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0 18:56:59

2023~2024 봉숭아 학당

개그콘서트 봉숭아학당
2000년~2002년 2003년~2004년 2005년~2006년 2008년~2011년 2017년~2019년 2023년~2024년 특집
<nopad> 파일:봉숭아학당.png
<colbgcolor=#51549d><colcolor=#ffffff> 2023~2024 봉숭아 학당
시작 2023년 11월 12일
종료 2024년 4월 14일
출연 김원효, 송준근, 신윤승, 임슬기, 박민성, 박은영
주요 대사 차렷! 선생님께 경례(임슬기)
이상해 이상해 (신윤승)
다 아는건데 말을 못하잖아(신윤승)
행님들 별풍선좀 달래 달래(송준근)
사용 BGM 코너 시작 시 - 아이들의 합창

1. 개요2. 소개3. 등장인물
3.1. 고정
3.1.1. 김원효3.1.2. 송준근3.1.3. 신윤승3.1.4. 임슬기3.1.5. 박민성3.1.6. 박은영
3.2. 이전
3.2.1. 오민우, 이수경3.2.2. 임재백, 서아름, 권은영3.2.3. 이상민3.2.4. 박성호3.2.5. 남현승3.2.6. 김시우3.2.7. 김현기3.2.8. 최기문, 정승우3.2.9. 김희원
3.3. 단역

[clearfix]

1. 개요

개그콘서트가 3년 4개월[1] 만에 시즌2로 부활하게 되면서, 봉숭아 학당의 재개학 또한 이루어지게 되었다. 1, 2기와 똑같이 주제가 있으며, 3기 후반부와 마찬가지로 11월 26일까지 엔딩이 아닌 오프닝으로 나왔으며, 12월 3일부터 12월 24일까지 중간에 편성되어서 방송하다가 1월 7일, 2월 4일에는 엔딩 코너로 나왔다. 또한 시즌 2 코너 중 유일하게 시즌1 잔류 코너이다.

1월 14일, 2월 18일, 3월 31일에는 통편집되었다. 1월 21일에 오프닝 코너로 나왔는데 방송시간이 크게 늘었으며 그날의 여파로 방영 코너가 12~14개에서 8개로 대폭 줄어들고 말았다.[2] 그 다음주인 1월 28일, 2월 25일, 3월 10일, 3월 17일에는 세번째로 나왔다. 3월 3일, 3월 24일, 4월 14일에는 오프닝 코너로, 4월 7일에는 엔딩 코너 나오기 직전에 나왔다.

4월 14일에 종영되었다. 4월 21일, 심곡파출소에서 신윤승이 PD가 봉숭아 학당을 없애버렸다고 언급했다. 사실상 심곡파출소와 통폐합을 진행했다. 역대 봉숭아 학당 중에서 제일 짧게 방영했다.

2. 소개


3. 등장인물

등장인물중 메인 이벤터급은 ★로, 흑역사/캐릭터데뷔 취소의 경우는 취소선으로 따로 표기한다.

3.1. 고정


3.1.1. 김원효

3.1.2. 송준근

3.1.3. 신윤승

3.1.4. 임슬기

3.1.5. 박민성

3.1.6. 박은영

3.2. 이전

3.2.1. 오민우, 이수경

3.2.2. 임재백, 서아름, 권은영

3.2.3. 이상민

3.2.4. 박성호

3.2.5. 남현승

3.2.6. 김시우

3.2.7. 김현기

3.2.8. 최기문, 정승우

3.2.9. 김희원

3.3. 단역



[1] 일수로 1235일 [2] 해당 날 이 코너만 거의 20분이었다. 그 대신 아나운서, 마에스트로 등 새 등장인물들까지 굉장히 많이 등장했다. [3] 역대 선생님들 중 막내다. [4] 선생님 역의 김원효와 동기다. [5] 그래서인지 멘션으로 풍선좀 달래달래를 밀고 있다. [6] 예시로 만원은 토카토카, 십만원은 Super Shy 등. [7] 노래 가사 중에 '내일이면 간다'가 있어서 [8] 개콘 유튜브 채널의 실버버튼이였다. [9] 여담으로 이날은 리액션이 전혀 나오지 않았다. [10] 처음에는 이상해씨 혼자만 얘기하다 나중에는 관객들이 다 얘기한다. [11] 얘기하는 장면이 정책으로 인해 음소거되는데, 유튜브 버전에서는 소리를 크게 해놓고 들으면 약간 줄여서 내보내는 경우도 있다. 또한 음소거 되는 단어가 그 뒤에 나오는 개그에 따라 다른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 갤럭시 노트'라는 상표에서 '노트'를 이용한 개그에서는 갤럭시를, '갤럭시'를 이용한 개그에서는 노트를 음소거 한다. 즉, 정책에 의한 음소거도 개그 소재로 사용된다는 뜻. [12] 특히 정관장 앞을 잘라도 뒤를 잘라도 매우 그런 단어가 되는 덕분에 개그 요소로 열심히 써먹었다. [13] 12월 3일부터 제작진이 끌고 가지 않고 그냥 자기가 들어가 자리에 앉아있다. [14] 신윤승의 경우는 데프콘 어때요와 함께 개콘에서 호평을 받는 위치에 있어 현재 개콘 시즌2의 에이스 역할이 되었다. [15] 그 드라마의 배경이 고려인데, 제작진 이름이 조선인이라서... [16] 신윤승이 데프콘 어때요에 같이 출연하고 있는 조수연과 이어주고 싶은 마음에 CG에 꼭 조수연의 얼굴이 들어간다. [17] 이때 목소리가 2개, 약간 목소리가 이상하게 나왔다가 챗플릭스에서 다시 정상으로 돌아왔다. [18] 여담으로 실제로 84년생이다. [19] 젖꼭지 엉덩이만 그려져있다. 12월 24일에는 엉덩이가 나오지 않았다. [20] 개콘 편집진도 예술작품처럼 편집을 해 준다. [21] 예를 들면 젖꼭지 밑에 점 8개를 4-4 대형으로 그리고 4-4-2 전술이라 이름을 붙인다. [22] 모티브는 웹툰 작가 기안84 [23] 2월 4일 궁예 패러디를 했는데 희한84의 모티브인 기안84도 궁예를 좋아한다. [24] 실제 발음시 ”슷~따삣!“ [25] 실제 발음시 ”슷~뜌삣!“ [26] 예를 들면 K-푸드를 담은 곡을 들려준다면서 배달의 민족 주문 시그널을 튼다. [27] 소송을 피하기 위해서인지 우연인지 드라마가 종영되자마자 출연하기 시작했다. [28] 쌍둥이 개그맨 동생과는 동명이인. [29] 참조 [30] 최기문이 뭔가를 물어 봤을 때 하는 대사. 이 대사를 들은 관객들과 봉숭아 학당 학생, 선생님은 충격을 먹는다. [31] 여담으로, 페이크 역의 정승우는 페이커와 동갑이다. [32] 처음에는 최기문 혼자 자리에 앉아 있었지만 3월 17일에는 정승우도 뒷자리에 앉더니 노트북을 꺼내서 게임을 한다. [33] 약간 코빅의 페이크 특공대와 비슷하다. [34] 김병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