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 신학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
중세 신학 | 근세 및 근대 신학 | 현대 신학 |
이단설 | 영지주의 · 마르키온주의 · 몬타누스주의 · 마니교 · 네스토리우스주의 · 아리우스주의 · 펠라기우스주의 | ||
알렉산드리아 학파
|
클레멘스 · 오리게네스 · 아타나시오 ·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 | ||
아프리카 교부
|
테르툴리아누스 · 율리우스 아프리카누스 · 키프리아누스 · 락탄티우스 · 성 제노 | ||
라틴 교부 | 암브로시우스 · 보에티우스 · 히에로니무스 | ||
콘스탄티노플 교부 | 그레고리오스 · 크리소스토모 | ||
사막 교부 | 안토니오 아빠스 · 대 파코미우스 | ||
아시아 교부 | 에프렘 · 예루살렘의 키릴로스 | ||
아우구스티누스 | |||
신플라톤- 신비주의 | 위 디오니시우스 · 프셀로스 · 피치노 · 뵈메 | ||
유대·이슬람 신학 | |||
수니파 사변신학(칼람) | 무타질라 학파 · 아슈아리 학파 · 마투리디 학파 | ||
이슬람 신플라톤주의 | 알 킨디 · 알 파라비 · 이븐 시나 · 이븐 투파일 | ||
이슬람 아리스토텔레스주의 | 이븐 루시드 · 이븐 바자 | ||
이슬람-유대 반사변신학 | 알가잘리 · 유다 하레위 | ||
이슬람-페르시아 신비주의 | 수흐와르디 · 물라 사드라 | ||
이슬람 인문주의 | 아부 하이얀 알 타위디 · 아부 술레이만 시지스타니 | ||
유대 사변신학 | 사디아 가온 · 다윗 이븐 메르완 알 무카마스 | ||
유대 신플라톤주의 | 이븐 가비롤 · 바히야 이븐 파쿠다 | ||
유대 아리스토텔레스주의 | 아브라함 이븐 다우드 · 마이모니데스 · 야콥 아나톨리 | ||
유대 아베이로스주의 | 모세 벤 여호수아 · 엘리야 델 메디고 · 레위 벤 게르숀 | ||
스콜라 신학 | |||
카롤링거 르네상스 | 알퀸 · 피사의 페트로스 · 칸디두스 | ||
아벨라르 · 란프랑쿠스 · 에리우게나 · 롬바르두스 · 라드베르투스 | |||
초기 베네딕토 학파 | 루푸스 세르베투스 · 오셰르의 레미기우스 · 오세르의 아이모 | ||
초기 가톨릭 신비주의 | 생 빅토르의 위그 · 빙겐의 힐데가르드 · 클레르보의 성 베르나르 | ||
안셀무스 | |||
스콜라 자연신학 | 바스의 아델라르 | ||
보편논쟁 | 실재론 · 온건 실재론 · 유명론 | ||
초기 프란치스코 학파
|
헤일스의 알렉산더 · 보나벤투라 · 로저 베이컨 | ||
유대 아베이로스주의 | 아브라함 바르히야 | ||
세비야 번역학파 | 크레모나의 제라르 · 세비야의 요한 | ||
도미니코 학파
|
대 알베르투스 · 뫼르베케의 빌럼 | ||
토마스 아퀴나스 | |||
후기 프란치스코 학파
|
스코투스 · 페트루스 아우레올리 · 오컴 | ||
가브리엘 빌 | |||
후기 자연신학 | 작센의 알베르트 · 장 뷔리당 · 오트레쿠르의 니콜라스 | ||
저지대 신비주의 | 하더윅스 · 마그데부르크의 마흐틸드 | ||
독일 신비주의 | 에크하르트 · 요하네스 타울러 · 하인리히 수소 · 뤼스브로크의 요한 | ||
영국 신비주의 | 리처드 롤 · 월터 힐튼 · 노위치의 줄리안 | ||
근대 아우구스티누스 학파 | 토마스 브래드워딘 | }}}}}}}}}}}} |
알퀸
Flaccus Albinus Alcuinus |
|
|
|
<colbgcolor=#5b81b9,#5b81b9> 출생 | <colbgcolor=#ffffff,#191919> 735년경 |
노섬브리아 왕국 | |
사망 | 804년 5월 19일 |
프랑크 왕국 투르 | |
직책 |
•
가톨릭
부제 • 카롤루스 대제 및 왕실 지도 교사 및 정치 고문 • 투르 마르무티에 수도원장 |
명칭 |
알퀸[일반], 성 알퀴노[성공회], 복자 알퀴노[가톨릭] |
축일 |
5월 19일[가톨릭] 5월 20일[성공회] |
[clearfix]
1. 개요
프랑크 왕국에서 주로 활약한 영국 출신 부제, 학자, 교사이자 시인, 그리고 왕실 고문. 성공회의 성인이자 가톨릭의 복자이다. 카롤링거 르네상스를 이끈 선구적인 지식인이다.2. 생애
노섬브리아 왕국의 귀족 집안에서 태어나 요크에서 에그베르트 대주교 문하에서 공부했고, 부제품을 받았다. 그리고 767년에 주교좌성당 학교의 교장이 되었다.781년 로마에서 여행하던 중 카롤루스 대제와 그 주변의 여러 외래 학자들과 교류했다. 그는 782년부터 말년까지 카롤루스 대제와 그의 아들들에게 신학, 법학, 천문학, 논리학 등 인문학, 예술과 과학 등 학문을 가르치는 개인지도교사 및 대제의 정치고문으로 활약했다. 그는 카롤링거 르네상스를 주도한 인물로서 프랑크 왕국의 왕실을 유럽 문화와 학문의 중심으로 만들기에 앞장섰다. 그는 초급 교육제도를 신설했고 삼학(문법, 수사, 논리)과 사학(산술, 음악, 기하, 천문학)을 배우는 고등 교육제도를 만들어 중세 유럽 교육제도의 기반을 확립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794년 알퀸은 '그리스도 양자론'이라고도 불리는 입양주의 사상[6]을 강력히 반박했다. 당시 입양주의는 그리스도교를 통합하려는 운동이 한창이던 당시 프랑크 왕국에 혼란을 야기할 수 있는 위험한 사상으로 받아들여졌다. 알퀸은 프랑크 왕실의 신학자로서 그의 뛰어난 교리적 지식을 발휘해 교회회의에서 입양주의를 이단으로 규정하는 데에 큰 공헌을 했다.
796년 알퀸은 왕실교사 및 정치고문 직책에서 은퇴하고 싶다고 요청했다. 카롤루스 대제는 이에 응하되 대신 자신이 알퀸으로부터 언제든지 교육과 조언을 받을 수 있도록 투르의 마르무티에 수도원장으로 임명했다. 그곳에서 알퀸은 수도자들과 함께 카롤링거 활자체로 고대의 예술작품과 종교문서들을 필사하는 작업을 주도했다. 804년 선종한 뒤 투르의 생마르탱 성당에 안장되었다.
3. 평가
알퀸은 진중한 성품과 명석한 두뇌를 가진 학자로서 카롤링거 르네상스를 이끈 주역이자 훗날 신학, 수학, 언어학, 교육 체계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끼친 선구적인 인물이었다. 그 외에도 그는 당대 주변 지식인들로부터 칭송이 자자했던 언어 구사력을 바탕으로 시, 성경 주해서, 또한 지금도 수사학에서 자주 인용되는 <요약> 등과 같은 학문 서적 등을 저술했고 수많은 편지들을 남겼다.알퀸은 사후 가톨릭에서 복자로, 성공회에서는 성인으로 추대되었다.
4. 어록
"믿음은 자유의지에 따른 행위이지 강요된 것이 아닙니다."
"영혼에 신체보다 더욱 신경 쓰도록 하십시오. 전자는 계속 남아있고, 후자는 소멸하기 때문입니다."
[일반]
[성공회]
[가톨릭]
[가톨릭]
[성공회]
[6]
예수 그리스도는 처음부터 신이 아니라 단지 인간이었다가 세례자 요한에게 세례를 받은 뒤에야 비로소 성부에게 입양되어 신으로 거듭났다는 사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