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2009 이전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24 | |
개편 이후 |
AFC 챔피언스 리그 시즌 | ||||
2021 | → | 2022 | → | 2023-24 |
[clearfix]
1. 협회별 구단 할당
전년도와 동일하게 동아시아 및 서아시아 권역에서 각각 20개 구단씩 진출하여 총 40개 구단으로 대회를 진행한다.이에 따라 조 편성은 4개 구단씩 동, 서 각각 5개 조를 구성, 총 10개 조로 이루어진다.
이후 토너먼트 라운드는 각 권역의 5개 조에서 1위 5구단과 2위 중 상위 3구단으로 동, 서 8구단씩 16구단을 진출시켜 이전과 같이 16강부터 시작한다.
- 동아시아와 서아시아는 따로 계산한다.
- 리그 협회 평가순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배한다.
- 리그 협회 순위 1~2위는 각 3+1구단이 진출
- 리그 협회 순위 3~4위는 각 2+2구단이 진출
- 리그 협회 순위 5위는 1+2구단이 진출
- 리그 협회 순위 6위는 1+1구단이 진출
- 리그 협회 순위 7~10위는 각 1+0구단이 진출
- 리그 협회 순위 11~12위는 각 0+1구단이 진출
- 단, 배당하는 진출권 수는 최상위 리그 참가 구단 수의 1/3을 초과할 수 없다.[1][2]
- 리그 협회 순위 12위 이상의 협회가 평가 기준 미충족으로 인하여 참가 진출권을 배분받지 못하는 경우 차순위 협회에게 승계한다. 단, 리그 협회 순위 13위 이하의 협회에게는 승계하지 않으며 그 수만큼 플레이오프와 자격 예선 진출권 수를 재조정한다. 또한, 불참하는 구단의 발생으로 인해 조별 예선에 직행할 구단 수가 부족해지는 경우 그만큼 조별 예선 직행 진출권 수도 재조정한다.
서아시아와 동아시아 각 지역은 조별 예선에서 5개 조씩 나뉘어 참여하게 한다. 양 지역 모두 16개의 직행 진출권과 4개의 플레이오프 진출권을 배분한다.
AFC 순위 최상위 12개 협회는 AFC 챔피언스 리그 참가 기준에 맞춘다면 AFC 챔피언스 리그에 참여할 수 있게 한다.
각 지역의 AFC 순위 최상위 10개 협회(서아시아 최상위 10개 협회+동아시아 최상위 10개 협회)는 최소한 1개의 본선 직행 진출권을 보유하게 한다.
직전 시즌 AFC 챔피언스 리그 우승 구단과 AFC컵 우승 구단은 자국 리그 성적상 챔피언스 리그 참가 가능한 성적에 못 미쳐도 각 1장의 플레이오프 진출권을 받으며 아래 규칙을 적용한다.:
- 전 대회 우승 구단이 최상위 1~6위 협회 소속이면 해당 국가축구협회는 같은 플레이오프 진출권 수를 가지며, 그들은 소속 국가 축구협회의 최하위 구단을 대체한다.
- 전 대회 우승 구단이 최상위 7위 이하 협회 소속이면(정상적으로 AFC 챔피언스 리그에 진출하지 못하는 최상위 13위 이하 협회 소속 구단 포함), 해당 국가축구협회는 1장 추가 플레이오프 진출권을 받으며해당 협회 소속 어떤 구단도 대체하지 아니한다.
- 만일 AFC 챔피언스 리그 우승 구단과 AFC컵 우승 구단이 플레이오프 참가권 1장만 부여하는 같은 국가축구협회 소속이면 해당 국가축구협회는 1장의 추가 플레이오프 진출권을 받으며 해당 협회 소속 최하위 시드 구단만 결과로 대체한다.
- 만일 챔피언스 리그 우승 구단과 AFC컵 우승 구단이 자국 리그에서 어떤 구단도 대체하지 않으면 챔피언스리그 예선 플레이오프에서 최하위 시드 구단이다.
- 전 대회 우승 구단이 최상위 1~6위 협회 소속이면 해당 국가축구협회는 같은 플레이오프 진출권 수를 가지며, 그들은 소속 국가 축구협회의 최하위 구단을 대체한다.
- 전 대회 우승 구단이 최상위 7위 이하 협회 소속이면(정상적으로 AFC 챔피언스 리그에 진출하지 못하는 최상위 13위 이하 협회 소속 구단 포함), 해당 국가축구협회는 1장 추가 플레이오프 진출권을 받으며해당 협회 소속 어떤 구단도 대체하지 아니한다.
- 만일 AFC 챔피언스 리그 우승 구단과 AFC컵 우승 구단이 플레이오프 참가권 1장만 부여하는 같은 국가축구협회 소속이면 해당 국가축구협회는 1장의 추가 플레이오프 진출권을 받으며 해당 협회 소속 최하위 시드 구단만 결과로 대체한다.
- 만일 챔피언스 리그 우승 구단과 AFC컵 우승 구단이 자국 리그에서 어떤 구단도 대체하지 않으면 챔피언스리그 예선 플레이오프에서 최하위 시드 구단이다.
- 만일 최상위 1~6위 협회 중 어떤 협회라도 AFC 챔피언스 리그 기준을 하나라도 충족하지 않으면 그들의 본선 직행권은 플레이오프 참가권으로 변환한다. 포기한 본선 직행권은 아래 기준에 의해 최상위 적절한 국가축구협회에게 재배분한다.
- 각 국가축구협회에게 총 참가 구단 수는 최대 4구단이며 본선 직행 최다 구단 수는 3구단이다.
- 3~6위 국가축구협회 중 어떤 협회라도 본선 직행 진출권을 1장만 배분 받으면 플레이오프 1장은 취소하며 재배분하지 아니한다.
- 5~6위 국가축구협회 중 어떤 협회라도 본선 직행권이 2장 배분하면 플레이오프 1장은 취소하며 재배분하지 아니한다.
- 만일 최상위 7~10위 협회 중 어떤 협회라도 AFC 챔피언스 리그 기준을 하나라도 충족하지 않으면 그들의 본선 직행권은 플레이오프 참가권으로 변환한다. 포기한 본선 직행권은 최상위 11~12위 국가축구협회에게 재배분하다. 11~12위 협회의 플레이오프 참가권은 무효화하며 재배분하지 아니한다. 만일 둘 다 자격을 미달하면 위에서 언급한 대로 같은 기준에 의해 최고 자격 협회에게 재배분한다.
- 만일 플레이오프 진출권 1장만 받은 어떤 국가축구협회라도(순위 11~12위 협회 또는 위 언급 협회 포함) AFC 챔피언스 리그 최소 기준을 충족하지 않으면 플레이오프 1장은 취소하며 재배분하지 아니한다.
- 하나의 협회가 가질 수 있는 진출권의 최대 개수는 최상위 리그 참가 구단 수의 1/3수와 같다.
- 만약 AFC 클럽 면허 소지 구단 어느 곳이라도 AFC 챔피언스 리그 참가를 거부하면 해당 자리는 취소하며 재배분하지 아니한다.
- 만약 AFC 클럽 면허 소지 구단 어느 곳이라도 AFC 챔피언스 리그 참가를 거부하면 해당 자리는 취소하며 재배분하지 아니한다.
AFC 대회 위원회는 2020년 1월 25일 본 대회를 개정했다. 북마리아나 제도를 제외한 46개 AFC 회원국이 참가하며 순위 선별 기준은 최근 4년간 각 국가의 대표팀과 구단들의 대륙 대회 성적을 토대로 정한다. 2021년과 2022년의 AFC 대회는 2019년 12월 AFC 리그 순위를 기준으로 삼았다.
1.1. 협회별 구단 할당표
AFC 챔피언스 리그 2022에 참가하는 협회는 2019년 11월 29일 발행한 AFC 클럽 순위에 의해 결정했다.단순 리그 순위만으로는 북한 프로 축구단도 4.25 체육단의 2019 AFC컵 준우승을 통해 얻은 포인트로 ACL 본선에 참가할 수 있다. 하지만 북한 프로 축구단은 모두 AFC 클럽 라이선스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므로 ACL 참가 자격은 박탈한다. 그 덕에 협회 순위 11위로 당초 플레이오프에만 한 구단을 참가시켜야 했던 홍콩이 어부지리로 북한의 쿼터를 승계 받아 그 한 구단을 조별 리그에 직행시킨다. 만에 하나 북한 축구단 중 AFC 클럽 라이선스를 따면 참가권 분배는 원상 복구한다. 북한이 카타르 월드컵 조별 예선을 기권하면서 FIFA로 부터 2027년까지 메이저 대회 출전 금지 처분을 받았는데 이 처분이 ACL에도 적용한다면 라이선스 여부와 관계없이 북한은 최소 27년까지 ACL에서 볼 수 없다.
녹색 글씨는 조별 리그에 1구단 이상 직행, 황색 글씨는 평가 점수가 낮아 예선만 출전권 배당, 빨간색 글씨는 참가를 포기하였거나 평가 기준 미충족으로 출전 불가.
서아시아 | 동아시아 | |||||||
국가 | 점수 | 출전권 | 국가 | 점수 | 출전권 | |||
GS | PO | GS | PO | |||||
카타르[IRN-IRQ] | 97.644 | 4 | 0 | 중국[CHN] | 100.000 | 2 | 0 | |
사우디아라비아 | 88.449 | 3 | 1 | 일본 | 93.321 | 3 | 1 | |
이란[IRN-IRQ] | 81.724 | 2 | 0 | 대한민국 | 85.979 | 2 | 2 | |
아랍에미리트 | 61.870 | 2 | 2 | 태국 | 51.189 | 2 | 2 | |
이라크[IRN-IRQ] | 48.992 | 1 | 1 | 호주[CHN] | 40.896 | 1 | 2 | |
우즈베키스탄 | 45.562 | 1 | 1 | 필리핀[CHN] | 32.130 | 1 | 1 | |
요르단 | 33.852 | 1 | 0 | 북한 | 30.100 | 0 | 0 | |
인도 | 29.576 | 1 | 0 | 베트남 | 28.571 | 1 | 0 | |
타지키스탄 | 28.361 | 1 | 0 | 말레이시아 | 26.960 | 1 | 0 | |
투르크메니스탄 | 26.532 | 1 | 0 | 싱가포르 | 26.607 | 1 | 0 | |
레바논 | 24.746 | 0 | 0 | 홍콩 | 19.945 | 1 | 0 | |
시리아 | 22.505 | 0 | 1 | 미얀마 | 12.756 | 0 | 0 | |
합계 | 17 | 6 | 합계 | 16 | 8 |
2. 참가 구단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51d4, #ffffff 20%, #ffffff 80%, #ff6f00)" {{{#!wiki style="color: #000;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181818" |
<colcolor=#ffffff> 서아시아 | <colbgcolor=#0051d4> A |
|
|
|
|
|
B |
|
|
|
|
|||
C |
|
|
|
|
|||
D |
|
|
|
|
|||
E |
|
|
|
|
|||
동아시아 | F |
|
|
|
|
||
G |
|
|
|
|
|||
H |
|
|
|
|
|||
I |
|
|
|
|
|||
J |
|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2021 시즌 참가 구단 | 2023-24 시즌 참가 구단 ▶ |
}}}}}}}}}}}} ||
조별 리그 | |||||||
서아시아 | 동아시아 | ||||||
알 사드 (1위) | 알 두하일 (2위) | 산둥 타이산 (1위) | 광저우 FC (3위) | ||||
알 라이얀 (3위) | 알 가라파 (4위)[9] | 가와사키 프론탈레 (1위)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CW) | ||||
알 힐랄 (1위) | 알 파이살리 (CW) | 요코하마 F. 마리노스 (2위) | 전북 현대 모터스 (1위) | ||||
알 샤바브 (2위) | 풀라드 쿠제스탄 (CW) | 전남 드래곤즈 (CW) | BG 빠툼 유나이티드 (1위) | ||||
세파한 SC (2위) | 알 자지라 클럽 (1위) | 치앙라이 유나이티드 (CW) | 멜버른 시티 (1위) | ||||
샤바브 알 아흘리 (CW) | 알 쿠와 알 자위야 (1위) | 유나이티드 시티 (1위)[PHI] | 호앙아인 잘라이 (1위) | ||||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1위) | 알 웨흐다트 (2위)[11] | 조호르 다룰 탁짐 (1위) | 라이언 시티 세일러스 (1위) | ||||
뭄바이 시티 (1위) | FC 이스티클롤 (1위) | 킷치 SC (1위) | |||||
아할 FK (2위)[12] | |||||||
플레이오프 | |||||||
서아시아 | 동아시아 | ||||||
알 타아원 (4위)[13] | 바니야스 SC (2위) | 비셀 고베 (3위) | 울산 현대 (2위) | ||||
샤르자 FC (4위)[14] | 알 자우라 (2위)[IRQ] | 대구 FC (3위) | 부리람 유나이티드 (2위) | ||||
나사프 카르시 (CW) | 알 자이시 (2위)[16] | 포트 FC (3위) | 멜버른 빅토리 (CW) | ||||
시드니 FC (2위)[17] | 카야 FC 일로일로 (CW) |
- 전년도 AFC 챔피언스 리그 우승 구단 자격으로 참가하는 구단과 전년도 AFC컵 우승 구단 자격으로 참가하는 구단은 없다.
- 전년도 AFC 챔피언스 리그 우승 구단인 알 힐랄은 이미 리그 우승 자격으로 본선 직행을 확정한 상태이므로 해당 자격으로 참가한다.
- 전년도 AFC컵 우승 구단인 알 무하라크는 바레인이 ACL 클럽 라이선스를 단 한 구단도 획득하지 못하여 참가할 수 없다.
- 중국 슈퍼 리그의 구단 중 ACL 클럽 라이선스를 획득한 구단은 6구단 뿐이고 그마저도 이 6구단 중 상하이 선화는 상위 50% 이내에 들지 못하여 출전권 획득이 불가능하다. 거기에다가 그 6구단 모두 '문제가 있는 상태'로 라이선스를 획득했다. 따라서 이 대회에 출전할 구단이 문제를 해결 못하면 출전권을 박탈당할 가능성이 높다. 그런데 중국 슈퍼 리그 소속 16구단 중 11구단이 임금 체불 문제를 겪는 등 재정난으로 리그가 휘청거리고 있는 상황이라 3+1장의 출전권을 온전히 지켜내긴 어려워 보인다. 중국 구단 중 상위 50% 안에 들면서 아직까지 임금 체불 관련 소식이 없으며 ACL 라이선스까지 획득한 구단은 때마침 중국 FA컵 결승에 나란히 오른 상하이 하이강과 산둥 타이산, 단 두 구단 뿐이다.
- 중국도 중국이지만 J리그도 만만치 않은 게 신청한 전체 55개 구단 중 정식 라이선스 승인을 받은 구단은 가와사키 프론탈레, 감바 오사카, 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 V-파렌 나가사키 단 4구단 뿐이며 이 가운데 ACL 출전 구단은 가와사키 단 한 구단 뿐이다. 게다가 이 4구단을 제외한 나머지 50개 구단은[18] 모두 '문제가 있는 상태'로 라이선스를 획득한 상태이므로 이 문제를 해결 못하면 이미 진출을 확정한 요코하마 F. 마리노스, 빗셀 고베, 리그 챔피언 가와사키와 함께 천황배 준결승에 같이 오른 우라와 레즈, 세레소 오사카, 오이타 트리니타까지 ACL 출전이 좌절될 수도 있다. 다만 중국과는 다르게 일본은 구장 상태가 좋지 않아서 조건부 허가를 받았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큰 문제 없이 참가할 것으로 보인다.
- K리그의 경우 1, 2부 합해 도합 22구단 중 18구단이 라이선스를 신청해 그 중 3구단을 제외하고 모두 정식 승인되었는데 그렇지 못한 3구단 중 하나인 제주 유나이티드는 '문제가 있는 상태'로 라이선스 획득을 하여 전담 변호사를 선임해야 하며 같이 조건부 승인을 받은 수원 FC도 전담 변호사 선임, 성남 FC는 골키퍼 지도자 자격 강화를 주문 받았기 때문에 별 무리 없이 차후 정식 승인을 받을 수 있다. 제주가 리그 4위로 ACL PO 진출 가능성을 유지한 채 시즌을 끝마쳤으나 FA컵에서 K리그2의 전남 드래곤즈가 우승하면서 리그 3위 대구 FC가 FA컵 우승을 할 경우 승계 받을 수 있던 ACL PO 진출권을 획득하는 데 실패해 내년을 기약하게 됐다.
- 특히 K리그2의 전남 드래곤즈가 2021시즌 FA컵 우승에 성공하면서 ACL에 14년만에 복귀했는데 2부 리그 구단의 자격으로 출전권을 얻고 2부 리그 구단의 신분으로 챔피언스 리그에 참가하는 최초의 구단이어서 주목을 받았다.[19]
- 페르세폴리스와 에스테그랄이 정부 관련기관의 스포츠 개입 문제로[20] 클럽 라이선스 심사에서 탈락하면서 이란의 출전권을 당초 2+2장에서 직행 2장으로 축소했다. 이 여파로 플레이오프 루트에 있었던 세파한이 조별 리그에 직행하고 자격 예선에 출전하는 4구단[21]이 모두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다.
- 상술한 이란과 더불어 이라크 프리미어 리그 4위를 차지하여 라이선스 문제로 나갈 수 없는 알 나자프를 대신해 나갈 예정이었던 알 쇼르타가 불참을 선언하면서 이라크의 출전권을 1+1로 축소했다 그로 인해 카타르의 진출권 수를 직행 4장으로 조정했다.
- 미얀마에서 유일하게 클럽 라이선스가 있었던 샨 유나이티드가 이번 시즌에도 대회 불참을 선언하면서, 자격 예선에서 맞붙을 예정이었던 호주 포트 2 구단이 부전승으로 처리되어 비셀 고베와 플레이오프를 치렀다.
- 3월 1일, 창춘 야타이가 불참을 선언하면서 시드니와 카야의 경기가 자격 예선에서 플레이오프로 지위를 승격시켰다. 여기서 이기는 구단이 전북이 속한 H조에 합류한다.
- J조에 속했던 상하이 하이강이 상하이내에 코로나 19 재확산으로 인한 도시 봉쇄령으로 인한 출입국 제한으로 경기시작 약 5일을 앞둔 4월 11일에 대회 기권을 선언하였다. 이에 따라 J조는 상하이 하이강의 자리는 그대로 공석으로 남겨둔 채 3구단끼리 경기를 치렀고 이로 인해 각 조 2위 구단 간 16강 진출 구단은 최하위 구단과의 경기 기록을 제외한 성적으로 결정한다.
3. 경기 일정
단계 | 라운드 | 추첨일 | 경기 일정 |
플레이오프 | 추첨 없음 |
2022년 3월 8일(시드니-카야) 2022년 3월 15일 |
|
조별 리그 | 2022년 1월 17일 |
2022년 4월 7일~27일(W) 2022년 4월 15일~5월 1일(E) |
|
토너먼트 | 16강 |
2022년 8월 18일~19일(E) 2023년 2월 19일~20일(W) |
|
8강 |
2022년 8월 20일(E) 2023년 2월 21일(W) |
2022년 8월 22일(E) 2023년 2월 23일(W) |
|
준결승 |
2022년 8월 25일(E) 2023년 2월 26일(W) |
||
결승 |
2023년 4월 29일(1차전, W) 2023년 5월 6일(2차전, E) |
4. 플레이오프 및 그룹 스테이지
자세한 내용은 AFC 챔피언스 리그/2022년/플레이오프 및 그룹 스테이지 문서 참고하십시오.5. 녹아웃 스테이지
- 코로나19로 인한 대회 일정 축소로 16강~준결승까지는 단판, 결승은 홈 앤 어웨이로 치러진다.
- 16강~준결승까지 서아시아 구단은 카타르에서, 동아시아 구단은 일본 사이타마에서 진행한다.
조 | 조 1위 | 조 2위 |
A | 알 힐랄 SFC | 알 라이얀 SC |
B | 알 샤바브 FC | |
C | 풀라드 쿠제스탄 | 샤바브 알 아흘리 클럽 |
D | 알 두하일 SC | |
E | 알 파이살리 FC | 나사프 카르시 |
F | 대구 FC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
G | BG 빠툼 유나이티드 | |
H | 요코하마 F. 마리노스 | 전북 현대 모터스 |
I | 조호르 다룰 탁짐 | |
J | 비셀 고베 | 킷치 SC |
- 【2위 진출에 따른 16강 대진 (눌러서 펼치기 · 접기)】
- ||<-6><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0051D4><tablebgcolor=#cefbc9,#093604><bgcolor=#0051D4> 서아시아 ||
조 2위 추가 진출 A1 상대 B1 상대 C1 상대 D1 상대 E1 상대 A B C B1* A1 A2 B2 C2 A B D D1 D2 A2 A1* B2 A B E E1 E2 A2 B2 A1* A C D C1* D2 A1 A2 C2 A C E C2 E2 E1* A2 C1 A D E D2 E2 A2 E1* D1 B C D D2 C1* B1 B2 C2 B C E C2 E1 E2 B2 B1* B D E D2 D1* E2 B1 B2 C D E D2 E2 D1* C1 C2 ■ 가능한 시나리오 | ■ 제외한 시나리오 동아시아 조 2위 추가 진출 F1 상대 G1 상대 H1 상대 I1 상대 J1 상대 F G H G1* F1 F2 G2 H2 F G I I1 I2 F2 F1* G2 F G J J1 J2 F2 G2 F1* F H I H1* I2 F1 F2 H2 F H J H2 J2 J1* F2 H1 F I J I2 J2 F2 J1* I1 G H I I2 H1* G1 G2 H2 G H J H2 J1 J2 G2 G1* G I J I2 I1* J2 G1 G2 H I J I2 J2 I1* H1 H2 ■ 가능한 시나리오 | ■ 제외한 시나리오 - 각 조 1위가 홈경기 권한을 갖되 조 1위끼리 만날 경우 *표시한 쪽이 홈경기 권한을 갖는다.
16강 | 8강 | 준결승 | 결승 |
알 힐랄 3:1 샤바브 | 알 두하일 2:1 알 샤바브 | 알 두하일 0:7 알 힐랄 |
알 힐랄 1:2 우라와
(1:1, 0:1) |
알 샤바브 2:0 나사프 | |||
알 두하일 1:1 (PSO 7:6) 알 라이얀 | 풀라드 0:1 알 힐랄 | ||
알 파이살리 0:1 풀라드 | |||
고베 3:2 요코하마 | 고베 1:3 전북 | 전북 2:2 (PSO 1:3) 우라와 | |
대구 1:2 전북 | |||
조호르 0:5 우라와 | 우라와 4:0 빠툼 | ||
빠툼 4:0 킷치 |
5.1. 16강
- 국가별 진출 구단
5.1.1. 대진 결과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51D4, #ffffff 20%, #ffffff 80%, #FF6F00)" | 홈 구단 | 원정 구단 | |||
알 힐랄 SFC | vs | 샤바브 알 아흘리 클럽 | |||
알 샤바브 FC | vs | 나사프 카르시 | |||
알 두하일 SC | vs | 알 라이얀 SC | |||
알 파이살리 FC | vs | 풀라드 쿠제스탄 | |||
홈 구단 | 원정 구단 | ||||
대구 FC | vs | 전북 현대 모터스 | |||
BG 빠툼 유나이티드 | vs | 킷치 SC | |||
조호르 다룰 탁짐 | vs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 |||
비셀 고베 | vs | 요코하마 F. 마리노스 |
5.1.2. 16강 경기 결과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알자누브 스타디움 ( 카타르, 알 와크라) | |||
주심: 푸밍 | |||
관중: 7,825명 | |||
3 : 1 | |||
알 힐랄 | 샤바브 알 아흘리 | ||
17'
오디온 이갈로 73' 장현수 79' 루시아노 비에토 |
46' 오마르 카르빈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알자누브 스타디움 ( 카타르, 알 와크라) | |||
주심: 아드함 마카드메 | |||
관중: 700명 | |||
|
2 : 0 |
|
|
알 샤바브 FC | 나사프 카르시 | ||
12' 후사인 알 알카타니 54' 에베르 바네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알투마마 스타디움 ( 카타르, 도하) | |||
주심: 아라키 유스케 | |||
관중: 700명 | |||
|
1 : 1 (a.e.t.) (7 PSO 6) |
||
알 두하일 | 알 라이얀 | ||
107' 모하메드 문타리 | 120+3' 스티븐 은존지 | ||
알 두하일 | 7 : 6 | 알 라이얀 | ||
선축 (GK: 살라 자카리아) |
후축 (GK: 이바닐두) |
|||
에드밀손 주니오르 | 1 | 헤이손 바르가스 | ||
마이클 올룽가 | 2 | 요앙 볼리 | ||
남태희 | 3 | 스티븐 은존지 | ||
모하메드 문타리 | 4 | 타니구치 쇼고 | ||
칼레드 모하메드 | 5 | 이브라힘 마수드 | ||
바삼 알 라위 | 6 | 메키 톰바리 | ||
카림 부디아프 | 5 | 무아팍 아와드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알투마마 스타디움 ( 카타르, 도하) | |||
주심: 아흐메드 알 카프 | |||
관중: 632명 | |||
0 : 1 |
|
||
알 파이살리 | 풀라드 쿠제스탄 | ||
64' 사산 안사리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우라와 코마바 스타디움 ( 일본, 사이타마) | |||
주심: 모하메드 압둘라 하산 | |||
관중: 463명 | |||
1 : 2 (a.e.t.) |
|
||
대구 FC | 전북 현대 모터스 | ||
56' 제카 |
46'
송민규 120+1' 김진규 |
||
배성재 | 이동국 | 서형욱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사이타마 스타디움 ( 일본, 사이타마) | |||
주심: 모함마드레자 파가니 | |||
관중: 11,528명 | |||
|
3 : 2 | ||
비셀 고베 | 요코하마 F. 마리노스 | ||
7' 이이노 나나세이 31' 사사키 다이쥬(P) 80' 오다 유타로 |
9' 니시무라 타쿠마 89' 안데르송 로페스 |
||
박용식 | 김오성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우라와 코마바 스타디움 ( 일본, 사이타마) | |||
주심: 아담 마하드메 | |||
관중: 258명 | |||
|
4 : 0 | ||
BG 빠툼 유나이티드 | 킷치 SC | ||
34' 워라칫 끄닛스리밤펜 39' 이크산 판디 68' 티라실 당다 87' 찻몽꼰 통끼리 |
|||
이인환 | 김민구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사이타마 스타디움 ( 일본, 사이타마) | |||
주심: 크리스 비스 | |||
관중: 20,691명 | |||
|
0 : 5 | ||
조호르 다룰 탁짐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 ||
8'
알렉산더 숄츠(P) 19', 38' 데이비드 모베리 칼손 83', 90'+1' 카스페르 융케르 |
|||
박용식 | 김환 |
5.1.3. 8강 진출 구단
알 힐랄 SFC | 알 샤바브 FC | 알 두하일 SC | 풀라드 쿠제스탄 |
전북 현대 모터스 | BG 빠툼 유나이티드 | 비셀 고베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
5.2. 8강
- 국가별 진출 구단
- 일본(2팀): 비셀 고베,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 대한민국: 전북 현대 모터스
- 태국: BG 빠툼 유나이티드
- 카타르: 알 두하일 SC
- 사우디아라비아(2팀): 알 힐랄 SFC, 알 샤바브 FC
- 이란: 풀라드 쿠제스탄
5.2.1. 대진 추첨 결과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51D4, #ffffff 20%, #ffffff 80%, #FF6F00)" | 홈 구단 | 원정 구단 | |||
알 두하일 SC | vs | 알 샤바브 FC | |||
풀라드 쿠제스탄 | vs | 알 힐랄 SFC | |||
홈 구단 | 원정 구단 | ||||
비셀 고베 | vs | 전북 현대 모터스 |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 vs | BG 빠툼 유나이티드 |
5.2.2. 8강 경기 결과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알투마마 스타디움 ( 카타르, 도하) | |||
주심: 모하나드 카심 사라이 | |||
관중: 7,138명 | |||
2 : 1 |
|
||
알 두하일 | 알 샤바브 FC | ||
77', 85' 마이클 올룽가 | 90+3'사이드 알 야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알자누브 스타디움 ( 카타르, 알 와크라) | |||
주심: 기무라 히로유키 | |||
관중: 14,173명 | |||
|
0 : 1 | ||
풀라드 쿠제스탄 | 알 힐랄 | ||
- | 87' 무사 마레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사이타마 스타디움 ( 일본, 사이타마) | |||
주심: 압둘라흐만 알자심 | |||
관중: 7,861명 | |||
|
1 : 3 |
|
|
비셀 고베 | 전북 현대 모터스 | ||
64' 유루키 코야 |
66'
바로우 104' 구스타보 120+2' 문선민 |
||
박용식 | 김환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사이타마 스타디움 ( 일본, 사이타마) | |||
주심: 모하메드 알 호이시 | |||
관중: 16,210명 | |||
4 : 0 |
|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 BG 빠툼 유나이티드 | ||
32'
데이비드 모베리 칼손 52' 이와나미 타쿠야 65' 코이즈미 요시오 72' 아키모토 타카히로 |
|||
이인환 | 김오성 |
5.2.3. 준결승 진출 구단
알 두하일 SC | 알 힐랄 SFC | 전북 현대 모터스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
5.3. 준결승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51D4, #ffffff 20%, #ffffff 80%, #FF6F00)" | 홈 구단 | 원정 구단 | |||
알 두하일 SC | vs | 알 힐랄 SFC | |||
홈 구단 | 원정 구단 | ||||
전북 현대 모터스 | vs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
5.3.1. 준결승 경기 결과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알투마마 스타디움 ( 카타르, 도하) | |||
주심: 고형진 | |||
관중: 16,320명 | |||
|
0 : 7 | ||
알 두하일 | 알 힐랄 | ||
- |
2', 10', 48', 62'
오디온 이갈로 14', 27' 무사 마레가 38' 살렘 알다우사리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사이타마 스타디움 ( 일본, 사이타마) | |||
주심: 알리레자 파가니 | |||
관중: 23,277명 | |||
|
2 : 2 (a.e.t.) (1 PSO 3) |
||
전북 현대 모터스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 ||
55'
백승호(PK) 116' 한교원 |
11' 마츠오 유스케 120' 카스페르 융케르 |
||
전북 현대 모터스 | 1 : 3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 ||
선축 (GK: 이범수) |
후축 (GK: 니시카와 슈사쿠) |
|||
김보경 | 1 | 알렉산더 숄츠 | ||
이승기 | 2 | 카스페르 융케르 | ||
박진섭 | 3 | 데이비드 모베리 칼손 | ||
김진수 | 4 | 에사카 아타루 |
박용식 | 김민구 |
5.3.2. 결승 진출 구단
알 힐랄 SFC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
5.4. 결승전
자세한 내용은 AFC 챔피언스 리그/2022년/결승 문서 참고하십시오.5.4.1. 1차전
킹 파드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 ||
주심: 아흐메드 알카프 | ||
관중: 50,881명 | ||
|
|
|
알 힐랄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 |
1 | 1 | |
13' 살렘 알다우사리 | 53' 코로키 신조 | |
경기 보고서 | 경기 하이라이트 | 경기 전체 영상 | ||
캐스터 | 해설 |
이인환 | 김오성 |
5.4.2. 2차전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 일본, 사이타마) | ||
주심: 마닝 | ||
관중: 53,374명 | ||
|
|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 알 힐랄 | |
1 | 0 | |
<rowcolor=#000>49' (OG) 안드레 카리요 | - | |
Man of the Match: 사카이 히로키 |
캐스터 | 해설 |
박용식 | 김오성 |
6. 우승
2022 AFC 챔피언스 리그 우승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
3번째 우승 |
7. 기록
7.1. 구단
순위 | 구단 | 득점 | 리그 |
1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 33 | J1리그 |
2 | 알 힐랄 | 23 | 사우디 프로페셔널 리그 |
3 | 알 샤바브 | 21 | 사우디 프로페셔널 리그 |
4 | 알 두하일 | 20 | 카타르 스타스 리그 |
5 | 가와사키 프론탈레 | 17 | J1리그 |
6 | 대구 FC | 15 | K리그1 |
6 | BG 빠툼 유나이티드 | 15 | 타이 리그 1 |
6 | 샤바브 알 아흘리 | 15 | 아랍에미리트 프로 리그 |
순위 | 클럽 | 클린시트 | 리그 |
1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 7 | J1리그 |
2 | 알 샤바브 | 6 | 사우디 프로페셔널 리그 |
3 | 알 힐랄 | 5 | 사우디 프로페셔널 리그 |
3 | BG 빠툼 유나이티드 | 5 | 타이 리그 1 |
3 | 풀라드 쿠제스탄 | 5 | 페르시안 걸프 프로 리그 |
4 | 대구 FC | 4 | K리그1 |
4 | 가와사키 프론탈레 | 4 | J1리그 |
7.2. 개인
순위 | 선수 | 득점 | 출장 | 클럽 | 국적 | ||
1 | 에드밀손 주니오르 | 8 | 8 | 알 두하일 | 벨기에 | ||
2 | 제카 | 7 | 7 | 대구 FC | 브라질 | ||
2 | 오디온 이갈로 | 7 | 8 | 알 힐랄 | 브라질 | ||
3 | 베르크송 | 6 | 6 | 조호르 다룰 타짐 | 브라질 | ||
3 | 마이클 올룽가 | 6 | 8 | 알 두하일 | 케냐 | ||
3 | 마츠오 유스케 | 6 | 9 | 우라와 레드 | 일본 | ||
4 | 카를루스 주니오르 | 5 | 5 | 알 샤바브 | 브라질 | ||
4 | 페데리코 카르타비아 | 5 | 6 | 샤바브 알 아흘리 | 이탈리아 | ||
4 | D. 모베리 칼손 | 5 | 7 | 우라와 레드 | 스웨덴 |
순위 | 선수 | 도움 | 출장 | 클럽 | 국적 | ||
1 | 에사카 아타루 | 6 | 7 | 우라와 레드 | 일본 | ||
2 | 나와프 알아비드 | 5 | 6 | 알 샤바브 | 사우디아라비아 | ||
3 | 에드밀손 주니오르 | 4 | 8 | 알 두하일 | 벨기에 | ||
4 | 라베레 코빈옹 | 3 | 6 | 조호르 다룰 타짐 | 말레이시아 | ||
4 | 야신 브라히미 | 3 | 6 | 알 라이얀 | 알제리 | ||
4 | 살렘 알다우사리 | 3 | 8 | 알 힐랄 | 사우디아라비아 | ||
4 | 남태희 | 3 | 9 | 알 두하일 | 대한민국 | ||
4 | 코이즈미 요시오 | 3 | 9 | 우라와 레드 | 일본 | ||
4 | 세키네 타카히로 | 3 | 11 | 우라와 레드 | 일본 |
8. 여담
- 이번 대회부터 외국인 선수의 등록이 기존 3+1명에서 무제한으로 변경한다. 다만, 출전할 수 있는 외국인 선수는 그대로 3+1명이다.
- 춘추제로 지내는 마지막 시즌이다.
[1]
이전에도 있던 규정이다. 이 규정으로 인해 호주가 2020년 시즌까지 몇 년간 4장을 받을 수 있는 순위인 3-4위에 들었는데도
A리그의 구단 수가 모자라 3장밖에 받지 못했다. 이 시즌에는 5위로 떨어지면서 리그 협회 평가 순위로 보나 구단 수로 보나 3장밖에 받지 못한다. A리그가 2019-20 시즌부터
웨스턴 유나이티드 FC가, 2020-21 시즌부터
맥아서 FC가 참여하면서 장기적으로는 12개 구단으로 운영하면서 현재는 다시 순위가 오르면 4장을 받을 수 있다. 일단 23~24년은 불가능
[2]
이같은 이유에서 K리그도 승강제 도입시 1부 리그에 12개 구단을 넣은 것이다. 한 리그에 최대 4장이 주어지므로, 4의 3배인 12로 맞춘 것이다.
[IRN-IRQ]
이란과 이라크의 슬롯 축소로 진출권 수를 조정했다.
[CHN]
창춘과 상하이의 불참으로 진출권 수를 조정했다.
[IRN-IRQ]
[IRN-IRQ]
[CHN]
[CHN]
[9]
알 사드 SC가 리그와 에미르컵을 모두 우승하면서 플레이오프 진출권을 승계 받았다가 이란과 이라크의 진출권 조정으로 조별 리그에 직행했다.
[PHI]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2021 시즌 필리핀 풋볼 리그가 취소해 2021 시즌 ACL 출전 구단이 2022 시즌에도 출전한다.
[11]
리그 우승을 차지한 알 람타는 클럽 라이선스 미보유로 출전 제한.
[12]
리그 우승을 차지한 알틴 아시르는 클럽 라이선스 미보유로 출전 제한.
[13]
3위를 차지한
알 이티하드는 클럽 라이선스 미보유로 출전 제한.
[14]
UAE 프레지던트컵을 우승한
샤바브 알 아흘리 클럽이 리그 3위를 차지하면서 플레이오프 진출권을 승계 받았다.
[IRQ]
알 쿠와 알 자위야가 리그와 이라크 FA컵을 모두 우승하면서 자격예선 진출권을 승계 받았다가 이란의 진출권 조정으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16]
리그 우승을 차지한 티슈린은 클럽 라이선스 미보유로 출전 제한.
[17]
멜버른 시티가 정규리그와 그랜드 파이널을 모두 우승하면서 자격예선 진출권을 승계 받았다가 창춘의 기권으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다.
[18]
정황상
후쿠시마 유나이티드와
아술 클라로 누마즈는 신청을 하지 않았으며
테게바자로 미야자키는 신청했지만 탈락한 것으로 보인다.
[19]
굵은 글씨로 강조한 이유는, 전남과 같은 듯 다른 사례가 몇 번 있었기 때문이다.
도쿄 베르디는 2004년 1부 리그 구단의 자격으로 천황배를 우승했지만 2006년 ACL에 참여할 때는 2부 리그로 강등 당한 상태였고
FC 도쿄는 2011년 2부 리그 구단의 자격으로 천황배를 우승해 대회에 나왔으나 당년 1부 리그 승격까지 달성해 대회를 치를 당시에는 1부 리그 소속이었다. 즉 2부 리그 신분으로 출전권을 얻고 다음 해에도 2부 리그 구단으로서 ACL을 소화하는 구단은 전남이 사상 최초이다.
[20]
두 클럽의 소유주가 모두 이란 정부 체육부이기 때문이다. 이란에서는 페르세폴리스를 재정경제부로 에스테그랄을 산업부로 이관시켰지만 정부 직속 기관 소유임은 변하지 않아서 결국 탈락하였다.
[21]
알 자우라, 알 쇼르타, 나사프 카르시, 알 자이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