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07-26 16:37:10

2022년 북한의 해상완충구역 내 포병사격 사건

북한 관련 뉴스
2021년 2022년 2023년
문서가 분리된 2022년에 발생한 북한 관련 사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7px -1px -11px"
1.1 귀순 탈북자 2022년 월북 사건
1.5.~12.31. 2022년 북한 미사일 도발
4.25. 2022년 4월 25일 북한 열병식
4.28. 현역 대위 군사기밀 유출 사건 기소
5월 우즈베키스탄 북한식당 종업원 집단 탈북 사건
5.12.~8.10. 오미크론 대유행
9.25.~12.31. 2022 북한 연쇄 도발
( 포병사격 · 11.2. 미사일 도발 · 무인기 영공 침범)
}}}}}}}}} ||
북한의 해상완충구역 내 포병사격 사건
North Korean Artillery Firing
into the Inter-Korean Maritime Buffer Zone
▲ SBS의 보도
(2022년 10월 15일)
▲ YTN의 보도
(2022년 12월 6일)
<colbgcolor=#bc002d,#222222><colcolor=white> 발생일시
1차
2022년 10월 14일 01:20 ~ 03:07
2차
2022년 10월 14일 17:00 ~ 19:00
3차
2022년 10월 18일 22시, 23시
4차
2022년 10월 19일 12:30
5차
2022년 10월 24일 05:14
6차
2022년 11월 2일 13:27
7차
2022년 11월 3일 23:28
8차
2022년 12월 5일 14:59
9차
2022년 12월 6일 10:00 ~ 18:00
발생장소
1차(서)
황해남도 룡연군 마장동
1차(동)
강원도 통천군 구읍리
2,3,5,8차(서)
황해남도 룡연군 장산리 장산곶
2차(서)
황해남도 해주시 해주만
2,3차(동)
강원도 고성군 고성읍 장전항
4차(서)
황해남도 연안군
6,9차(동)
강원도 고성군
7,8차(동)
강원도 금강군
유형 군사도발 (국지)
당사국
도발측

[[북한|]][[틀:국기|]][[틀:국기|]]
상대측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원인 ▶ 한·미·일 삼각공조 강화에 대한 불만 표출
9.19 남북군사합의 파기 기도
북방한계선(NLL) 무력화
▶ 위기감 조성에 따른 북한 주민 결속 강화
1. 개요2. 배경3. 위반 사례
3.1. 10월 14일
3.1.1. 1차 포병사격3.1.2. 2차 포병사격
3.2. 10월 18일3.3. 10월 19일3.4. 10월 24일3.5. 11월 2일3.6. 11월 3일3.7. 12월 5일3.8. 12월 6일
4. 안보 동향5. 분석6. 반응

[clearfix]

1. 개요

2022년 10월 북한 9.19 남북군사합의에 따라 설정한 해상완충구역 내 포병사격을 실시함으로써 해당 합의를 공개적으로 위반한 사건.

2. 배경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2년 북한의 연쇄 도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위반 사례

2023년 1월 15일 기준으로 14차례 해당 합의를 위반했으며, 다른 사례들[1]까지 종합하면 총 18번 위반한 것이 된다.

3.1. 10월 14일

이날 도발은 황해 동해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했으며, 01시 20분부터 03시 07분까지, 그리고 17시 00분부터 19시 00분까지 각각 나뉘어서 이뤄졌다.

3.1.1. 1차 포병사격

9.19 남북군사합의 3번째, 4번째 위반 사례.[계산법] 기사(뉴시스)

3.1.2. 2차 포병사격

9.19 남북군사합의 5~7번째 위반 사례.[계산법] 기사(데일리안)

3.2. 10월 18일

이날 도발도 황해 동해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했으며, 22시와 23시에 이뤄졌다.

3차 포병사격이자 9.19 남북군사합의 8번째, 9번째 위반 사례.[계산법]

3.3. 10월 19일

이날 도발은 황해에서만 발생했으며, 12시 30분에 이뤄졌다.

4차 포병사격이자 9.19 남북군사합의 10번째 위반 사례.[계산법]

3.4. 10월 24일

이날 도발은 황해에서만 발생했으며, 05시 14분에 이뤄졌다.

5차 포병 사격이자 9.19 남북군사합의 11번째 위반 사례.[계산법]

3.5. 11월 2일

이 사건 이전에 각각 06시 51분, 08시 51분, 09시 12분, 16시 38분에 단거리 탄도 미사일(SRBM) 총 25발의 발사 도발이 있었으며, 이 중 08시 51분에 강원도 원산시에서 발사한 미사일 1발이 북방한계선 이남에 낙탄됐다. 또한 북한 발표에 따르면 함경북도에서 발사한 순항미사일 2발이 울산 앞바다에 낙탄했다고 한다. 이건 9.19 남북군사합의 12번째 위반 사례. 이날 발사한 미사일만 최소 25발 이상으로 파악되고 있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2년 11월 2일 북한 미사일 도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날 포병사격 도발은 동해에서만 발생했으며, 13시 27분에 이뤄졌다.

6차 포병 사격이자 9.19 남북군사합의 13번째 위반 사례.

3.6. 11월 3일

이날 포병사격 도발은 동해에서만 발생했으며, 23시 28분에 이뤄졌다.

7차 포병 사격이자 9.19 남북군사합의 14번째 위반 사례.

3.7. 12월 5일

이날 도발도 황해 동해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했으며, 14시 59분에 이뤄졌다.

8차 포병 사격이자 9.19 남북군사합의 15번째 위반 사례.[9]

3.8. 12월 6일

이날 도발도 동해에서만 발생했으며, 10시부터 18시 이후까지 이뤄졌다.

9차 포병 사격이자 9.19 남북군사합의 16번째 위반 사례.

4. 안보 동향

이 도발 전후로 당사국과 주변국의 안보 동향은 아래와 같다.

5. 분석

6. 반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2년 북한의 해상완충구역 내 포병사격 사건/반응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8
, 2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8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2019년 11월 23일에 발생한 '창린도 해안포 사격'(1번째), 2020년 5월 3일에 발생한 ' GP 총격 사건'(2번째), 2022년 11월 2일에 발생한 ' 2022년 11월 2일 북한 미사일 도발'(12번째), 2022년 12월 26일에 발생한 ' 2022년 북한 무인기 영공 침범 사건'(18번째) [계산법] 대한민국 국군은 동, 서해에서 발생한 사건이라도 시간대가 정확히 일치하면 1회차로 계산하고, 1시간 가량 차이나면 다른 회차로 계산하였다. 2022년 국방백서 참조. [계산법] [계산법] [계산법] [6] 이 정보는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가 발표한 정보이다. 다만 일부 매체에서는 12시 10분부터 황해남도 청단군 룡매도에서 사격이 있었다고 보도했다. 영상(KBS) 기사(기호일보) [계산법] [8] 여기서 말하는 '해상군사분계선'이란, 북방한계선보다 6km 이남으로 내려가 있는, 북한이 일방적으로 주장하는 경계선이다. [9]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는 묶어서 15번째 위반사례로 규정하였다. 2022년 국방백서 p.353 참조. [VS] 일명 '비질런트 스톰(Vigilant Storm)'이다. [VS] [12] 다만 고재홍 위원도 '시기상으로는 미뤄질 수는 있다'고는 본다. [13] 고재홍(2022), '북한의 최근 대남도발의 특징과 전망', 《이슈브리프》 제396호, 서울: 국가안보전략연구원 [14] 김일기(2022), '최근 북한의 무력시위와 우리의 대응방향', 《이슈브리프》 제397호, 서울: 국가안보전략연구원 [15] 이성훈(2022), '한미연합훈련에 대한 북한의 인식과 대응행태 변화', 《이슈브리프》 제398호, 서울: 국가안보전략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