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MBC GAME 스타리그 일람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KPGA 투어 | |||
2002 KPGA 투어 1차 리그 | 리복배 KPGA 투어 2차 리그 | 펩시 트위스트배 KPGA 투어 3차 리그 | 스타우트&배스킨라빈스배 KPGA 투어 4차 리그 | |
MSL | ||||
Stout MSL | TG삼보 MSL | 하나포스 센게임 MSL | Spris MSL | |
당신은 골프왕 MSL | 우주닷컴 MSL | CYON MSL | 프링글스 MSL 시즌1 | |
프링글스 MSL 시즌2 | 곰TV MSL 시즌1 | 곰TV MSL 시즌2 | 곰TV MSL 시즌3 | |
곰TV MSL 시즌4 | Arena MSL 2008 | Clubday Online MSL 2008 | 로스트사가 MSL 2009 | |
아발론 MSL 2009 | NATE MSL | 하나대투증권 MSL | 빅파일 MSL | |
피디팝 MSL | ABC마트 MSL |
|
||
기타 대회 | ||||
2001 KPGA 8월 투어 | 2001 KPGA 9월 투어 | 2001 KPGA 10월 투어 | 2001 KPGA 11월 투어 | |
한빛소프트배 2001 KPGA 위너스 챔피언십 |
2003 K-TEC KPGA 위너스 챔피언십 |
레이디스 MSL |
[clearfix]
1. 개요
- 대회 기간: 2007년 9월 13일 ~ 2007년 11월 17일
- 스폰서: 그래텍
- 스폰서 캐치프레이즈: 24시간 무한채널, 곰TV
-
조 편성
A조 김택용, 이영호(T), 최연성, 이윤열
B조 송병구, 박대경, 권수현, 강민
C조 박태민, 주현준, 이재호, 이영호(P)
D조 이성은, 윤용태, 고인규, 박명수
E조 마재윤, 민찬기, 신상호, 박지수
F조 진영수, 오충훈, 안상원, 박성균
G조 강구열, 손주흥, 서지훈[1], 김윤환(T)
H조 박성준, 염보성, 이주영[2], 한상봉 - 우승: 박성균, 준우승: 김택용, 3위: 서지훈
- 결승 장소: 서울어린이대공원 DOM 아트홀 (초대가수: 브라운아이드걸스)
- 리그 슬로건: THE LIVE
- 오프닝 BGM: Papa Roach - …To Be Loved / ELLEGARDEN - Salamander[3]
- 결승전 오프닝 BGM: Linkin Park & Jay-Z - Encore/Numb
2. 사용 맵
곰TV MSL 시즌3 맵 | ||||
|
|
|
|
|
파이썬 | 로키 ll1 | 조디악 | 블루스톰 | |
1: 스폰서명을 붙여 사용 |
3. 특이사항
- 해설진 티저 오프닝의 시작.
- 김택용의 3연패가 박성균에게 저지됨.
- MSL 최연소 우승자 탄생[4]
- 역대 최초로 마패관광이 공식전에서 등장 (결승전 4경기에서 박성균이 김택용에게 우승을 확정 지으면서 시전)
- MSL 마지막 로열로더 탄생.
- 김택용, 유일한 단일리그 3연속 결승 진출한 프로토스가 되다. [5]
- 3년만에 eSTRO 소속 게이머가 MSL에 진출.[6]
- 공군 ACE 창단 이후 처음으로 12개팀이 모두 MSL 진출자 배출.
- 역대 최저 지명순위자 우승 (31번 시드자).[7]
- 테란, 최연성( Spris MSL)이래 3년 3개월만에 우승.
- 테란, 이윤열( 당신은 골프왕 MSL)이래 2년 9개월만에 결승 진출.
- 박성균, 위메이드 폭스로 재창단 후 팀내 처음이자 유일한 개인리그 우승 달성.
- MSL 마지막 테프전 결승전.[8][9]
-
마레기7연속 8강 진출. - 서지훈, 마모씨의 마지막 양대 개인리그 4강 진출.
- 구 GO 3종족 트리오 ( 강민, 박태민, 서지훈) 번갈아서 3연속 4강 진출. 3번 다 각자의 마지막 개인리그 4강. 3명 전부 김택용에게 4강에서 패배.
- 이영호의 첫 MSL 진출.
- 네임밸류만 보면 스1 역대 최강의 죽음의 조 등장(A조). 전부 금배지 수여자들(김택용, 이영호, 최연성, 이윤열)만으로 구성된 조. 4명의 커리어를 전부 합치면 우승 20회, 준우승 7회, 4강 11회라는 커리어의 조 탄생.[10]
- 이주영, 강구열의 마지막 MSL.
- 김윤환(T), 오충훈, 박대경의 처음이자 마지막 MSL 진출.
- 역대 결승전 중 선수들 평균 연령이 최연소였던 결승전.
- 역대 최초의 드래프트 세대 선수들과의 결승전이 성사된 MSL.[11] 그리고 이 대회의 결승전을 기점으로 모든 MSL 결승전은 드래프트 세대 선수들만의 결승전이 되었다.[12]
곰TV 시즌3 이승원 티저 오프닝 링크
곰TV 시즌3 오프닝 링크
곰TV 시즌3 목요일 브릿지 오프닝 링크
곰TV 시즌3 토요일 브릿지 오프닝 링크
곰TV 시즌3 결승전 오프닝 링크
자세한 대진표는 곰TV MSL 시즌3/대진표를 참고.
4. 리그 진행
4.1. 스틸드래프트 도입 후 최저 지명순번의 우승, 그리고 마패의 등장
시즌 시작, 아니 시즌 진행 중에도 아무도 박성균이 우승할 것이라고는 예상 못했다. 이전에도 그닥 존재감이 있는 선수가 아니었던 데다가 조지명식 시드 번호도 31번으로 최하위 번호(32번)[13]에서 바로 윗 번호였기 때문. 즉, 첫 진출자 중에서도 가장 전적이 없었다는 이야기. 박성균의 우승은 MSL이 스틸 드래프트로 조 지명식을 바꾼 이후 가장 낮은 지명 순번의 우승이다.준결승전에서 박성균이
하지만 박성균은 마XX을 쓰러트리고 결승에 진출해 김택용마저 꺾고 우승을 거머쥐었다. 그리고 이때의 리그 브레이커의 계보는 아레나 MSL의 박지수, 아발론 MSL 2009의 김윤환, 피디팝 MSL의 신동원, 로스트사가 MSL의 우승자까지 이어진다.
그래도 리그 브레이커가 우승한 것 치고는 결승전 관객이 만 명을 꽉 채울 정도로 흥행은 성공했기 때문에[15] 이원생중계를 하다가 안 좋은 날씨와 또 다른 리그 브레이커로 인해 말아먹은 아레나 MSL과 리그 개편으로 부커질을 일삼다가 저저전 결승으로 응징받아 흥행에 실패한 아발론 MSL, 우승자가 승부조작을 저지른 로스트사가 MSL과 비교해보면 큰 실례이다.[16]
무엇보다 박성균에게 있어서 값진 대회라고 볼 수 있는데, '최연소 로얄로더' 타이틀과 '양대리그 최연소 우승' 타이틀을 거머쥐면서 두 마리 토끼를 잡았다는 것이다. 물론 최연소 우승 타이틀은 이후 이영호가 박카스 스타리그 2008에서 우승하면서 빼앗겼지만, 브루드 워 리그가 종료될 때까지 '최연소 로얄로더' 타이틀은 유효했다. 다만 이 이후에 차기 대회 4강 진출을 제외하면 보여준 것이 매우 미미한 게 흠이다.
토스에게 유리한 맵인 로키Ⅱ에서 캐리어를 가고도 김택용이 마패관광을 당하면서 패배했기 때문에 김택용은 테막소리를 들으면서 엄청나게 까였다. 게다가 다음 대회에서는 광탈.
12월 22일에는 옆동네인 온게임넷에서 이제동이 송병구를 꺾고 EVER 스타리그 2007에서 로얄로더 우승을 차지하면서 로얄로더 후보 두 명이 택뱅을 격파하는 이변이 일어났다. 그래도 토스팬 입장에서 보면 준우승했던 리그 중에서 곰TV MSL 시즌 3쪽이 그나마 좀 더 낫다 싶을 정도다. 송병구가 EVER 스타리그 2007 결승전에서 호되게 당한 걸 생각하면 김택용이 당한 건 애교 수준이다.
이에 대해 이야기를 이어가보자면 김택용의 경기력은 기습전략을 사용한 2경기를 제외하고는 1세트 조디악, 3세트 파이썬에서 박성균의 단단한 메카닉 운용에 비해 수차례 꼬라박을 시전하며 낮은 경기력을 보여주었지만 경기력과는 별개로 결승전 4세트에 배치된 맵인 로키II가 토스에게 있어서 유리한 지형인 데다가 프로토스가 로키II에서 캐리어를 쓰게 되면 필승이라는 기록이 남아 있었다.
김택용도 이를 알고 있었는지 초반에 본진에 캐논 하나까지 지어가며 안정적으로 캐리어를 가기 위한 움직임을 보여준다. 무슨 생각이었는지 박성균은 첫번째 진출을 캐리어가 나온 후의 타이밍으로 잡았고, 덕분에 김택용은 박성균의 진출병력을 막아냈다. 그리고 캐리어를 차곡차곡 모으면서 박성균의 뒷마당 멀티를 파괴하고 나서 귀환하는 길에 뒷마당과 공중상으로는 매우 가깝지만 지상으로는 한참을 돌아야 하는 자투리 멀티까지 파괴해 버리고서 동시에 공격받고 있던 5시 멀티로 귀환하여 파일런과 캐논이 깨진 직후에 테란 병력을 정리해 버린다. 이 시점에서 경기는 김택용에게 최소한 8:2 이상으로 유리해졌다.
그러나 김택용은 그 이후로 그 많던 캐리어를 역대 최악의 가성비로 운용하면서 자멸해버린다. 하필이면 클로킹 레이쓰라는 변수와 박성균의 전술에 말려버렸는데 기습적인 레이스 활용에 캐리어 2대가 격추당한 채로 5시로 대피했고, 그 와중에 박성균은 은근슬쩍 김택용의 앞마당을 밀어버린다. 그와 동시에 김택용은 클로킹 레이스의 존재를 인지하고 나서도 무의미하게 이미 깨버린 박성균의 뒷마당에 가서 레이스와 교전하다가 캐리어 1대가 갉아먹혔으며, 박성균이 다시 5시를 공격하는 동안 골리앗에게 쫒기면서, 그리고 골리앗에게 맞고 있는데도 무빙샷을 하지 않고 그냥 맞으면서 때리다가 캐리어를 잃고, 본진에서 충원되는 캐리어를 지형활용 없이 무모하게 골리앗에게 들이대다가 대패하고 쫒겨가는 등 지속적으로 캐리어 운용에 미숙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물론 김택용이라고 호구는 아닌 만큼 그 와중에도 옵저버나 지상군 등을 지속적으로 충원해서 캐리어 저격용 유닛인 골리앗/레이쓰로부터 캐리어를 어떻게든 지켜내려 했으나 박성균은 그것조차 계산하고 있었다는 듯 탱크를 줄줄이 찍어내면서 골탱+레이쓰 조합으로 김택용을 계속 압박했다. 이렇게 레이쓰, 골리앗 조합에 캐리어가 격추당하고 지상군마저도 잃게 되면서 5시 멀티에 박성균에게 그 유명한 마패관광을 당하는 굴욕까지 당했다.[17]
사실 김택용도 프로토스 사상 최초로 3회 연속 MSL 결승전에 진출하면서 대회 3연패를 노리는 것까지는 좋았지만 박성균이 신인답지 않게 김택용보다 경기력이 좋았고 박성균의 전술에 말려버려 김택용은 프로토스 사상 최초로 MSL 3연패 우승 기록 달성이 좌절됐다. 김택용 입장에서는 곰TV MSL 시즌1, 시즌2에서 우승한 기세를 몰아서 이 리그마저 우승을 차지했으면 '프로토스 역사상 MSL 3연패'를 기록함과 동시에 단 기간에 금배지를 탈 수 있었고 본좌 입성에 더 가까워질 수 있었기에 두고두고 아쉬울 지경[18].
물론 그 정도는 애교에 불과했고 한 달 뒤인 EVER 스타리그 2007 결승전에서의 송병구는 결승전에서 저그를 상대로 우승 확률이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이보다 더 심각한 경기력을 선보이면서 프로토스에게 있어서 이보다 더한 흑역사를 남게 되었다. 물론 두 결승 다 두고두고 회자 될 정도의 짤방소스를 남겼지만 김택용이 준우승한 곰TV MSL 시즌3 결승전은 마패라는 웃음거리라도 있어서 덮어놓고 까기만 할 수는 없는데, 그 반면 송병구가 준우승한 EVER 스타리그 2007은 프로토스에게 큰 상처를 남긴 결승전이자 두고두고 까일 수밖에 없었던 결승전이었다. 게다가 박성균은 우승할만큼 매우 잘하기라도 했지[19] 이제동은 2경기의 기습적인 타이밍 러시와 스커지 컨트롤을 제외하고는 그다지 발군의 기량이라고 보기 어려웠기 때문에. 2007년 가을 시즌은 택뱅 2명이 동시에 추락한 흑역사급 시즌...
4.2. 벅지수 사건
16강 강민 vs. 박지수의 경기에서 간만에 버그 문제가 터졌다. 강민이 프로브 2기로 입구를 막고있던 박지수가 리턴카고를 이용한 SCV 비비기를 통해 본진에 진입했다. 이 버그는 김XX vs. 박성훈의 경기 이후로 금지시킨 버그라서 박지수가 몰수패당하면서 강민이 8강에 진출했다. 길게 보면 이 버그가 정ㅋ벅ㅋ의 시작점. 관련 영상4.3. 서지훈의 마지막 불꽃
서지훈이 8강에서 자신의 천적인 강민을 만나 클래식한 경기를 펼치며 4강에 진출, 개인리그에서의 마지막 불꽃을 내뿜었다.5. 오프닝 촬영 뒷이야기
시즌3 오프닝 촬영[20]이 밤을 새서 새벽 3시까지 진행되는 바람에 구단들은 불만을 품었고, 다음 시즌 오프닝 촬영에 32명 중 13명[21]만 참가하는 최악의 사태가 벌어졌다. 그럼에도 온게임넷 새벽 촬영에는 군소리 없이 참가했다.
[1]
지난 대회에서 8강 진출 후 기권한 이주영 선수의 자리를 채우기 위한 와일드카드전 결승전에서 송병구에 패해 8강 진출에 실패하였으나, 이주영 선수의 시드가 인정되면서 이와 짝을 맞추기 위해 추가로 시드를 받아 서바이버를 면제받았다.
[2]
지난 대회에서 8강 진출 후 기권하였으나 시드가 인정되어 서바이버를 면제받았다.
[3]
브릿지 오프닝 한정.
[4]
박성균의 16세 1개월. 양대리그 최연소 기록도 같이 세웠으나 그 기록은
이영호가
박카스 스타리그 2008에서 우승함으로써 깨졌다.
[5]
김택용 말고도 양대리그 합하여 단일리그 3연속 결승진출은
임요환,
이윤열,
최연성,
마모씨,
이제동,
이영호,
정명훈이 있었지만, 이들 중
프로토스는 한 명도 없었다. 마모씨와 이제동만 저그, 나머지는 전부 테란이었다.
[6]
이 대회 이전 eSTRO 소속 마지막 진출자가 핵사트론 드림팀 시절
당신은 골프왕 MSL에 참가한
김동진이었으며, 이네이쳐 탑으로 바뀐 후로는 1명도 MSL에 진출하지 못했다.
[7]
상위 시드권자를 우대해주는
MSL 시스템상 다시는 나오기 힘든 케이스라는 평가가 많았고, 실제로 그렇게 되었다.
[8]
MSL 한정.
온게임넷 스타리그와 양대리그를 모두 포함 시
tving 스타리그 2012 결승전에서
허영무와
정명훈이 맞붙은 것이 마지막이다.
[9]
특이하게도 MSL 결승전에서 테프전이 고작 4번 밖에 없었는데
펩시 트위스트배 KPGA 투어 3차 리그,
Stout MSL,
Spris MSL,
곰TV MSL 시즌3 이 네 개의 리그뿐이며, Stout MSL을 제외하면 모두 테란이 이겼다. MSL 결승전은 테저전 결승전이 11개로 가장 많은 편이고 저프전 결승이 5개인데 비해서 테프전 결승이 고작 4번뿐이었던 터라 테저전 결승과 저프전 결승전의 비중이 높은편인지라 저 두개의 결승전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심지어 이는 4번이나 있었던 저저전 결승과 동일 횟수이다.
[10]
다만 이 4명 중 이영호는 아직 정상에 당도하기 전인 매우 유망한 테란 정도였고, 최연성과 이윤열은 과거 날리던 시절 포스가 아니였기에 이들 중 정상급의 기량을 보여주던 선수는 김택용이 유일했다.
[11]
온게임넷 스타리그는 이보다 훨씬 늦은
BATOO 스타리그 08~09에서야
드래프트 세대 선수들만의 결승전이 성사되었다. 당시 매치업은
정명훈 vs
이제동.
[12]
온게임넷 스타리그 쪽은
올드 게이머 세대에 속하는
송병구의 롱런과
박성준의 부활 등 여러 요소로 인해 드래프트 세대만의 결승전이 그렇게 많지 않다. 전술한 바투 스타리그 외에
EVER 스타리그 2009,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시즌 1,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시즌 2,
진에어 스타리그 2011,
tving 스타리그 2012만이 드래프트 세대만의 결승전이다.
[13]
참고로 32번은
박대경이다.
[14]
이 당시에도 마재윤과 견줄 수 있는 저그들은 같은
마준동의 일원들인
김준영과
이제동 정도밖에 없었다.
[15]
무엇보다
테프전 결승이라서 그렇다. 바로 전 시즌
곰TV MSL 시즌2도 택뱅록과
프프전 결승, 5세트에서의 장기전과 맞물려서 흥행에 성공했기 때문.
[16]
그래도 아레나 MSL이 시청률은 건졌고 짤방소스를 남긴데다가 우승자가
다른 의미로 유명세를 탔기 때문에 어느 정도 회자되었다.
[17]
역사에 만약은 없다지만 만약에 김택용이 박성균의 뒷마당에서 레이스를 보자마자 캐리어를 빨리 빼고 자기 앞마당으로 돌려 거기 있는 박성균의 병력을 걷어내는데 사용한 후 지상 병력을 모으고 앞마당을 다시 활성화시켰으면 박성균은 남은 카드가 거의 없어졌을법한 상황이였다. 그야말로 박성균의 불리한 상황에서의 마지막 결단이 빛났던 경기.
[18]
금배지는 만 1년에 가까운 클럽데이 온라인 MSL 2008에서 허영무를 꺾고 우승하면서 탔다.
[19]
일단 김택용의 코리어만 부각되지만 그 코리어를 유도하게 만든건 박성균 본인의 우수한 기량으로 인한 심리적 우위 때문이였다. 거기다가 김택용도 패하긴 하고 미숙한 점도 많이 보여줬지만 명경기를 만들었을만큼 꽤나 잘했다.
[20]
참고로 촬영 장소는
여의도이다. 잘 보면
여의도공원 버스 중앙정류장과 여의도 증권가,
LG 트윈타워가 나온다.
[21]
11명 + 결승전 진출자 2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