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7 12:59:20

김형규(프로게이머)

Kellin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10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 파일:Dplus KIA 로고(화이트).svg Dplus KIA
2024 시즌 로스터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wiki style="word-break:keep-all"
<colbgcolor=#000><colcolor=#fff>감독 [[이재민(e스포츠)|이재민
Zefa
]]
코치 [[김상수(e스포츠)|김상수
Ssong
]]|[[박준형(e스포츠)|박준형
Bubbling
]]
로스터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황성훈|황성훈
Kingen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용혁|최용혁
Lucid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crwn.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허수(프로게이머)|허수
ShowMaker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하람|김하람
Aiming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P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형규(프로게이머)|김형규
Kellin
]]
LCK 참가팀 로스터 }}}}}}}}}}}}
김형규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92B><tablebgcolor=#1C192B> 파일:LCK 로고 흰색.svg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2nd All-Pro Team
}}} ||
{{{#!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6px"
<rowcolor=#fff> 시즌 대회 파일:LCK_TOP_white1.png
TOP
파일:LCK_JGL_white1.png
JGL
파일:LCK_MID_white1.png
MID
파일:LCK_BOT_white1.png
BOT
파일:LCK_SUP_white1.png
SPT
2020 스프링 파일:Gen.G 로고.svg 파일:Gen.G 로고 화이트 골드.svg Rascal 파일:T1 LoL 로고.svg Cuzz 파일:DRX 로고(2020~2022).svg Chovy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 화이트.svg Aiming 파일:T1 LoL 로고.svg Effort
서머 파일:T1 LoL 로고.svg Canna 파일:Gen.G 로고.svg 파일:Gen.G 로고 화이트 골드.svg Clid 파일:DRX 로고(2020~2022).svg Chovy 파일:DAMWON.png Ghost 파일:DRX 로고(2020~2022).svg Keria
2021 스프링 파일:Gen.G 로고.svg 파일:Gen.G 로고 화이트 골드.svg Rascal 파일:DRX 로고(2020~2022).svg Pyosik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 (텍스트).svg Chovy 파일:T1 LoL 로고.svg Teddy 파일:DWG KIA 엠블럼.svg BeryL
서머 파일:DWG KIA 엠블럼.svg Khan 파일:DWG KIA 엠블럼.svg Canyon 파일:Gen.G 로고.svg 파일:Gen.G 로고 화이트 골드.svg Bdd 파일:Gen.G 로고.svg 파일:Gen.G 로고 화이트 골드.svg Ruler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Kellin
2022 스프링 파일:kt 롤스터 로고.svg Rascal 파일:T1 LoL 로고.svg Oner 파일:Gen.G 로고.svg 파일:Gen.G 로고 화이트 골드.svg Chovy 파일:Gen.G 로고.svg 파일:Gen.G 로고 화이트 골드.svg Ruler 파일:DRX 로고(2020~2022).svg BeryL
서머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Doran 파일:T1 LoL 로고.svg Oner 파일:T1 LoL 로고.svg Faker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Prince 파일:T1 LoL 로고.svg Keria
2023 스프링 파일:kt 롤스터 로고.svg Kiin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Peanut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Chovy 파일:Dplus KIA 로고.svg 파일:Dplus KIA 로고(화이트).svg Deft 파일:Dplus KIA 로고.svg 파일:Dplus KIA 로고(화이트).svg Kellin
서머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Doran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Peanut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Chovy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Peyz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Delight
2024 스프링 파일:T1 로고.svg Zeus 파일:T1 로고.svg Oner 파일:T1 로고.svg Faker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 (텍스트).svg Viper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Lehends
}}}}}}}}} ||

파일:LCK 로고 흰색.svg 3000어시스트 달성 선수 일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이름
ID
당시 소속 팀 현 소속 팀 포지션 달성일자 최종 기록
[[강범현|강범현
GorillA
]]
파일:LongZhu Gaming 로고.png 은퇴 파일:LCK_SUP.png 파일:LCK_SUP_white1.png 2017.08.26 4137어시스트
[[이재완|이재완
Wolf
]]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은퇴 파일:LCK_SUP.png 파일:LCK_SUP_white1.png 2018.03.04 3096어시스트
[[고동빈|고동빈
Score
]]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 화이트.svg 은퇴 파일:LCK_JGL.png 파일:LCK_JGL_white1.png 2018.06.23 3549어시스트
[[이상혁|이상혁
Faker
]]
파일:T1 LoL 로고.svg 파일:LCK_MID.png 파일:LCK_MID_white1.png 2020.07.03 -
[[박종익|박종익
TusiN
]]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 화이트.svg 은퇴 파일:LCK_SUP.png 파일:LCK_SUP_white1.png 2020.07.26 3152어시스트
[[김혁규|김혁규
Deft
]]
파일:DRX 로고(2020~2022).svg 파일:kt 롤스터 로고.svg 파일:kt 롤스터 로고(다크모드).svg 파일:LCK_BOT.png 파일:LCK_BOT_white1.png 2022.02.19 -
[[한왕호|한왕호
Peanut
]]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 (텍스트).svg 파일:LCK_JGL.png 파일:LCK_JGL_white1.png 2022.07.22 -
[[손시우|손시우
Lehends
]]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LCK_SUP.png 파일:LCK_SUP_white1.png 2022.08.10 -
[[곽보성|곽보성
Bdd
]]
파일:kt 롤스터 로고.svg 파일:kt 롤스터 로고(다크모드).svg 파일:LCK_MID.png 파일:LCK_MID_white1.png 2023.03.05 -
[[류민석|류민석
Keria
]]
파일:T1 LoL 로고.svg 파일:LCK_SUP.png 파일:LCK_SUP_white1.png 2023.03.11 -
[[김정민(2000)|김정민
Life
]]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 (텍스트).svg 파일:FPX 로고 2021.svg 파일:LCK_SUP.png 파일:LCK_SUP_white1.png 2023.04.02 -
[[조건희|조건희
BeryL
]]
파일:DRX 로고.svg 파일:DRX 로고(화이트).svg 파일:kt 롤스터 로고.svg 파일:kt 롤스터 로고(다크모드).svg 파일:LCK_SUP.png 파일:LCK_SUP_white1.png 2023.06.29 -
[[김건부|김건부
Canyon
]]
파일:Dplus KIA 로고.svg 파일:Dplus KIA 로고(화이트).svg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LCK_JGL.png 파일:LCK_JGL_white1.png 2023.07.16 -
[[문우찬|문우찬
Cuzz
]]
파일:kt 롤스터 로고.svg 파일:kt 롤스터 로고(다크모드).svg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 파일:LCK_JGL.png 파일:LCK_JGL_white1.png 2023.08.10 -
[[정지훈(2001)|정지훈
Chovy
]]
파일:Gen.G 로고 심플.svg 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LCK_MID.png 파일:LCK_MID_white1.png 2024.03.06 -
[[김형규(프로게이머)|김형규
Kellin
]]
파일:Dplus KIA 로고.svg 파일:Dplus KIA 로고(화이트).svg 파일:LCK_SUP.png 파일:LCK_SUP_white1.png 2024.03.31 -
,,
ID
: 현역
ID
: 은퇴/무소속/현 타 리그 소속
☆ : 3500어시스트 달성 선수
★ : 4000어시스트 달성 선수,,
}}}}}}}}} ||

{{{#!wiki style="margin:-10px" <table 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d3e4f><tablebgcolor=#1d3e4f> 파일:LOL-white-1.png League of Legends
역대 한국 서버 1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6px"
<rowcolor=#fff> 시즌 종료일 이름 소환사명 티어
2012 시즌 2012.11.08. 전호진 IM Lil4c 2739(다이아몬드)
2013 시즌 2013.11.11. 이상혁 SKT T1 Faker 챌린저 886LP
2014 시즌 2014.11.11. 김상문 KT Nagne 챌린저 1252LP
2015 시즌 2015.11.10. 이예찬 SKT T1 Scout 챌린저 1347LP
2016 시즌 2016.11.07. 문우찬 Cuzz 챌린저 1180LP
2017 시즌 2017.11.07. 김혁규 deft123456 챌린저 1212LP
2018 시즌 2018.11.12. 이승용 타 잔 챌린저 1270LP
2019 시즌 2019.11.18. 문우찬 Cuzz 챌린저 1589LP
2020 시즌 2020.11.10. 박도현 HLE Viper 챌린저 1539LP
2021 시즌 2021.11.15. 위즈민 WUXIANJINBU 챌린저 1593LP
2022 시즌 2022.11.14. 린위훙 ruanxiu 챌린저 1669LP
2023 시즌 스플릿 1 2023.07.17. 김형규 댕청잇 챌린저 1859LP
2023 시즌 스플릿 2 2024.01.10. 김건우 아이유 챌린저 1955LP
2024 시즌 스플릿 1 2024.05.14. 구관모 관 모 챌린저 1598LP
소환사명과 점수는 시즌 종료 당시 기준 }}}}}}}}}

파일:2024 spring DK Kellin.png
<colbgcolor=#000><colcolor=#fff> Dplus KIA
Kellin
김형규 (金亨圭 | Kim Hyeong-gyu)
출생 2001년 2월 1일 ([age(2001-02-01)]세)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ID 댕청잇 #KR123 #
참새크면비둘기 #KR1 #
포지션 서포터
데뷔 2018년 12월 19일
(데뷔일로부터 [dday(2018-12-18)]일째, [age(2018-12-19)]주년)
소속 Jin Air Greenwings
(2018.11.26 ~ 2019.10.31)
Gen.G
(2019.12.10 ~ 2020.11.17)
Nongshim RedForce[1]
(2020.11.29 ~ 2021.11.18)

Dplus KIA[2][3]
(2021.12.01 ~ 2024.11.18예정)
서명 파일:켈린싸인.jpg
파일:치지직 아이콘.svg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플레이 스타일
2.1. 장점2.2. 단점2.3. 총평
3. 선수 경력
3.1. 대회 경력3.2. 주요 경력
4. 별명5. 여담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現 LCK Dplus KIA 소속 서포터.

2. 플레이 스타일

2.1. 장점

나미나 룰루 같이 유틸폿을 주로 다루는 선수 답게 이러한 주류픽으로 나오는 유틸폿을 기반으로 한 라인전 수행 능력은 상당한 편으로, 이러한 챔프폭에 수혜를 입어 진에어 시절부터 라인전만큼은 항상 중상위권에서 상위권으로 취급받았다.[4] 젠지에 와서는 룰러와 함께하면서 더욱 향상된 라인전 기량을 보여주었으며, 젠지 시절 같이 뛰었던 라이프와 비슷한 수준이다. 다만 라이프는 여차하면 이니시를 걸어서 상대를 일거에 부수는 매우 호전적인 라인전을 추구하고, 켈린은 원딜을 보호하고 적절한 딜 교환을 통해 손해를 지속적으로 누적시켜 상대를 갉아먹고 압박하는 스타일의 라인전을 보여준다.

안전지향적인 플레이를 즐겨하다보니 라인전 단계에서 의문사 빈도 역시 손에 꼽을 정도로 적고, 받쳐주는 서포터를 할 때 제일 좋은 모습을 보인다. 특히 바드로 인상적인 모습을 많이 보여주는데, 라인전에선 적절한 힐링을 통해 원딜을 잘 보호하면서 뛰어난 스킬샷으로 단단하면서 최대한 손해를 보지 않게 플레이한다. 연차가 쌓이면서 가장 좋은 모습을 보여주는 챔피언들은 카르마, 럭스, 유미, 나미, 룰루, 레나타 등 원거리 유틸형 서폿들이다.

2.2. 단점

라인전이 강하다는 것과는 별개로 라인전의 이득을 타 라인에 영향을 끼치는 플레이는 미숙하다고 평가받는다. 실제로 라인전으로 리드를 잘 만들고 여유를 잡아도 로밍으로 타 라인에 리드를 안겨주거나 난전을 유도하는 빈도는 적어 라인전 리드로 인한 이득이 바텀한테만 한정된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디플러스 바텀의 전임자였던 고스트-베릴 듀오가 라인전 리드를 바탕으로 베릴의 로밍으로 초반 난전을 유도해 게임을 터뜨리는 플레이를 즐겨한 걸 생각하면 비교가 되는 편.

또 다른 단점으로는 빈약한 오더 능력을 꼽을 수 있는데.
농심에 입단한 이후에는 피넛이 이 부분을 크게 메워주면서 본인의 오더부담도 많이 줄어들고 좋은 모습을 보인 끝에 올프로 세컨드 서폿에 입상 성공했지만 디플러스 입단 이후엔 이러한 메인오더를 맡아줄 선수가 없다.
추후 발전된 모습을 보일 수 있을 지가 관건.

2.3. 총평

'라이프' 김정민은 이니시에이팅 능력이 뛰어나고 '켈린' 김형규내 말을 잘 따르는 것이 장점인 것 같다.
2019년 룰러가 내린 라이프와 켈린의 차이 #[5]

안정성과 뛰어난 원딜 시팅 능력이 강점인, 전반적으로 피지컬 측면에선 모자람이 없는 서포터지만 주도적인 플레이메이킹, 오더 콜이 아쉽다고 여겨지는 전형적인 병사형 서포터이다. 스킬샷이 뛰어나고 피지컬도 준수한 편이며, 매우 정석적인, 지원자라는 뜻의 서포터 의미 자체에 가장 충실한 선수.

라인전 수행 능력은 상당한 편으로, 진에어 시절부터 라인전만큼은 항상 중상위권에서 상위권으로 취급받았다.[6] 젠지에 와서는 룰러와 함께하면서 더욱 향상된 라인전 기량을 보여주었으며, 젠지 시절 같이 뛰었던 라이프와 비슷한 수준이다. 다만 라이프는 여차하면 이니시를 걸어서 상대를 일거에 부수는 매우 호전적인 라인전을 추구하고, 켈린은 원딜을 보호하고 적절한 딜 교환을 통해 손해를 지속적으로 누적시켜 상대를 갉아먹고 압박하는 스타일의 라인전을 보여준다.
그러다 보니 이니시형 서포터보다는 멀리서 쏴대는 원거리형 서포터를 잡을 때 이 장점이 극대화되며, 에이밍 같은 하이퍼 캐리가 가능한 원딜과 함께 했을 때 시너지가 훌륭하다.

하지만, 켈린의 현 플레이스타일은 소속팀인 디플러스 기아와는 전혀 맞지 않는 모습을 보인다.
과거 소속된 캐니언, 2024 시즌 새롭게 데뷔한 정글러인 루시드와 쇼메이커, 본인 스스로도 오더 능력이 부족한 선수다 보니 마이너스의 시너지를 자랑했다.

보통 팀 게임에서 운영은 정글-미드-서폿, 그 중에서도 할거 많은 라이너들 보단 정글-서폿이 집중하는게 정석으로 자리잡았다.[7]
켈린은 농심에서 피넛같은 오더 주도형 정글과 한타 지향적 탑솔러인 리치와 함께 했을 때, 주어진 명령은 확실하게 수행하며 적극적인 플레이도 보여주는 병사형 플레이어의 면모를 똑똑히 보여줬다.

농심 시절에는 자신의 강점을 부각시키고 단점은 최소화 하며 가려줄 수 있었지만, 전임자 캐니언과 현 디플의 정글인 루시드도 메인 오더를 하는 스타일이 아니다보니 가려져 있던 단점이 드러난 케이스다.
담원 입장에서도 전임자가 주도적인 서포터였기에 캐-베 조합은 훌륭한 정글 서폿으로 평가 받았던 반면 켈린의 영입은 오더를 맡아줄 선수의 부재가 뚜렷해진 것이 문제.

덕분에 지난 2년 동안 이어져오던 담원 기아의 운영 능력은 어디로 가고, 그저 체급으로만 찍어누르는 정직한 팀이 만들어버렸다.
실제로 PR 랭킹 등 각종 경기 지표로는 T1의 케리아나 젠지의 리헨즈 못지않은 우수한 라인전 지표를 갖고 있지만 그에 비해 경기 전체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할 만한 변수창출은 두 선수만큼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는 평.

3. 선수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김형규(프로게이머)/선수 경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 대회 경력

3.2. 주요 경력

준우승 경력
2020 우리은행 LoL Champions Korea Spring 준우승
Griffin Gen.G DRX
2020 LoL KeSPA Cup ULSAN 준우승
SANDBOX Gaming Nongshim RedForce BRO Challengers
LCK All-Pro Team 선정
2021 LCK SUMMER 2ND TEAM
2023 LCK SPRING 2ND TEAM

4. 별명

5. 여담



[1] 팀명 변경: Team Dynamics → Nongshim RedForce, 2020년 12월 17일 [2] 팀명 변경: DWG KIA → Dplus KIA, 2023년 1월 9일 [3] DK Challengers
(2023.07.17 ~ 2023.07.28)
[4] 진에어에서 나와 샌드박스로 이적한 루트의 라인전 기량을 보면 19 진에어 바텀의 라인전 능력은 전반적으로 켈린 덕이라는 데에는 이견이 없는 편. [5] 실제 전문은 "아직 더 맞춰봐야 알겠지만 내 말을 잘 따라주는 선수이고 보좌하는 능력이 좋은 것 같다."라고 말하며 서로 간의 상반된 장점을 얘기하는 말이지만 디플러스 들어서는 이렇다할 장점을 보여주지 못하며 켈린의 무장점성을 상징하는 말로 자리잡았고 실제로도 당시 젠지의 주전 서포터는 라이프가 차지한 동시에 2021 시즌까지 라이프와 동행하면서 룰러는 이 둘 중 라이프를 선호했다는 걸 간접적으로 드러냈다. 어찌보면 당연한 것이 솔랭 듀오도 아니고 대회라면 원딜이 매번 서포터를 조종할 수도 없고, 서포터의 단독 플레이메이킹이 필요한 순간도 보다 자주 오기 때문이다. [6] 진에어에서 나와 샌드박스로 이적한 루트의 라인전 기량을 보면 19 진에어 바텀의 라인전 능력은 전반적으로 켈린 덕이라는 데에는 이견이 없는 편. [7] 탑과 원딜에게 메인 오더를 전담시키면 어떤 꼴이 나는지는 역사가 증명해왔다. [8] 농심 - 젠지전 오프 더 레코드에서 유래한 별명. [9] 이 쪽은 디플러스의 LCK 쓰리핏까지 함께했다. [10] 켈린시치보다 더 부정적으로 잘 맞는 이유는, 클린스만호의 전술은 무전술 그 자체였고, 그저 팀원들(손흥민, 황희찬 등)에게 해줘를 시전하는 모습을 보여준 것과 함께, 켈린은 24 스프링 개막이후 4주차 DRX전 직전까지 7경기 POG 0회일 정도로 전년도 엄청난 저점을 보여주었던 라이프 저리가라급의 무색무취를 보여주고 있어 이에 상응한다. [11] 현재 본 문서에 등록된 김형규 선수의 사진을 기준으로 놓고 봐도. [12] 칸나의 닉네임은 '고바야시네 메이드래곤'의 등장인물 칸나 카무이에서 따왔으며, 칸나 카무이의 종족은 드래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