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7 08:02:15

벤 화이트

벤자민 화이트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의 럭비 선수에 대한 내용은 벤 화이트(1998)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램스데일 · 2 살리바 · 4 화이트 · 5 토마스 · 6 가브리에우 · 7 사카 · [[마르틴 외데고르|8 {{{#C1AA88 외데고르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1AA88; font-size: .8em"
파일:UEFA EURO ESP.png 미켈 아르테타{{{#!folding 스태프 더보기
* 이 표는 간략화한 버전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 본래 스쿼드에서 타 팀으로 임대간 선수는 제외되었습니다.
벤 화이트의 수상 이력
{{{#!folding ▼ 둘러보기 틀 모음
개인 수상
파일: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 로고.svg
베스트팀
파일:PFA_UK_logo.png
}}} ||
파일:Ben White 23-24.png
<colbgcolor=#f00000><colcolor=#fff> 아스날 FC No. 4
벤 화이트
Ben White
본명 벤저민 윌리엄 화이트
Benjamin William White
출생 1997년 10월 8일 ([age(1997-10-08)]세)
사우스웨스트 잉글랜드 도싯주 풀
국적
[[영국|]][[틀:국기|]][[틀:국기|]] (
[[잉글랜드|]][[틀:국기|]][[틀:국기|]])
신체 186cm / 체중 76kg
포지션 라이트백, 센터백
주발 오른발
소속 <colbgcolor=#f00000><colcolor=#fff> 유스 사우스햄튼 FC (2006~2014)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2014~2016)
선수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2016~2021)
뉴포트 카운티 AFC (2017~2018 / 임대)
피터버러 유나이티드 FC (2019 / 임대)
리즈 유나이티드 FC (2019~2020 / 임대)
아스날 FC (2021~ )
국가대표 4경기 ( 잉글랜드 / 2021~ )
SNS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00000><colcolor=#ffffff> 등번호 아스날 FC - 4번
후원사 아디다스[1]
종교 가톨릭
가족 아버지 배리 화이트
어머니 캐롤 화이트
누나 엘리 화이트
}}}}}}}}} ||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기록
5.1. 대회 기록
6. 여담7. 외모8. 같이보기

[clearfix]

1. 개요

잉글랜드 국적의 아스날 FC 소속 축구선수. 주 포지션은 라이트백이며, 센터백도 잘 소화한다.

2. 클럽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벤 화이트/클럽 경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국가대표 경력

2020-21시즌 좋은 활약 덕분에 유로 2020 33인 예비 명단에 들었다.

5월 25일에 발표된 최종 명단에 화이트의 이름은 없었지만 1일 오스트리아전에서 후반 26분 잭 그릴리시와 교체되며 출전하였다. 알레산드로 쇠프가 슈팅한 공을 골라인에서 걷어내는 수비를 보여주며 인상 깊은 A매치 데뷔전을 치렀다.

오스트리아와의 경기에서 허벅지 부상을 당한 트렌트 알렉산더아놀드가 결국 명단에서 하차하면서 화이트에게도 다시 한번 기회가 생겼고 7일 루마니아와의 경기에서는 선발 출전, 풀타임을 소화하며 눈도장을 확실히 찍었다. 팀은 1:0으로 승리했다. 이후 잉글랜드 축구협회는 유로2020 최종명단의 남은 한 자리를 벤 화이트가 대체한다는 공식발표를 했다. 이로써 감격적인 첫 메이저 대회를 맞이하게 되었다. 등번호는 아놀드의 번호였던 22번을 받았다. 유로에서는 아쉽게도 출장하지 못했으나 2022 카타르 월드컵 전까지 클럽이나 대표팀에서 계속 인상적인 모습을 보인다면 출전 기회가 생길지도 모른다. 2022년 3월 A매치에서는 친선경기 스위스전에 벤치 명단에 들었지만, 훈련 중 스톤스의 부상으로 대체 선발 출전하며 첫번째 실점 장면을 빼면 좋은 활약을 보여줬다.

2022년 9월 A매치에는 승선하지 못했는데, 아스날 측에서 화이트가 경미한 부상이 있다고 대표팀에 이야기해 차출하지 않았다고 한다.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잉글랜드 대표팀 최종 명단에 이름을 올리면서 팀 동료인 사카, 램스데일과 함께 카타르로 가게 되었다. 그러나 12월 1일자로 개인적인 사유로 카타르 월드컵 대표팀 엔트리에서 하차하게 되었다.[2] 언론들은 국대 수석코치와의 불화 및 팀 내 왕따설 등을 제시하였으나 사우스게이트 감독이 그런 적 없다며 일축시켰다.

2023년 3월 엔트리에서도 제외되었다. 사우스게이트 감독은 화이트가 언제 센터백으로 돌아올지를 주목하고 있다고 인터뷰했는데 이를 보면 사우스게이트는 화이트를 센터백으로만 보는 듯 하다. 현재 잉글랜드는 쓰리백 시스템을 주로 쓰고 있는 만큼 윙백보다는 전통적인 풀백 롤에 더 가까운 플레이스타일을 가진 화이트를 공격적인 성향인 워커[3]나 트리피어, 아놀드를 제치고 윙백에 집어넣기는 어렵다.

2023년 11월 엔트리에서도 제외 되었다. 월드컵 때 중도 하차한 이후 포지션 문제에 겹쳐 한 번도 선발되지 않은 것을 보면, 사우스게이트가 역임하고 있는 한 잉글랜드 국가대표팀 유니폼을 입고 뛰는 모습은 당분간 보기가 어려울 전망이다.

2024년 3월 잉글랜드 국가대표팀의 명단이 발표되었는데, 사우스게이트 감독은 화이트의 차출을 원했지만 정작 본인이 직접 차출을 거부했다고 한다. 디 에슬래틱에 의하면 국대 훈련장과 화이트의 집이 멀어 정착을 힘들어했으며, 스티브 홀랜드 코치와의 불화로 인해 소집을 거부했다고 한다.[4]

4. 플레이 스타일


화이트의 가장 큰 장점은 바로 강한 내구성과 더불어 수비수 전 포지션과 수비형 미드필더까지 각 자리에서 모두 1인분을 소화할 수 있는 유틸리티 플레이어로서 팀의 수비 뎁스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는 점. 리즈는 물론, 브라이튼 시절에도 센터백과 풀백, 수비형 미드필더를 오가면서 어느 곳에서나 준수하게 활약했다. 아스날 첫 시즌인 21-22 시즌에는 센터백으로만 출전하다가 2번째 시즌인 22-23 시즌에 살리바가 임대에서 복귀하면서 라이트백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반대쪽에 인버티드 풀백인 올렉산드르 진첸코가 서는 경우가 많은 만큼 백3를 유지하면서도 필요에 따라 부카요 사카를 지원하기 위해 오버래핑에 나서야 하는 역할이지만, 화이트는 본인의 높은 지능을 바탕으로 이러한 판단력에서 일관되게 준수한 모습을 보인다. 23-24 시즌 후반기부터 진첸코가 주전에서 완전히 밀리고 야쿠프 키비오르 토미야스 타케히로가 레프트백에 서며 본인이 인버티드 풀백의 역할을 하거나 공격적으로 나서야 하는 상황이 늘어났음에도 나름 준수한 모습을 보였다.

화이트는 좋은 발밑을 바탕으로 빌드업을 전개하는 볼 플레잉 디펜더로, 수비수들의 빌드업 플레이를 요구하는 미켈 아르테타의 픽답게 볼을 상당히 잘 다룬다. 숏패스는 물론, 뛰어난 킥과 시야를 갖춘 덕분에 롱패스의 질도 뛰어나 8-90%에 육박하는 전진 패스 성공률을 보여준다. 화이트가 거쳐 간 리즈, 브라이튼 그리고 아스날에서까지 화이트의 롱패스를 이용한 전개를 후방 빌드업의 주요 루트로 삼았을 정도. 패스 뿐만 아니라 부드러운 발밑을 바탕으로 한 드리블로도 직접 볼 운반이 가능하다.

수비수의 본분인 수비력 역시 뛰어나다. 수비수 개인 기량이 중요한 1대1 대인 수비는 물론, 동료와의 호흡이 중요한 지역 수비나 협력 수비에도 능하다. 뛰어난 위치선정으로 자리를 선점한 후, 상황에 맞게 수비한다는 것이 수비수로서 화이트의 특징이자 장점. 뛰어난 위치 선정과 수비력, 준수한 속도[5], 축구 지능까지 두루두루 갖추고 있어 상당히 안정적인 수비를 보여준다.

풀백으로서 화이트는 마르틴 외데고르 부카요 사카에 대한 견제가 심한 것을 이용해 본인이 적극적으로 오버래핑과 볼 운반을 바탕으로 우측면에서의 압박을 분산시키는 플레이를 맡는 것이 주요 임무인데, 초반에는 센터백이 주 포지션이었던 선수인만큼 부실한 측면 공격이 지적받았다. 하지만 역할에 적응한 뒤에는 특유의 높은 지능과 기술적인 발밑으로 오버래핑, 언더래핑 양면에서 큰 폭의 발전을 이뤄냈고, 공격을 마무리하는 컷백이나 엔트리 패스의 완성도가 높아지는 등 공격적인 플레이가 눈에 띄게 개선되었다.

화이트의 단점 중 대표적으로는 우선 제공권 장악력이 꼽힌다. 186cm로 결코 작은 키가 아님에도 점프력, 위치 선정, 경합에서 문제를 드러낸다. 브라이튼 시절에는 신장이 190cm가 넘는 루이스 덩크 아담 웹스터가 공중볼과 빌드업 부담을 나눠서 화이트에게 압박이 집중되는 걸 막았다면, 아스날에서는 공중볼을 가브리엘 마갈량이스가 주로 받아내고 2번째 시즌에는 공중볼 부담이 덜 가는 라이트백으로 자리를 옮기면서 단점을 가릴 수 있게 되었다.

다만 상대 윙어가 강한 피지컬로 빠르게 밀고 들어오는 상대면 고전하는데, 피지컬보다는 영리하게 수비를 하는 화이트이다 보니 우직하게 피지컬과 운동 능력으로 승부하는 선수들에게는 약한 편이다.

풀백으로 뛸 경우 드러나는 또 다른 단점은 바로 크로스의 구질. 왼쪽에서 마르티넬리가 힘 조절을 못해 크로스를 날린다면 화이트와 같은 경우에는 크로스의 정확도 자체가 크게 떨어져 위력적으로 올리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정 위치에서 올리는 크로스는 그나마 괜찮지만 러닝 크로스와 같은 경우에는 매우 좋지 못한 성공률을 보이고 있다.

5. 기록

5.1. 대회 기록

6. 여담

7. 외모

유로 2020에 차출되며 많은 관심을 받게 되었고, 영국의 귀족처럼 생긴 외모를 자랑하고 있다.

또한 외모에 걸맞은 목소리도 보유하고 있다.

카이 하베르츠, 마르틴 외데고르, 데클란 라이스 등 미남선수들이 많은 아스날에서도 독보적 외모를 자랑한다.

8. 같이보기

파일:아스날 FC 로고.svg
아스날 FC 2023-24 시즌 스쿼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스날 FC 2023-24 시즌 스쿼드
파일:Aaron Ramsdale 23-24.png
파일:William Saliba 23-24.png
파일:아스날 FC 로고.svg
파일:Ben White 23-24.png
파일:Thomas Partey 23-24.png
1 2 3 4 5
아론 램스데일
Aaron Ramsdale
[HG]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GK
1998.05.14
2021~2028
윌리엄 살리바
William Saliba
[HG]
파일:프랑스 국기.svg | DF
2001.03.24
2019~2027
벤 화이트
Ben White
[HG]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DF
1997.10.08
2021~2029
토마스 파티
Thomas Partey

파일:가나 국기.svg | MF
1993.06.13
2020~2025
파일:Gabriel Magalhães 23-24.png
파일:Bukayo Saka 23-24.png
파일:Martin Ødegaard 23-24.png
파일:Gabriel Jesus 23-24.png
파일:Emile Smith Rowe 23-24.png
6 7 8 (C) 9 (VC) 10
가브리에우 마갈량이스
Gabriel Magalhães

파일:브라질 국기.svg | DF
1997.12.19
2020~2027
부카요 사카
Bukayo Saka
[HG]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FW
2001.09.08
2019~2027
마르틴 외데고르
Martin Ødegaard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 MF
1998.12.17
2021~2028
가브리에우 제주스
Gabriel Jesus

파일:브라질 국기.svg | FW
1997.04.03
2022~2027
에밀 스미스 로우
Emile Smith Rowe
[HG]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MF
2000.07.28
2020~2026
파일:Gabriel Martinelli 23-24.png
파일:Jurriën Timber 23-24.png
파일:아스날 FC 로고.svg
파일:Eddie Nketiah 23-24.png
파일:Jakub Kiwior 23-24.png
11 12 13 14 15
가브리에우 마르티넬리
Gabriel Martinelli
[HG]
파일:브라질 국기.svg FW
2001.06.18
2019~2027
위리엔 팀버르
Jurrien Timber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DF
2001.06.17
2023~2028
에디 은케티아
Eddie Nketiah
[HG]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FW
1999.05.20
2019~2027
야쿠프 키비오르
Jakub Kiwior

파일:폴란드 국기.svg | DF
2000.02.17
2023~2028
파일:아스날 FC 로고.svg
파일:아스날 FC 로고.svg
파일:Tomiyasu Takehiro 23-24.png
파일:Leandro Trossard 23-24.png
파일:Jorginho 23-24.png
16 17 18 19 20 (3C)
토미야스 타케히로
Takehiro Tomiyasu

파일:일본 국기.svg | DF
1998.11.05
2021~2027
레안드로 트로사르
Leandro Trossard

파일:벨기에 국기.svg | MF
1994.12.04
2023~2027
조르지뉴
Jorginho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MF
1991.12.20
2023~2025
파일:Fàbio Vieira 23-24.png
파일:David Raya 23-24.png
파일:아스날 FC 로고.svg
파일:Reiss Nelson 23-24.png
파일:아스날 FC 로고.svg
21 22 23 24 25
파비우 비에이라
Fàbio Vieira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 MF
2000.05.30
2022~2027
다비드 라야
David Raya
[HG]
파일:스페인 국기.svg | GK
1995.09.15
2023~2024 임대
리스 넬슨
Reiss Nelson
[HG]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FW
1999.12.10
2019~2027
파일:Kai Havertz 23-24.png
파일:Karl Hein 23-24.png
파일:Oleksandr Zinchenko 23-24.png
파일:Declan Rice 23-24.png
29 31 35 41
카이 하베르츠
Kai Havertz

파일:독일 국기.svg | MF
1999.06.11
2023~2028
칼 야콥 헤인
Karl Jakob Hein
[HG]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 GK
2002.12.17
2020~2025
올렉산드르 진첸코
Oleksandr Zinchenko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 DF
1996.12.15
2022~2026
데클란 라이스
Declan Rice
[HG]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MF
1999.01.14
2023~2029
아스날 FC 2023-24 시즌 임대 선수
파일:Kieran Tierney 23-24.png
파일:p437626.png
파일:p437742(2).png
파일:p479683_22-23.png
17 3 28 77
키어런 티어니
Kieran Tierney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 DF
1997.06.05
2019~2026
레알 소시에다드 임대
2024.06.30 복귀
누누 타바레스
Nuno Tavares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 DF
2000.01.26
2021~2026
노팅엄 포레스트 FC 임대
2024.06.30 복귀
알베르 삼비 로콩가
Albert Sambi Lokonga

파일:벨기에 국기.svg | MF
1999.10.22
2021~2026
루턴 타운 FC 임대
2024.06.30 복귀
마르키뉴스
Marquinhos
[U-21]
파일:브라질 국기.svg | FW
2003.04.07
2022~2027
플루미넨시 FC 임대
2024.12.31 복귀
구단 정보
구단주: 아스날 홀딩스 공개주식회사 / 감독: 미켈 아르테타 / 홈 구장: 에미레이트 스타디움
출처: 아스날 FC 공식 홈페이지, 프리미어 리그 공식 홈페이지 / 마지막 수정 일자: 2024년 2월 16일
* 스쿼드에 대한 간략한 틀은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또한 이 틀을 수정할 때는 여기도 같이 수정해주시기 바랍니다.

[HG] [HG] [HG] 홈그로운 자원 [HG] [HG] [HG] [HG] [HG] [HG] [HG] [HG] [U-21] U-21 자원
}}}}}}}}} ||

1 픽포드 · 2 워커 · 3 · 4 라이스 · 5 스톤스 · 6 매과이어
7 그릴리쉬 · 8 헨더슨 · 9 케인 · 10 스털링 · 11 래시포드
12 트리피어 · 13 헨더슨 · 14 필립스 · 15 밍스 · 16 코디
17 산초 · 18 칼버트르윈 · 19 마운트 · 20 포든 · 21 칠웰
22 화이트 · 23 존스톤 · 24 제임스 · 25 사카 · 26 벨링엄
파일:UEFA EURO ENG.png 가레스 사우스게이트
파일:UEFA EURO ENG.png 스티브 홀랜드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23F3F; font-size: 0.8em;" 파일:UEFA EURO WAL.png 마틴 마겟슨

1 픽포드 · 2 워커 · 3 · 4 라이스 · 5 스톤스 · 6 매과이어 · 7 그릴리쉬 · 8 헨더슨 · 9 케인 · 10 스털링
11 래시포드 · 12 트리피어 · 13 포프 · 14 필립스 · 15 다이어 · 16 코디 · 17 사카 · 18 알렉산더아놀드
19 마운트 · 20 포든 · 21 화이트 · 22 벨링엄 · 23 램스데일 · 24 윌슨 · 25 매디슨 · 26 갤러거
파일:UEFA EURO ENG.png 가레스 사우스게이트
파일:UEFA EURO ENG.png 스티브 홀랜드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23F3F; font-size: 0.8em;" 파일:UEFA EURO WAL.png 마틴 마겟슨


[1] 브라이튼에서의 마지막 시즌까지만 해도 나이키의 팬텀 베놈, GT 사일로 혹은 아디다스의 엑스, 네메시스 사일로들을 두루두루 신다가 아스날 FC로 이적 후에는 아디다스의 엑스 시리즈로 완전히 정착했다. 네메시스는 이미 단종이 되었기 때문에 엑스 사일로로 정착한 듯. [2] 잉글랜드 국대 측에서는 자세한 사유에 대해서는 개인사유이기 때문에 밝힐 수 없으니 사생활을 존중해 달라고 했다. [3] 사실 이쪽은 쓰리백의 스토퍼로 얼굴을 많이 비추고 있긴 하다. [4] 다만 불화에 한해서는 사우스게이트 감독이 다시 한번 부정했다. [5] 최고 속도 32.1km.h [6] 사우스햄튼 아카데미에 있을 때 많이 뛰지도 못했고 항상 한쪽에 남겨져있거나 본인보다 어린 선수들과 함께 훈련을 받었기에 곧 방출될 거라는 느낌을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7] 아스날, 첼시, 리버풀 등이 있다. [8] 브라이튼의 구장과 훈련장, 해안도로를 보여줬고 장학금을 약속하며 계약을 성사시켰다. [9] 심한 알레르기 때문에 부모님은 에피펜을 항시 가지고 다녔었다. [10] 화이트는 저녁을 먹기 위해 외출 중이었을 때 예비 명단에 포함됐다는 소식을 전해 듣게 되었고 곧장 핸드폰을 꺼내 가족들에게 전화를 걸어 이 소식을 알렸다고 한다. [11] 키어런 티어니, 롭 홀딩, 칼럼 체임버스와는 버스에서 같이 앉는다고 하며, 아론 램스데일, 에밀 스미스 로우와도 친하다. [12] 가장 좋아하는 선수들로 라모스, 제라드, 호날두를 뽑았다. [13] 화이트의 삼촌이 맨유 팬이어서 삼촌 따라 몇 년 전에 올드 트래포드에서 열린 맨유와 첼시의 경기를 보러간 적이 있다고 한다. [14] SNS에서 동료들과 지인들이 Benji라고 댓글 다는 것을 보면 현재는 벤지라고만 불리는 듯하다. [15] 2021년 12월에 무지개 다리를 건넜다. [16] 아직도 뉴포트 카운티의 인스타그램 계정을 팔로잉하고 있다. [17] 화이트의 커리어를 정리해보자면 브라이튼에서 프로 데뷔 이후 임대를 전전했으나 임대가는 팀마다 기량이 늘어오더니 리즈에서 고점을 찍고 브라이튼에 복귀하여 그 시즌 브라이튼 남자 올해의 선수상을 수상한다. 그리고 아스날 이적 후 초반 부침을 겪더니 바로 리그 내에서도 인정받는 수비수로 자리매김했으며 약점으로 지적받던 공중볼 문제도 전혀 없는 수준으로 개선했다. 말 그대로 피나는 노력이 아니면 설명이 안되는 커리어다. [18] 물론 센터백으로도 좋은 활약을 펼쳤다. [19] 또한 이 경기에서 공을 뺏기자 코너 코디를 상대로 발이 걸리지 않았음에도 할리웃 액션을 펼쳐 심판을 속여내는 등 영악한 플레이들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