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5 13:24:15

매일신문

대구매일신문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대한제국 시대에 이승만이 창간한 동명의 신문에 대한 내용은 매일신문(1898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동명의 일본 신문에 대한 내용은 마이니치 신문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이름이 비슷한 경제지에 대한 내용은 매일경제신문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한국지방신문협회 회원사
강원일보 경남신문 경인일보 광주일보 대전일보
매일신문 부산일보 전북일보 제주일보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의 지역 언론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colcolor=#373a3c><colbgcolor=#008837> 신문 파일:매일신문 로고.svg 파일:영남일보 로고.svg 파일:대구일보 로고.png 파일:대구신문 로고.svg
지상파
방송
파일:KBS대구 로고.svg 파일:대구MBC 로고.svg 파일:TBC 로고.svg
종교
방송
파일:대구CBS 로고.svg 파일:대구BBS.png 파일:대구cpbc.png 파일:대구극동방송 로고.svg 파일:원음방송 BI.svg
기타
방송사
파일:TBN 대구교통방송 로고(2024).png 파일:대구국악방송 로고.svg 파일:CMB 대구방송 로고.png 파일:푸른방송 로고.svg 파일:external/scnfm.or.kr/logo.gif
인터넷
언론
파일:2022logo.png
}}}}}}}}} ||

파일:매일신문 제호.svg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파일:매일신문 아이콘.png 주식회사 매일신문사
株式會社 每日新聞社
The Maeil Shinmun
}}} ||
<colbgcolor=#d80a3a><colcolor=#fff> 국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설립 1946년 3월 1일
창간
본사 소재지 대구광역시 중구 서성로 20 ( 계산동2가)[1]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수호로 63 (갈전리)[A]
서울지사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24 ( 태평로1가)
대표자 대표이사 사장 · 발행 · 인쇄인 이동관
편집 이재협
업종명 신문발행업
상장여부 비상장기업
기업규모 중소기업
모기업 코리아와이드
주요주주 코리아와이드 선산: 49.67%
아스톤에셋[3]: 49.67%
(2022년 12월 31일 기준)
임직원 226명 (2022년 기준)
매출액 291억 838만 5,245원 (2022년 연간)
영업이익 -4억 7,288만 9,176원 (2022년 연간)
순이익 -8억 3,319만 4,656원 (2022년 연간)
사이트 <colbgcolor=#d80a3a><colcolor=#fff> 파일:매일신문 아이콘.png
SNS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유튜브 링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구독자 25만명[B]
조회수 85,810,850회[B]
가입일 2011년 10월 28일

1. 개요2. 논조3. 연혁4. 역대 임원
4.1. 명예회장4.2. 회장4.3. 사장4.4. 부사장4.5. 편집이사
5. 역대 주요 간부
5.1. 주간5.2. 주필5.3. 논설고문5.4. 논설주간5.5. 논설위원실장5.6. 수석논설위원5.7. 특임논설위원5.8. 편집책임자
6. 유튜브 채널
6.1. TV 매일신문6.2. 매일신문 프레스18
7. 여담8. 비판 및 논란9. 관련 문서10.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매일신문1.png
달리는 신문
— 매일신문 1994년 슬로건
대한민국이 Pick한 뉴스
— 매일신문 슬로건

대한민국의 조간 신문. 본래는 석간이었다가, 2015년부터 조간으로 전환하였다.

대구광역시 경상북도를 중심으로 취재 활동을 하는 지역 언론사 중 한 곳으로, 대구·경북 최대의 지역 일간지다. 지역 신문이기 때문에 ‘대구매일신문’ 또는 ‘대구매일’이라고 부르거나 정식 명칭을 대구매일신문으로 알고 있는 사람도 있지만, 제호는 대구매일신문이 아니라 그냥 《매일신문》이다. #

대구경북에서 발행하는 지역 신문 중 가장 많이 구독하는 일간지로, 지역 구독률 1위가 매일신문, 2위가 조선일보다. 지방 신문 중 부산일보에 이어 2번째로 많은 유료 부수를 기록하고 있으며 영남일보와 함께 대구·경북 지역 여론을 주도한다. 지역 일간지로서 해당 지역에서 구독률을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점은 상당히 이례적인데, 마찬가지로 부산일보 또한 부산에서 일간지 구독률 1위인 것과 맥락을 같이 한다. 즉, 지역 일간지가 구독률 1위인 경우는 전국에서 대구 부산 단 두 곳 뿐. 그 뒤를 이어 대구는 영남일보, 부산은 국제신문이 각각 지역 일간지로써 콩라인을 타고 있다.

오랫동안 천주교 대구대교구 소유로 있었지만, 2022년에 코리아와이드에 매각되었다. 본사는 대구광역시 중구 서성로 20(계산동2가 71)에 있다. 본사 사옥 안에는 대구가톨릭평화방송이 함께 있으며, 사옥 바로 옆에 천주교 대구대교구 주교좌성당 계산성당이 있다. 경북 본사는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수호로 63(갈전리 1337번지)[A]에 있으며, 서울지사는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24 ( 태평로1가 25번지)에 있다.

사시는 "땀과 사랑으로 겨레의 빛이 되리"이다. 노조는 민주노총 언론노조 소속.

2. 논조

신문의 전반적인 논조는 매우 강경하고 극단적인 보수~ 극우 성향이다. 지역 언론인지라 전국적으로 잘 부각이 되지 않아서 그렇지,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보수 성향 언론인 조중동보다도 훨씬 더 강경하고 극단적인 수준의 보수 성향을 노골적으로 드러낸다.[7]

매일신문은 매일 3편의 사설과 여러 편의 칼럼을 게재하는데 더불어민주당을 비판하는 사설이나 칼럼은 자주 쓰는 반면, 국민의힘을 비판하는 사설이나 칼럼은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이는 일반적 뉴스 보도에서도 마찬가지인데, 특히 2024년 총선 과정에서 보여준 보도 및 논설 행태를 보면 노골적으로 윤석열 정부 국민의힘, 한동훈 비대위원장을 칭찬하였으며, 반대로 야당인 더불어민주당 인사이나 이재명 대표에 대한 비아냥, 조롱이 줄곧 대놓고 서술되었다.

단적인 예로 2024년 총선 때의 사전투표 하루 전날 실린 매일신문 1면 기사의 헤드라인 제목이 무려 " 내로남불 기득권 '좌파의 가면' 심판의 표로 벗겨야"였고, 그 다음 날인 사전투표 첫날에 실린 칼럼의 제목이 " 총선, 또 좌파 음모·선전·선동에 당할 것인가? 투표로 대한민국을 지킵시다!"였다. 심지어 사전투표 첫날 1면 지면에는 사전투표의 개시를 홍보하면서 국민의힘이 내건 사전투표 독려 현수막 사진을 소개했는데, # 이와는 반대로 신문 9면에는 더불어민주당이 내건 사전투표 홍보 현수막의 문구를 비난하는 기사를 실었을 정도로 대단히 노골적이고 원색적이었다. #

또한 김건희 여사와 관련된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 김건희 명품백 수수 의혹, 김건희 재보선 및 총선 공천 개입 의혹 논란 등의 사건을 두고 대표적인 보수 신문인 조중동마저 '김건희 여사 문제가 심각하다', '김건희 리스크를 해결해야 한다'라고 주장할 때도, 매일신문은 꿋꿋이 '김건희 여사는 아무 문제가 없고, 국민의힘의 당내 갈등을 일으키는 한동훈 대표가 문제'라고 주장했다. # 이렇듯 여러모로 매일신문이 과거보다 훨씬 더 극단적으로 우경화된 정치 성향을 노골적으로 드러내고 있다는 평가가 일반적이다.

또한 별 것 아닌 평범한 기사에서도 '속보'나 '단독' 타이틀을 붙이면서 온라인 기사 클릭 장사를 하는 일이 많다. 심지어 정치인이나 유명인들의 SNS를 받아쓰기 하거나, 정치인들이 다른 매체와 했던 인터뷰를 2차 인용하기만 하는 시덥잖은 기사에서도 툭하면 '속보' 타이틀을 붙인다. 심지어는 평범하게 여론조사를 보도하는 스트레이트 기사에서도 '속보' 타이틀을 자주 붙인다. 여러모로 기사 클릭 장사와 낚시질이 극심하다는 것이 일반적 평가.

그리고 다른 여타 지역 언론들이 그렇듯이, 지역성이 대단히 강하다. 엄밀히 말하면 신문의 논조 자체가 정치적으로 보수 성향인 것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대구·경북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주류 보수정당에 대한 편향성이 대단히 강하기 때문에, 저절로 신문의 논조가 보수로 편향된다는 평가도 가능하다. 지역신문 특성상, 가장 핵심적인 매체의 가치를 대구경북 지역성으로 설정하고 있으므로, 정치 성향에 앞서, 지역 현안의 관점에서의 비판을 우선시하는 편이다. 다시 말해 지역 문제, 지역 발전 문제에 관해서는 정파적 입장을 막론하고 매우 예민하게 반응한다.

예컨대 보수 정치인, 보수정당이라 하더라도 지역 현안 문제에 대해서 제대로 노력을 쏟지 않는 모습을 보이거나, 지역 현안이 걸린 사안을 제대로 처리 못하면 대놓고 비판하지만, "보수 여당도 잘못했지만 급진 야당이 더 나쁘다"로 결국 결론이 정해져 있다. 지면에 대구·경북 지역의 일간지라는 지역성이 상당히 두드러진다. 지면을 보면 시사, 정치보다 지역 기사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다. 이 점은 부울경 지역의 부산일보나 국제신문 역시도 마찬가지다.

인터넷 미디어가 대중화되기 전, 1990년대 종이신문 전성기 시절에는 서울 쪽 일간지 1부, 대구지역 일간지 1부해서 모두 각각 1부씩 총 2부를 구독하는 구독자도 많았다. 전국 소식을 알려면 서울 쪽 일간지 하나가 필요하고, 자기 지역의 소식을 알려면 지역신문이 필요한 사정 때문이다. 스포츠 기사는 기사를 보면 알겠지만 당연히 연고지팀 편파로 기사를 쓴다. 연고지 팀만을 위해 편파적 어조로 스포츠 기사를 쓰는 것은 모든 지역신문에서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현상이다.

과거 교구 소속일 당시 가톨릭계 언론이기는 하지만, 외부 칼럼에서 개신교계와 불교계의 글을 받아올 정도로, 종교언론으로서보다는 종합 지역 일간지로서의 성격이 더 강했으며, 가톨릭에서 명백하게 거부하는 인공피임을 기사에서 긍정적으로 다룬 적도 있다.

3. 연혁

1946년 3월 1일 '남선경제신문'으로 창간하였다. 여기서 남선(南鮮)이란 남조선의 준말. 지금이야 "남조선"은 북한에서 남한을 지칭할 때 쓰는 말이지만 창간 당시에는 "한국"보다 "조선"이 자주 쓰였기 때문에 "남조선"도 많이 쓰였다. 남선경제신문으로 출발하여 이후 대구매일신문 → 경제신문 → 대구매일신문 → 대구매일 → 매일신문 → 대구매일신문으로 비슷비슷하게 바뀌었다가 1988년에 '매일신문'이 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영남일보처럼 언론통폐합으로 사라진 역사도 없이 계속 이어 온 언론사라서, 해방 후 대구의 역사를 알려면 반드시 참고해야 하는 신문이다. 영남일보는 언론통폐합 때 매일신문에 강제 합병되었다가 1989년에 분리하여 복간, 현재까지 발행 중이다.

2022년 코리아와이드에 매각되기 전까지, 오랫동안 발행처가 천주교 대구대교구였다. 1950년에 대구교구에서 신문사를 인수했고, 그 이후로 발행인도 대구대교구장 대주교였던 것이다. 다만 종교적인 느낌은 옅은 편인데, 비슷한 종교계열 언론 포지션인 국민일보보다 옅었다. 주의 깊게 살펴보면 가톨릭과 연관 있다는 건 눈치챌 수 있었는데, 가톨릭 사제들의 인터뷰를 잘 건져올린다든가, 그리고 종이판 및 인터넷판에 대구가톨릭대학교 광고를 심심찮게 볼 수 있다던가 하는 식이었다. 이런 이유로 계산동2가 사옥 안에 대구가톨릭평화방송도 입주해 있다.

《대구매일신문》이라는 이름으로 발행하던 시절인, 1955년 9월 13일자 신문에 당시 주필 겸 편집부장이던 최석채가 학생들을 강제로 동원한 관제 데모에 항의하는 사설을 썼다가 자유당 경북도당 등에서 고용한 정치 깡패들에게 본사가 테러당한 역사가 있다. 대구 매일신문 테러 사건 문서 참조.

높으신 분들이 쉬쉬하고 덮으려던 가짜 이강석 사건을 까발린 것도 유명하다.

박정희 정부 시절 국회의장을 지낸 이효상이 이사로 재직했던 적이 있다. 이효상은 경북대학교 철학과 교수 및 문리대학장 출신으로 국회의장까지 지내기도 했다. 경상도정권, 신라 드립을 날리기도 했던 이효상은 3~4공화국 시절 여당인 민주공화당 소속으로 5선 의원으로 지낸 거물급 정치인이다. ( 출처)

2015년 1월 1일부터 조간으로 전환하여 발행한다. #, 기사

2021년에 조직 개편이 이루어져서 기존의 편집국이 뉴스국, 신문국, 디지털국 3개로 세분화되었다.

2022년 3월 17일 코리아와이드에 인수되었다.

4. 역대 임원

4.1. 명예회장

4.2. 회장

4.3. 사장

4.4. 부사장

4.5. 편집이사

5. 역대 주요 간부

5.1. 주간

5.2. 주필

5.3. 논설고문

5.4. 논설주간

5.5. 논설위원실장

5.6. 수석논설위원

5.7. 특임논설위원

5.8. 편집책임자

6. 유튜브 채널

6.1. TV 매일신문

TV 매일신문 링크

2019년부터 유튜브 TV 매일신문 채널을 본격적으로 제작, 송출하고 있다. 매일신문 디지털국 디지털뉴스부장 권성훈 기자와 김민정 아나운서가 진행하는 “매미야 TV”, “토크 20분” 등과 같은 코너를 진행했었다.

2020년 11월에는 전국 지역신문 최초로 유튜브 구독자 수 10만 명을 돌파했다. #

6.2. 매일신문 프레스18

매일신문 프레스18 채널 링크

매일신문 기자로 활동했던 최훈민 기자가 이준석, 유재일, 이상민, 김진태 등과 함께 방송을 진행한다. 최훈민 기자가 2021년 7월 조선일보 자회사인 조선NS로 이적한 후에도 방송은 진행하다가 현재는 방송을 종료한 상태이다.

7. 여담

8. 비판 및 논란

매일신문/비판 및 논란 문서 참조.

9. 관련 문서

10. 둘러보기

파일:kw_logo_dark.pn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tablewidth=100%><colcolor=#008ac9> 고속/시외/관광·전세버스 <colbgcolor=#fff,#191919> 경북고속(대구 / 본사) 진안고속 대성티앤이 동부고속 속리산고속
시내/마을버스 대화교통 포항버스 포항마을버스 청주교통 일선교통
버스&화물터미널 대구북부정류장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 · 경산시외버스정류장 · 동대구터미널 강릉고속버스터미널 · 속초고속버스터미널 · 삼척고속버스터미널 · 제천고속버스터미널 · 양양종합여객터미널
미디어, ICT 매일신문 ・ 매일애드 ・ 코리아와이드랩 ・ 코리아와이드아이티에스・ 엠케이위즈
식품, 생활용품 미래생활
부동산, 금융 코리아와이드 선산 ・ 코리아와이드파트너스 ・ 아스톤에셋 ・ 에이케이스포츠 }}}}}}}}}


[1] 대구 본사이며 계산성당 바로 옆에 있다. [A] 경북 본사이며 경상북도청 바로 옆에 있다. [3] 코리아와이드 선산의 자회사이다. [B] 2024년 7월 29일 기준 [B] [A] [7] 참고로 대한민국 천주교 교구 중에서 정치적으로 보수적인 천주교 대구대교구 소유의 언론으로 오랫동안 존재했던 것도 한 몫한 것 같다는 평이 신문사 내부에서 나오기도 했다. 아예 편집국 소속 기자가 " 극우 보수의 색채를 가진 집단"이라고 익명으로 표현했을 정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