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高祖
1.1. 묘호
<colbgcolor=#e3ba62><colcolor=#b22222> 군주의 묘호 高祖 | 고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e3ba62><colcolor=#b22222> 시법 |
고 高 肇紀立極(조기입극) : 기강을 만들고 표준을 세우다. |
조 祖 創業之主(창업지주) - 나라를 세운 군주. |
||
표기 |
한국 高祖 (고조) 중국 高祖 (gāo zǔ) 월남 高祖 (Cao Tổ) |
|
최종 수여 |
28명 한국 0명 중국 28명 월남 0명 |
|
관련 묘호 |
고종(高宗),
태조(太祖),
세조(世祖), 열조(烈祖), 시조(始祖), 성조(聖祖) |
}}}}}}}}} |
高祖
고(高)
肇紀立極(조기입극) : 기강을 만들고 표준을 세우다
肇紀立極(조기입극) : 기강을 만들고 표준을 세우다
태조와 함께 창업군주에게 주로 내려지거나, 주로 왕조의 건국자의 조상이 받는 묘호.
의외로 한고조라 일컬어지는 유방은 정확히는 묘호는 한 태조이며 시호가 고황제이다. 그러나 사마천의 사기에서 고조라고 일컬어진 것 때문에 한고조로 알려졌다. 유방에 대한 내용은 고황제 문서 참조.
1.1.1. 목록
성명 | 묘호 | 시호 | 재위기간 | 비고 |
자해 (子亥) |
상고조 (商高祖) |
중빈재신 (中斌財神) |
BC ?~BC ? | 상태조 추존 |
자리 (子履) |
상고조 (商高祖) |
무왕 (武王) |
BC 1600~BC 1589 | 이칭 태조(太祖) |
조비 (曹丕) |
조위고조[1] (曹魏高祖) |
문황제 (文皇帝) |
220~226 | 이칭 세조(世祖) |
사마의 (司馬懿) |
서진고조 (西晉高祖) |
선황제 (宣皇帝) |
- | 서진세조 추존 |
유연 (劉淵) |
한고조[2] (漢高祖) |
광문황제 (光文皇帝) |
304~310 | |
모용외 (慕容廆) |
전연고조 (前燕高祖) |
무선황제 (武宣皇帝) |
- | 전연태조 추존 |
장식 (張寔) |
전량고조 (前涼高祖) |
성렬왕 (成烈王) |
314~320 | |
부건 (苻健) |
전진고조 (前秦高祖) |
경명황제 (景明皇帝) |
350~355 | |
요흥 (姚興) |
후진고조 (後秦高祖) |
문환황제 (文桓皇帝) |
393~416 | |
석륵 (石勒) |
후조고조 (後趙高祖) |
명황제 (明皇帝) |
319~333 | |
걸복건귀 (乞伏乾歸) |
서진고조 (西秦高祖) |
무원왕 (武元王) |
388~400 409~412 |
|
유유 (劉裕) |
유송고조 (劉宋高祖) |
무황제 (武皇帝) |
420~422 | |
소연 (蕭衍) |
남량고조 (南梁高祖) |
무황제 (武皇帝) |
502~549 | |
진패선 (陳霸先) |
진고조 (陳高祖) |
무황제 (武皇帝) |
557~559 | |
원굉 (元宏) |
북위고조 (北魏高祖) |
효문황제 (孝文皇帝) |
471~499 | |
고환 (高歡) |
북제고조 (北齊高祖) |
신무황제 (神武皇帝) |
- | 북제후주 추존 |
우문옹 (宇文邕) |
북주고조 (北周高祖) |
무황제 (武皇帝) |
561~578 | |
양견 (楊堅) |
수고조 (隋高祖) |
문황제 (文皇帝) |
581~604 | |
이연 (李淵) |
당고조 (唐高祖) |
신요대성대광효황제 (神堯大聖大光孝皇帝) |
618~626 | |
세노라 (細奴邏) |
대몽고조 (大蒙高祖) |
기가왕 (奇嘉王) |
649~674 | |
석경당 (石敬瑭) |
후진고조 (後晉高祖) |
성문장무명덕효황제 (聖文章武明德孝皇帝) |
936~942 | |
유지원 (劉知遠) |
후한고조 (後漢高祖) |
예문성무소숙효황제 (睿文聖武昭肅孝皇帝) |
947~948 | |
왕건(전촉) (王建) |
전촉고조 (前蜀高祖) |
신무성효명덕혜황제 (神武聖孝明德惠皇帝) |
902~918 | |
양융연 (楊隆演) |
남오고조 (南吳高祖) |
선황제 (宣皇帝) |
919~920 | |
맹지상 (孟知祥) |
후촉고조 (後蜀高祖) |
문무성덕영렬명효황제 (文武聖德英烈明孝皇帝) |
934 | |
유엄 (劉龑) |
남한고조 (南漢高祖) |
천황대제 (天皇大帝) |
917~941 |
2. 할아버지의 할아버지
부계 혈족 관계 호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3px; color:#373a3c" |
<tablebgcolor=#ddd,#383b40> 남자 혈족 | 여자 혈족 | ||||||||||||||||||||||||||||||||||||
종현조할아버지 | 현조할아버지 | 현조할머니 | 현조고모할머니 | ||||||||||||||||||||||||||||||||||||
재종고조할아버지 | 재종고고모할머니 | 종고조할아버지 | 고조할아버지 | 고조할머니 | 고고모할머니 | 내재종고조할아버지 | 내재종고고모할머니 | ||||||||||||||||||||||||||||||||
재종증조할아버지 | 증조당고모할머니 | 종증조할아버지 | 증조할아버지 | 증조할머니 | 증고모할머니 | 내재종증조할아버지 | 내재종증고모할머니 | ||||||||||||||||||||||||||||||||
삼종조할아버지 | 삼종고모할머니 | 내삼종조할아버지 | 내삼종고모할머니 | 재종조할아버지 | 재종고모할머니 | 큰할아버지,작은할아버지 | {{{#!wiki style="margin:-10px -10px" |
할아버지 (조부) |
할머니 (조모) |
}}} |
고모할머니 (대고모,왕고모) |
내재종조할아버지 | 내재종고모할머니 | 내삼종조할아버지 | 내삼종고모할머니 | 내내삼종조할아버지 | 내내삼종고모할머니 | |||||||||||||||||||||
재당숙 (재종숙) |
재당고모 (재종고모) |
내재당숙 (내재종숙) |
내재당고모 (내재종고모) |
당숙 (종숙) |
당고모 (종고모) |
큰아버지 작은아버지 |
{{{#!wiki style="margin:-10px -10px" |
아버지 ( 아빠, 부) |
어머니 ( 엄마, 모) |
}}} | 고모 |
내당숙 (내종숙) |
내당고모 (내종고모) |
내재당숙 (내재종숙) |
내재당고모 (내재종고모) |
내내재당숙 (내내재종숙) |
내내재당고모 (내내재종고모) |
|||||||||||||||||||||
삼종형제자매 | 내삼종형제자매 | 내삼종형제자매 | 내내삼종형제자매 | 재종형제 | 재종자매 | 내재종형제 | 내재종자매 | 사촌 | 형제{{{#!wiki style="margin:-10px -5px" | 형 | 오빠 | |||||||||||||||||||||||||||
남동생 | }}} | <colbgcolor=#000033> 나 | 자매{{{#!wiki style="margin:-10px -5px" | 언니 | 누나 | |||||||||||||||||||||||||||||||||
여동생 | }}} | 고종사촌 | 내재종형제 | 내재종자매 | 내내재종형제 | 내내재종자매 | 내삼종형제자매 | 내내삼종형제자매 | 내내삼종형제자매 | 내내내삼종형제자매 | ||||||||||||||||||||||||||||
(종형제) | (종자매) | (내종형제) | (내종자매) | |||||||||||||||||||||||||||||||||||
재종질 | 재종생질 | 내재종질 | 내재종생질 |
당질 (종질) |
당생질 (종생질) |
조카(질) | 아들 | 딸 | 조카(생질) |
내당질 (내종질) |
내당생질 (내종생질) |
내재종질 | 내재종생질 | 내내재종질 | 내내재종생질 | |||||||||||||||||||||||
삼종손 | 이삼종손 | 내삼종손 | 내이삼종손 | 재종손 | 이재종손 | 종손 | 손자 | 손녀 | 외손자 | 외손녀 | 이손 | 내재종손 | 내이재종손 | 내삼종손 | 내이삼종손 | 내내삼종손 | 내내이삼종손 | |||||||||||||||||||||
재종증손 | 이재종증손 | 종증손 | 증손 | 외증손 | 이종증손 | 내종증손 | 내이종증손 | |||||||||||||||||||||||||||||||
재종현손 | 이재종현손 | 종현손 | 현손 | 외현손 | 이종현손 | 내재종현손 | 내이재종현손 | |||||||||||||||||||||||||||||||
종내손 | 내손 | 외내손 | 이종내손 |
6대손 이상 | ||||||||
곤손 (6대손) |
잉손 (7대손) |
운손 (8대손) |
이손 (9대손) |
6대조 이상 | ||||||||
열조 (6대조) |
태조 (7대조) |
원조 (8대조) |
비조 (9대조) |
범례 | ||||||||
나 | 직계존비속 | 이촌 | 삼촌 | 사촌 | 오촌 | 육촌 | 칠촌 | 팔촌 |
이동에 따른 촌수 관계 | ↔: 2촌 관계 | ↕: 1촌 관계 |
관련 문서 | ||||||||
같이 보기 (부계 호칭 · 모계 호칭) |
}}}}}}}}} ||
高 祖. 고조는 할아버지의 할아버지다. 증조부모에게 나는 증손이지만, 고조부모에게 나는 현손이다.
고조부모가 같은 방계친척은 팔촌으로 정식명칭은 삼종형제. 더불어 금혼의 마지노선이자 친척 중 가장 먼 사이. 부모는 서로 육촌, 조부모는 서로 사촌 지간으로 조부모의 친가+외가 까지 모두 포함되므로 범위가 엄청나게 넓어진다. 자세한 것은 팔고조도 참조. 한국의 민법이 비정상적으로 매우 넓은 친족 범위를 정해놔서 그렇지, 외국에서 팔촌은 사실상 남이다.[3]
나와 고조할아버지는 1/16(6.25%)의 유전자를 공유한다.
고조부모의 경우는 16명이 있다. 나와 성씨가 같은, 즉 대를 잇는 고조할아버지는 1명뿐이지만 증조부모가 8명이라 고조할아버지는 모두 8명, 고조할머니도 모두 8명으로 총 16명이다.[4]
3. 高調
높은 가락. 또는 감정이나 분위기가 한창 무르익을 때를 뜻한다.4. 일본 나라현의 도시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7f3653>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시 | ||
현청
나라시
|
고세시 | 고조시 | |
사쿠라이시 | |||
우다시 | 이코마시 | 카츠라기시 | |
카시바시 | 카시하라시 | 텐리시 | |
⬛︎ : 중핵시 |
||<-4><width=2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373a3c,#ddd><#7f3653>
정 ||
이코마군 | |||
산고초 | 안도초 | 이카루가초 | 헤구리초 |
시키군 | |||
카와니시초 | 미야케초 | 타카토리초 | |
기타카쓰라기군 | |||
카와이초 | 칸마키초 | 고료초 | 오지초 |
||<-4><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373a3c,#ddd><rowbgcolor=#eee,#191919>
요시노군 ||
시모이치초 | 오요도초 | 요시노초 |
촌 | ||||
우다군 | ||||
미츠에무라 | 소니무라 | 아스카무라 | ||
요시노군 | ||||
카미키타야마무라 | ||||
텐카와무라 | 토츠카와무라 | 시모키타야마무라 | 히가시요시노무라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