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7 13:53:07

위팔세갈래근

triceps brachii muscle에서 넘어옴

💪 근육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1%; min-height:2em"
{{{#!folding [ 보디빌딩의 분류 ]
{{{#!wiki style="letter-spacing:-0.05em; margin:-5px 0 -15px"
<colbgcolor=#eee,#333> 어깨 어깨세모근 · 돌림근띠 <colbgcolor=#eee,#333> 넓은등근 · 등세모근 · 척주세움근 · 뭇갈래근
가슴 큰가슴근 허리 앞톱니근 · 척주세움근
위팔두갈래근 · 위팔세갈래근 · 아래팔근 다리 큰볼기근 · 골반바닥근
배곧은근 · 배바깥빗근 · 배속빗근 · 배가로근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1%; min-height:2em"
{{{#!folding [ 의학 구분: 얼굴 및 목 ]
{{{#!wiki style="letter-spacing:-0.05em; margin:-5px 0 -15px"
머리덮개근육 뒤통수이마근 · 관자마루근
앞귓바퀴근 · 위귓바퀴근 · 뒤귓바퀴근A · 고막긴장근 · 등자근
A : 세 귓바퀴근들은 귀를 들고 올리나 사람에서는 보통 흔적기관으로만 남아 있음
얼굴 표정 눈둘레근 · 눈썹주름근
코근 · 눈살근 · 코중격내림근
입근육의 아래머리 입꼬리내림근 · 아래입술내림근 · 턱끝근
입근육의 위머리 입꼬리당김근 · 큰광대근 · 작은광대근 · 위입술올림근 · 위입술콧방울올림근 · 입꼬리올림근
입무리 입둘레근 · 볼근
씹기근육 관자근 · 깨물근 · 안쪽날개근 · 가쪽날개근
눈의 근육 위눈꺼풀올림근 · 위곧은근 · 아래곧은근 · 안쪽곧은근 · 위빗근 · 아래빗근
입 안 턱끝혀근 · 목뿔혀근 · 붓혀근
입천장 입천장올림근 · 입천장긴장근 · 입천장인두근 · 목젖근 · 입천장혀근
후두 반지방패근 · 뒤반지모뿔근 · 가쪽반지모뿔근 · 가로모뿔근 · 빗모뿔근 · 방패목뿔근 · 성대근 · 방패덮개근
인두 아래인두수축근 · 중간인두수축근 · 붓인두근 · 귀인두관인두근
넓은목근 · 목빗근 (복장갈래 · 빗장갈래)
목뿔 위 두힘살근 · 붓목뿔근 · 턱목뿔근 · 턱끝목뿔근
목뿔 아래 복장목뿔근 · 복장방패근 · 방패목뿔근 · 어깨목뿔근
척주 긴목근 · 긴머리근 · 앞머리곧은근 · 가쪽머리곧은근
척주 앞목갈비근 · 중간목갈비근 · 뒤목갈비근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1%; min-height:2em"
{{{#!folding [ 의학 구분: 팔 ]
{{{#!wiki style="letter-spacing:-0.05em; margin:-5px 0 -15px"
앞팔이음​근육 큰가슴근 · 작은가슴근 · 빗장밑근 · 앞톱니근
뒤팔이음​근육 바깥기원​어깨근육 얕은층 : 등세모근 · 넓은등근
깊은층 : 어깨올림근 · 마름근 ( 큰마름근 · 작은마름근)
자체기원​어깨근육 어깨세모근 · 큰원근 · 돌림근띠 근육 ( 가시위근 · 가시아래근 · 작은원근 · 어깨밑근)
위팔 앞칸 위팔두갈래근 · 위팔근 · 부리위팔근
뒤칸 위팔세갈래근 · 팔꿈치근A
A : 아래팔 뒤칸 근육으로 보기도 하며, 위팔세갈래근의 일부로 취급되기도 함
아래팔 앞칸 얕은층 : 원엎침근 · 노쪽손목굽힘근 · 긴손바닥근 · 자쪽손목굽힘근 · 얕은손가락굽힘근
깊은층 : 깊은손가락굽힘근 · 긴엄지굽힘근 · 네모엎침근
뒤칸 얕은층 : 위팔노근 · 긴노쪽손목폄근 · 짧은노쪽손목폄근 · 손가락폄근 · 새끼폄근 · 자쪽손목폄근
깊은층 : 손뒤침근 · 긴엄지벌림근 · 긴엄지폄근 · 짧은엄지폄근 · 집게폄근
엄지두덩근육 짧은엄지벌림근 · 짧은엄지굽힘근 · 엄지맞섬근 · 엄지모음근
새끼두덩근육 새끼벌림근 · 짧은새끼굽힘근 · 새끼맞섬근
짧은 근육 벌레근 · 등쪽뼈사이근 · 바닥쪽뼈사이근 · 짧은손바닥근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1%; min-height:2em"
{{{#!folding [ 의학 구분: 다리 ]
{{{#!wiki style="letter-spacing:-0.05em; margin:-5px 0 -20px"
볼기 큰볼기근 · 중간볼기근 · 작은볼기근
가쪽​돌림근 궁둥구멍근 · 속폐쇄근 · 위쌍동근 · 아래쌍동근 · 넙다리네모근 · 바깥폐쇄근A
A : 기능적으로는 볼기 부위의 가쪽돌림근들과 유사하지만 위치상으로는 넓적다리 근육에 가까움
넓적​다리 앞칸 엉덩허리근 ( 엉덩근 · 큰허리근) · 작은허리근 · 넙다리근막긴장근 · 넙다리빗근 · 넙다리네갈래근 ( 넙다리곧은근 · 가쪽넓은근 · 중간넓은근 · 안쪽넓은근) · 무릎관절근
안쪽칸 긴모음근 · 짧은모음근 · 큰모음근 · 두덩정강근 · 두덩근
뒤칸 반힘줄근 · 반막근 · 넙다리두갈래근 ( 햄스트링)
관련 구조물 넙다리삼각 · 넙다리혈관집 · 넙다리관 · 모음근굴 · 거위발
종아리 앞칸 앞정강근 · 긴발가락폄근 · 긴엄지폄근 · 셋째종아리근
가쪽칸 긴종아리근 · 짧은종아리근
뒤칸 얕은층 : 장딴지세갈래근 ( 장딴지근 · 가자미근) ( 아킬레스건B) · 장딴지빗근
B : 장딴지근과 가자미근이 모여서 이루는 발꿈치힘줄이므로 작성
깊은층 : 오금근 · 긴엄지굽힘근 · 긴발가락굽힘근 · 뒤정강근
발등 짧은발가락폄근 · 짧은엄지폄근C
C : 짧은발가락폄근의 일부로 취급되기도 하나 여기서는 서로 다른 근육으로 작성
발바닥 1층 : 엄지벌림근 · 짧은발가락굽힘근 · 새끼벌림근
2층 : 벌레근 · 발바닥네모근
3층 : 짧은엄지굽힘근 · 엄지모음근 · 짧은새끼굽힘근
4층 : 바닥쪽뼈사이근 · 등쪽뼈사이근
}}}}}}}}}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틀:얼굴과 목의 근육, version=17, uuid=99c736e8-18c3-4b14-9e4f-5389dd29525c,
title2=틀:팔의 근육, version2=7, uuid2=a289455d-3589-4635-809c-7c5e35475e9d,
title3=틀:하반신의 근육, version3=15, uuid3=72291e44-c1e6-4299-825d-d35ac4d12ff4)]
위팔세갈래근
Triceps brachii m.
[1]
파일:triceps brachii.png
근육명 위팔세갈래근
이는곳(Origin)과 닿는곳(Insertion)
이는곳 긴갈래(장두, Long head): 어깨뼈의 오목아래결절(관절하결절,Infraglenoid tubercle of scapula)

가쪽갈래(외측두, Lateral head): 노신경고랑(Radial groove) 위쪽의 위팔뼈 뒷면

안쪽갈래(내측두, Medial head): 노신경고랑 아래쪽의 위팔뼈 뒷면
닿는곳 자뼈 팔꿈치머리
(Olecranon process of ulna)
동맥과 신경지배
동맥 Deep brachial artery, posterior circumflex humeral artery (long head only)
신경지배 Radial nerve and Axillary nerve
기능
아래팔의 주된 폄근(Extensor), 긴갈래는 위팔뼈의 탈구를 방지함(특히 모으고 있는 동안)

1. 개요2. 운동법

[clearfix]

1. 개요

Triceps brachii, 보통 삼두근이라고 부른다. 의학 용어로는 '위팔세갈래근'.[2]

상박의 뒤쪽에 있는 근육. 세 개의 머리를 가지고 있어 위팔세갈래근라고 불리며 위팔두갈래근보다 크기가 월등히 크다[3]. 따라서 굵은 팔뚝을 갖고 싶다면 위팔두갈래근보다는 위팔세갈래근 키우는 데에 더 집중해야 한다.

위팔세갈래근 아래(팔꿈치 위쪽)에서 시작되어 팔꿈치 위쪽에 붙어있는 위팔세갈래근 힘줄을 당겨 팔을 펼치고 뻗는 작용을 한다.

위팔세갈래근은 장두, 외측두, 내측두의 세가지 근육무리로 이루어져 있다. 장두는 속근의 비율이 지근보다 조금 더 크고 팔을 뒤로 보내거나 팔을 피는데 사용된다. 외측두는 속근이 비율이 크고 내측두는 지근의 비율이 더 크며 둘 다 팔을 피는데 사용된다. 위팔두갈래근보다 크고 넓지만 힘이 작용하는 범위가 더 넓기 때문에 근육무리 하나하나만의 힘은 위팔두갈래근과 엇비슷한 정도(물론 단련에 의한 개인차는 당연히 생긴다).

장두, 외측두+내측두의 방식으로 고립운동을 하기도 하지만 역시 보통은 위팔두갈래근처럼 하나의 근육무리로 쳐서 운동한다. 작은 근육무리이기도 하고, 신근의 특성상 혼자서 작용하기 힘들기 때문이기도 한데, 이런 단조로움을 피하기 위해 리버스 그립 등의 훈련도 많이 하는 편. 그리고 사실상 위팔두갈래근이 친업에서 많이 사용되는 것처럼 위팔세갈래근도 벤치프레스, 딥스, 오버헤드 프레스 등 다양한 복합다관절 운동에서도 충분히 사용된다. 그래서 보디빌더가 아닌 일반인이라면 위팔세갈래근의 고립운동도 좋지만 이러한 복합 다관절 운동을 이용해 위팔세갈래근 뿐만 아닌 다른 근육도 사용할 수 있어 적은 시간으로도 더 많은 근육을 단련할 수 있다.

하지만 보디빌더들이 바보도 아니고 다관절 운동만으로도 충분하다면 고립운동은 하지 않았을 것이다. 보디빌딩식 운동이 근비대 차원에서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인 것은 자명하고 보디빌딩식 운동은 주동근과 협응근을 명백히 구분한다. 즉 보디빌딩식으로는 다관절 운동을 할 때에도 협응근이 존재하더라도 분명히 타겟으로하는 주동근에 집중을 하고 협응근에 불과했던 부위를 주동근으로하는 고립운동도 병행하는 것이다. 그렇기에 보디빌딩식 관점에서는 복합다관절 운동만으로 모든 부위를 다 단련시키는데 충분하다는 말이 과하다고 느껴질 수 있다. 협응근으로서의 성장에는 한계가 분명하고 협응근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운동을 하면 주동근의 성장에도 방해가 되기 때문이다.

이 부분은 주로 가슴운동을 할 때 협응근으로 쓰이고[4] 위팔세갈래근만을 따로 주동근으로 운동하려면 오버헤드 익스텐션, 케이블 프레스 다운, 라잉 트라이셉스 익스텐션(스컬 크러셔) 등이 좋다.

맨 위의 설명을 보면 알 수 있지만 팔을 펴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팔굽혀펴기에서 의외로 굉장히 중요한 근육이다. 운동을 안 하던 사람이라면 상체 근육[5]이 부족한데, 그중에도 잘 보이지 않는 위팔세갈래근은 더 한 편.[6] 이 때문에 팔굽혀펴기를 할 때 가슴은 괜찮은데 위팔세갈래근이 안 받쳐줘서 못하는 사람도 상당수이다. 이런 경우에는 위팔세갈래근을 따로 단련해줘야 한다. 일반적인 푸쉬업만으로는 위팔세갈래근단련이 부족하다. 푸쉬업의 주동근은 위팔세갈래근이 아니라 큰가슴근이기 때문이다. 위팔세갈래근을 발달시키기 위해서 푸쉬업을 하는거라면 팔을 좁게 벌려서 하거나 위팔세갈래근 푸쉬업을 해줌으로써 발달시킬 수 있다.

심미적인 목적의 중요성도 있지만 팔을 펴거나 밀어낼 때 쓰는 근육이니만큼 복싱, 무에타이와 같은 격투기에서도 펀치력 향샹을 위해 매우 중요한 부위로 취급되는 부위이기도 하다. 실제로 원투 동작에서 위팔세갈래근의 수축이 펀치 충격량에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게 사실이고 실제로 링에서 뛰는 선수들도 위팔세갈래근 훈련에 꽤 신경을 쓰는 경우가 많아 위팔두갈래근은 가늘어도 위팔세갈래근이 꽤 굵은 선수들이 많다.

2. 운동법


[1] 아래 그림은 사람의 뒷모습을 형상화 한것으로, 쇄골처럼 보이는 부위는 쇄골이 아닌 어깨뼈(날개뼈)이다. [2] 일본을 통해 유입된 한자어를 바탕으로 기초가 구축된 의학 용어는, 한글화 주장이 계속되면서 여러 번 개정되고 있다. [3] 물론 이것은 사람 따라 다르며 위팔세갈래근보다 위팔두갈래근이 더 큰 사람도 있다. 예를 들어 어마무시한 사이즈로 유명했던 보디빌더 마커스 륄이나 귄터 쉴리어캄프의 경우 위팔두갈래근에 비해 위팔세갈래근이 매우 작았다. [4] 왜냐면 가슴운동 대부분이 팔을 밀어내는(피는) 동작을 취하기 때문, 대표적인 가슴운동인 푸쉬업 벤치 프레스가 그 예시. [5] 운동 초반에는 무게도 하체가 압도적으로 높다. 이때문에 운동을 새로 시작한 사람들은 자신의 하체가 매우 강하다는 착각에 빠지기도 한다. 하지만 이는 호모 사피엔스의 종특일 뿐 자신의 하체가 특별히 강한 것이 아니라 당연한 것이고 운동부족으로 인해 상체가 부실한 것으로 봐야한다. [6] 보통 운동 안 하던 사람들이 운동할 때는 거울로 확인이 가능한 위팔두갈래근 큰가슴근으로 시작한다. [7] 이건 적응 단계일뿐 위팔세갈래근 크기 향상에 관계없고 결국 스컬 크러셔 단계를 가야한다 [8] 양 팔의 너비를 좁게 하면 위팔세갈래근에 좀 더 자극을 줄 수 있다. 다만 부상 위험이 상당히 커진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