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4 15:09:10

미국 에너지부

{{{#!wiki style="margin: -10px" <tablebordercolor=#131230><tablealign=center><tablebgcolor=#131230>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iki style="margin: 0px -1px -34px"
파일:미국 국무부 휘장.svg 파일:미국 재무부 휘장.svg 파일:미국 국방부 휘장.svg
국무부 재무부 국방부
파일:미합중국 육군부 마크.svg
육군부
파일:미합중국 해군부 마크.svg
해군부
파일:미합중국 공군부 마크.svg
공군부
}}}
{{{#!wiki style="margin: -5px -1px;"
파일:미국 법무부 마크.svg 파일:미국 내무부 휘장.svg 파일:미국 농무부 휘장.svg
법무부 내무부 농무부
}}}{{{#!wiki style="margin: -5px -1px;" 파일:미국 상무부 마크.svg 파일:미국 노동부 휘장.svg 파일:미국 보건사회복지부 휘장.svg
상무부 노동부 보건사회복지부
}}}{{{#!wiki style="margin: -5px -1px;" 파일:미국 주택도시개발부 휘장.svg 파일:미국 운수부 휘장.svg 파일:미국 에너지부 휘장.svg
주택도시개발부 운수부 에너지부
}}}{{{#!wiki style="margin: -5px -1px;" 파일:미국 교육부 로고.svg 파일:미국 제대군인부 휘장.svg 파일:미국 국토안보부 마크.svg
교육부 제대군인부 국토안보부
}}}}}}}}}}}}
<colbgcolor=#131230><colcolor=#fff>
미합중국 에너지부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파일:미국 에너지부 휘장.svg
설립일 1977년 8월 4일
전신 연방에너지청, 에너지연구개발청
장관 제니퍼 멀헌 그랜홈(Jennifer Mulhern Granholm)
부장관 데이비드 M. 터크(David M. Turk)
직원 수 연방 공무원: 14,382명[1], 계약직: 93,094명[2]
예산 317억 달러[3]
주소
제임스 V. 포레스탈 연방 빌딩
워싱턴 D.C.
파일:미국 에너지부 휘장.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LinkedIn 아이콘.svg

1. 소개2. 핵무기3. 국립연구소
3.1. 국립연구소 목록3.2. 역대 장관

[clearfix]

1. 소개

미합중국 에너지부(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DoE) 또는 미합중국 동력부 미국 국가행정조직으로, 미국내 에너지에 대한 업무와 더불어 원자력 안보에 대한 업무를 담당한다. 한국에 과거 존속했던 동력자원부(1977 ~ 1993)와 유사하며, 미국 이외의 기능별 국가행정조직에서는 상공부 또는 자원부의 부속기관에 대응한다. 현재 한국의 산업통상자원부의 에너지 및 자원 부문과 원자력안전위원회의 기능도 담당하고 있다.

일단 기구 자체는 1977년에 지미 카터 대통령에 의해 세워졌으나, 사실 전신은 맨해튼 계획 이후 원자력 업무를 담당한 원자력 규제 위원회(Atomic Energy Commision)이다. 이 AEC가 나중에 원자력 규제 위원회가 되었는데, 오일 쇼크가 닥치자 1977년 당시 지미 카터 대통령은 1977년 에너지부 조직법(The Department of Energy Organization Act of 1977)을 제정하여 에너지부를 만들게 된다.

2. 핵무기

전신이 전신인 만큼 에너지부의 업무중엔 미국 핵무기의 관할 및 군사용 원자로 제작이 있다. 미군이 굴리는 모든 핵무기와 원자로는 에너지부 소유로, 미군은 에너지부의 재산을 빌려다가 쓰는 것이다. 물론 이와 관련된 연구개발도 다 에너지부 소관이다. 정확하겐 에너지부 산하의 NNSA 소관.

이런 핵무기 연구를 위해서 에너지부는 아래에서도 설명하고 있는 수 많은 국립 연구소 네트워크를 굴리고 있다. 보통 미국의 핵무기는 로스 앨러모스 국립 연구소,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 연구소에서 설계/개발하고, 샌디아 국립연구소에서 이와 관련된 엔지니어링을, 주요 부품은 로스 앨러모스 국립연구소, 오크리지 연구소 근처에 위치한 Y-12 핵무기 공장, 캔자스 시티 플랜트에서 제작한후 실험은 네바다 핵실험장에서 한후 Pantex 공장에서 조립하여 실전에 들어가게 된다.

관련 정보는 ODNI의 정보공동체 소속 기관이자 에너지부 산하 정보기관인 에너지부정보실( OICI)에서 다룬다.

3. 국립연구소

위에서도 말했듯이 에너지부는 산하에 연구소를 두고있으며, 핵무기 연구뿐만 아니라 여러 과학 연구를 하고 있다. 그러나 당연하게 예산은 NNSA쪽이 엄청나게 많다 현재 17개의 국립연구소가 있으며 에너지부의 일뿐만 아니라 여러 과학 분야에 관심을 쏟고 있다. 당연히 해당 시설을 사용하거나 해당 기관 채용 시 상당한 수준의 신분 검증이 이루어진다.[4]

한국의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이 고급화된 개념이라 볼 수 있다. 한국과 비교하자면, 연구 역량과 규모 면에서 차이가 많이 난다. 미국의 국립연구소는 건물 수준이 아니라 도시 하나가 통째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5] 일단 전쟁 중 국가의 존명을 건 GG를 받아내기 위한 작전을 위해 천조국의 과학기술력을 갈아 넣은 기관들이며, 따라서 거의 모든 기관이 핵 연구에 관련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그 위엄은 주기율표의 아래쪽 원소들 이름들[6]만 잘 읊어봐도 대략 느낄 수 있다. 현재는 기관별로 연구분야가 세분화되어 있는 한국 정출연들과 달리 미국 국립연구소는 각기 광범위하며 복합적인 분야를 연구한다.[7] 이 연방 국립 연구소들에서 많은 노벨상 수상자들을 배출해냈다. 또한 연구소에서 사용하는 시설이나 장비에 대한 지원도 빵빵한데, 오크리지 연구소의 경우 세계 최고 성능의 슈퍼컴퓨터 Frontier, 3, 4위급 성능의 슈퍼컴퓨터 Summit, Sierra를 비롯한 다수의 최첨단 연구장비를 보유하고 있다. 이마저도 도입 당시 세계 최고 성능이었다가 일본에게 추월당하고 나서 성능을 더 올린 모델을 새로 도입한 것이며, 그보다 2배나 빠른 차세대 컴퓨터도 이미 계약을 마쳤을 정도로 투자가 빠르게 이루어진다.[8] 아무리 미국의 국기기관이라 해도 세계 최고를 다투는 수준의 슈퍼컴퓨터 도입에 드는 예산은 결코 무시할만한 액수가 아닌데,[9] 이를 연구소 하나에서만 몇년 주기로 하고 있다.

이들 국립연구소 중 아르곤 국립 연구소는 영화 ' 체인리액션'에 등장하는데, 영화 안에서 시설이 파괴된난다. 그리고 국립 연구소가 중요한 밥줄인 도시도 몇군데 된다. 로스 앨러모스[10]라든가 오크리지[11]가 대표적으로, 상기된 맨해튼 계획과 같은 비밀 프로젝트를 위한 연구소를 짓고 거기에 참여하는 연구원들을 부려먹으거주시키려고 만든 도시들이다.[12][13] 로스 앨러모스 연구소에서 우라늄 리틀 보이[14] 플루토늄 팻 맨[15]을 설계하였고, 오크리지에서 농축된 우라늄이 전자에, 핸포드 사이트[16]에서 농축된 플루토늄이 후자에 들어갔다. 오크리지 사이트가 점점 확장되면서 녹스빌 도시권에 너무 근접하게 되어 주민들의 안전 문제가 제기되면서, 오펜하이머의 추천 하에 플루토늄탄 연구는 도시권에서 더 떨어진 로스 앨러모스에서 진행하였다 ( 해당 기사).[17]

3.1. 국립연구소 목록


파일:doe-laboratories-map.jpg
자세한 연구소 리스트와 위치는 다음과 같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0
, 3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0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3.2. 역대 장관

대수 이름 재임기간

[1] 2018년도 회계연도 기준 [2] 2008년도 회계연도 기준 [3] 2020년도 회계연도 기준, 한화 약 42조 2,399억원 [4] 미국 안보의 핵심 기술과 밀접하게 관련된 부서에는 미국 시민권이 필수로 요구된다. [5] 많은 경우 실제로 직접 핵무기를 만들던 또는 만드는 곳들이다. [6] 과학사 및 미국 지리 공부에 도움이 된다. [7] 아래 리스트 중 입자 가속기 연구소나 NNSA 산하 연구소는 여전히 핵 분야에 주력한다. [8] 물론 이런 슈퍼컴퓨터 성능 확보에 필요한 핵심적인 부품 제작사가 전부 미국인 것도 한 몫 한다. [9] Frontier의 경우 기기 도입 금액만 무려 8000억원 이상이 들었으며, 운용을 위한 인프라와 유지비까지 생각하면... [10] 뉴멕시코 앨버커키 근처 [11] 테네시 녹스빌 근처 [12] 그래서 덩치가 도시급인데 오크리지 캠퍼스 하나만 해도 140㎢ ( 성남시 면적)이고 연구소 건물 부지만 해도 약 40㎢ ( 광명시보다 크고 오산시보다 살짝 작음)가 된다. [13] 근처 도시 주민들도 이 비밀도시들이 뭘하는 곳이었는지 원폭 이후에야 알았다. 기사 [14] 히로시마에 투하 [15] 나가사키에 투하 [16] 현재 퍼시픽 노스웨스트 국립 연구소가 위치해 있다. [17] 실제로 오크리지는 녹스빌에서 차로 30분, 로스 앨러모스는 앨버커키에서 차로 2시간 정도 거리에 있다. [18] 입자가속기 연구소는 주로 관련 연구에 집중한다. [19] 사이클로트론 자체가 이런 연구를 위한 장비라고 봐도 된다. [20] 따라서 애팔래치아 산맥 그레이트 스모키 마운틴 산골짜기에 꼭꼭 숨겨놓았던 연구소다. [21] 핵무기 기술 이라던가 국가 안보기술을 주로 연구한다. [22] 오펜하이머(영화)에 잘 묘사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