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00> |
요미우리 자이언츠 역대 4번 타자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49c00>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나가사와 후지오 (永沢富士雄) |
이토 켄타로 (伊藤健太郎) |
나카지마 하루야스 (中島治康) |
츠츠이 오사무 (筒井修) |
마에카와 하치로 (前川八郎) |
|
1936夏 | 1936夏-1943 | 1936夏-1948 | 1936秋 | 1937秋 | |
<rowcolor=#f49c00>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
미즈하라 시게루 (水原茂) |
카와카미 테츠하루 (川上哲治) |
아오타 노보루 (青田昇) |
키구레 리쿠조 (木暮力三) |
나카무라 마사미 (中村政美) |
|
1937秋 | 1939-1958 | 1943-1952 | 1943 | 1943-1944 | |
<rowcolor=#f49c00> 제11대 |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
스다 히로시 (須田博) |
콘도 사다오 (近藤貞雄) |
카와바타 히로시 (川畑博) |
쿠로사와 토시오 (黒沢俊夫) |
코마츠바라 히로키 (小松原博喜) |
|
1944 | 1944 | 1944 | 1946 | 1947 | |
<rowcolor=#f49c00> 제16대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
히라야마 키쿠지 (平山菊二) |
우노 미츠오 (宇野光雄) |
미나미무라 후카시 (南村不可止) |
테즈카 아키하루 (手塚明治) |
미야모토 토시오 (宮本敏雄) |
|
1948 | 1951-1953 | 1951-1952 | 1953-1954 | 1955-1961 | |
<rowcolor=#f49c00> 제21대 | 제22대 | 제23대 | 제24대 | 제25대 | |
히가사 카즈오 (樋笠一夫) |
후지오 시게루 (藤尾茂) |
카시와에다 분지 (柏枝文治) |
요나미네 카나메 (与那嶺要) |
나가시마 시게오 (長嶋茂雄) |
|
1955 | 1955-1961 | 1955 | 1958 | 1958-1974 | |
<rowcolor=#f49c00> 제26대 | 제27대 | 제28대 | 제29대 | 제30대 | |
사카자키 카즈히코 (坂崎一彦) |
쿠니마츠 아키라 (国松彰) |
오 사다하루 (王貞治) |
이케자와 요시유키 (池沢義行) |
모리 마사아키 (森昌彦) |
|
1959-1962 | 1960-1968 | 1962-1980 | 1963 | 1964-1965 | |
<rowcolor=#f49c00> 제31대 | 제32대 | 제33대 | 제34대 | 제35대 | |
아이바 요시히로 (相羽欣厚) |
요시다 카츠토요 (吉田勝豊) |
타나카 쿠스오 (田中久寿男) |
타카쿠라 테루유키 (高倉照幸) |
모리나가 카츠야 (森永勝也) |
|
1965 | 1965 | 1967 | 1967 | 1967 | |
<rowcolor=#f49c00> 제36대 | 제37대 | 제38대 | 제39대 | 제40대 | |
시바타 이사오 (柴田勲) |
스에츠구 토시미츠 (末次利光) |
야나기다 마사히로 (柳田真宏) |
장훈 (張勳) |
아와구치 켄지 (淡口憲治) |
|
1969 | 1970-1975 | 1974 | 1976-1979 | 1976 | |
<rowcolor=#f49c00> 제41대 | 제42대 | 제43대 | 제44대 | 제45대 | |
데이비 존슨 (ジョンソン) |
존 시핀 (シピン) |
야마모토 코지 |
로이 화이트 (ホワイト) |
나카하타 키요시 (中畑清) |
|
1976 | 1978-1979 | 1979-1980 | 1980-1982 | 1981-1988 | |
<rowcolor=#f49c00> 제46대 | 제47대 | 제48대 | 제49대 | 제50대 | |
게리 토마슨 (トマソン) |
마츠바라 마코토 (松原誠) |
하라 타츠노리 (原辰徳) |
레지 스미스 (スミス) |
워렌 크로마티 (クロマティ) |
|
1981 | 1981 | 1982-1995 | 1983-1984 | 1984-1990 | |
<rowcolor=#f49c00> 제51대 | 제52대 | 제53대 | 제54대 | 제55대 | |
루밍쑤 (呂明賜) |
코마다 노리히로 (駒田徳広) |
요시무라 사다아키 (吉村禎章) |
마이크 브라운 (ブラウン) |
필 브래들리 (ブラッドリー) |
|
1988 | 1988-1992 | 1990-1998 | 1990 | 1991 | |
<rowcolor=#f49c00> 제56대 | 제57대 | 제58대 | 제59대 | 제60대 | |
로이드 모즈비 (モスビー) |
제시 바필드 (バーフィールド) |
오카자키 카오루 (岡崎郁) |
오쿠보 히로모토 (大久保博元) |
오치아이 히로미츠 (落合博満) |
|
1992-1993 | 1993 | 1993 | 1993 | 1994-1996 | |
<rowcolor=#f49c00> 제61대 | 제62대 | 제63대 | 제64대 | 제65대 | |
히로사와 카츠미 (広沢克実) |
마츠이 히데키 (松井秀喜) |
셰인 맥 (マック) |
키요하라 카즈히로 (清原和博) |
이시이 히로오 (石井浩郎) |
|
1995-1998 | 1995-2002 | 1996 | 1997-2005 | 1997-1999 | |
<rowcolor=#f49c00> 제66대 | 제67대 | 제68대 | 제69대 | 제70대 | |
타카하시 요시노부 (高橋由伸) |
도밍고 마르티네스 (マルティネス) |
로베르토 페타지니 (ペタジーニ) |
코쿠보 히로키 (小久保裕紀) |
이승엽 (李承燁) |
|
1999-2014 | 1999 | 2003-2004 | 2004-2006 | 2006-2008 | |
<rowcolor=#f49c00> 제71대 | 제72대 | 제73대 | 제74대 | 제75대 | |
니오카 토모히로 (二岡智宏) |
아베 신노스케 (阿部慎之助) |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小笠原道大) |
알렉스 라미레스 (ラミレス) |
초노 히사요시 (長野久義) |
|
2006 | 2007-2019 | 2007 | 2008-2011 | 2011-2016 | |
<rowcolor=#f49c00> 제76대 | 제77대 | 제78대 | 제79대 | 제80대 | |
무라타 슈이치 (村田修一) |
호세 로페스 (ロペス) |
존 보우커 (ボウカー) |
레슬리 앤더슨 (アンダーソン) |
프레데릭 세페다 (セペダ) |
|
2012-2017 | 2013-2014 | 2013 | 2014-2015 | 2014 | |
<rowcolor=#f49c00> 제81대 | 제82대 | 제83대 | 제84대 | 제85대 | |
오오타 타이시 (大田泰示) |
사카모토 하야토 (坂本勇人) |
나카이 다이스케 (中井大介) |
카메이 요시유키 (亀井善行) |
개럿 존스 (ジョーンズ) |
|
2014-2015 | 2015~ | 2015 | 2015 | 2016 | |
<rowcolor=#f49c00> 제86대 | 제87대 | 제88대 | 제89대 | 제90대 | |
루이스 크루즈 (クルーズ) |
케이시 맥기 (マギー) |
알렉스 게레로 (ゲレーロ) |
오카모토 카즈마 (岡本和真) |
마루 요시히로 (丸佳浩) |
|
2016 | 2017-2018 | 2018 | 2018~ | 2020 | |
<rowcolor=#f49c00> 제91대 | |||||
나카타 쇼 (中田翔) |
|||||
2022 | |||||
1) 연도는 해당 선수가 4번 타자로 1경기 이상 출장한 해. 2) 볼드체는 일본야구전당 헌액자.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
일본프로야구 역대 포수 베스트나인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tablewidth=100%> 1940년, 1947년 ~ 1949년 | ||||
<rowcolor=#ffffff> 1940 | 1947 | 1948 | 1949 | |||
타나카 요시오 한신군 |
도이가키 타케시 오사카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
아라카와 쇼지 쇼치쿠 |
노구치 아키라 나고야 |
히로타 쥰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히로타 쥰 요미우리 |
후지오 시게루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도이 키요시 요미우리 |
모리 마사히코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모리 마사히코 요미우리 |
키마타 타츠히코 주니치 |
||||
<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키마타 타츠히코 주니치 |
타부치 코이치 한신 |
||||
<rowcolor=#fff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타부치 코이치 한신 |
키마타 타츠히코 주니치 |
오오야 아키히코 야쿠르트 |
키마타 타츠히코 주니치 |
||
<rowcolor=#fff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오오야 아키히코 야쿠르트 |
야마쿠라 카즈히로 요미우리 |
나카오 타카요시 주니치 |
야마쿠라 카즈히로 요미우리 |
타츠카와 미츠오 히로시마 |
|
<rowcolor=#fff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야에가시 유키오 야쿠르트 |
타츠카와 미츠오 히로시마 |
야마쿠라 카즈히로 요미우리 |
타츠카와 미츠오 히로시마 |
나카오 타카요시 주니치 |
|
<rowcolor=#fff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무라타 신이치 요미우리 |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
니시야마 슈지 히로시마 |
|||
<rowcolor=#fff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
니시야마 슈지 히로시마 |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
타니시게 모토노부 요코하마 |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
|
<rowcolor=#fff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
아베 신노스케 요미우리 |
야노 아키히로 한신 |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
||
<rowcolor=#fff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야노 아키히로 한신 |
아베 신노스케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아베 신노스케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나카무라 유헤이 야쿠르트 |
이시하라 요시유키 히로시마 |
아이자와 츠바사 히로시마 |
|||
<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오오시로 타쿠미 요미우리 |
나카무라 유헤이 야쿠르트 |
오오시로 타쿠미 요미우리 |
야마모토 유다이 DeNA |
||
<rowcolor=#ffffff> 2025 | 2026 | 2027 | 2028 | 2029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
도이가키 타케시 마이니치 |
마츠이 아츠시 난카이 |
찰리 루이즈 마이니치 |
|||
<rowcolor=#fff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찰리 루이즈 마이니치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
<rowcolor=#fff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
<rowcolor=#fff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오카무라 코지 한큐 |
||||
<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무라카미 키미야스 롯데 |
||||
<rowcolor=#fff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카토 토시오 닛폰햄 |
나카자와 신지 한큐 |
나시다 마사타카 킨테츠 |
||
<rowcolor=#fff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나시다 마사타카 킨테츠 |
나카자와 신지 한큐 |
카가와 노부유키 난카이 |
후지타 히로마사 한큐 |
||
<rowcolor=#fff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이토 츠토무 세이부 |
야마시타 카즈히코 킨테츠 |
||||
<rowcolor=#fff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이토 츠토무 세이부 |
타무라 후지오 닛폰햄 |
요시나가 코이치로 다이에 |
|||
<rowcolor=#fff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나카지마 사토시 오릭스 |
요시나가 코이치로 다이에 |
이토 츠토무 세이부 |
죠지마 켄지 다이에 |
||
<rowcolor=#fff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죠지마 켄지 다이에 |
이토 츠토무 세이부 |
죠지마 켄지 다이에 |
|||
<rowcolor=#fff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죠지마 켄지 소프트뱅크 |
사토자키 토모야 롯데 |
호소카와 토오루 세이부 |
타노우에 히데노리 소프트뱅크 |
||
<rowcolor=#fff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시마 모토히로 라쿠텐 |
호소카와 토오루 소프트뱅크 |
츠루오카 신야 닛폰햄 |
시마 모토히로 라쿠텐 |
이토 히카루 오릭스 |
|
<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스미타니 긴지로 세이부 |
타무라 타츠히로 롯데 |
카이 타쿠야 소프트뱅크 |
모리 토모야 세이부 |
||
<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카이 타쿠야 소프트뱅크 |
모리 토모야 세이부 |
카이 타쿠야 소프트뱅크 |
모리 토모야 오릭스 |
사토 토시야 롯데 |
|
<rowcolor=#ffffff> 2025 | 2026 | 2027 | 2028 | 2029 | |
}}}}}}}}}}}}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세이부 라이온즈]] 역대 감독 | ||||
히로오카 타츠로 (1982~1985) |
→ |
모리 마사아키 (1986~1994) |
→ |
히가시오 오사무 (1995~2001) |
[[요코하마 디엔에이 베이스타즈|요코하마 베이스타즈]] 역대 감독 | ||||
곤도 히로시 (1998~2000) |
→ |
모리 마사아키 (2001~2002) |
→ |
야마시타 다이스케 (2003~2004) |
이름 | 모리 마사아키(森 祇晶) |
생년월일 | 1937년 1월 9일 ([age(1937-01-09)]세) |
국적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출신지 | 기후현 기후 시[1] |
학력 | 기후 현립 기후 고등학교를 졸업 |
포지션 | 포수 |
투타 | 우투좌타 |
소속팀 | 요미우리 자이언츠 (1955~1974) |
지도자 |
요미우리 자이언츠 1군 배터리코치 (1972~1974) 야쿠르트 스왈로즈 1군 배터리코치 (1978~1979) 세이부 라이온즈 1군 수석코치 (1982~1984) 세이부 라이온즈 감독 (1986~1994) 요코하마 베이스타즈 감독 (2001~2002) |
[clearfix]
1. 개요
전직 일본프로야구 선수이자 지도자. 현역 시절 소속팀인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V9 당시 주전 포수로 팀을 받쳤고, 감독으로서는 세이부 라이온즈의 황금기를 이끌었다.본명은 모리 마사히코(森 昌彦) 였으나 1986년 마사아키(祇晶)로 개명했다.
2. 선수 시절
야구는 중학생 때부터 시작하여 원래 포지션은 내야수였다. 고교 시절 2학년에 포수로 전향했고 3학년 때 고시엔 대회에 출전했으나, 첫 경기에서 타구를 가랑이에 맞고 기절하여 경기 도중에 그라운드를 떠났다. 도쿄6대학에서의 플레이를 꿈꾸며 릿쿄대학 진학을 염두에 두었으나 집안 사정으로 대학진학을 포기했다. 계약금 50만엔에 요미우리에 입단하였다. 월급 3만 중 일부를 어머니께 계속 송금했으며 '아무도 도와주지 않는다'는 자세도 이 무렵에 양성되었을지도 모른다.
두 명의 동기생 포수와 함께 입단했으며 그 중 한 명인 가토는 주쿄고등학교[2]를 그 해 여름 고시엔 대회 우승으로 이끌었다. 모리를 포함한 3명의 신인 포수는 경쟁을 벌였다.
입단 후 5년간 무명의 세월을 보냈다. 에이스 투수들은 경기가 없는 날 숙소로 찾아와 2군 포수를 앉혀놓고 투구 연습을 실시 했는데 에이스 투수 벳쇼 다케히코가 "너 받아!" 라고 하면 다리 밑으로 같이 이동하여 벳쇼의 피칭을 받는 등 맹렬한 연습을 했다. 모리는 '프로라는 곳이 이런 곳'임을 이 때 깨달았다고 한다. 후지모토 히데오가 폭스바겐 차를 끌고 오는 모습에 눈부심을 느꼈으며 이것이 과연 거인의 대스타의 모습임을 알았다.
프로 초년병 시절 모리는 고라쿠엔 구장에서 경기를 마친 후 스이도바시역에서 국철을 탑승, 요요기역에서 환승하여 시부야역에서 도큐 도요코선으로 다시 환승한 뒤 타마가와역에 내려서 역 앞의 슈퍼마켓에서 100엔짜리 비엔나소시지를 사서 기숙사로 돌아와서는 식은 쌀밥에 된장국, 소시지를 반찬으로 끼니를 때웠다고 한다.[3]
1군에는 은퇴를 앞둔 히로다와 호타, 준족, 강견의 후지오 시게루가 있었다. 입단 동기들, 1군 레귤러들과의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서는 수비력 향상만이 우선임을 알게된 후 투수리드, 볼배합, 블로킹, 캐칭, 도루저지 등을 가다듬는데 집중했다.
미즈하라 시게루, 카와카미 테츠하루 감독의 신임을 받으며 후지오를 중견수로 밀어내고 주전 포수 자리를 차지했다. 우수한 통찰력, 빠른 두뇌회전, 늘 연구에 노력하는 자세, 상대 타자의 약점과 상대팀 배터리의 볼배합을 모조리 기억하는 암기력 등 우수한 기량을 갖춘 당대 최고의 포수로 명성을 날렸다. 또한 캐칭 기술도 좋아서 폭투 내지 패스트볼은 좀처럼 허용하지 않았고, 이러한 모습으로 그의 표면적인 성적에 비해 팀에서 차지하는 위상이 막대하여 선수 시절에 이미 "V9의 두뇌"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였다. 또한 강견을 바탕으로 높은 도루 저지율을 자랑하며 도루를 시도하는 상대 팀 주자는 전부 죽는다(잡힌다)는 의미에서 "몰살의 모리"라는 별명도 있었다. 부상에도 강해 좀처럼 결장하는 일이 드물었다.
그러나 카와카미 감독은 그를 안주시키지 않기 위해 계속 아마추어계에서 우수한 포수들을 영입하였고, 모리는 카와카미 감독의 그러한 행태에 대해 '나에 대한 믿음이 부족한 것인가?' 라고 생각 했지만 영입된 새로운 경쟁 포수들에게 절대 뒤쳐지지 않고 끊임없는 노력으로 주전 자리를 놓치지 않았다.[4]
일본시리즈에서 상대할 퍼시픽 리그의 전력을 분석하기 위해 난카이 호크스의 라이벌 포수 노무라 카츠야 집에 방문하기도 했다.[5] 센트럴리그 우승을 차지한 날이면 모리는 축하연에 참석하지 않고 노무라가 어딨는지를 주위에 묻고, 노무라를 만나기 위해 귀경하고는 했다. 리그 우승의 순간 퍼시픽리그 우승팀의 정보 분석이 바로 시작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모리의 성실한 자세를 높이 삼아 1967년 일본시리즈[6]에서 모리가 MVP로 선정됐을 때 가와카미 감독은 누구보다도 기뻐했다고 한다.
모리는 투수의 컨디션이 나쁘면 즉시 감독과 코치에 보고했다. 투수가 안타나 실점을 허용했을 때 책임을 절대 자신의 탓으로 하지 않고 전적으로 투수에게 돌렸다. 모리가 주전 포수가 되고 나서 투수들이 벤치에 돌아오는 속도가 빨라졌다고 코치가 폭로한 적이 있는데, 모리가 저런 보고를 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가와카미 감독은 그런 모리의 비정한 보고가 승부처에서 도움이 됐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당시 동료 3루수 나가시마 시게오는 이런 모리의 모습을 맘에 들어하지 않았으며, 이는 모리가 마치 책임회피를 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했다. 동갑인 모리와 나가시마는 현역 시절에 서로 격려의 말 한마디도 나누지 않았을만큼 불화가 있었다. 이 때 같이 호흡을 맞춘 투수로 가네다 마사이치, 후지타 모토시등이 있다.
1963년은 그에게 참 힘든 시즌이었다. 132경기에서 마스크를 쓰면서 타율은 .198, 홈런은 단 4개를 기록했다.[7] 니시테츠 라이온즈와의 일본시리즈 3차전 도중, 고라쿠엔 구장의 백스톱에서 어느 팬이 파울타구를 그라운드로 돌려주려다가 가족과 함께 경기를 관람중이던 3세 소녀의 후두부를 직격하는 큰 사고가 발생했는데, 경기가 끝나고 이를 안 모리가 달려들어 필사적으로 간호한 바람이 있어 다행히 큰 일까지는 가지 않은 적이 있다. 일본시리즈 4차전에서는 니시테츠 타자의 파울타구에 맞아 팔뼈 염좌 진단을 받았으며, 일본시리즈 직전에 탄생한 장남이 감기로 생후 100일 남짓으로 생을 마감했다.[8] 모리는 낙담했지만 이러한 일들이 큰 영향을 주어 '나는 보리 같은 것. 밟혀도 밟혀도 일어나겠어'라는 말버릇대로 야구에 몰두해 주전 포수의 아성을 공고히 했다. 만년 8번타자였던 모리는 어느덧 ON포의 뒤를 잇는 5번 타자로 급부상하여 타선의 핵심이 됐다.
1966년에는
타율은 높지 않았지만 결정적인 승부처에서 필요할 때 한방을 쳐 주는 클러치 능력이 뛰어났다. 같은 시기 1루수 오 사다하루, 3루수 나가시마 시게오와 함께 팀의 일본시리즈 9연패에 기여했다. OH포의 화려함과는 거리가 멀지만 뛰어난 포수 능력으로 "그늘의 MVP"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 [9] 센트럴 리그 - 일본 시리즈 10연패 달성에 실패한 1974년 시즌[10]을 끝으로 현역에서 은퇴하였다. 나가시마 시게오도 모리와 같은 해에 은퇴했다.[11]
V9 시절의 요미우리 자이언츠에 대해 평하기를, 당시의 거인은 전문가들이 모인 집단이었으며 파벌이나 그룹 같은 건 없었다고 한다. 선수의 자존심도 높아 평소에는 선수 각자 자신의 포지션에서는 절대 물러서지 않는다는 강한 신념을 가졌지만 게임에 들어가면 똘똘 뭉쳤다. 이렇게 팀을 유지하는 고삐를 쥔 것은 가와카미 감독이었으며, 모리가 현역 시절에는 말도 못 붙일만큼 어려웠지만 감독과 포수 관계로 변화하고 나서는 태연하게 이야기를 할 수 있게 됐다. 그리고 선수 모두 부상에 강했으며, 오 사다하루나 나가시마 시게오조차 부상을 당해도 표를 내지 않았다. 모리는 본인이 골절, 탈구 등의 부상을 입어 공 1개를 받을때마다 머리까지 아픔이 전해져 왔지만 시즌 종료까지 마스크를 쓰고 계속 플레이 했다.
3. 지도자 시절
현역이던 1972년 부터 요미우리의 배터리 코치를 겸임했다. 은퇴 후, TV 해설위원으로 활동하다가 요미우리 팀 선배 히로오카 타츠로가 감독을 맡은 야쿠르트 스왈로즈에서 1978년과 1979년에 팀의 배터리 코치로 활동하면서 1978년 스왈로즈의 사상 첫 센트럴리그 우승, 일본시리즈 우승을 경험한다. 이후 1979년 히로오카가 최하위로 떨어진 팀 성적에 책임을 지고 사퇴하자 자신도 코치직에서 물러나 잠시 TV 해설위원으로 돌아갔다가, 1982년부터 1984년에는 다시 히로오카 감독이 이끄는 세이부 라이온즈의 수석 겸 배터리 코치를 3년간 역임했다. 엄격한 관리와 통제로 대표되는 히로오카 감독의 관리야구 코칭 스타일에 따라 선수들의 경기장 밖에서의 사생활까지 관리하여 '모리 KGB', '모리 CIA'라는 원성을 듣기도 했다. 그러나 모리 역시 그 당시 히로오카의 이러한 방침을 선호하지 않았으며[12] 후에 히로오카와의 갈등을 빚으며 세이부의 코치직을 내려 놓았다. 다시 야인으로 지내던 중 1986년, 히로오카가 떠난 세이부 라이온즈의 감독직을 맡았고 이때 현재의 이름으로 개명했다.
감독 재임 기간 동안 퍼시픽리그 우승 8회(1986년 ~ 1988년, 1990년 ~ 1994년[13]와 일본시리즈 우승 6회(1986년 ~ 1988년, 1990년 ~ 1992년)의 대업을 달성했다. 이 당시의 세이부는 네모토 리쿠오 단장의 총 지휘 하에 우수 선수를 많이 영입했다. 쿠도 키미야스- 와타나베 히사노부- 궈타이위엔(일본명 가쿠 타이겐), 황금기 말기에 합류한 신진 에이스 이시이 타케히로 등이 포진한 강력한 선발진에, 카토리 요시타카와 시오자키 테츠야 등이 버틴 불펜 투수들이 돋보였다. 야수에도 내야의 사령탑이었던 유격수 이시게 히로미치를 리더로, 안정된 수비가 돋보였던 2루수 츠지 하츠히코, 이시게가 부상으로 인해 3루수로 전향하며 유격수를 맡은 타나베 노리오, 고교 졸업 후 첫 시즌부터 강렬한 인상을 남긴 기요하라 가즈히로, 호타준족의 대명사 아키야마 코지, 거포 스위치 히터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 모리의 후계자이자 명포수 이토 쓰토무 등이 맹활약하던 그야말로 황금기였다.
그러나 1994년 일본시리즈에서는 현역 시절 친정팀인 요미우리 자이언츠와의 6차전을 앞두고 요미우리 구단의 모기업인 요미우리 신문에서 ‘세이부·모리 감독 사임’ 이라는 제목의 보도를 내 상처를 입기도 했다. 게다가 이 소식은 도쿄돔 전광판에 대서특필되었다. 그리고 결국 이 해 일본시리즈는 요미우리에게 패배하고 말았다.
감독에서 물러난 뒤 여러 군데에서 야구 해설 위원으로 지냈으며 요미우리 구단 프런트에서 나가시마의 후임 감독으로 고려되었지만 세이부에서 코치-감독을 역임한 것이 문제가 되어 거인 감독직은 꿈으로 끝났다. 요미우리 자이언츠/순수혈통주의 문서 참조.[14]
2001년에는 요코하마 베이스타즈의 감독으로 취임했으나, 곤도 히로시 감독 시절의 자율야구와는 다른 빡빡한 관리야구 스타일이 팀에 먹히지 않았고, 2002년 시즌에 결국 팀이 꼴찌로 추락하면서 시즌 종료를 앞두고 사임했다. #
2005년에는 일본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2005년 KIA 타이거즈의 하와이 스프링캠프에 방문한 적이 있다. #
2016년, 제자 기요하라가 마약 복용 혐의로 피소됐을 때 현역 시절 선수 지도를 잘못했다는 이유로 라이벌 노무라 카츠야에게 비판받았다. #
2018년 7월 20일 메트라이프 돔에서 열린 세이부 홈경기에 레전드 OB로 등장하여 시구를 맡았고, 경기 종료 후 토크쇼를 가졌다. 학생 팬이 모리 마사아키 감독의 책을 읽어왔다고 하자 흐뭇해하기도 했다. # 토크쇼 직캠
하와이에 거주하다가 2022년에 후쿠오카현으로 이사했다.
2023년 모교(기후고등학교)를 방문해 격려했다. 모리는 "야구는 이기려고 노력해서 이길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여러분 한 사람 한 사람이 정기적으로 맡은 일을 연마하고 자신을 믿고 제대로 하면 반드시 결과가 따라온다"고 시합에 임하는 지혜를 가르쳤다.
4. 기타
- 수상 경력으로 선수 시절에는 베스트나인 8번(1961-1968)을 차지했고, 올스타전은 11회 출장했다. 1967년 일본시리즈 MVP였다. 감독 시절에는 1986년과 1990년에 일본프로야구 최고 권위의 상인 쇼리키 마쓰타로상을 수상했다.
- 자산 관리를 철저히 한 덕분에 현역 시절에는 화려한 프로야구 선수에 걸맞지 않은 “구두쇠 모리”, “기후의 저금통”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무역상이었던 부친이 진 고액의 부채를 갚기 위해 대학 진학 대신 프로 입단을 선택한 것에서 비롯되었다고. 현역 시절에는 "우리는 개인 사업주. 아무도 도와주지 않는다"를 늘 말버릇으로 하고 있었다. 그의 짠돌이 성격을 보여주는 일화로 고라쿠엔 구장에서 시합이 끝나면 자택에 있는 부인에게 전화를 걸어, 「넣어라」라고 말 한 마디만 하고 전화를 끊었다. 이 말의 뜻은 「밥솥의 스위치를 넣어라」라는 의미로, 모리가 집에 도착할 무렵 밥이 지어져 전기비를 절약할 수 있었다고 한다. 이런 철저한 절약의 결실로 지금도 고급 저택에 거주할 정도로 부유한 삶을 살고 있다.
- 원래는 안경을 착용하지 않았지만 세이부 감독 2년차 부터 안경을 착용하면서 감독으로서의 풍모가 보였다고 한다.
- 선수, 코치, 감독으로써 일본시리즈 20연승(!!)이란 대기록까지 보유한 사람인데, 선수로썬 요미우리 시절의 1961, 1963, 1965~1973년까지 패배 없이 11번 연속으로, 코치로썬 야쿠르트 시절의 1978년과 세이부 시절의 1982~1983년까지 패배 없이 3번 연속으로, 세이부 감독으로써 1986~1988년, 1990년~1992년까지 패배 없이 6번 연속으로 총 20회의 일본시리즈 우승을 경험했다. 어찌보면 대단한 기록. 그러나 결국 1993년, 전해 모리의 일본시리즈 20연승의 희생양이 된 선수 시절의 라이벌 노무라 카츠야가 이끄는 야쿠르트 스왈로즈에게 역으로 우승을 허용하여 연승기록이 끊겼다.
- 1991년 11월, 제1회 한일 슈퍼게임 1차전에서 (일본시리즈 우승팀 감독 자격으로) 일본 올스타팀 감독을 맡았고, 일본의 8대3 승리를 이끌었다. 허구연 해설위원의 1992년 저서인 '홈런과 삼진 사이'를 보면, 경기 전 미팅에서 (한국팀 선발투수인) 박동희의 강속구를 특별히 언급하면서 선수들의 정신무장을 강조했다고 한다.[15] 관련기사
- 2군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한국프로야구 출범 직전인 1982년 초에 일본에 벤치마킹차 방문한 OB 베어스의 박용민 단장이 자문을 구하자 '재주 좋은 놈을 골라서 2군을 만들어서 선수를 키워라. 2군 감독 똑똑한 사람 하나 앉혀라'고 말했고 OB가 2군을 제일 먼저 만들었다.
- 팀 배팅을 중요시하고 있다. 클린업 트리오의 아키야마나 키요하라에게도 상황에 따라 팀 배팅을 주문했다. 홈런보다는 진루타, 확률을 중시하여 승리에 접근하는 것이 승리의 철칙이라고 생각한다. 2018년 세이부가 약한 투수력으로 고민하고 있는 모습을 보고 "이길 경기에만 모든 정력을 쏟아야 한다. 3연전 중 한 경기는 버려도 좋다. 이 경기에서는 젊은 선수들의 육성에만 중점을 둔다. 모든 게임에서 승리만을 생각한다면 본전도 없다"고 밝혔다.
- 우승팀의 평균 연간 승률은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 6할 이상이며 10경기 단위로 계산하면 6승 4패, 승수부터 계산하는 낙관주의적인 사고가 아닌 포스트시즌에 진출하기 위한 최소 패수부터 치밀하게 계산하고 이를 넘지 않기 위해 계획을 짜는 것이 모리의 철학이다.
- 1987년 친정팀 요미우리와의 일본시리즈를 앞두고 비디오 분석을 하던 중 상대팀 중견수 워렌 크로마티의 수비 약점을 간파하였다. 대망의 일본시리즈 6차전 8회말 아키야마가 중전안타를 쳤을때 이하라 하루키 3루 주루코치의 지도로 1루주자 츠지 하츠히코를 무조건 홈까지 내달리게 해[18] 득점에 성공한 건 유명하다. 2:06:30부터 참조
- 포수 출신이었음을 반영한 듯, 철저하게 데이터를 중시하여 늘 메모를 하고 일기를 썼다.
- 좋은 야구 감독의 조건으로 4가지를 꼽았다. 야구에 대한 뜨거운 열정, 전체를 바라보는 넓은 시야, 결단력과 용기, 선수가 주역이라는 자각이 그것이다.
- 아래와 같은 명언을 남겼다.
“포수는 경기 도중 전방 90도를 주시한다. 양 옆 벤치의 감독은 물론 뒤에 서 있는 주심의 성격까지 신경써야 한다. 360도를 두루 살펴야 하는 것이다. 이 넓은 시야는 감독이 된 후에도 계속 살아있다.”
"감에 의존하는 야구는 오래갈 수 없다. 최후의 승패를 가르는 것은 데이터와 확률이다."
"야구 선수들에게 글러브와 배트 말고도 반드시 필요한 것은 펜과 노트다. 동일한 실패를 되풀이 하지 않기 위해서다. 결과에 취해 버리면 과정을 경시하게 마련이고, 그러면 실패는 반복된다. 실패를 교훈삼기 위해서는 반드시 과정을 기억하지 않으면 안된다"
- 미국 영주권이 있다.
5. 선수 성적
모리 마사아키의 역대 NPB 기록 | |||||||||||||||||
<rowcolor=#fe5a1d> 연도 | 소속 | 경기 | 타석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득점 | 타점 | 도루 | 볼넷 | 삼진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WAR |
1955 |
요미 우리 |
1 | 1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00 | .000 | .000 | .000 | 0.0 |
1956 | 13 | 14 | 1 | 0 | 0 | 0 | 0 | 0 | 0 | 0 | 6 | .077 | .143 | .077 | .220 | -0.1 | |
1957 | 42 | 105 | 21 | 3 | 0 | 1 | 5 | 12 | 1 | 7 | 20 | .216 | .269 | .278 | .548 | 0.0 | |
1958 | 30 | 66 | 19 | 6 | 1 | 1 | 6 | 6 | 0 | 2 | 17 | .297 | .318 | .469 | .787 | 0.5 | |
1959 | 105 | 363 | 75 | 7 | 1 | 3 | 17 | 26 | 5 | 28 | 52 | .228 | .289 | .283 | .572 | 1 | |
1960 | 115 | 384 | 70 | 14 | 0 | 2 | 18 | 18 | 5 | 20 | 46 | .197 | .238 | .254 | .492 | -0.3 | |
1961 | 113 | 344 | 72 | 15 | 1 | 4 | 17 | 29 | 0 | 17 | 24 | .223 | .265 | .313 | .578 | 1.2 | |
1962 | 134 | 508 | 116 | 24 | 0 | 9 | 43 | 44 | 4 | 32 | 35 | .247 | .297 | .341 | .638 | 3.2 | |
1963 | 132 | 452 | 83 | 10 | 2 | 4 | 17 | 29 | 3 | 27 | 30 | .198 | .244 | .260 | .505 | -1.1 | |
1964 | 123 | 459 | 115 | 17 | 1 | 12 | 35 | 65 | 1 | 27 | 22 | .270 | .314 | .399 | .713 | 2.4 | |
1965 | 135 | 511 | 134 | 19 | 2 | 5 | 47 | 58 | 2 | 19 | 25 | .277 | .305 | .355 | .660 | 2.8 | |
1966 | 125 | 454 | 103 | 13 | 2 | 5 | 25 | 62 | 1 | 21 | 19 | .242 | .277 | .318 | .595 | 0.9 | |
1967 | 109 | 360 | 92 | 10 | 0 | 6 | 28 | 31 | 3 | 22 | 22 | .278 | .326 | .363 | .688 | 1.8 | |
1968 | 127 | 468 | 100 | 10 | 0 | 11 | 35 | 46 | 2 | 21 | 31 | .228 | .267 | .330 | .597 | 0.7 | |
1969 | 115 | 372 | 87 | 13 | 0 | 8 | 22 | 39 | 0 | 26 | 29 | .256 | .313 | .365 | .677 | 1.3 | |
1970 | 97 | 272 | 51 | 10 | 0 | 0 | 11 | 15 | 0 | 23 | 21 | .210 | .277 | .251 | .528 | -0.7 | |
1971 | 95 | 285 | 55 | 8 | 2 | 4 | 19 | 22 | 1 | 26 | 28 | .215 | .285 | .309 | .594 | 0.2 | |
1972 | 120 | 372 | 71 | 10 | 0 | 4 | 20 | 33 | 0 | 26 | 27 | .210 | .274 | .275 | .549 | -0.6 | |
1973 | 97 | 241 | 49 | 5 | 0 | 3 | 11 | 19 | 1 | 14 | 10 | .220 | .268 | .283 | .550 | -0.3 | |
1974 | 56 | 118 | 27 | 2 | 0 | 2 | 7 | 19 | 0 | 5 | 5 | .243 | .271 | .315 | .587 | -0.5 | |
NPB 통산 (20시즌) |
1884 | 6149 | 1341 | 196 | 14 | 81 | 392 | 582 | 29 | 363 | 469 | .236 | .283 | .318 | .601 | 12.4 |
5.1. 감독 성적
역대 감독 전적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승 | 패 | 무 | 승률 | 정규시즌 | 포스트시즌 |
1986 | 세이부 | 130 | 68 | 49 | 13 | .581 | 리그 1위 | JS 우승 |
1987 | 130 | 71 | 45 | 14 | .612 | 리그 1위 | JS 우승 | |
1988 | 130 | 73 | 51 | 6 | .589 | 리그 1위 | JS 우승 | |
1989 | 130 | 69 | 53 | 8 | .566 | 리그 3위 | - | |
1990 | 130 | 81 | 45 | 4 | .643 | 리그 1위 | JS 우승 | |
1991 | 130 | 81 | 43 | 6 | .653 | 리그 1위 | JS 우승 | |
1992 | 130 | 80 | 47 | 3 | .630 | 리그 1위 | JS 우승 | |
1993 | 130 | 74 | 53 | 3 | .583 | 리그 1위 | JS 패배 | |
1994 | 130 | 76 | 52 | 2 | .594 | 리그 1위 | JS 패배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승률 | 정규시즌 | 포스트시즌 |
2001 | 요코하마 | 130 | 69 | 67 | 4 | .507 | 리그 3위 | - |
2002 | 140 | 49 | 86 | 5 | .363 | 리그 6위 | - | |
총계 | 1436 | 785 | 583 | 68 | .574 | JS 6승2패 |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50><tablebordercolor=#143d69><tablebgcolor=#143d69>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감독 |
{{{#!wiki style="margin: 0 -10px" {{{#00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555,#aaaaaa |
<rowcolor=#fff> 초대 | 2대 | 3대 | 4대 |
5대
|
미야자키 카나메 (1950) |
미하라 오사무 (1951~1959) ★ ★ ★ ★ |
카와사키 토쿠지 (1960~1961) |
나카니시 후토시 (1962~1969) ★ |
이나오 카즈히사 (1970~1974) |
|
<rowcolor=#fff> 6대 |
7대
|
8대
|
9대 | 10대 | |
에토 신이치 (1975) |
키토 마사이치 (1976~1977) |
네모토 리쿠오 (1978~1981) |
히로오카 타츠로 (1982~1985) ★ ★ ★ |
모리 마사아키 (1986~1994) ★ ★ ★ ★ ★ ★ ★ ★ |
|
<rowcolor=#fff> 11대 | 12대 | 13대 |
14대
|
15대 | |
히가시오 오사무 (1995~2001) ★ ★ |
이하라 하루키 (2002~2003) ★ |
이토 츠토무 (2004~2007) ★ |
와타나베 히사노부 (2008~2013) ★ |
이하라 하루키 (2014) |
|
<rowcolor=#fff> 16대 | 17대 | 18대 | 19대 | 20대 | |
타나베 노리오 (2014~2016) |
츠지 하츠히코 (2017~2022) ★ ★ |
마츠이 카즈오 (2023~2024) |
니시구치 후미야 (2025~) |
||
★: 일본시리즈 우승 / ★: 퍼시픽리그 우승 1951년부터 1952년까진 명목상으론 미야자키 카나메가 감독, 미하라 오사무가 총감독을 맡는 체제였으나 실질적으로는 미하라가 단독으로 팀을 지휘했다.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fff><tablebgcolor=#ffffff> |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감독 |
{{{#!wiki style="margin: 0 -10px" {{{#00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555,#aaaaaa |
1949년 ~ 현재
|
||||
초대 와타나베 타이리쿠 (1950) |
2대 나카지마 하루야스 (1951) |
3대 아리마 기이치 (1951) |
4대 코니시 도쿠로 (1952~1953) |
5대 나가사와 타케오 (1954) |
|
6대 후지이 이사무 (1955) |
7대 사코하타 마사미 (1956~1958) |
8대 모리 시게오 (1959) |
9대 미하라 오사무 (1960~1967) ★ |
10대 벳토 카오루 (1968~1972) |
|
11대 아오타 노보루 (1973) |
12대 미야자키 타케시 (1974) |
13대 아키야마 노보루 (1975~1976) |
14대 벳토 카오루 (1977~1979) |
15대 도이 키요시 (1980~1981) |
|
16대 세키네 쥰조 (1982~1984) |
17대 콘도 사다오 (1985~1986) |
18대 코바 타케시 (1987~1989) |
19대 스도 유타카 (1990~1992) |
20대 에지리 아키라 (1992) |
|
21대 콘도 아키히토 (1993~1995) |
22대 오오야 아키히코 (1996~1997) |
23대 곤도 히로시 (1998~2000) ★ |
24대 모리 마사아키 (2001~2002) |
25대 야마시타 다이스케 (2003~2004) |
|
26대 우시지마 카즈히코 (2005~2006) |
27대 오오야 아키히코 (2007~2009) |
28대 오바나 타카오 (2010~2011) |
29대 나카하타 키요시 (2012~2015) |
30대 알렉스 라미레스 (2016~2020) ☆ |
|
31대 미우라 다이스케 (2021~) ★ |
|||||
★: 일본시리즈 우승 / ★: 센트럴리그 우승 / ☆: 일본시리즈 진출(리그 2~3위) |
[1]
출생지는
오사카이다.
[2]
아이치현의 야구명문교로
고시엔에 많이 출전하고 있으며 프로야구선수들을 꾸준히 배출하고 있다.
[3]
당시 팀의 연습구장 및 기숙사는 타마가와에 있었으며
가나가와현
가와사키시에
요미우리 자이언츠 구장을 신축하면서 이전했다. 2024년 현재는
코라쿠엔역에서
도큐 메구로선에 직통하는
도쿄메트로 난보쿠선을 타고 타마가와로 바로 갈 수 있지만 당시에는 난보쿠선 개통 이전이었다.
[4]
<불패의 감독학>이라는 책에서는 모리 때문에 날린 요미우리가 영입한 포수들 계약금과 연봉이 못해도 10억엔은 넘을 것이라는 말도 있다. 모리에게 밀린 포수는 24명, 그들의 계약금을 합하면 5억엔이라고 한다.
[5]
이 때의 에피소드로 노무라의 집에 다녀올 때마다 노무라의 옷을 꼭 한 두 벌씩 들고 왔다고 한다. 이 둘은 1992, 1993년 세이부와 야쿠르트의 감독으로서 일본시리즈에서 대결한다. 전적은 1승 1패로 동률.(세이부는 '92년, 야쿠르트는 '93년 우승)
[6]
니시모토 유키오 감독이 이끄는
한큐 브레이브스와의 매치업이었으며 4승 2패로 교진이 승리하면서 3연패를 달성했다.
[7]
1963년 정규시즌에서 나가시마는 타율(.341), 타점(112), 최다안타(163) 등 3개 부문 1위였으며, 오 사다하루는 홈런(40), 득점(111) 등 2개 부문 1위였다. 같은 해 퍼시픽리그에서는
노무라 카츠야가 52홈런, 135타점, 104득점을 기록하여 이 부문 1위에 올랐다.
[8]
팀은 1963년 일본시리즈에서
니시테츠 라이온즈와 7차전까지 가는 접전끝에 우승을 차지했다. 7차전은 요미우리의 18-4 대승.
[9]
V9 시절 모든 일본시리즈를 출장한 선수는 오 사다하루와 모리 마사아키 둘 뿐이다.
[10]
이 해
요나미네 카나메가 감독으로 있던
주니치 드래곤즈에게 센트럴 리그 우승을 허용하며 요미우리는 일본 시리즈 진출 자체에 실패했다. 일본시리즈 우승의 영광은
롯데 오리온스가 차지했다.
[11]
은퇴시합도 같은 날에 치렀는데 본인은 8번타자 포수로 선발출장했다. 은퇴시합당시 타순은 시바타 이사오(중견수)-다카다 시게루(좌익수)-왕전즈(1루수)-나가시마 시게오(3루수)-쓰에츠구 도씨미쓰(우익수)-쿠로에 노부유키(유격수)-도이 쇼조(2루수)-모리 마사아키(포수)-다카하시 요시마사(투수).
[12]
세이부에서 선수 생활 말년을 보낸
에나츠 유타카의 회고에 따르면 어느 날 밤 원정 숙소에서 점호를 마친 뒤 모리가 자신의 방을 찾아와서는 한숨을 쉬며 "나도 이러고 싶어서 이러는 것은 아닐세. 다
감독 방침이니 어쩔 수 없이 따르는 것일 뿐"이라고 그가 안고 있던 맘고생을 털어 놓았다고 한다. 그리고 세이부 감독에 취임한 뒤 선수단에 외박이라던가 육식 등 히로오카 시절 금지되었던 행동을 허용하고, 경기력이 저하되지 않는 선에서 선수들의 개인적 취미 활동도 허락하는 등 자신의 소신대로 선수단을 통솔했다. 결국 모리는 일본 시리즈 3연패와 퍼시픽 리그 5연패라는
넘사벽급 성적을 거두며 자신을 비판하는 여론을 잠재우는데 성공했다.
[13]
1989년은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가 우승.
[14]
타 팀의 코칭 스태프를 역임한 뒤 요미우리 감독에 취임한 사례는 1975년~1976년 시즌
다이요 훼일즈 투수코치를 역임한, 모리와는 선수 시절 팀동료이자 감독으로서 일본시리즈에서 대결하기도 했던
후지타 모토시가 유일하다.
[15]
허구연은 이 장면을 보면서, (본능적으로) 1차전은 한국팀이 이기기 힘들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한다.
[16]
LG와 해태의 경기 도중, 장내 아나운서가 모리 감독을 소개하는 시간도 있었는데, 관중들의 박수갈채를 받기도 했다.
[17]
그러나 지도자로서의 능력으로 보면 김정준은 지나친
포수 리드 중시론으로 비판받으며 전력분석 담당 시절과 다르게
한화 이글스 시절 지도자경력에 큰 오점을 남겼다.
[18]
보통 2루나 3루에서 멈추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