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9 10:03:37

부산 버스 1009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개편 전 가덕도 선창과 덕천을 잇는 노선에 대한 내용은 부산 버스 1009-1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해결방안 문단 삭제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 토론 - 해결방안 문단 삭제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wiki style="margin: -10px 0" <tablebordercolor=#f58220>
부산광역시
급행버스 노선
}}}
[[틀:부산광역시의 급행버스|
급행
]] [[틀:부산광역시의 좌석버스|
좌석
]] [[틀:부산광역시의 일반버스|
일반
]] [[틀:부산광역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부산광역시의 심야버스|
심야
]] [[틀:부산광역시의 시티투어버스|
투어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000 1001 1002 1003 1004[A]
1005[B][C] 1006[A][C] 1008[A] 1009[B] 1009-1[A]
1011[A][C] 1012[B] 2000[C][D] 2029[A][C] 3001
3002 3003 3007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C] 입석금지
[D] 준공영제 제외 및 환승할인 불가
}}}}}}}}} ||
파일:부산 버스 1009H.png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
3.1. 구.126-1번
4. 특징
4.1. 2기(강서공영차고지~가덕도선창~명지환승센터)4.2. 비판4.3. 여담4.4. 시간표4.5. 연간 일평균 승차량4.6. 노선
5. 둘러보기

1. 노선 정보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급행버스 1009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산 1009 노선도.svg
기점 부산광역시 강서구 화전동(강서공영차고지) 종점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지법서부지원.지검서부지청)
종점
첫차 05:00 기점
첫차 06:20
막차 21:00 막차 22:25
배차간격 90~140분(1일 10회)
운수사명 금진여객 인가대수 2대
노선 강서공영차고지 - 삼성전기후문 - 농심 - 부산항홍보관 - GW코퍼레이션[단독] - 신항서문입구 - 부산신항만 - 선창마을 - 부산신항만 - 신항서문입구 - GW코퍼레이션[단독] - 부산항홍보관 - 부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 - 신호119안전센터[단독] - 르노자동차남문[4] - 퀸덤1.2단지 - 명지롯데캐슬아파트 - 명지환승센터 - 지법서부지원.지검서부지청 - 이후 역순
가늘게 밑줄 친 구간은 양방향 모두 동일 정류장에 정차하므로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해야 한다.

2. 개요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63.1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파일:부산 1009 노선도.jpg }}}

3.1. 구.126-1번

4. 특징

===# 1기(금곡동~공항~명지~가덕도선창) #===

4.1. 2기(강서공영차고지~가덕도선창~명지환승센터)

4.2. 비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부산 버스 1009/논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3. 여담

4.4. 시간표

기점 기준 종점 기준
05:00 06:20
06:30 07:50
08:30 09:50
10:00 11:20
12:00 13:20
13:30 14:50
15:40 17:00
17:10 18:30
19:30 20:50
21:00 22:20

4.5. 연간 일평균 승차량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 840.29
2015년 955.57 △ 115.28
2016년 977.29 △ 21.72
2017년 1084.71 △ 107.42
2018년 1133.42 △ 49.71
2019년 1134.71 △ 1.29

4.6. 노선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급행버스 1009번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가덕해안로
현대상선 ▼ ▲ 선창
신항남로
글로벌물류센터 ▼ ▲ 부산신항만
신항로
▲ 신항 서문입구
신항5로
크로스독 ▼ ▲ 지앤지
신항북로
경제자유구역청사거리 ▼ ▲ 부산항홍보관
녹산산업대로
▲ 부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
르노삼성대로
신호산단1로
송정초등학교 ▼
신호산단4로
삼성자동차남문 ▼ ▲ 신호119안전센터
신호산단1로
▲ 삼성자동차남문
르노삼성대로
신호대교 ▼
명지오션시티1로
퀸덤아파트1.2단지 ▼ ▲ 신호대교
명지오션시티10로
▲ 퀸덤아파트1.2단지
명지오션시티2로
극동스타클래스아파트 ▼
명지오션시티11로
행복마을 ▼ ▲ 남명초등학교
명지오션시티1로
명원초등학교 ▼ ▲ 행복마을
명지국제3로
더에듀팰리스부영 ▼ ▲ 법원검찰청사거리
}}}}}}}}} ||

5. 둘러보기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 창원시 버스 파일:창원시 CI_White.svg
부산 시내버스 58-1 · 1009 · 강서1 · 강서1-1 · 강서9-1 · 강서16
창원 시내버스 352 · 353
각 지자체간 광역환승할인제 미도입으로 창원 - 부산 상호 간 대중교통 환승 시 할인 되지 않음

파일:창원시 CI_White.svg 용원 경유 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급행좌석 3002 3006
<colbgcolor=#5fbf15> 지선 305 315 325[b]
마을 352[b] 353
부산좌석 58-1[b] 1009[a]
부산마을 강서1[a] 강서1-1[a] 강서9-1[ab]
[a] 청안동 미경유 노선
}}}}}}}}}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명지신도시 경유 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급행 1005 <colbgcolor=#dddddd,#212121> 1009 1011[a] 2000[a]
좌석 58-1
일반 3 55-1 55-2 58
58-2 61 122 124
128-1 520 171 161
마을 강서 8 강서 20 강서 21 강서 22
김해 914
음영표기: 국제신도시 경유 노선
[a]르노삼성대로로 운행하는 노선
}}}}}}}}}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가덕도 경유 버스 노선


[단독] 이 노선의 단독 구간이다. [단독] [단독] [4] 신호산단1로상에 위치한 단독 정류장에 정차한다. [5] 삼진여객 차량은 1009번의 금곡동 ~ 김해공항 구간을 대동화명대교 경유로 변형한 1012번 차량으로 운행하고 있고, 성원여객 차량은 강서공영차고지 개장과 동시에 신설된 122번 차량으로 운행하고 있다. 또한, 급행버스를 그대로 활용하고 있다. [6] 신호산단4로가 아닌 신호중학교가 위치한 신호산단1로로 운행될 예정이다. [7] 상황에 따라선 30분 이내로 좁혀진 적도 없지 않아 있다. [8] 107km. 게다가 성원여객과 금진여객은 차고지가 있는 김해에서 공차회송을 했기 때문에 길이가 더더욱 길었었다. [9] 안그래도 1009번은 김해공항, 서부산유통지구, 명지국제신도시, 명지오션시티, 신호주거단지를 거쳐가면서 굴곡이 심했는데 금곡동 아파트단지까지 경유했다면... [10] 다만 성원여객과 금진여객은 김해에서 금곡동까지 공차회송을 했기때문에 2000번을 훨씬 능가하는 길이였다. [11] 해운대-영선동 간을 운행했던 109번이 폐지된 지 오래이므로 써도 무방하다. [12] 그러니까 1009번 좌석버스 노선에 일반버스 차량을 투입하는 건 불법이지만 109번 일반버스 노선에 일반버스 차량을 투입하는 건 합법이라는 것이다. [13] 그나마 옆 동네보다는 낫다. 거기는 급행, 좌석에 저상버스까지 배차를 하며, 요금은 좌석 요금 그대로 받는다. [14] 이 두 노선 또한 배차간격이 짧은 간격이 아니지만 요금 면에서는 메리트가 있기 때문에 김해공항 시설 직원이나 승무원들이 주로 이용한다. [15] 출퇴근 시간대에는 이 정류장에서 승객 수요가 대거 발생했다. [16] 금진여객끼리, 삼진여객끼리, 성원여객끼리 몰려다녔다. [17] 신호주거단지와 명지오션시티, 명지국제신도시에서 발생한 코로나19 확진자로 인해 접촉자들이 강서브라이트센터(부산 강서보건소)로 코로나 검사를 받으러 가면서 수요가 그나마 조금이라도 늘긴 했다. (예: 중흥1차.부영동문 -> 덕두시장) 그래도 강서구에서 사상구와 사하구를 경유하여 강서구를 가는 그 노선보다는 낮다. [18] 근데 555번은 1일 6회(출근 3회, 퇴근 3회)만 운행하기 때문에 적자가 매우 심했었다. 이 때문에 2021년 1월 16일에 폐선됐다. [19] 급행노선의 취지답게 금곡주공아파트를 미경유하고 금곡대로를 직통하여 와석교차로, 화명역까지 논스톱으로 운행하는데 금곡주차장의 경우 금곡주공1단지 아파트 주민들의 수요로만 연명하는 수준이었으며 덕천역까지 빠르게 갈 목적이라 해도 긴 배차간격으로 인해 효과가 반감되었다. [20] 131번, 138-1번, 168번과 비슷했다. 금진여객, 성원여객의 경우 공차거리까지 합하면 대략 왕복 150~160km로 2000번의 길이를 압도적으로 뛰어넘은 것은 물론이고 1002번, M5438번, M6450번, G2001번, 303-1번이랑 맞먹거나 더 길었다. [21] 다만 녹산산업대로로만 운행하니 환승해야 하는 불편이 따른다. [22] 그나마 화명동까지는 승객이 있지만 화명동을 지나면 텅 비는 수준이였다. [23] 비슷한 운송수입금을 기록하는 노선으로는 1011번이 있다. 그런데 1011번은 3천명 넘게 이용하지만 환승 수요가 대부분이라 수입금이 매우 낮은 노선이다. 심지어 승객 수는 늘었어도 운송수입금은 하나도 오르지 않았던 때가 있었다. [24] 창원시 진해구로 잠깐 들어갔다 나오기는 하지만 가덕대교, 눌차대교를 이용하지 않으며 신항 내 물류단지를 거쳐 이동해야 하는데, 부산신항 매립지 지역의 부산과 경남 간 행정구역 소송 후 경계가 전체적으로 조정되며 잠시 통과할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25] 게다가 1기 노선은 107km로 어마무시한 초장거리노선이였기에 체감상 더욱 짧아보이기도 한다. [26] 그러나 정작 노선 길이는 1000번, 1006번보다도 길다. 이는 가덕도 구간을 왕복 운행 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