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color:#FFFFFF;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D1D1D,#E2E2E2 |
2001~2005 | |||
(2001) |
(2001) |
(2001) |
쿨 (2001) |
|
(2001) |
(2001) |
(2002) |
(2002) |
|
(2002) |
(2002) |
(2002) |
(2002) |
|
(2003) |
(2003) |
(2003) |
(2003~2004) |
|
(2004) |
(2004) |
(2004) |
(2004) |
|
(2004) |
(2004) |
(2005) |
(2005) |
|
(2005) |
(2005) |
(2005) |
(2005) |
|
|
[clearfix]
1. 개요
영어 - Beijing My Love중국어 - 北京我的爱
2004년 5월 10일 ~ 동년 7월 13일까지 KBS에서 방영했던 20부작 월화 드라마.
한류의 붐 초창기때 한국의 공영방송사인 KBS와 중국의 국가 기간방송인 CCTV가 만든 최초의 한중합작 드라마다.
2. 등장인물
- 김재원 - 나민국
- 한채영 - 정연숙
- 이얼 - 장봉수
- 현성 - 김태용
- 왕지혜 - 왕사랑
- 김지영 - 리영희
- 임동진 - 나명석
- 김청 - 민국 계모
- 김하균- 오 상무
- 신구 - 황 회장
- 안석환 - 서일도
- 윤용현 - 길수
- 이세영 - 장나라
- 이효정 - 박 비서
- 전양자 - 전 사장
- 천정명 - 노완성
- 장문정 - 임삼숙
- 정원중 - 북경지사장
- 김미경(1963) - 용등공사 한국지사직원
- 곽정욱 - 나민국 (김재원 아역)
- 지현우 - 특별출연
중국 연기자
- 孙菲菲 - 양설(杨雪)
3. 소개
한국과 중국 양국이 공동으로 제작했으며 사람 노릇 못하고 방탕하게 살던 어느 전자 회사 회장의 아들이 아들의 아버지가 사람이 되라고 중국 베이징에 던져버리고 중국 땅에 홀로 남겨진 주인공이 중국에 살면서 양설이라는 어떤 중국 처녀와 사랑에 빠지면서 벌어지는 스토리가 주된 내용인데 방영 전에 미리 제작하는 사전 제작과 현지 촬영, 한중 양국 배우 동시 캐스팅 여러 모로 신경을 쓴 작품이었으나 방영 당시 국내에선 별다른 호응도 얻지 못하고 사실상 실패하였다. 사실 드라마 작품 전체적으로 봐도 범작 정도는 되는 작품이었는데 여러모로 문제점들이 많았다.먼저 방영, 제작 시기가 굉장히 나빴다. 이 드라마가 방영되었을 2004년 당시 사스 유행으로 인해 제작이 굉장히 힘들었으며 게다가 고구려 및 발해사 왜곡 등 중국의 동북공정 역사왜곡 논란으로 인해 당시 한중관계가 거의 최악을 달리면서 고구려사 등 역사 문제로 반중감정이 들끓었던 당시 상황에서 이 드라마가 한국 시청자들에게서 공감대를 얻을리는 만무하였다.[1]
게다가 극중 드라마의 대사들도 문제가 많았다. 그중에서 극중 여주인공 양설(배우 손비비)이 “한국은 예전에 우리(중국)의 속국이었고 2개로 분단된 나라다. 그런 작은 나라가 13억 인구를 가진 중국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힘을 알고 싶다”라는 대사를 했었는데 한국이 중국의 속국[2]이라는 둥의 여주인공이 했던 대사가 당시 국내 애청자들 사이에서 심한 반발감을 불러 일으켰다. 극중 여주인공이 했던 대사 한마디 때문에 KBS 방송국에서 항의전화가 막 쏟아졌고 시청률이 높아졌다 낮아졌다를 반복하기까지 했었다. 어쨌든 등장 배우들의 비중이나 우중충한 이미지의 중국을 배경으로 했다는 점에 저런 악재까지 겹쳐서 내내 애국가 시청률을 유지하다가 소리소문 없이 종영.
사족으로, 이 작품은 당초 2003년 9월 첫 방영 예정이었으나 그 해 봄 사스(SARS) 파동 때문에 제작이 무기한 연기됐고 이 과정에서 고수, 김정화 등 원래 주연급으로 내정된 연기자들이 교체되는 어려움을 겪었으며 채림, 김민희 등이 한때 여주인공 물망에 올랐었다.
우여곡절 끝에 김유미(정연숙 역)가 여주인공으로 낙점되었지만 당시 KBS 2TV 연예가 중계 MC였던 김유미가 촬영 기간 동안 매주 한국과 중국을 오가는 문제가 있어서 배역을 고사하자 결국 한채영으로 전격 교체됐다. 그리고 고수 자리에는 김재원, 김정화 자리에는 왕지혜[3]가 대타로 들어갔다. 메인 여주인공인 양설을 맡은 손비비는 장쯔이와 동문 출신의 배우로 당시 중국에서 굉장히 인기 있었다. 한중수교사업의 일환으로 중국 측에서 의욕적으로 캐스팅했다고 한다.
아무튼, 이 드라마가 제작된 2004년 상황이 워낙 안 좋았으므로 몇몇 막장스런 드라마 대사들은 어쩔 수 없다 쳐도 볼만한 가치는 꽤 있다. 중국을 배경으로 한 컨셉도 나쁘진 않았고 가끔 보다 보면 괜찮은 스토리이다. 북경 내 사랑을 재미있게 본 이들은 북경 내 사랑이 방영 당시 인기를 끌지 못했다는 사실에 대해 매우 안타까워하고 있다. 그래서 2000년이나 2010년대 즈음에 제작되었으면 스토리가 훨씬 좋지 않았을까 싶은 많은 아쉬움이 남는 작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록 이 드라마 이후에 더이상은 이어지지 못했지만, 최초의 한중합작 드라마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는 작품이었다.
한국에서의 처참한 상황과 달리 중국인들에게는 평가가 좋았다. 다만 중국에서 당시에 호평을 받은 것도 당시 중국인들의 반한감정이 훗날의 시진핑 정권보다 훨씬 덜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이다. 만약 북경 내 사랑이 시진핑 정권 시기(정확히는 한한령 이후)에 방영되었다면 한국과의 합작이라는 사실 및 한국인 배우들이 나온다는 사실 자체만으로 중국 현지에서 평가절하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1]
한편 비슷하게도 반중감정이 극심한 시기에 개봉한
샹치와 텐 링즈의 전설도 있는데 이 영화는 반대로 호평을 받았다.
[2]
차라리
조공국이라는 표현을 쓰거나 아예 그런 대사 자체가 안 나오는 게 나았다.
[3]
당시에는 민지혜라는 예명으로 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