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0%;" {{{#!folding [ Collaboration ] |
<tablewidth=100%> | |
2004 - 2009 |
2011 - |
- [ Studio Albums ]
- ||<tablebgcolor=white,#191919><tablecolor=#000,#fff><tablewidth=100%><width=20%><rowbgcolor=#fff,#191919> ||<width=20%> ||<width=20%> ||<width=20%> ||<width=20%> ||
1973
1974
1974
1975
1976
1977
1978
1980
1980
1982
1984
1986
1989
1991
1995이후의 콜라보레이션 앨범에 관한 내용은 퀸(밴드)/+ 폴 로저스, 퀸(밴드)/+ 아담 램버트 문서의 '디스코그래피' 문단을 참조하십시오.
- [ Live Albums ]
- ||<tablebgcolor=white,#191919><tablewidth=100%><width=20%><rowbgcolor=#ffffff,#191919><tablecolor=#000,#fff> ||<width=20%> ||<width=20%> ||<width=20%> ||<width=20%> ||
- [ Compilations ]
- ||<tablebgcolor=white,#191919><table color=#373a3c,#ddd><tablewidth=100%><width=20%><rowbgcolor=#ffffff,#191919> ||<width=20%> ||<width=20%> ||<width=20%> ||<width=20%> ||
Greatest Hits
1981Greatest Hits II
1991Classic Queen (미국 한정)
1992The 12" Collection
1992Queen Rocks
1997Greatest Hits III
1999Stone Cold Classics
2006The A-Z of Queen, Volume 1
2007Absolute Greatest
2009Deep Cuts, Volume 1 (1973-1976)
2011Deep Cuts, Volume 2 (1977-1982)
2011Deep Cuts, Volume 3 (1984-1995)
2011Icon (미국/캐나다 한정)
2013Queen Forever
2014Greatest Hits in Japan (일본 한정)
2020
- [ Box Sets ]
- ||<tablebgcolor=white,#191919><table color=#373a3c,#ddd><tablewidth=100%><width=20%><rowbgcolor=#ffffff,#191919> ||<width=20%> ||<width=20%> ||<width=20%> ||<width=20%> ||
{{{#!folding [ 관련 문서 ]
}}}}}} ||
퀸의 스튜디오 앨범 |
||||||
1973년 7월 13일 1집 Queen |
→ |
1974년 3월 8일 2집 Queen II |
→ |
1974년 11월 8일 3집 Sheer Heart Attack |
||
Queen II의 주요 수상
|
||||||
|
Queen II | |
|
|
<colbgcolor=#1B1921><colcolor=#FEFCF8> 발매일 | 1974년 3월 8일 |
녹음 기간 | 1973년 8월 5일 ~ 1974년 2월 20일 |
장르 | 하드 록, 글램 록, 아트 록, 프로그레시브 록 |
재생 시간 | 40:42 |
곡 수 | 11곡 |
스튜디오 | 트라이던트 스튜디오 |
프로듀서 |
Queen 로이 토마스 베이커 로빈 제프리 케이블 |
레이블 |
EMI 엘렉트라 레코드 |
1. 개요2. 상세3. 트랙 리스트
3.1. White side
4. 라이브 투어3.1.1.
Procession3.1.2.
Father to Son3.1.3.
White Queen (As It Began)3.1.4.
Some Day One Day3.1.5.
The Loser in the End
3.2. Black Side3.2.1.
Ogre Battle3.2.2.
The Fairy Feller's Master-Stroke3.2.3.
Nevermore3.2.4.
The March of the Black Queen3.2.5.
Funny How Love Is3.2.6.
Seven Seas of Rhye
3.3. 관련 트랙[clearfix]
1. 개요
퀸의 정규 2집 앨범.
2. 상세
전년도에 발매한 전작인 데뷔 앨범에 비해 환골탈태를 했다고 할 정도로 발전과 진보를 보여준 앨범이다. 평론가들과 매니아들 사이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는 앨범이라 할 정도로 그 실험성과 완성도가 뛰어나다. 비로소 퀸의 음악세계가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하지만 안타깝게도 상업적으로 큰 성공은 거두지 못했다. "만약 이 앨범이 크게 성공했다면 퀸의 음악세계는 완전히 달라졌을 것이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이다.[1]퀸의 처음이자 마지막 컨셉트 앨범이라 그런지 앨범 전체가 하나의 메들리처럼 이어져 있다. 마치 판타지 소재의 뮤지컬을 보는 듯한 전개로 되어 있는 것이 프레디 머큐리가 평소 좋아했던 오페라풍 분위기와 구성이 그대로 드러난다. 숨겨진 명곡이라 평가받는 'The March Of The Black Queen'은 앨범의 성격을 분명하게 보여주는 아름다운 대서사시이다.[2]
이 앨범에서 가장 주목받았던 곡은 싱글로 발매되었던 Seven Seas of Rhye. 1집에 수록된 짧은 연주곡 트랙을 가사를 추가하고 좀 더 사운드를 보강해서 앨범에 수록하게 된 것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곡이 처음으로 영국 싱글차트 10위권에 진입하면서 퀸의 첫 히트곡이 되었다.
아이러니하게도 당시 퀸 멤버들은 이 앨범을 실패했다고 생각하고선 이후의 퀸 노래들이 좀 더 대중적이고 미니멀리즘한 방향으로 선회하게 만드는 결과를 낳았다.
참고로, 로저는 이 앨범의 크레딧에 본명 '로저 메도스-테일러(Roger Meddows-Taylor)'로 등장한다. 이는 1집과 2집 한정으로, 3집부터는 로저 테일러로 표시되어 나왔다.
앨범 발매 직후 영국의 록밴드 'Mott the Hoople'과 투어를 진행하였으나 미국 투어 도중 브라이언에게 간염증세가 찾아와 건강이 나빠졌고 투어를 중단하기도 했다.[3]
건즈 앤 로지스의 보컬리스트 액슬 로즈는 "무덤까지 가지고 가야 할 앨범." 이라 표현하며 깊은 애정을 과시하며 극찬한 것으로 유명하다.
앨범 자체는 명반이라고 칭해지는 높은 평가와는 별개로 대중적으로는 그렇게까지 유명하지는 않지만 앨범 아트는 퀸을 상징하는 이미지로 여겨질 정도로 매우 유명하며, 매체에 등장한 패러디도 셀 수 없이 많다. 조셉 폰 스턴버그가 감독하고 마를레네 디트리히가 출연한 영화 상하이 익스프레스의 한 장면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한다. 대표곡 보헤미안 랩소디의 뮤직비디오도 이 앨범 아트를 기반으로 해서 제작되었고, One Vision 뮤직비디오 인트로에 10년 후의 멤버들이 셀프 패러디한 모습을 볼 수 있다. 여러 매체에서 패러디되었을 만큼 다른 수많은 아티스트들도 이 앨범 아트를 패러디했는데, 국내에서는 신해철이 리더로 있는 밴드 N.EX.T의 5.5집 ReGame?의 앨범 아트에서 이 Queen II 앨범의 앨범 아트를 패러디하였다.
3. 트랙 리스트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1B1921><tablebgcolor=#1B1921>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hite Side | |||
<rowcolor=#FEFCF8> 트랙 | 곡명 | 러닝타임 | ||
<colcolor=#000,#000> 1 | <rowcolor=#000> Procession | 1:12 | ||
2 | <rowcolor=#000> Father to Son | 6:14 | ||
3 | <rowcolor=#000> White Queen (As It Began) | 4:34 | ||
4 | <rowcolor=#000> Some Day One Day | 4:23 | ||
5 | <rowcolor=#000> The Loser in the End | 4:02 | ||
Black Side | ||||
<rowcolor=#FEFCF8> 트랙 | 곡명 | 러닝타임 | ||
1 | <rowcolor=#000> Ogre Battle | 4:10 | ||
2 | <rowcolor=#000> The Fairy Feller's Master-Stroke | 2:40 | ||
3 | <rowcolor=#000> Nevermore | 1:17 | ||
4 | <rowcolor=#000> The March of the Black Queen | 6:33 | ||
5 | <rowcolor=#000> Funny How Love Is | 2:50 | ||
6 | <rowcolor=#000> Seven Seas of Rhye | 2:50 | ||
관련 트랙 | ||||
<rowcolor=#FEFCF8> 트랙 | 곡명 | 러닝타임 | ||
1 | <rowcolor=#000> See What a Fool I've Been | 4:32 | ||
3.1. White side
3.1.1. Procession
|
Procession 01 1' 12" |
3.1.2. Father to Son
|
Father to Son 02 6' 14" |
3.1.3. White Queen (As It Began)
|
White Queen (As It Began) 03 4' 34" |
3.1.4. Some Day One Day
|
Some Day One Day 04 4' 23" |
3.1.5. The Loser in the End
|
The Loser in the End 05 4' 02" |
3.2. Black Side
3.2.1. Ogre Battle
|
Ogre Battle 01 4' 10" |
3.2.2. The Fairy Feller's Master-Stroke
|
The Fairy Feller's Master-Stroke 02 2' 40" |
3.2.3. Nevermore
|
Nevermore 03 1' 17" |
3.2.4. The March of the Black Queen
|
The March of the Black Queen 04 6' 33" |
3.2.5. Funny How Love Is
|
Funny How Love Is 05 2' 50" |
3.2.6. Seven Seas of Rhye
|
Seven Seas of Rhye 06 2' 47" |
3.3. 관련 트랙
3.3.1. See What a Fool I've Been
|
See What a Fool I've Been 01 4' 32" |
4. 라이브 투어
자세한 내용은 Queen II/라이브 투어 문서 참고하십시오.
[1]
그렇다고 완전한 실패는 아니었는데 앨범 차트에 들었을 뿐만 아니라 발매 당시인 1974년에 10만 장을 파는 데 성공했다.
[2]
Bohemian Rhapsody와 더불어 퀸 초기 최고의 명곡으로 꼽는 팬들이 많다.
[3]
이때 영국으로 돌아온 기억이 멤버들마다 다른데, 브라이언 본인은 스스로가 아픈 것을 인지한 후 영국으로 돌아왔다고 기억했지만 다른 멤버들은 브라이언이 스스로가 아픈 것을 알아차릴 틈 없이 황급히 귀국했다고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