다.

1922년 8월 환인현에서 남만 한족 통일회를 개최해 대한통의부(大韓統義府)를 수립하고, 그 산하에 의용군을 조직하였다. 1924년 10월 정의부가 발족되자 독판(督辦)에 선출되었다.

1925년 9월 24일 오후 8시 상하이 삼일당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령에 취임하였다. 그러나 임시정부 내의 사상적 대립과 파쟁으로 정치적 경륜을 발휘할 수 없게 되자 국무령을 사임하였다.

자손들도 독립운동가였으며, 무녀독남인 이준형(1875년 ~ 1942년)과 그의 아들 이병화(1906년 ~ 1952년) 또한 나중에 독립유공자로 서훈되었다.

1932년 5월 병으로 지린성에서 사망했다. 그는 아들에게 “외세 때문에 자조하지 말고 더욱 면려하여 목적을 관철하라”라는 유언을 남겼다. 독립 운동을 하였던 공로를 인정받아 사후 30년 후인 1962년 대한민국 건국 훈장이 추서되었다.

3. 기타

3.1. 임청각 일제 훼손설

이상룡 선생의 생가, 임청각에 대하여 조선총독부가 고의적으로 중앙선 철로를 임청각 마당을 관통하도록 건설하면서 훼손당했다는 아주 오랜 관념이 존재했다. 이 관념이 여러 미디어 매체들[9] 문재인 정부 차원에서 크게 공론화됨으로 인해, 2020년 중앙선 안동 시내 전 구간 이설과 함께 임청각 부지에 대한 복원 사업이 추진되는 배경이 되었다.
하지만 이 관념에 대하여 근거없는 낭설이라고 보는 분석 #이 있다.[출처]

해당 논문의 저자에 따르면, 이상룡이 독립운동을 위하여 만주로 망명한 것은 1911년이고 1932년에 병사했다. 이후 이상룡의 아들, 이준형은 가족을 이끌고 1933년 안동으로 귀향했다. 그런데 중앙선 안동 구간에 대한 측량이 이루어지던 것은 1935년이고 임청각을 가로지르는 선로가 확정된 때는 1936년 8월, 중앙선 안동구간이 개통된 것은 1942년이다. 즉, 선로가 확정되던 1936년에는 이미 이상룡이 병사하고 대다수의 일가족들이 안동으로 귀향한 뒤였기에 일제 입장에서 딱히 보복을 할 필요가 없었다.[11] 결정적으로 선로가 확정되던 1936년 당시 이준형이 남긴 어느 편지글에서도 철도 때문에 집이 부서진다는 사실을 한탄할 뿐, 일본의 보복이나 민족 정기 때문이라고 분노하는 표현은 존재하지 않았다.
파일:andong_1.png 파일:andong2.jpg
사실 구 중앙선 선로가 기형적으로 설계된 이유는 당시 예천 쪽에서 이어진 경북선에 따라 동서방향으로 설계된 기존 안동역사를 그대로 활용했기 때문이다. 당초 남북으로 이어지는 중앙선에 맞춰 건설하는 게 최종 목표였지만, 기존 안동역사를 활용할지 아니면 신 안동역을 건설할지를 두고 몇 년 내내 설왕설래하다 1936년 8월에서야 기존 역사를 활용하는 것으로 결정났기 때문이다.[12][13]

결국 동서구조로 만들어진 기존 안동역사를 유지하면서, 남북으로 이어질 중앙선과 연결하기 위해 시내를 최대한 우회해서 부설할 수밖에 없었다. 그런 형편 속에 기존 안동역사 바로 동쪽에 위치해있던 임청각이 운 나쁘게 피해를 받게 된 것이다. 그래서 이상룡 선생의 정기를 끊으려 임청각에 선로를 지었다는 주장은 실제 그러한 일제의 의도보단, 당시 민중의 정서가 그렇게 받아들였다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혹자는 서지역까지 바로 직행하도록 부설했다면 굳이 임청각을 건들 필요가 없었을 거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선로를 90도로 급격히 트는 게 더 부자연스럽고, 안동역 동쪽부터 서지역 사이엔 영남산이 떡하니 가로막고 있다. 결국 안동역에서 서지역까지 직행하려면 영남산 전체를 터널로 뚫어야 하는데, 당시 기술로 산 전체를 터널로 뚫는 건 여러모로 난공사를 강요하는 터라, 일제 입장에서 터널을 뚫는 대안을 우선적으로 채택했을 가능성은 낮다. 그보다 낙동강변을 따라서 지상에 무난하게 철로를 동쪽으로 부설하다가 영남산과 용점산이 이어지는 지점이자 산세의 높이가 낮아지는 지점을 기준으로 삼고, 부설 공사를 한 거라고 바라보는 게 더 자연스럽다.
파일:andong_4.jpg
만일 안동역에서 임청각을 피해서 서지역까지 직행하는 철도를 건설한다면, 선로를 북쪽으로 90도 급하게 틀어서 영남산을 관통하는 터널을 3km나 건설해야 한다.[14] 하지만 실제 중앙선 선로는 낙동강변을 따라 영남산 산자락을 우회하는 식으로 지어졌다.
주간조선의 이동훈 기자도 일제의 정기 훼손설을 비판적으로 평가했다. # 당시 안동역은 경북 철도의 중심지였기 때문에 중앙선이 안동역을 지나는 것은 당연했고, 안동읍성 남문 방향에 위치한 안동역에서 90도로 방향을 틀어 영주로 북상하려면 민가가 밀집한 안동읍성을 지날 수밖에 없는데 예나 지금이나 도심 한복판에 철도를 부설한다는 것은 골치 아픈 일이었을 것이다. 따라서 중앙선이 안동역에서 불과 1km 떨어진 임청각을 지나게 된 것은 안동읍성 내 민가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향에 가깝지, 어떤 음흉한 목적에 따라 억지로 노선을 바꿨다고 해석하는 건 비약이라고 평한다.
참고로 일제가 고의적으로 중앙선 철로를 임청각 마당을 관통하도록 건설하면서 훼손했다는 설은 중앙선데이에 이덕일이 연재한 ' 이덕일의 事思史(사사사) 근대를 말하다 2011년 8월 7일자 기사인 ’“무릎 꿇고 종이 될 수 없다” … 이상룡 일가도 집단 망명'에서 처음 등장했다.[15] 다만 안동 주민들 사이에서 오래전부터 '왜놈들이 임청각 지기를 누를려고 일부러 철도를 저쪽으로 뚫었다' 라는 등의 이야기가 많이 돌았기에, 이것은 이덕일 혼자만의 망상이 아닌 안동지역 주민들의 민족 감정에 근거한 풍문을 진실로 오판해서 인용했을 거라 추정할 수 있다.


[1] 고성 이씨 탑동파 집성촌이다. [2] 음력 5월 12일. [3] 중국 지린성 지린시 수란시(舒蘭市) 샤오궈촌(燒鍋村). [4] 참판공파 30세 희(羲)·동(東) 항렬.() [5] 아버지는 권진하(權鎭夏)이다. [6] 의성 김씨로 아버지는 김진린(金鎭麟)이다. [7] 자는 군현(君顯). [8] 음주운전으로 추정된다. [9] 대표적인 예시로 미스터 션샤인이 있을 것이다. 해당 드라마에 등장하는 주연 문중이 겪는 비극의 모티브가 임청각에서 따온 것이다. [출처] '이준형의 독립운동과 임청각의 수난'(한국독립운동사연구 63집 수록, 김희곤 前 안동대 교수) [11] 일본에도 풍수지리가 있으나 정기를 끊는다는 식의 풍수지리를 믿지는 않는다. [12] 이런 상황을 잘 보여주는 것이 1936년 8월 11일 동아일보 보도다. 당시 기사인 추측(推測)이 구구(區區)하는 안동역 확정(安東驛確定)에 따르면, 당시 동서 방향으로 이루어진 기존 안동역사를 유지할 것이냐를 두고 안동 주민들 간에 온갖 논쟁이 분분했다는 이야기와 신축역사를 예상하고 예상 후보지를 비싼 값에 사들였던 사람들이 기존 안동역사를 재활용한다는 안에 반발했다는 일화가 언급된다. [13] 사실 역사를 새로 짓는 것 보다는 기존 역사를 활용하는것이 예산이나 효율성 면에서도 훨씬 낫긴 하다. [14] 물론 중앙선 최초 준공 당시인 1942년에도 죽령터널(4.6km)같은 장대터널은 가능했다. 하지만 이건 소백산맥을 관통하는 터널(충청북도 죽령역~경상북도 희방사역)이라 안동역~서지역처럼 낙동강을 따라 대체노선 건설이 가능했던 지형과는 다른 케이스라고 봐야할 것이다. 산을 통과하는 경우가 많은 중앙선 특성상, 중앙선은 가급적 터널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지어졌는데, 예를 들어 치악역~신림역 사이의 치악터널은 치악산의 산세가 완만해지는 원주천을 따라 지어 치악산을 정면으로 관통하는 형식보다는 산자락을 빙돌아 우회하는 식으로 노선을 지었으며, 팔당역~양수역 사이의 노선 역시 터널을 직접적으로 뚫기보다 예봉산, 예빈산을 우회하여 북한강을 따라가는 식으로 능내리쪽에 노선이 지어졌다(산을 관통하는 팔당터널이 생긴건 한참 뒤의 일이다) [15] 2009년 8월 17일 뉴스투데이의 "주인없이 떠도는 '비운의 임청각'이라는 기사에도 언급되기에 2011년 최초 언급설은 신빙성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