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0 14:23:49

공자/기타

{{{#!wiki style="margin:-10px" <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 파일:공자_투명.png 공자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000,#fff> 생애 및 사상 생애 및 사상
평가 평가
관련작위 문선제 · 연성공 · 기타 작위
가족 공자 가문 군주
저서 논어 · 춘추
현대 대중매체
기타 기타 · 공자식인설 · 공자평화상 · 공부가주 · 안연이 공자에게 인을 물었다 · 공자학원
}}}}}}}}} ||

1. 기타
1.1. 불우한 인생1.2. 식습관1.3. 자손 대대로 이어진 순탄치 못한 결혼 생활1.4. 역대 왕조가 내린 작위1.5. 후계자1.6. 중국의 공자 한국인설

1. 기타

1.1. 불우한 인생

일단 아버지가 환갑 노인에, 어머니는 10대 중후반의 꽃처녀였다. 태어난 지 3년도 안 되어 아버지가 사망했고, 공자는 부친묘의 위치마저 장성하고 나서야 알게 되었다. 부모가 정식으로 결혼한 사이가 아니었기 때문에 사생아였다. 무녀의 자식이다 보니 평범한 사람과 다른 세상을 접하며 살았다. 그 어머니는 공자 나이 10대 중후반에 사망했다. 신분이 천해 온갖 잡일을 하며 생계를 유지했다.[1] 공자가 경험한 일들은 정말로 다양한데, 장례식을 돕는 일, 종묘의 제사를 돕는 일, 창고를 관리하는 일, 수레를 모는 일 등등 온갖 허드렛일을 하며 젊은 시절을 보냈다.[2] 그러면서도 틈틈이 학문을 가까이하여 마지막으로 사학을 설립해 제자들을 가르치는 일을 했다.

나이 들어 학문이 어느 정도 자리잡자 십 수년을 주유열국하며 자신을 등용해줄 사람과 인을 구현할 나라를 찾아 떠돌아 다녔으나 온갖 조롱, 비판, 죽을 위기 등등을 거치면서 절망을 반복했고 끝내는 이름 뿐인 국부 자리 하나 얻어 죽기 3, 4년 전에 노나라에 돌아왔다. 정치적 야망은 전부 무너졌다.

그래도 학식이 대단하고 인품이 지극히 높아 훌륭한 제자들을 많이 거느릴 수는 있었지만, 노나라에 돌아온지 첫해에 아들인 백어가 사망. 그 다음해에 수제자 안회가 이제 꽃을 피워볼려는 참에 사망. 그 다음해에 가장 친한 자로가 살해당해 젓갈이 되어 돌아왔다. 이 3단 콤보를 맞은 공자는 노년의 나이에 심적 충격을 너무 받아 시름시름 앓다가 자신의 가장 뛰어난 세 제자 중의 마지막 한 명인 자공이 돌아오는 걸 보고 사망했다. 결국 살아서 정치적인 야망을 무엇 하나 달성하지 못했고, 자신의 학문의 적통을 이어줄 안회는 무엇 하나 남기지 못하고 사망하여 사실상 살아서 정치적이나 학문적이나 마땅한 무언가를 남기지 못하였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그의 정치적, 학문적 야망은 죽고 나서야 동양에 절대적인 영향을 끼쳤으니 얄궂다면 얄궂은 일일 것이다.

1.2. 식습관

공자의 생활 습관을 설명한 논어 향당편을 보면 미식가로 나온다. 고운 쌀로 만든 밥과 가늘게 썬 를 즐겼고 색깔이 나쁘거나 나쁜 냄새가 나거나 제철 음식이 아니거나 알맞게 익히지 않거나 올바르게 자르지 않으면 음식을 들지 않았다고 한다. 음식에 어울리는 장(醬)이 없어도 음식을 먹지 않았고 고기가 많아도 밥보다 많이 먹지는 않았다. 술이나 육포는 집에서 만들지 않고 시장에서 사온 것은 먹지 않았고 생강을 꾸준히 먹었으며 주량은 취해서 흐트러질 정도로 마시지는 않았다고 한다.

1.2.1. 공자식인설

공자에 대한 낭설 중 인육을 먹었다는 설이 있는데, 결론부터 말하자면 을 팔기 위해 유언비어를 퍼뜨린 것이다. 특히 1990년대에 재미교포 폴 임 박사가 쓴 '책 속의 책'에 나온 공자가 인육을 즐겨 먹었다는 내용으로 인해 이러한 인식이 퍼졌다.[3] 여기에 더해 일본 극우파의 사주를 받는 대만인 어용학자 황문웅이 이런 주장을 더 퍼뜨렸다.

본래 그는 양고기, 사슴 고기, 토끼고기 등의 고기로 만든 일종의 젓갈인 해(醢)를 즐겼는데, 이를 중죄인의 시신을 젓갈로 만들어 버리는 당시의 형벌과 연관시켜서 마치 공자가 사람고기로 만든 젓갈을 즐긴다고 왜곡한 것이다. 식인은 사람을 중요시하는 유가의 이념과 몹시 다를 뿐더러 공자는 제자인 자로가 권력 싸움에 휘말려 죽고 그 시체가 해로 만들어지자 그 충격으로 평시 즐겨먹던 평범한 해를 다시는 가까이하지 못했다.

공자의 유학을 계승한 맹자의 서적인 "맹자- 양혜왕 편"을 보면 "옛날에 공자께서는 ' 처음으로 사람 모양 인형을 만들어 그것을 순장에 쓰이게 한 자는 후손이 없을 것이다.'라 하시며 사람의 형상을 한 인형조차도 귀히 여길 것을 역설하셨습니다."라며 맹자가 양혜왕에게 백성의 목숨을 중히 여길 것을 강조하는 구절이 나온다. 진짜 순장은 커녕 인명이 희생되지 않는 가짜 순장조차도 혐오한 공자이니만큼 정말로 말도 안 되는 소리다.

사실 유교를 떠나서, 원래 식인 행위는 현대에 비해 인명을 경시하는 풍조가 있었으며 인권이라는 개념조차도 없었던 고대 중국에서도 분명한 비정상적 행위였다. 물론 전근대 시절에는 영양 상태나 의학 기술이 발달하지 않아 긴 전쟁이나 기근이 발생하면 사람들이 서로 잡아먹었다는 기록도 종종 나오지만, 그런 극단적인 상황에서나 나오는 행위였지, 고대인이라고 해서 "먹을 거 없으면 사람 좀 잡아먹을 수 있지"란 식으로 생각한 것은 아니었고 설령 극단적 상황에서 나온 식인이라도 두고두고 지탄을 받는 행동이었다.[4]

1.3. 자손 대대로 이어진 순탄치 못한 결혼 생활

부부 관계는 본인은 물론 후대에까지 별로 좋지 않았던 듯하다. 공자, 공자의 아들, 공자의 손자인 자사까지 3대가 이혼을 했다는 말이 있는데, 예기의 단궁편의 다음 구절로 간접적으로 확인된다.
설화적으로 구성된 이야기일 수도 있겠지만, 뭔가 복잡한 가정사가 있었던 것은 분명한 듯 하다. 김용옥처럼 부계만을 강조하려고 사실이 아닌 장례에 대한 이야기로서 썼다는 해석도 있다. 여담으로 효자로 유명했던 증자도 아내가 부모가 좋아하는 찐 배를 잘못 쪄서 이혼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그리고 순자의 주장에 따르면 증자-자사학파의 계승자인 맹자 또한 아내를 쫓아낸 전력이 있다고 한다.『순자荀子』「해폐解蔽[8]」편의 이야기에 나오는데, 애초에 해당 편에서 이 말이 언급된 이유가 맹자를 아니꼽게 여기던 순자가 맹자를 깔 껀덕지를 확보하기 위해서다. 이유가 이유인 만큼, 카더라일 가능성이 높다.
어느 날 맹자가 자기 방에 문 열고 들어갔는데, 마누라가 방 안에서 다리를 쩍 벌리고는 아주 편안한 자세로 앉아서 쉬고 있었다는 사실을 알아채게 된다. 이에 기가 찬 맹자가 당장 어머니한테 달려가서 "엄마, 나 이런 무례한 애랑은 못 살겠어요!"라고 외쳤는데, 어머님 하시는 말씀이 "아니, 노크도 안 하고 귀신마냥 들이닥친 네 잘못인데 왜 우리 아가한테 성질이냐? 그리고 평소에 편안하게 쉬지도 못할 거면 방은 왜 만들어 놨겠니? 무례하기는 네가 제일 무례하다!" 이 가르침으로 인해 맹자는 근본적인 잘못이 자신에게 있었음을 깨닫고 이후 평생 마누라랑 알콩달콩 잘 살았다고 한다.

공자가 여성을 특별히 나누어 말한 기록이 드문데, 여자와 소인[9]만은 다루기 어렵다. 가까이 하면 불손해지고 멀리 하면 원한을 품는다.[10]라고 말한 적은 있다. 여기서 여자의 의미에 대해 국가를 막론하고 논란이 분분한데, 공자는 이 문장 빼곤 여성을 차별하는 언동을 보인 적이 없기 때문이다. 시대가 시대다 보니 그냥 여성 전체를 가리켰단 의견, 특별히 철없는 여성을 찝어 말했단 의견, 딸(女)과 아들(子), 남(女)의 자식(子) 등 수많은 해석이 존재한다.[11]

1.4. 역대 왕조가 내린 작위

1.5. 후계자

맹자는 요-순-탕-문왕-무왕-주공-공자로 이어지는 계보를 자신이 계승했다고 자부했는데, 이것이 나중에 도통론(道統論)이 된다. 공자-증자-자사-맹자까지 계보가 이어지고, 단절되었다 송나라 때 다시 복구되었다는 식의 설명이다. 그런데 사실 맹자는 공자의 아티스트적인 측면을 생각해보면 공자의 최대 이단일 수도 있다. 맹자가 공자의 후계자로 인정된 것도 송나라 때 성리학이 체계화된 이후.[12] 명나라 태조 주원장은 맹자를 매우 싫어했던 것으로 유명하다. 왜 그런지는 맹자 문서로 가보면 안다. 사실 공자는 자신의 후계자를 안회로 생각했던 듯하나, 안회는 요절하고 말았다.

1.6. 중국의 공자 한국인설

웃기게도 많은 중국인들 사이에서는 "대부분의 한국인들은 공자를 한국인이라고 주장한다"는 인식이 퍼져 있다. 중국 인터넷에서 떠다니는 짭루머 정도가 아니라 진짜 현실의 아주 많은 중국인들이 그렇게 오해하고 있어서 문제이다. 그래서 중국판 비정상회담 스제칭녠숴에서도 이와 관련된 얘기가 나왔다.
러시아 패널: 그래서 공자는 한국인이야 중국인이야?

(일동 당황, 민감한 질문을 건드렸다고 생각하는 듯)
(한국인 패널만 어이없게 웃는다.)

한국인 패널: 난 진짜 이게 어디서 나온 헛소리인지 모르겠어.
99.999999%의 한국인들은 다 공자가 중국인인 걸 알아.
그래서 내가 지금 이 자리에서 모든 한국인들을 대표해서 명확하게 말할게.
공자는 중국인이야.

(전 패널들 민감한 질문에 대해서 답변해줘서 고맙다는 듯이 한국인 패널에게 박수 갈채.)
공자 한국인설 루머 이야기가 나오자마자 타 국적의 패널들은 마치 "방송에서 이런 민감한 얘기 꺼냈다가 싸움나는거 아냐?" 라는 식의 표정을 짓고, 한국인 패널이 공자는 중국인이라고 말하자 '큰 결심했다는 듯이' 박수갈채까지 쏟아진다. 더 놀랍게도 해당 방송 후 웨이보 바이두같은 중국 웹사이트에서 중국 네티즌들도 "이 방송을 계기로 오해가 풀렸다"는 댓글 반응이 많았다. 어디 옛날 방송도 아니고 2018년 방송분이다.

물론 한국에서는 별 일도 아닌데 저리 심각한 분위기가 되는 것 자체가 황당하다는 반응이다. 당연한 소리지만 절대 다수의 한국인들은 공자가 중국인이라고 생각한다.[13] 한국 교과서 윤리와 사상, 생활과 윤리에서는 제자백가를 중국 춘추전국시대 사상가들이라고 명시하고 있다. 그 외에는 동아시아사/ 세계사 과목의 중국사 파트, 제2외국어 중국어 과목의 중국 문화 이해 파트에서 볼 수 있다.

오히려 한국에서는 ' 조선 공자 맹자왈 하다가 망했다'는 인식이 젊은 세대로 갈수록 심하기 때문에 공자와 유교를 은연 중 싫어하는 분위기이므로 한국 사람이라고 우길 이유조차 전혀 없다. 한국에서는 수구적이고 폐쇄적인 유교 문화를 혐오하는 경향이 많이 퍼져있는데,[14] 그런 상황에서 '유교의 창시자' 격으로 인식되는 공자도 부정적으로 인식되고 있다. 1999년에는 심지어 '공자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라는 책이 베스트셀러에 오르기도 했다.

이 같은 헛소문의 원인은 한국조차에서도 비난받는 환빠들이 공자 동이족설을 주장하였으며, 이를 일본 넷우익들이 다수의 한국인들이 공자 한국인설을 주장한다고 과장해 퍼뜨린게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다. 당연하게도 한국인들의 대다수는 잘 알지도 못하고 믿지도 않으며 오로직 환빠들만이 주장하는 의견이며, 한국 학계 내에서도 인정하지도 않고 언급조차 하지 않는 내용이다. 2000년대 초~중반 시기 이런식의 이야기들이 일본어로 번역되어 일본 커뮤니티에서 굉장히 유행했으며 넷우익들이 번역한 이러한 한국기원설이 일부러 중국으로 재번역되어 흘러갔고 각종 오해의 근원이 되었다. 일본인들의 한국기원설 유포 작전. (그것이 알고싶다 839회)

중국인들 사이에서는 굉장히 오래된 오해지만[15], 한국인들은 공자에게 관심조차 없어서 중국에서 그렇게 생각한다는 것조차 오랫동안 모르고 있었고, 현재도 중국인들이 '한국에서 공자를 자기 나라 사람이라고 주장한다' 고 생각하고 있다는 걸 알면 굉장히 어이없어한다.

2020년을 전후해서는 중국 자체에 대해 부정적인 이미지가 점점 증가하면서 자기들부터 만물 중국 기원설 주장하고 다니니까 다른 나라도 그런 줄 안다고 까기도 한다. 또한 공자는 중국 사람이 아니라 노나라 사람이라는 우스갯소리도 있다.

[1] 강신주는 공자의 모친이 아버지의 무덤을 가르쳐 주지 않은 것을 근거로 강간을 했다고 추측했지만 딱히 확인된 사실은 아니다. 공자의 모친의 신분에 대해 무녀라고 추측한 인물로 대표적인 학자는 김용옥이며 중국과 대만의 많은 학자들도 그렇게 추정하고 있다. [2] 공자 본인이 "나는 어려서 집이 가난해서 안 해 본 일이 없다."고 논어에서 말한다. [3] 참고로 해당 책은 아프리카의 코뿔소는 뿔이 하나 인도의 코뿔소는 뿔이 두 개라는 오류도 범했다. [4] 원래 공자는 주공 단을 가장 존경했는데 이는 주공이 과거 은나라에 있었던 괴이한 풍습을 순화하는데 힘을 기울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괴이한 풍습에는 순장, 식인 등이 있었다. 그러니 공자가 식인을 했다는 말은 사실일 가능성은 매우 낮다. [5] 伯魚之母死, 期而猶哭。 夫子聞之, 曰, "誰與哭者?" 門人曰, "鯉也。" 夫子曰, "嘻, 其甚也!" 伯魚聞之, 遂除之。 [6] 子思之母死於衛, 赴於子思, 子思哭於廟, 門人至, 曰, "庶氏之母死, 何爲哭於孔氏之廟乎?" 子思曰, "吾過矣, 吾過矣。" 遂哭於他室。 [7] 子上之母死, 而不喪。 門人問諸子思, 曰, "昔者子之先君子喪出母乎?" 曰, "然。" "子之不使白也喪之, 何也?" 子思曰, "昔者吾先君子無所失道, 道隆則從而隆, 道汚則從而汚。伋則安能? 爲伋也妻者, 是爲白也母, 不爲伋也妻者, 是不爲白也母。" 故孔氏之不喪出母, 自子思始也。 [8] 가려진 것은 열어서 밝혀야 함 [9] 마부 노예를 뜻한다. [10] 논어 양화편 子曰, 唯女子與小人爲難養也。近之則不孫, 遠之則怨. 그러니까 "잘해주면 기어오르고 못해주면 앙심을 품는다"는 뜻이다. [11] 뒤의 소인이 마부나 노비를 뜻한다면 여기서의 여자도 그에 준하는 낮은 계급의 집안 여성을 지칭할 가능성이 높다. 채지충 만화에서는 이 대목의 여자를 첩실로 묘사. [12] 송나라 즈음하여 크게 융성한 도교 및 불교 사상, 그들의 세계론, 우주론에 대항하여 유가 사상이 존립하려면 유가 역시 그럴듯한 세계론, 우주론을 내놓았어야 했는데, 기본적으로 유가는 현실 정치에 관심을 둔 사상이었기 때문에 그러한 분야에서의 얘깃거리가 적었다. 이때 주돈이가 『주역』과 전통적 오행설에 기반을 둔 『태극도설』을 지어 나름의 유가적 형이상학을 제시하였는데, 그 내용을 본격적으로 유가적으로 정당화하려면 그 내용과 어떻게든 갖다 붙일 수 있는 유가 성현의 말이 필요했다. 그런데 공자는 형이상학적인 말을 아꼈고, 순자는 더 나아가 형이상학을 아예 거부하다시피 했다. 반면 자사나 맹자는 '천명으로서의 성'을 제시하는 등 그 이론에 형이상학적 색채가 있었다. 때문에 『태극도설』을 정당화해주기에 보다 용이한 자사, 맹자의 사상이 정호, 정이, 주자 등 신유학 운동가들을 거치면서 점차 선호되고 유가의 적통시되기에 이른 것이다. [13] 물론 이 중국인이라는 개념을 어디까지 보냐는 문제는 있다. 알다시피 중국 대륙의 역사는 한족뿐 아니라 온갖 이민족들이 얽히고 설킨 역사라.. 하지만 최소한 공자가 한국 사람이 아니라고 보는 것은 확실하다. [14] 일례로 2019년 한국의 서원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자 관련 기사엔 "썩을 유교 문화의 잔재를 뭣하러 기념하냐"는 투의 부정적인 댓글들이 베스트 댓글에 오를 정도. 기사1 기사2 유교 탈레반이라는 신조어가 공공연히 돌아다닐 만큼 현대 한국인들 사이에서 유교의 평가는 극악을 달리고 있다. [15] 적어도 2000년대부터 떠돌던 루머다. 반대로 말하면 한중 수교와 인터넷 발달, 그로 인한 분탕종자들의 활동이 이런 거대한 오해의 시발점이라 할만하다. 이는 대만쪽도 별반 다르지 않아서, 마잉주 총통 시절 한국인 유학생이 직접 총통한테 공자 한국인설이 왜 이렇게 대만에 퍼져있는지 모르겠다는 식의 억울함까지 호소할 정도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522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522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