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광역시 제21대 국회의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중·남 | 동 갑 | 동 을 | 서 |
임병헌 | 류성걸 | 강대식 | 김상훈 | |
북 갑 | 북 을 | 수성 갑 | 수성 을 | |
양금희 | 김승수 | 주호영 | 이인선 | |
달서 갑 | 달서 을 | 달서 병 | 달성 | |
홍석준 | 윤재옥 | 김용판 | 추경호 | |
* 중·남
곽상도 사퇴 (2021.11.11.) * 수성 을 홍준표 사퇴 (2022.4.29.) |
||||
◀
제20대
제22대 ▶
|
}}}}}}}}} |
대한민국의 폐지된
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580009><tablebgcolor=#580009> |
동구 을
東區 乙 Dong B |
}}} | |||
<nopad> | ||||||
<colbgcolor=#580009><colcolor=#fff> 선거인 수 | 204,881명 (2020) | |||||
상위 행정구역 | 대구광역시 | |||||
관할 구역 |
|
|||||
신설년도 | 2004년 | |||||
이전 선거구 | 동구 | |||||
폐지년도 | 2024년 | |||||
이후 선거구 | 동구·군위군 을 | |||||
국회의원 |
|
강대식 |
[clearfix]
1. 개요
지저동과 동촌동을 제외한 금호강 동부 지역으로 구성된 선거구로 팔공산 일대 공산동, 불로봉무동과 안심이 이 선거구 내에 있으며, 대구의 육로 관문[1]이기도 하다. 전국적으로 지역구를 줄였던 16대 총선 때 동구 단일 선거구였던 적을 제외하면 14대 총선부터 갑/을 선거구로 나뉘어 운영해오고 있다. 현 국회의원은 전직 동구청장 출신인 국민의힘 소속의 강대식이다.이 지역구 출신인 대표적인 거물로는 박준규 전 국회의장[2], 노태우 전 대통령의 아들인 노재헌, 이강철 전 청와대 시민사회 수석비서관, 강석호 의원의 친척인 배우 강신성일, 유승민 전 새누리당 원내대표가 있다.[3]
특히 조경태의 사하구 을과 비슷하게 유승민의 입지가 매우 강한 곳으로, 지역구 내에서는 유승민의 지역구 국회의원 역임 전과 후가 달라졌다고 평가하고 있다. 동구 모 토박이 말로는 '유승민이란 사람이 국회의원이 되더니 의정활동 보고서' 라는걸 처음으로 구경했다는 말도 나왔을 정도. 실제로 대구신서혁신도시, 대구경북첨단의료복합단지, 율하지구, 이시아폴리스,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등 지역구 사업들 중 상당수가 유승민의 공약이었고, 상당수가 성공했다.
유승민의 국정감사, 지역구 관리 등에서 보여준 긍정적인 모습으로 인해 유승민이 국회의원에서 퇴임한 이후 이 지역구 전역에 " 유승민 국회의원님 수고하셨습니다."라는 현수막이 걸린 곳이다. 19대 대선에서도 유승민의 득표율이 18%에 육박했다.[4]
이 지역구는 대구신서혁신도시, 율하지구, 이시아폴리스와 같은 신도시가 있어 3040대 외지인의 비율이 높은 지역이다. 그렇기 때문에 더불어민주당의 지지도가 이승천이 30% 정도를 얻을 만큼 대구 내 다른 지역에 비해 높다. 그렇지만 유승민의 강력한 입지로 인해 신도시 위주의 선거구임에도 불구하고 보수세가 강하다.
또한 다른 대구 내 지역구와 비교되는 특성으로 대구 공군기지로 인해 중구·남구와 같이 군 기지 문제에 매우 민감한 점[5]과 대구에서 달성군과 같이 드물게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달성군을 제외하면 대구 내에서 몇 없는 농촌 지역이 있다.
2. 역대 국회의원 목록 및 역대 선거 결과
<rowcolor=#fff> 총선 | 당선인 | 당적 | 임기 | 선거구 |
제13대 | 박준규 |
|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 동구 |
제14대 |
[[민주자유당| |
1992년 5월 30일 ~ 1993년 6월 30일 | 동구 을 | |
서훈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993년 8월 13일 ~ 1996년 5월 29일 | ||
제15대 |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 |||
제16대 | 강신성일 |
|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 동구 |
제17대 |
|
|
2004년 5월 30일 ~ 2005년 9월 15일 | 동구 을 |
유승민 | 2005년 10월 27일 ~ 2008년 5월 29일 | |||
제18대 |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 |||
제19대 |
[[새누리당| |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 ||
제20대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 ||
제21대 | 강대식 |
[[미래통합당| |
2020년 5월 30일 ~ |
2.1. 동구 (13대)
2.1.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동구 대구 동구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박준규(朴浚圭) | 85,854 | 1위 |
|
54.92% | 당선 | |
2 | 목요상(睦堯相) | 46,725 | 2위 |
[[통일민주당| |
29.89% | 낙선 | |
3 | 안병달(安柄達) | 2,163 | 5위 |
[[평화민주당| |
1.38% | 낙선 | |
4 | 최규태(崔圭泰) | 16,230 | 3위 |
[[신민주공화당| |
10.38% | 낙선 | |
5 | 권영식(權寧植) | 5,350 | 4위 |
[[한겨레민주당| |
3.42%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04,483 |
투표율 77.08% |
투표 수 | 157,607 | ||
무효표 수 | 1,285 |
2.2. 동구 을 (14~15대)
2.2.1.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동구 을 평광동, 불로동, 봉무동, 도동, 지저동, 입석동, 검사동, 방촌동, 둔산동, 부동, 신평동, 안심1동, 안심2동, 안심3동, 안심4동, 공산1동, 공산2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박준규(朴浚圭) | 35,083 | 1위 |
[[민주자유당| |
50.07% | 당선 | |
2 | 도영화(都永和) | 5,139 | 3위 |
|
7.33% | 낙선 | |
3 | 서훈(徐勳) | 29,843 | 2위 |
[[통일국민당| |
42.59%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04,451 |
투표율 67.93% |
투표 수 | 70,954 | ||
무효표 수 | 889 |
2.2.2. 1993년 재보궐선거
동구 을 평광동, 불로동, 봉무동, 도동, 지저동, 입석동, 검사동, 방촌동, 둔산동, 부동, 신평동, 안심1동, 안심2동, 안심3동, 안심4동, 공산1동, 공산2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노동일(盧東一) | 24,929 | 2위 |
[[민주자유당| |
27.40% | 낙선 | |
2 | 안택수(安澤秀) | 5,396 | 4위 |
|
8.10% | 낙선 | |
3 | 김용하(金龍河) | 6,175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9.50% | 낙선 | |
4 | 서훈(徐勳) | 28,729 | 1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45.40%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66,910 |
투표율 60.2% |
투표 수 | 55,954 | ||
무효표 수 | 1,054 |
2.2.3.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동구 을 평광동, 불로봉무동, 도동, 지저동, 입석동, 검사동, 방촌동, 둔산부동, 신평동, 안심1동, 안심2동, 안심3동, 안심4동, 공산1동, 공산2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배석기(裵錫起) | 9,172 | 4위 |
[[신한국당| |
13.40% | 낙선 | |
2 | 이동학(李東學) | 2,283 | 6위 |
[[새정치국민회의| |
3.33% | 낙선 | |
3 | 류중근(柳仲根) | 2,108 | 7위 |
|
3.08% | 당선 | |
4 | 윤상웅(尹相雄) | 19,925 | 2위 |
[[자유민주연합| |
29.12% | 낙선 | |
5 | 홍대식(洪大植) | 10,614 | 3위 |
|
15.51% | 낙선 | |
6 | 서훈(徐勳) | 20,715 | 1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30.27% | 당선 | |
7 | 최상천(崔相天) | 3,600 | 5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5.26%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22,741 |
투표율 56.75% |
투표 수 | 69,657 | ||
무효표 수 | 1,240 |
2.3. 동구 (16대)
2.3.1.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동구 대구 동구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강신성일(姜申星一) | 88,258 | 1위 |
|
67.18% | 당선 | |
2 | 안원욱(安垣旭) | 10,365 | 2위 |
[[새천년민주당| |
11.67% | 낙선 | |
3 | 배석기(裵錫起) | 5,268 | 5위 |
[[자유민주연합| |
4.01% | 낙선 | |
4 | 서훈(徐勳) | 10,267 | 3위 |
[[민주국민당(2000년)| |
7.81% | 낙선 | |
5 | 서재열(徐在烈) | 2,098 | 7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59% | 낙선 | |
6 | 오기환(吳基煥) | 10,133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7.71% | 낙선 | |
7 | 최종탁(崔宗鐸) | 4,974 | 6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3.78%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46,651 |
투표율 53.84% |
투표 수 | 132,801 | ||
무효표 수 | 1,438 |
2.4. 동구 을 (17대~21대)
2.4.1.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동구 을 도평동, 불로봉무동, 지저동, 동촌동, 방촌동, 해안동, 안심1동, 안심2동, 안심3·4동, 공산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박창달(朴昌達) | 45,245 | 1위 |
|
55.09% | 당선[6] | |
2 | 정두병(鄭斗炳) | 676 | 5위 |
[[새천년민주당| |
0.82% | 낙선 | |
3 | 김정호(金正鎬) | 17,473 | 2위 |
[[열린우리당| |
21.27% | 낙선 | |
4 | 이명숙(李明淑) | 638 | 6위 |
[[자유민주연합| |
0.78% | 낙선 | |
5 | 김종기(金鍾基) | 881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07% | 낙선 | |
6 | 임대윤(林大潤) | 17,209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0.96%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41,940 |
투표율 58.56% |
투표 수 | 83,122 | ||
무효표 수 | 1,000 |
2.4.2. 2005년 하반기 재선거
동구 을 도평동, 불로봉무동, 지저동, 동촌동, 방촌동, 해안동, 안심1동, 안심2동, 안심3·4동, 공산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강철(李康哲) | 30,789 | 2위 |
[[열린우리당| |
44.06% | 낙선 | |
2 | 유승민(劉承旼) | 36,316 | 1위 |
|
51.95% | 당선 | |
4 | 최근돈 | 1,380 | 3위 |
[[민주노동당| |
1.97% | 낙선 | |
5 | 이명숙(李明淑) | 324 | 5위 |
[[자유민주연합| |
0.46% | 낙선 | |
6 | 조기현(曺琪鉉) | 1,091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56%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49,794 |
투표율 46.89% |
투표 수 | 70,232 | ||
무효표 수 | 332 |
2.4.3.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동구 을 도평동, 불로봉무동, 지저동, 동촌동, 방촌동, 해안동, 안심1동, 안심2동, 안심3·4동, 공산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2 | 유승민(劉承旼) | 55,394 | 1위 |
|
84.43% | 당선 | |
3 | 정동희(鄭東熙) | 7,835 | 2위 |
[[자유선진당| |
11.94% | 낙선 | |
6 | 배병철(裵柄喆) | 2,377 | 3위 |
[[평화통일가정당| |
3.62%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49,326 |
투표율 44.95% |
투표 수 | 67,116 | ||
무효표 수 | 801 |
2.4.4.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동구 을 도평동, 불로봉무동, 지저동, 동촌동, 방촌동, 해안동, 안심1동, 안심2동, 안심3·4동, 공산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유승민(劉承旼) | 57,556 | 1위 |
[[새누리당| |
67.40% | 당선 | |
2 | 이승천(李承天) | 14,722 | 2위 |
[[민주통합당| |
17.24% | 낙선 | |
6 | 김종기(金鍾基) | 2,046 | 4위 |
|
2.00% | 낙선 | |
7 | 박명호(朴明鎬) | 473 | 6위 |
[[국민행복당(2011년)|]] |
0.55% | 낙선 | |
8 | 최종탁(崔宗鐸) | 9,131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0.69% | 낙선 | |
9 | 구형근(具亨根) | 1,459 | 5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70%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63,152 |
투표율 55.82% |
투표 수 | 91,074 | ||
무효표 수 | 848 |
2.4.5.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동구 을 도평동, 불로봉무동, 방촌동, 해안동, 안심1동, 안심2동, 안심3·4동, 공산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2 | 이승천(李承天) | 19,675 | 2위 |
|
24.25% | 낙선 | |
5 | 유승민(劉承旼) | 61,429 | 1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75.74%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159,280 |
투표율 54.20% |
투표 수 | 86,311 | ||
무효표 수 | 5,207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 |
이 당시 선거 과정 역시 상술한 선거구 획정 만큼이나 순탄치만은 않았는데, 당시, 현역 의원이었던 유승민은 박근혜 당시 대통령과 친박 계열의 미움을 받아서 선거 전 해에 새누리당 원내대표직에서 물러날 뿐만 아니라[10], 친박에서는 눈엣가시처럼 여겼던 터라 결국, 선거 한 달 전인 2016년 3월 23일에 탈당해 무소속으로 출마하였다. 이 때 유승민과 가까운 김희국, 류성걸, 권은희, 조해진이 컷오프당했다.[11] 물론 김상훈, 이혜훈, 유의동 등은 당내 경선에서 이긴 탓에 새누리당 공천을 받았다.
새누리당은 다음날, 해당 선거구에 친박으로 분류되는 이재만 전 동구청장[12]을 단수 공천했지만[13], 하필 그 날부터 김무성 대표의 옥새런이 벌어지면서, 그 동안 자잘하게 터지던 당 내 갈등이 이 때부터 대규모로 터지고야 만 것이다. 어찌되었든 그 결과로 대구 동구 을을 비롯해 서울 송파구 을과 은평구 을을 무공천함으로서 후보조차 내지 않았다. 하루 만에 입장이 바뀐 이재만이 당사에서 최고위원들을 만나려고 시도했으나 진입을 거부당하고 문고리 잡고 절망적인 모습을 보인 사진이 결정적인 증거.
결국, 유승민이 혼자 출마를 정하면서 무투표 당선이 되는 것처럼 보였지만, 최종 후보 마감 직전에 더불어민주당이 이전에 유승민과 대결했던 이승천을 가까스로 등록함으로서 양자 구도로 가게 되었다. 이렇게 되면, 왜 이재만은 무소속으로 가지 않느냐?라고 할 텐데, 사실 유승민이 탈당하고 무소속 등록을 한 시점인 23일을 기해 예비후보들의 당적변경시한이 끝나서 무소속 출마도 불가능하다는 것.
아무튼 지역이 지역[14]인 만큼, 유승민은 75%가 넘는 압도적인 지지를 받고 당선되었지만, 상술하다시피 박근혜와 친박의 눈엣가시인 탓에 복당까지는 두 달 정도 걸렸다.
여담으로, 이 선거 이후에 유승민에게는 국민 장인이라는 별명도 얻게 되었는데, 무소속 출마 선언 이후 선거 발대식에 딸 유담과 참여하면서 당시 언론에서 '여신의 얼굴' 등의 보도를 하면서 그 덕에 아버지를 호감 정치인에 인지도 1위를 달리게 한 1등 공신이라는 말까지 나오게 되었으며(자세한 건 유담 문서 참조.), 유승민을 대신해 지역구 국회의원으로 들어서려고 했지만, 끝끝내 실패했던 이재만은 2년 뒤 지방선거에 대구광역시장 후보로 나서려다가 권영진에게 밀렸는데, 이 과정에서 선거법 위반으로 인해 처벌을 받았다.
문제는 이 과정에서 대구광역시의회의 동구 지역 일부 시의원들, 동구의회의 일부 구의원들도 개입되어 의원직 상실형을 받은 바람에 2020년 재보궐선거에서 해당 지역의 주민들은 무려 4표(지역구 국회의원, 비례대표 국회의원, 지역구 시의원, 지역구 구의원)나 행사했는데, 공교롭게도 해당 지역들이 모두 유승민의 지역구였다. 물론 당시 유승민은 아래 문서처럼 불출마를 선언했고, 그 자리는 유승민의 최측근인 강대식이 당선되었다.
한편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출마했던 이승천은 유승민을 비토하는 진박을 의식했는지[15](...) 선거벽보에 진실한 사람을 내세우기도 했다.
2.4.6.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동구 을 도평동, 불로봉무동, 방촌동, 해안동, 안심1동, 안심2동, 안심3·4동, 공산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승천(李承天) | 33,644 | 2위 |
|
30.54% | 낙선 | |
2 | 강대식(姜大植) | 66,461 | 1위 |
[[미래통합당| |
60.33% | 당선 | |
3 | 남원환(南元煥) | 613 | 7위 |
|
0.55% | 낙선 | |
7 | 송영우(宋映雨) | 1,090 | 5위 |
[[민중당(2017년)| |
0.98% | 낙선 | |
8 | 이명부(李明賦) | 765 | 6위 |
[[국가혁명배당금당| |
0.69% | 낙선 | |
9 | 윤창중(尹昶重) | 2,616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37% | 낙선 | |
10 | 송영선(宋永仙) | 4,965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4.50%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72,158 |
투표율 65.08% |
투표 수 | 112,039 | ||
무효표 수 | 1,885 |
||<-10><tablealign=center><bgcolor=#ef426f><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ef426f> 21대 총선 대구 동구 을 개표 결과 ||
<colbgcolor=#eee,#353535> 정당 | 더불어민주당 | 미래통합당 |
격차 (1위/2위) |
투표율 (선거인/표수) |
후보 | 이승천 | 강대식 | ||
득표수 (득표율) |
33,644 (30.54%) |
66,461 (60.33%) |
-32,817 (▼29.79) |
112,039 (65.07%) |
도평동[16] | 23.99% | 67.76% | ▼43.77 | 66.08 |
불로봉무동[17] | 28.18% | 63.10% | ▼34.93 | 63.29 |
방촌동 | 22.81% | 66.83% | ▼44.02 | 67.40 |
해안동[18] | 23.84% | 65.33% | ▼41.49 | 61.21 |
안심1동[19] | 30.95% | 59.95% | ▼29.01 | 60.99 |
안심2동[20] | 25.17% | 65.93% | ▼40.76 | 62.93 |
안심3·4동[21] | 35.63% | 55.57% | ▼19.94 | 62.27 |
공산동 | 21.94% | 68.55% | ▼46.61 | 63.99 |
후보 | 이승천 | 강대식 |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28.82% | 52.94% | ▼24.12 | |
관외사전투표 | 41.04% | 51.01% | ▼9.97 | |
재외투표 | 55.66% | 40.56% | △15.09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
}}}}}}}}} |
하지만 2월 8일 유승민 의원이 출마하지 않는 대신, 친유인 강대식 전 동구청장이 출마하겠다고 선언하였다. 그래서 경선에 참여했는데, 1차 경선에서 도태우 변호사가 떨어지고, 2차 경선에서 강대식 전직 동구청장이 57.3%의 지지율을 얻어서 김재수 전 농림축산식품부장관과 김영희 전 육군 중령을 꺾으며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 진출하게 되었다. 그렇게 돼서 윤창중을 비롯한 친박 후보들이 유승민을 낙선시키자면서 출사표를 던진 명분이 무력화되었다.
3월 19일 미래통합당 강대식 예비후보가 경선에서 승리하여 공천되었다. 이로서 유승민의 빈 자리에 다시 친유계 인물이 도전하게 되었다.[23] 사실상 이승천 후보와 강대식 후보의 맞대결이나 다름없게 되었고, 결과는 강대식 후보가 더블 스코어 차이로 이겼다. 이로써 유승민의 공백은 친유계 정치인이 채우게 되었다.
윤창중의 경우에는 선거 운동 중에 강대식을 " 유승민의 아바타에 불과하다."라고 언급하면서 선거운동을 했으나, 단 2%대의 초라한 지지율로 4위를 기록하면서 쓸쓸히 낙선했다. 처음에는 친박 지지자들의 지지를 받는 듯 했으나 친박 지지자들이 미래통합당으로 결집되었고, 동구 을 자체가 친박 세가 상대적으로 약한 곳인지라 주목도 받지 못하였다. 즉 친박에게도 버림받은 것.
애초에 율하지구 개발, 대구신서혁신도시, 율하테크노밸리, 안심뉴타운, 이시아폴리스, 1호선 하양 연장, 코스트코 대구 혁신도시점 유치,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등 지역 발전과 대구 공군기지 소음 문제 해결과 대구국제공항[24],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현안[25] 등 지역 과제에 대해서 유승민이 해결을 잘한 점과 율하지구, 대구신서혁신도시, 안심뉴타운, 이시아폴리스같은 택지지구에 젊은 인구의 유입 등으로 유승민의 지지율이 높은 상황이었다.
미래통합당 후보인 강대식 전 동구청장이 군 복무를 제외하면 대부분 동구에서 거주했는데다 기반이 있었다는 점, 윤창중이 다른 후보들과 달리 대경권 지역, 인근 창녕군, 합천군, 밀양시와 같은 경남 서북부 출신이 아니라는 점[26][27] 청와대 대변인 성추문 의혹사건으로 지역 주민들에게 부정적인 이미지가 박혀 있다는 점 등 윤창중에게는 매우 불리한 상황이었다. 아무런 공약도 없이 "오직 유승민만 떨어뜨리자"라는 생각으로 왔으니, 이길 수 없는 게임이었다.
[1]
동대구IC가 바로 여기에 있기 때문이다. 다만 육로대중교통의 관문은 바로
동대구복합환승센터와
동대구역이 있는 옆 동네인
동구 갑이다.
[2]
동구 단일 선거구 시절 13대 국회의원, 갑·을 분구 후 14대 국회의원을 지내다 재산공개 파동으로 사퇴했다. 신기하게도
유수호,
유승민 부자와 선거구가 겹친다. 비슷한 케이스가
이강철 전 청와대 시민사회수석비서관이다. 단
박준규 전 의장은 이들 부자와 경쟁하지는 않았다.
[3]
단
노재헌과
이강철은 국회의원은 되지 못했다.
[4]
홍준표가
유승민의 불출마 선언 이후에 이 지역구 출마를 포기한 이유도
유승민의 강력한 입지 때문이었다.
[5]
역시 선거구 관내에 2개 군부대가 있는
수성구 갑의 경우 군부대로 인한 소음 피해가 적고 시가지와 이격되어 있어 이들 선거구에 비해 민감하지 않다.
[6]
2005.9.15 선거법 위반으로 의원직 상실
[7]
이강철 후보는 기호 1번
열린우리당 소속 후보였는데, 선거 벽보(포스터)는 열린우리당의 상징색인
노란색이 아닌 아예 한나라당의 상징색인
파란색으로 꾸몄고, 열린우리당 마크도 우측 하단에 깨알같이 표기했다. 아무래도
민주당계 정당이 힘 쓰기가 힘든 지역이다 보니 의도적으로 벽보를 저렇게 만들었을 것이다. 후일담으로, 선거사무소의 간판에도 열린우리당의 로고가 달려 있지 않았는데 정작 후보는 인터뷰 하면서 기자에게 이 사실을 처음 전해듣고 남자답지 못하다며 간판 교체를 지시했다는 일화가 있다. 2005년 이전엔
1990년 4·3 재보궐선거에서
서구 갑에 출마한
꼬마민주당
백승홍 후보의 42.5%가 최대 득표율이었고, 이 기록은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수성구 갑에 출마한
김부겸이 62.3%의 득표율로 당선되면서 경신한다.
[8]
신암동,
신천동,
효목동과 동촌권은 다른 생활권이다.
[9]
당장
21대 총선 선거인명부 인구를 봐도 동구 갑은 하한선 밑으로 떨어져서 재조정이 불가피하다. 다만 현재 동구 갑 일대에 대대적인 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어서 어떻게 될 진 모른다.
[10]
그것도 원내대표에 당선된 지 5개월 만에 벌어진 일이었다. 자세한 건
유승민/정치 경력의 5번 항목 참조.
[11]
여기서
김희국 외에는 무소속 출마를 했으나 각각
친박 출신인
정종섭,
정태옥,
엄용수에게 밀려 낙선되었고,
권은희를 제외하면,
21대 총선에 출마해서 다시 원내로 복귀하였다.
[12]
조원진이
유승민을 배신자라고 모함하면서,
이재만을 지원했다. 그 때 한 말이 "내가 간 곳에는
진실한 사람만이 있다." 즉
진박 마케팅이었다.
[13]
이게 4년 후
21대 총선에서
친이,
친유인
정병국이
황교안과
친박에 의해 컷오프되고,
친박,
친황인
김선교가 공천받은 케이스와 매우 유사하다. 다만
정병국은 불출마를 선언했다는 점에서 다르다.
[14]
당시
유승민에 대한 동정표도 있었고, 보수 지지자들 중
친박이라도 민주당을 지지할 수 없어서 지지한 경우도 있다. 물론
유승민의 지역구 기반이 매우 탄탄하다는 것으로 인해 높은 득표율을 보인 것이다. 게다가
20대 총선이 진행되던 기간에 동구 을 선거구에
대구신서혁신도시,
대구경북첨단의료복합단지,
율하지구,
이시아폴리스 등 신도시 개발이 한창이었을 시기였다. 즉
유승민이 내세운 공약과 지역사업이 진행 중이었던 시기이다.
[15]
18대 총선 당시 친박계에서 친이계에 복수하기 위해 한나라당 후보가 아닌 진보계열 정당 후보를 밀어주는 초강수를 보인 사례들이 있었고, 실제로
문국현과
강기갑이 예상을 뒤엎고 당선되는데 성공했으며 심지어 강기갑은 경남 사천이라는 보수 텃밭에서 당선되었다.
[16]
법정동 도동 + 평광동 · 검사동(일부).
대구 공군기지가 있는 동네.
[17]
법정동 불로동 + 봉무동.
이시아폴리스가 있는 동네.
[18]
법정동 방촌동(일부) · 신평동 · 부동 · 둔산동.
대구 공군기지가 있는 동네.
[19]
법정동 율하동 · 신기동.
[20]
법정동 용계동 · 율암동 · 상매동 · 매여동.
[21]
법정동 서호동 · 동호동 · 각산동 · 신서동 · 금강동 · 괴전동 · 대림동 · 사복동 · 숙천동 · 동내동 · 내곡동.
대구혁신도시가 있는 동네.
[22]
이후
자유공화당 합류
[23]
여기에
동구 갑 역시
친유인
류성걸이 경선에서 승리하며, 동구 전체는
친유 정치인들이 선거에 나서게 되었다.
[24]
대구국제공항의 소재지인
지저동은 원래 관할 선거구가 동구 을이었지만, 20대 총선부터
동구 갑으로 바뀌었다.
[25]
이걸 해결하기 위해
유승민은 비인기 상임위인
국방위원회에 재임했다.
[26]
홍준표가 경남 출신임에도
수성구 을에 도전할 수 있는 이유가 대구와 붙은
창녕군 출신인데다
영남중학교,
영남고등학교 출신이기 때문이다.
[27]
나중에 도전한
송영선은 그래도 이 지역구의
안심지구와 같은 생활권인
경산시
와촌면 출신이고
경북여자고등학교,
경북대학교를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