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8 16:45:03

김상국

김상국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f73600>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png 한화 이글스
역대 1차 지명 선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fff> 1985년 1986년 1987년 1988년 1989년
(4명)
이상군
전대영
황종선 (1)
민문식
(10명)
김상국
한희민
이효봉
곽영진
김수길
김현태
윤홍식
유해덕
한연대
이원일 (1)
(3명)
김대중
이중화
안성수
(3명)
송진우
장정순
조양근
(3명)
강석천
황대연
진정필
<rowcolor=#ffffff> 1990년 1991년 1992년 1993년 1994년
지화동
김성한
양용모 지연규 구대성 길배진
<rowcolor=#ffffff> 1995년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rowcolor=#f7000d> 신재웅 홍원기
(고졸)
심광호
이상열
조성희
이성갑
(고졸)
고상천
오주상
지승민
김민규
(고졸)
김재현
임광규
조현수
박정진
(고졸)
문용민
<rowcolor=#ffffff>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조규수 김태균 신주영 안영명 김창훈
<rowcolor=#ffffff>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윤근영 유원상 장필준 (1)
최진호
박상규 김회성
<rowcolor=#ffffff>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김용주 (2) 유창식 (2) 하주석 (2) 조지훈 (2) 황영국
<rowcolor=#ffffff>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김범수 김주현 김병현 성시헌 변우혁
<rowcolor=#ffffff>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신지후 정민규 문동주 김서현 (2) 황준서 (2)
<rowcolor=#ffffff> 2025년 2026년
정우주 (2)
(1) 지명 후 미입단 / 지명 거부
(2) 전면 드래프트 시행 년도 1R 지명 선수
}}}}}}}}}

김상국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fffff [[빙그레 이글스|빙그레]]/[[한화 이글스|한화 이글스]] 등번호 2번}}}
팀 창단 김상국
(1986~1995)
조경택
(1996~2003)
{{{#fab93d [[현대 유니콘스|현대 유니콘스]] 등번호 2번}}}
김성갑
(1991~1995)
김상국
(1996~1997)
김필중
(1998~2002)
}}} ||
}}} ||
파일:external/dimg.donga.com/6858980.1.jpg
천안북일고 감독 시절
김상국
金相國 | Sang-guk Kim
출생 1963년 4월 5일 ([age(1963-04-05)]세)
충청남도 천안시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북일고 - 한양대
포지션 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1986년 1차 지명 ( 빙그레)
소속팀 빙그레- 한화 이글스 (1986~1995)
현대 유니콘스 (1996~1997)
지도자 북일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2002~2004)
병역 예술체육요원[1]
가족 아들 김동엽, 딸 김경민[2]

1. 개요2. 선수 경력3. 여담4. 연도별 주요 성적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KBO 리그 빙그레 이글스 현대 유니콘스 포수.

2. 선수 경력

파일:external/photo.isportskorea.com/20010321141411213G.jpg
빙그레 이글스 시절.

북일고 한양대를 졸업하였으며, 1986년 빙그레 이글스의 창단 멤버로 활동하였다. 포지션은 포수로, 당시 주전 포수였던 유승안보다 공격력이 약한 대신 수비력이 좋은 편이었다. 공격력 또한 당시 포수들이 거의 멘도사 라인 수준의 타격이었던 것에 비해 타율이 2할 초중반대로 나쁘지 않았고, 유승안에 미치지는 못했으나 한 방이 있는 타자였다. 때문에 공수겸장이라는[3] 이미지가 있던 선수.

유승안의 전성기가 지나면서 주전 포수로 출전하였으며, 특히 북일고 선후배 사이였던 에이스 이상군과 자주 배터리를 이루었다. 주간야구가 1992년 중반에 최고의 포수를 꼽을 때[4] 김동기 다음의 2위를 차지했다.[5]

그러나 어린 선수들을 선호하는 강병철 감독이 1994년 부임하면서 밀려나기 시작해, 다음해 입단한 강인권에게 주전 포수 자리를 빼앗기고 그 해 말 현대 유니콘스 박은진과 맞트레이드되었다.

하지만 현대에서는 1996년부터 주전포수 자리를 꿰찬 장광호의 벽을 넘기 힘들었으며[6] 1997년 말 은퇴하고 프로야구계를 떠났다. 나무위키에는 항목이 굉장히 늦게 생겼는데, 이는 한화 선수가 아닌 현대 선수로 은퇴했고 한화로 바뀌기 전인 빙그레 이글스 시절 활약한 선수였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은퇴 후에는 모교인 북일고의 감독을 역임하며 팀을 수 차례 우승으로 이끌었고, 많은 제자들을 프로에 입단시켰다.[7][8]

3. 여담

4. 연도별 주요 성적

역대 기록
연도 소속팀 경기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4사구 장타율 출루율
1986 빙그레 97 276 .268 74 12 2 4 35 23 4 34 .370 .346
1987 85 274 .255 70 9 2 3 26 24 3 20 .336 .303
1988 81 170 .235 40 9 1 4 21 19 1 18 .371 .305
1989 94 174 .259 45 8 2 6 27 19 1 21 .431 .322
1990 116 314 .287 90 9 3 10 46 39 10 51 .430 .383
1991 115 309 .269 83 19 3 8 43 40 5 36 .427 .342
1992 113 295 .268 79 10 2 9 36 32 5 31 .407 .335
1993 103 244 .197 48 3 1 2 13 17 2 25 .242 .270
1994 한화 115 336 .256 86 13 0 7 48 35 4 49 .357 .347
1995 59 128 .227 29 4 0 3 19 13 0 1 .328 .303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4사구 장타율 출루율
1996 현대 67 85 .212 18 4 0 1 12 5 0 1 .294 .216
1997 47 58 .190 11 2 0 0 8 4 0 13 .224 .333
KBO 통산
(12시즌)
1092 2663 .253 673 102 16 57 334 270 35 314 .367 .328

5. 관련 문서


[1] 1981년 세계청소년야구선수권 대회 우승 # [2] KLPGA 프로 골프 선수 [3] 1990년 기록한 0.287의 타율은 규정타석을 채운 역대 이글스 포수 중 최고 타율이었으나 2019년 최재훈이 규정타석 0.290을 기록하며 깨졌다. [4] 전 해 한일 슈퍼게임에서 후루타에게 당했던 여파인지 포수의 수비능력 평가도 비중이 높아졌다. [5] 3위는 장채근 [6] 다만 공격력에서는 장광호보다 김상국이 조금 더 나았고 무엇보다 좌완투수 상대 성적이 좋아서 대타로 곧잘 출전한 바 있다. 특히 1996년 플레이오프 4차전에서 8회말 대타로 나서 조규제를 상대로 팀을 승리로 이끄는 좌익선상 2타점 결승 3루타를 터뜨리며 팀의 영웅이 됐다. [7] 조규수, 김태균, 안영명, 나주환, 김창훈, 유원상, 김회권, 홍성용 등. [8] 팀 동료이자 같은 포수 경쟁자였던 유승안의 장남 유원상이 북일고 제자였는데 유원상만 전국대회에서 매번 등판시키자 푸념을 한 바 있다. 유승안 감독 “우리아들 혹사시키지 마” [9] 현재는 키움 히어로즈 소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