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13:30

김포시 버스 목록/폐선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김포시 버스 목록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경기도 기초자치단체별 폐선된 버스 목록
가평군 고양시 과천시 광명시 광주시
구리시 군포시 김포시 남양주시 동두천시
부천시 성남시 수원시 시흥시 안산시
안성시 안양시 양주시 양평군 여주시
연천군 오산시 용인시 의왕시 의정부시
이천시 파주시 평택시 포천시 하남시
화성시


1. 개요2. 시내버스
2.1. 김포 버스 1(폐선)2.2. 김포 버스 2-12.3. 김포 버스 62.4. 김포 버스 72.5. 김포 버스 82.6. 김포 버스 92.7. 김포 버스 9-12.8. 김포 버스 9-22.9. 김포 버스 11 (1기 노선)2.10. 김포 버스 11 (2기 노선)2.11. 김포 버스 332.12. 김포 버스 502.13. 김포 버스 60-12.14. 김포 버스 60-22.15. 김포 버스 672.16. 김포 버스 682.17. 김포 버스 702.18. 김포 버스 70-12.19. 김포 버스 802.20. 김포 버스 842.21. 김포 버스 852.22. 김포 버스 88-12.23. 김포 버스 90-1 (1기 노선)2.24. 김포 버스 992.25. 김포 버스 3002.26. 김포 버스 3302.27. 김포 버스 6052.28. 김포 버스 6312.29. 김포 버스 6712.30. 김포 버스 841-12.31. 김포 버스 842
3. 좌석버스4. 직행좌석버스
4.1. 김포 버스 2000(선진상운)4.2. 김포 버스 3000A4.3. 김포 버스 31004.4. 김포 버스 G6003A4.5. 김포 버스 7000 (1기노선)4.6. 김포 버스 8600A4.7. 김포 버스 9000 (1기노선)4.8. 김포 버스 90044.9. 김포 버스 91004.10. 김포 버스 9502
5. 마을버스

1. 개요

김포시 버스 목록 중 폐선되거나 타 운수업체로 이관된 버스 노선들을 기재하였다.

2. 시내버스

2.1. 김포 버스 1(폐선)


2.2. 김포 버스 2-1

201,202번 버스의 전신으로 강화운수에서 운행하였다.

2.3. 김포 버스 6

대명항 - 영등포역 (일반좌석버스)
먼 옛날에 강화운수에서 운행하다가 김포운수로 넘어갔다. 이 노선이 누산리를 경유하고 60-3번이 청송마을을 경유한 것을 제외하면 거의 동일한 구간으로 운행했었다. 2010년 12월 1일 폐선 전까지 김포시의 유일한 일반좌석버스였으나 이후 20, 22번이 일반좌석버스로 형간전환하면서 기록이 깨졌다.

2.4. 김포 버스 7

파일:김포 구 7번.jpg
운행구간: 대명항 - 대곶 - 양곡 - 장기지구 - 김포고 - 고촌 - 개화역 - 송정역 - 당산역 - 영등포역

6번과 함께 김포시의 두개뿐인 일반좌석버스 였지만 6번보다 먼저 폐선의 길을 걷게 되었다. 사실 폐선이라기 보다는 노선이 거의 같은 60-3번과 한노선으로 합쳐졌다고 보는게 맞다. 2001년 7월부터 개통했으며 원래는 강화운수 노선이였다. 2009년 60-3번에 통폐합.

2.5. 김포 버스 8

운행구간 : 강화터미널 - 강화대교 - 마송 - 누산사거리 - 나진검문소 - 산호/대우/한일아파트 - 김포고 - 김포시청 - 고촌 - 김포공항 - 송정역

2004년 12월 22일에 마송에서 군하리로 연장. # 2009년 9월 24일에 김포대학에서 강화터미널로 연장, 김포대학 미경유

2010년(?)에 88번에 통합되었다.

2.6. 김포 버스 9

해당 문서 참조.

2.7. 김포 버스 9-1

해당 문서 참조.

2.8. 김포 버스 9-2

해당 문서 참조.

2.9. 김포 버스 11 (1기 노선)

운행구간: 검단 - 김포시 - 고촌 - 송정역 - 합정역 - 신촌

강화운수에서 오래 전 운행하였다. 서울 업체인 김포교통의 130번이나 자사의 60번 등과의 경쟁에 밀려 승객 수요가 매우 저조하였고, 결국 2004년 1월에 9번과 합친 뒤 사라졌다.

2.10. 김포 버스 11 (2기 노선)

해당 문서 참조.

2.11. 김포 버스 33

{{{#!folding [ 사진 모음 펼치기 · 접기 ] 파일:김포33엔비온.png 파일:김포33_매그넘.png
에빅 엔비온.[1] 중통 매그넘.[2]
파일:김포33_9317.png
임시로 투입된 뉴슈퍼에어로시티.[3]
}}} ||
해당 문서 참조.

2.12. 김포 버스 50

김포시 일반시내버스 50번
기점 경기도 김포시 북변동(김포고등학교) 종점 경기도 김포시 양촌읍(양곡터미널)
종점행 첫차 ? 기점행 첫차 ?
막차 ? 막차 ?
배차간격 약 120분
운수사명 강화운수 인가대수 1대
노선 [4]김포고 - 김포경찰서[5] - 나진교 - 한옥마을입구 - 장기고등학교 - 은행연립 - 모산 - 지산 - 양곡성당 - 양곡터미널

강화운수에서 운행했던 노선이다. 당시 비슷한 구간을 운행했던 60-3번에게 배차간격에서 워낙 밀려 소리소문없이 폐선되었다.

2.13. 김포 버스 60-1

舊 631, 양곡 - 영등포. 더 자세한 사항은 해당 문서 참조.

2.14. 김포 버스 60-2

2.15. 김포 버스 67

운행구간: 유현마을 - 길훈4차아파트 - 장곡 - 고촌 - 개화역 - 송정역 - 발산역 - 하이웨이주유소 - 강서보건소 - 등촌역 - 염창역 - 당산역 - 영등포역

구 671번. 2006년 9월 11일에 풍무동으로 들어가게 되었으며, 번호가 67번으로 바뀌지만 얼마 못 가 69번과 통합되고 챠량도 그쪽으로 다 넘어간다. #

2.16. 김포 버스 68

파일:김포 68번.jpg

운행구간: 김포홈플러스 - 북변동 - 한전 - 김포고 - 장곡 - 고촌 - 개화역 - 송정역

구 80번. 2006년 9월 11일에 풍무동 대신 감정동으로 들어가게 되었으며, 번호가 80번에서 68번으로 바뀌었다. # 2007년 2월 22일에 북변지구 경유로 바뀌었다. #

2009년(?)에 폐선되었다.

2.17. 김포 버스 70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인천 버스 70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8. 김포 버스 70-1

위의 70번의 양곡 단축 노선. 70번과 함께 인천 면허로 전환됐으나 70번과 통합되었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인천 버스 70-1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9. 김포 버스 80

운행구간: 강화 - 마송 - 청송마을 - 장기상가 - 전원마을 - 일산대교 - 대화역

2011년 8월 5일에 48번 국도 직통에서 한강신도시 경유로 변경되었다. #

2.20. 김포 버스 84

마전지구 - 김포보건소

2.21. 김포 버스 85

사우동 - 후평리. 2010년 상반기에 폐지.

2.22. 김포 버스 88-1

개통취소된 버스노선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color=#fff> 광역급행


<colcolor=#fff><nopad> 직행좌석
일반
마을
광역콜
서울특별시
<nopad> 세종특별자치시
기타 지역
}}}}}}}}} ||

2번을 신설하면서 기존 2번 인가를 활용해 만든 노선. 실제로 운행하지 않고 인가상으로만 존재하다가 2017년 6월에 폐선되었다.

2.23. 김포 버스 90-1 (1기 노선)

파일:sdc10432.jpg
90번의 양곡 단축 노선. 수요저조로 폐선되었다가 현 노선으로 재개통하였다.

2.24. 김포 버스 99

양곡 - 구래리 - 검단 - 계양역 - 임학역 - 계양경찰서 - 신복사거리 - 부천터미널 소풍 - 송내역

70번, 90번처럼 원래는 시외버스로 개통되었고, 수도권 통합 요금제로 인해 경기도 시내일반버스로 전환되었다.

하지만 긴 배차 간격과 53번, 81번, 98번 등의 존재로 인해 얼마 가지 못하고 폐선되었으며 현재 김포-부천 간 노선은 9008번 뿐이다.

2.25. 김포 버스 300

운행구간: 계양역 - 인천장기동 - 유현사거리 - 풍무동 - 사우고 - 북변환승센터 - 오스타파라곤 - 일산대교 - 고양종합운동장 → 대화역 → 킨텍스 → 고양종합운동장 → 이후 역순

2011년 8월 5일에 신설되었다. #

2019년 9월 28일 신설된 33-1번이 일부 역할을 계승한다.

2.26. 김포 버스 330

강화터미널 - 김포대학 - 마송 - 김포한강신도시 - 풍무동 - 박촌역 - 임학역 - 계양구청 - 부천터미널 소풍

구 33번. 강화운수에서 운행했던 노선으로 시내일반으로 형간전환과정에서 부천에서 운행중인 33번과 혼선을 일으킬 수 있다고 2010년 2월 19일 330번으로 번호가 바뀌었다. 2010년 7월 30일 폐선.

2.27. 김포 버스 605

대명항 - 대화역

2.28. 김포 버스 631

대명항 - 서울시청 노선이었으며 일반 시내버스인 60-1번으로 형간전환되었다.

2.29. 김포 버스 671

검단에 위치한 쓰레기매립지와 송정역을 오가는 좌석버스이다. 2006년 9월 폐선되고 67번과 합쳐졌다. 해당 구간은 인천 78번 버스가 다니고 있다.

2.30. 김포 버스 841-1

검단 - 운양동(하늘빛마을)

2.31. 김포 버스 842

해당 문서 참조.

3. 좌석버스

3.1. 김포 버스 6

대명항 - 양곡 - 지경 - 김포시 - 송정역 - 영등포역

3.2. 김포 버스 20

해당 문서 참조.

3.3. 김포 버스 22

해당 문서 참조.

4. 직행좌석버스

4.1. 김포 버스 2000(선진상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김포 버스 2000(선진상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2. 김포 버스 3000A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김포 버스 3000A(폐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3. 김포 버스 3100

파일:g3100b.png
2000번(선진상운). 양곡 - 신촌

4.4. 김포 버스 G6003A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김포 버스 G6003A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5. 김포 버스 7000 (1기노선)

파일:attachment/7000beon.jpg
장기지구 - 북변터미널 - 김포고 - 고촌 - 당산역 - 여의도환승센터 - 마포역 - 광화문 - 서울시청

8600번 버스의 전신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93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93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4.6. 김포 버스 8600A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김포 버스 8600A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7. 김포 버스 9000 (1기노선)

현재의 9000번하고는 무관한 노선이다. #

4.8. 김포 버스 9004

대명항 - 장기지구 - 고촌 - 당산역.
2012년에 폐선되었으며 인가분은 현재 운행하는 9000번에 쓰였다.

4.9. 김포 버스 9100

뉴고려병원 - 고촌 - 당산역 -여의도.
노선이 단축되면서 노선 번호도 바뀌었다 자세한 내용은 위 김포 버스 9004 김포 버스 9000 문서 참조.

4.10. 김포 버스 9502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김포 버스 6427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attachment/시외버스 9502/9502.jpg

5. 마을버스

5.1. 김포 버스 21

5.2. 김포 버스 30

5.3. 김포 버스 30-1

5.4. 김포 버스 30-2

5.5. 김포 버스 32

5.6. 김포 버스 55-1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김포 버스 58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7. 김포 버스 55-2

2012년 4월 신설, 일자미상 폐선

5.8. 김포 버스 55-3

2012년 4월 신설, 일자미상 폐선

5.9. 김포 버스 56

5.10. 김포 버스 57

5.11. 김포 버스 58

구 55-1번.

5.12. 김포 버스 59



[1] 노선 폐선 이후 33-1번으로 이동해 운행하다 휴차 중이다. [2] 노선 폐선 이후 33-1번으로 이동해 운행 중이다. [3] 정규 차량에 문제가 생겼을 때, 특히 겨울에 주로 투입되었으며, 폐선 이후에는 81번으로 복귀해 운행하다 81-1번으로 이동하였다. [4] 운행했을 당시 기준의 정류소 명칭으로 작성함 [5] 현재는 장기동으로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