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30 16:20:53

브라이언 마이로우

브라이언 마이로우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041e42>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 롯데 자이언츠
역대 외국인 선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브래디 파일:미국 국기.svg 호세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길포일 (2) 파일:미국 국기.svg
기론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기론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우드 (2) 파일:미국 국기.svg
화이트 (3)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칸세코 (1) 파일:쿠바 국기.svg
호세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기론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레이 (3) 파일:미국 국기.svg
베로아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에레라 (3)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해처 (2) 파일:미국 국기.svg
매기 (2) 파일:미국 국기.svg
에르난데스 (3)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모리 (1) 파일:일본 국기.svg
이시온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보이 (2) 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
페레즈 (3)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페레즈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이시온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라이온 (3) 파일:미국 국기.svg
라이온 파일:미국 국기.svg
페레즈 (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펠로우 (3) 파일:미국 국기.svg
호세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마이로우 (2) 파일:미국 국기.svg
존갈 (3) 파일:미국 국기.svg
카브레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호세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리오스 (3) (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페레즈 (3)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가르시아 파일:멕시코 국기.svg
매클레리 (2) 파일:미국 국기.svg
코르테스 (3) 파일:멕시코 국기.svg
가르시아 파일:멕시코 국기.svg
애킨스 파일:미국 국기.svg
가르시아 파일:멕시코 국기.svg
사도스키 파일:미국 국기.svg
사도스키 파일:미국 국기.svg
코리 (2) 파일:미국 국기.svg
부첵 (3) 파일:미국 국기.svg
사도스키 파일:미국 국기.svg
유먼 파일:미국 국기.svg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유먼 파일:미국 국기.svg
리치먼드 (1) 파일:캐나다 국기.svg
옥스프링 (3) 파일:호주 국기.svg
유먼 파일:미국 국기.svg
옥스프링 파일:호주 국기.svg
히메네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린드블럼 파일:미국 국기.svg
레일리 파일:미국 국기.svg
아두치 파일:미국 국기.svg
린드블럼 파일:미국 국기.svg
레일리 파일:미국 국기.svg
아두치 (2) 파일:미국 국기.svg
맥스웰 (3) (2) 파일:미국 국기.svg
레일리 파일:미국 국기.svg
마켈 (1) 파일:미국 국기.svg
애디튼 (3) (2) 파일:미국 국기.svg
린드블럼 (3) 파일:미국 국기.svg
번즈 파일:미국 국기.svg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레일리 파일:미국 국기.svg
듀브론트 (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번즈 파일:미국 국기.svg
레일리 파일:미국 국기.svg
톰슨 (2) 파일:미국 국기.svg
다익손 (3) 파일:캐나다 국기.svg
아수아헤 (2) 파일:미국 국기.svg
윌슨 (3) 파일:미국 국기.svg
스트레일리 파일:미국 국기.svg
샘슨 파일:미국 국기.svg
마차도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스트레일리 파일:미국 국기.svg
프랑코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마차도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반즈 파일:미국 국기.svg
스파크맨 (2) 파일:미국 국기.svg
스트레일리 (3) 파일:미국 국기.svg
피터스 (2) 파일:미국 국기.svg
렉스 (3) 파일:미국 국기.svg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반즈 파일:미국 국기.svg
스트레일리 (2) 파일:미국 국기.svg
윌커슨 (3) 파일:미국 국기.svg
렉스 (2) 파일:미국 국기.svg
구드럼 (3) 파일:미국 국기.svg
반즈 파일:미국 국기.svg
윌커슨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예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1) 시즌 전 방출
(2) 시즌 중 이적/방출
(3) 대체 영입
* 등록명을 우선적으로 기재했다.
}}}}}}}}} ||

브라이언 마이로우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등번호 52번
천진펑
(2002~2005)
브라이언 마이로우
(2005)
랜디 울프
(2007)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12번
김주찬
(2001~2004)
마이로우
(2006)
김주찬
(2007~2012)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등번호 9번
호세 크루즈
(2007)
브라이언 마이로우
(2007~2008)
맷 안토넬리
(2008)
}}} ||
}}} ||
파일:external/img.khan.co.kr/6d1827b.jpg
브라이언 마이로우
Brian Myrow
본명 브라이언 숀 마이로우
Brian Shawn Myrow
출생 1976년 9월 4일 ([age(1976-09-04)]세)
텍사스 주 포트워스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학력 버렐슨 고등학교 - 힐 칼리지 - 루이지애나 공과대학교
신체 180cm, 97kg
포지션 1루수, 3루수[1], 좌익수
투타 우투좌타
프로 입단 2001년 현금 트레이드 ( NYY)[2]
소속팀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2005)
롯데 자이언츠 (2006)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2007~2008)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연도별 성적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2006년 롯데 자이언츠에서 뛰었던 미국의 야구 선수.

2. 선수 경력

2.1.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의 산하 마이너리그 팀에서 3루수로 뛰었고, 2005 시즌 확장 로스터 때 메이저리그에 데뷔했다. 데뷔 경기는 2005년 9월 6일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와의 경기였고, 7회말 제이슨 렙코의 대타로 출장해 브렛 톰코를 상대로 2루수 땅볼로 물러났다.

2.2. 롯데 자이언츠

2006년 마이로우는 한국프로야구의 롯데 자이언츠에 입단한다. 롯데는 당시 팀내 최고 유망주였던 이대호의 수비부담을 줄이기 위해 이대호를 3루에서 1루로 보냈고, 남아 있던 3루수 자리를 맡기기 위해 마이로우를 영입했으나, 3루 수비는 부적격하다는 판단을 내렸고 외야로 보낸다. 그 덕분에 풀타임의 기회를 받은 것이 2년차 내야수 이원석이었다.

정규시즌을 앞두고 시범경기부터 엄청난 불방망이를 선보이며 정규시즌에서의 좋은 활약을 기대케 했고, 4월달 까지만 해도 4할에 육박하는 타율을 비롯해 타격 5개 부문 1위에 오르며 많은 사람들은 당해 롯데 자이언츠의 용병 농사가 성공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나 4월 말부터 슬럼프에 빠지면서 최종 성적은 .231의 타율과 12홈런만을 기록하며 시즌 도중 퇴출되었다. 몸쪽 변화구에 약점을 드러내기도 했고, 2006년은 KBO 역사에 남을 만한 투고시즌이었고 스트라이크 존이 지나치게 넓었기에 그 영향도 있었다. 한국 심판 특유의 외국인 선수 길들이기의 피해자라는 의견도 있었다. 대체선수는 존 갈.

다만 시간이 지나면서 세이버메트릭스가 발달하고 나오면서 피해자였던게 드러난다.

2.3. 이후

이후 2007년에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와 계약하며 메이저리그 승격이 되기도 했으나 별다른 활약을 보여주지 못하고 퇴출되었다.

아메리칸 어소시에이션에서 2015년까지 뛰고 이후 기록이 없는걸로 보아 은퇴한걸로 보인다.

롯데 자이언츠 갤러리에서 그 후 행적을 찾아본 바에 따르면, 2017년에 음주운전 도중 적발되어(Driving while intoxicated) 체포된 적이 있고 머그샷도 찍혔다고 한다. 당시 기록

3. 플레이 스타일

장타툴은 확실했던 타자로 선구안도 나쁜 편이 아니었다. 세이버메트릭스로 분석해볼 경우 상당히 저평가되어 있는 타자임이 드러나는데 타율은 불과 .231이었지만 출루율 .396 / 장타율 .457로 OPS는 .852였으며 당시 투고타저 시대인지라 OPS로는 리그 7위 김태균(.852)와 동일한 스탯이었으며 wRC+는 155로 득점창출능력은 당시 리그 최고 수준이었다. 이 해 마이로우보다 wRC+가 높은 타자는 이대호 양준혁, 펠릭스 호세, 래리 서튼 뿐이었다. 하지만 당시는 구단이든 팬들이든 세이버매트릭스는 생소했고[3] 대부분 투승타타에 머물러 있던 시대라 0.231의 낮은 타율 때문에 퇴출되고 말았다.

덕분에 야구 커뮤니티에서 '이 성적으로 퇴출된 용병이 있다'라는 식으로 종종 언급되며 과거의 무지함을 드러내는 사례로 회자된다. 하지만 마이로우는 시즌 초 4할에 육박하는 타율을 기록하다가 2할 초반대 까지 떨어진 것이기에 체감상 성적의 낙폭이 매우 컸으며[4], 퇴출 직전에는 눈야구를 통해 반등하는 모습을 보였기에 교체 반대 의견도 꽤 있었다.

물론 야구엔 만약이 없기에 '풀타임을 뛰었다면 어땠을까' 하는 의문이 들 수도 있지만, 최소한 폭망한 용병까진 아니었던 셈. 거기다 마이로우를 포기하고 데려온 용병이 존 갈이였다.

2008년에 롯데 팬들 중 일부가 마이로우를 다시 데려오자라는 주장을 하기도 했지만 수용되지 않았고 대신 데려온 타자가 엄청난 퍼포먼스를 선보이며 용병 잔혹사를 끊게 되었다.

4. 연도별 성적

역대 기록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볼넷 사구 삼진 출루율 장타율 OPS
2005 LAD 19 .200 4 1 0 0 0 2 0 5 0 8 .360 .250 .610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볼넷 사구 삼진 출루율 장타율 OPS
2006 롯데 70 .231 48 9 1 12 30 42 0 52 6 74 .396 .457 .852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볼넷 사구 삼진 출루율 장타율 OPS
2007 SD 12 .100 1 1 0 0 1 0 0 1 1 4 .250 .200 .450
2008 21 .143 3 0 0 1 3 1 0 2 0 5 .208 .286 .494
<colbgcolor=#ffff88> MLB 통산
(3시즌)
52 .157 8 2 0 1 4 3 0 8 1 17 .279 .255 .534
KBO 통산
(1시즌)
70 .231 48 9 1 12 30 42 0 52 6 74 .396 .457 .852

5. 관련 문서


[1] 실제 메이저리그 시절엔 1루수로 활동했다. 롯데에 오면서 외야수로 바뀌었을 뿐이다. 다저스 마이너리그 시절에는 주로 3루 수비를 보았다. [2] 특이하게도 프로입단을 드래프트나 자유계약이 아닌 데드볼 시대 시절 선수들처럼 독립리그 팀에서 메이저 팀으로 트레이드되는 형식으로 하게 되었다. [3] 그 MLB에서조차도 세이버매트릭스가 정립되지 않은 시기였다. [4] 세이버매트릭스가 흔해진 2021년에도 시즌 전체 성적은 준수하나 시즌 후반부에 부진했던 호세 피렐라의 경우 팬들 사이에서 재계약 반대 의견이 나왔었다. 물론 피렐라는 다음 해인 2022년 최고의 활약을 펼치면서 이 의견이 잘못됐었다는 걸 증명했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