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13 21:18:26

알베르투스 마그누스

대 알베르투스에서 넘어옴
서양 철학사
중세 철학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margin:-16px -11px;" <tablewidth=100%> 고대 철학 중세 철학 근대 철학 현대 철학 }}}
<colbgcolor=#545454><colcolor=#ffffff> 교부 철학
알렉산드리아 학파
클레멘스(알렉산드리아) · 오리게네스
아프리카 교부
테르툴리아누스
라틴 교부 암브로시우스 · 보에티우스
아우구스티누스
신플라톤- 신비주의 위 디오니시우스 · 프셀로스 · 피치노 · 뵈메
스콜라 철학
에리우게나 · 안셀무스 · 알퀸
초기 프란치스코 학파
보나벤투라
도미니코 학파
대 알베르투스
아퀴나스
후기 프란치스코 학파
스코투스
오컴
신비주의 에크하르트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5px 0"
※ 2003년 11월 독일의 공영TV인 ZDF가 독일 국민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가장 위대한 독일인 1백인’을 발표한 명단이다.
TOP 10
1위 2위 3위 4위 5위
콘라트 아데나워 마르틴 루터 카를 마르크스 한스, 죠피 숄 남매 빌리 브란트
6위 7위 8위 9위 10위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요하네스 구텐베르크 오토 폰 비스마르크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11위~100위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아돌프 콜핑 루트비히 판 베토벤 헬무트 콜 로베르트 보쉬 다니엘 퀴블뵈크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콘라트 추제 요제프 켄테니히 알베르트 슈바이처 카를하인츠 뵘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헬무트 슈미트 레진 힐데브란트 알리체 슈바르처 토마스 고트샤크 허버트 그로네메이어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미하엘 슈마허 루트비히 에르하르트 빌헬름 콘라트 뢴트겐 귄터 야우흐 디터 볼렌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얀 울리히 슈테피 그라프 사무엘 하네만 디트리히 본회퍼 보리스 베커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프란츠 베켄바워 오스카 쉰들러 네나 한스 디트리히 겐셔 하인츠 뤼만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하랄트 슈미트 프리드리히 대왕 임마누엘 칸트 패트릭 린드너 하르트무트 엥겔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힐데가르트 폰 빙엔 하이노 리하르트 폰 바이츠제커 클라우스 폰 슈타우펜베르크 마를레네 디트리히
51위 52위 53위 54위 55위
로베르트 코흐 요슈카 피셔 카를 마이 로리오 알베르투스 마그누스
56위 57위 58위 59위 60위
루디 푈러 하인츠 에르하르트 로이 블랙 하인츠하랄트 프렌첸 볼프강 아펠
61위 62위 63위 64위 65위
알렉산더 폰 훔볼트 피터 크라우스 베르너 폰 브라운 디르크 노비츠키 캄피노
66위 67위 68위 69위 70위
프란츠 요제프 슈트라우스 세바스티안 크나이프 프리드리히 실러 리하르트 바그너 카타리나 비트
71위 72위 73위 74위 75위
프리츠 발터 니콜 프리드리히 폰 보델슈윙흐 오토 릴리엔탈 마리온 돈호프
76위 77위 78위 79위 80위
토마스 만 헤르만 헤세 로미 슈나이더 스벤 하나발트 바이에른의 엘리자베트 여공작
81위 82위 83위 84위 85위
빌리 밀로위치 게르하르트 슈뢰더 요제프 보이스 프리드리히 니체 루디 두치크
86위 87위 88위 89위 90위
카를 레만 베아테 우제 트뤼머프라우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 헬무트 란
91위 92위 93위 94위 95위
알브레히트 뒤러 막스 슈멜링 카를 벤츠 프리드리히 2세 라인하르트 메이
96위 97위 98위 99위 100위
하인리히 하이네 게오르크 엘저 콘라드 두덴 제임스 라스트 우베 젤러
출처
같이 보기 : 위대한 인물 시리즈
}}}}}}}}} ||
O.P.
알베르투스 마그누스
Albertus Magnus
파일:알베르투스마그누스.png
<colbgcolor=#afafaf><colcolor=#030303> 출생 1200년경
바이에른 공국 라우잉겐
사망 1280년 11월 15일 (향년 79~80세)
신성 로마 제국 쾰른
종교 가톨릭
직업 성직자( 주교), 신학자, 철학자, 과학자, 연금술사, 마법사
재임 기간 제30대 레겐스부르크교구장 주교
1260년~ 1262년
칭호 교회학자
성인명 대(大) 알베르토
[언어별 명칭]
라틴어: 알베르투스 마그누스 (Albertus Magnus)
영어: 앨버트 더 그레이트 (Albert the Great)
프랑스어: 알베르 르 그랑 (Albert le Grand)
독일어: 알베르트 데어 그로세 (Albert der Große)
스페인어: 알베르토 마그노 (Alberto Magno)
이탈리아어: 알베르토 마뇨 (Alberto Magno)
축일 11월 15일
역임 직책
{{{#343c4b,#343c4b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역대 가톨릭 레겐스부르크교구장
29대 30대 31대
알베르투스 1세 피텐가우 백작 ( 1247년~ 1260년) 알베르투스 마그누스(알베르투스 2세) ( 1260년~ 1262년) 레오 툰도르퍼 ( 1262년~ 1277년)
}}}}}}}}}}}} ||

1. 개요2. 생애3. 사상4. 여담

[clearfix]

1. 개요

독일 주교, 신학자, 철학자, 과학자[1].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들을 번역, 보급하고 과학(당시엔 '자연철학'으로 불림)연구가 가톨릭 내에서도 가능하다는 인식을 정착시켰고, 그 덕에 아직 살아있었을 때도 '대(大, magnus)' 알베르투스라고 불리었다[2]. 그의 가장 유명한 제자가 바로 스콜라 철학의 왕자로 불리는 토마스 아퀴나스.

가톨릭에서는 성인으로 공경하고 있다. 축일은 11월 15일.

2. 생애

알베르투스 마그누스는 1200년 경 독일 슈바벤의 라우잉엔(도나우 강변마을)에서 태어났다. 1223년 이탈리아 파도바 대학의 인문학과 학생으로 입학했다. 이후 독일로 돌아와서 도미니코 수도회에 입회했다. 1240년 초반에 유학을 목적으로 프랑스 파리에 파견되었고 이곳에서 페트루스 롬바르두스의 『명제집』을 접한다. 1245년에 신학박사 학위를 취득했고 도미니코회 외국인 수도자들을 위해 마련된 학과 수업을 3년간 맡아서 진행했다. 이 시기에 《명제집 주해》와 《창조물 대전》을 집필한다. 1248년에 쾰른으로 이주한 알베르투스는 이곳에 독일 최초의 고등 교육기관인 '일반학교(Studium Generale)'[3]을 설립했다. 이 당시 제자로 있었던 인물이 토마스 아퀴나스이다. 1250년에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스마스 윤리학』을 교재로 쾰른에서 강의를 시작했는데, 이 때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에 대한 주해를 집필하면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에 깊게 빠지게 된다.

알베르투스는 1254년부터 3년간 도미니코회 독일관구구장을 역임했고, 1260년에는 레겐스부르크의 주교에 임명되었다. 2년 후 주교직에서 물러나 독일의 지역사회를 여행하며 순회설교를 마친 뒤 1264년 뷔르츠부르크에 정착한다. 이맘쯤 그는 성서 주해서 대부분을 완성했다. 1269년에는 스트라스부르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술들에 대한 강의를 진행하면서 『원인에 관한 책』에 대한 해설을 남겼고 1270년부터는 세상을 떠날 때까지 쾰른에 머물면서 마지막 저서인 『하느님의 놀라운 지식에 관하여』 집필에 전념했다. 1278년 건강이 악화된 후 그는 1280년 11월 15일 독일 쾰른의 도미니코회 수녀원에서 사망했다.

3. 사상

그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방법론이 자연과 인간에 대한 학문적인 탐구에 적용될 수 있는 유일한 도구라고 보았다. 과학적 추론을 근거로 하는 철학은 성경의 '계시'로부터 자유로워야 한다고 보았다. 그는 신이 세상사에 자유롭게 개입하기 때문에 필연성에서 예외가 발생하고 이런 예외 상황이 곧 철학적 이성과 신학적 이성 간의 대립을 낳는다고 확신했다. 이는 신학의 계시를 진리의 마지막 단계로 인정하면서도 신학이 자부하는 철학적 기능은 사실상 인정하지 않은 셈이었고, 결국 세속 신학을 총체적으로 합리화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또한 알베르투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철학에 관심이 많아 이에 대한 연구도 깊게 파고들었다. 그에 따르면 우주를 지배하는 것은 별들의 움직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자연의 법칙이었다. 이처럼 그의 사상을 뒷받침하는 것은 견고하고 체계화된 자연철학이었고, 이는 당시 인문학과 교수들의 전통적 상징주의 해석과는 상당한 거리가 있었기 때문에 쉽게 받아들여지진 못했다. 하지만 그의 사상 일부는 토마스 아퀴나스로 이어진다.

그는 인간이 하느님의 형상대로 창조되었기 때문에 지성을 겸비한 것이며 인간이 특별한 이유는 바로 이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그에 따르면, 이성을 활용하면서 인간은 자신의 지성이 그 자체로 신적인 기원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이해하게 되며, 인간의 진정한 행복이란 다름 아닌 이러한 지성의 신성한 기원을 발견하는 데 있다고 보았다.

4. 여담



[1] 알베르투스가 살아있었던 시절엔 '자연철학, 자연철학자' 라는 용어가 쓰였으며 본인도 스스로를 그렇게 칭했다. [2] Encyclopedia Britannica. “St. Albertus Magnus.” Last modified Feb 12, 2024. https://www.britannica.com/biography/Saint-Albertus-Magnus. [3] 이 명칭은 21세기에도 이어져서 도미니코회에서 신학교에 진학하는 수도자들이 거주하거나 혹은 그 자체로 사제 양성에 필요한 고등교육을 제공하는 수도원을 지칭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