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7 03:39:19

1992 ICC 크리켓 월드컵


{{{#!wiki style="margin: 1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rowcolor=#ffffff> 1회
( 1975년 )
2회
( 1979년 )
3회
( 1983년 )
4회
( 1987년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A]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A]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파일:웨일스 국기.svg

잉글랜드·웨일스[A]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인도·파키스탄[B]
<rowcolor=#ffffff> 5회
( 1992년 )
6회
( 1996년 )
7회
( 1999년 )
8회
( 2003년 )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호주·뉴질랜드[C]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인도·파키스탄·스리랑카[D]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파일:웨일스 국기.svg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파일:아일랜드 크리켓 깃발.pn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영국·아일랜드·네덜란드[E]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파일:케냐 국기.svg

남아공·짐바브웨·케냐[F]
<rowcolor=#ffffff> 9회
( 2007년 )
10회
( 2011년 )
11회
( 2015년 )
12회
( 2019년 )
파일:서인도 제도 크리켓 기.png

서인도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인도·스리랑카·방글라데시[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호주·뉴질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파일:웨일스 국기.svg

잉글랜드·웨일스
<rowcolor=#ffffff> 13회
( 2023년 )
14회
( 2027년 )
15회
( 2031년 )
16회
( - )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남아공·짐바브웨·나미비아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인도·방글라데시
파일:국기.svg

미정

[A] 당시 대회 정식 명칭은 프루덴셜(푸르덴셜) 컵 [A] [A] [B] 1987 릴라이언스 컵이라고도 불림. [C] 1992 벤슨 앤 헤지스 월드컵이라고도 불림. [D] 1996 윌스 월드컵이라고도 불림. [E] ICC Cricket World Cup England '99(이)라는 이름으로 개최 [F] ICC Cricket World Cup South Africa 2003(이)라는 이름으로 개최 [G] 당시 정식 대회명은 ICC Cricket World Cup 2011(으)로, 개최국명이 들어가지 않았음.
}}}}}}}}} ||
1992 벤슨 앤 헤지스 월드컵
Benson & Hedges World Cup 1992
파일:1992 CRICKET WORLD CUP LOGO.png
<colbgcolor=#000,#FFF><colcolor=#000> 주최 <colbgcolor=#ffffff,#111><colcolor=#000,#ECECEC> 국제 크리켓 평의회
(International Cricket Council, ICC)
개최국
[[호주|]][[틀:국기|]][[틀:국기|]] |
[[뉴질랜드|]][[틀:국기|]][[틀:국기|]]
경기 방식 ODI (원데이 인터내셔널)
(50 오버)
대회 기간 1992년 2월 22일 ~ 1992년 3월 25일
(32일)
본선 참가국 개최국 호주, 뉴질랜드 포함 9개국
경기 수 39경기
(풀리그 36경기 + 녹아웃 3경기)
웹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대회 결과
우승
[[파키스탄|]][[틀:국기|]][[틀:국기|]] 파키스탄
준우승
[[잉글랜드|]][[틀:국기|]][[틀:국기|]] 잉글랜드
공동 3위
[[뉴질랜드|]][[틀:국기|]][[틀:국기|]] 뉴질랜드


[[남아프리카 연방|]][[틀:국기|]][[틀:국기|]] 남아프리카 공화국
◀ 이전 대회
1987년
현재 대회 ▶ 이후 대회
1996년

1. 개요2. 참가 팀 정보3. 개최지4. 대표팀 스쿼드5. 심판6. 대회 진행7. 대회 결과8. 대회 기록9. 이야깃거리

[clearfix]

1. 개요

||<tablewidth=100%><width=10%><table bordercolor=#000><tablebgcolor=#fff><color=#000>
Who'll Rule the World?
누가 세계를 지배할 것인가?
1992 크리켓 월드컵 슬로건 ||

국제 크리켓 평의회(ICC)에서 개최된 5번째 크리켓 월드컵이다. 호주 뉴질랜드에서 공동으로 개최되었다.

1992년 기준으로 ICC에서 정회원으로 등록된 8개 팀( 잉글랜드, 호주, 남아프리카 공화국[1], 서인도, 뉴질랜드, 인도, 파키스탄, 스리랑카)이 자동으로 본선에 진출하였고, 이후 남은 한 자리에서 '준회원 국가들의 월드컵'으로서 2년 전에 개최되었던 1990 ICC 트로피에서 우승을 거둔 짐바브웨[2]가 준회원 국가로서 3대회 연속으로 본선에 진출했다.

공식 명칭은 벤슨 앤 헤지스 월드컵(Benson & Hedges World Cup 1992)이다. 영국의 담배 브랜드인 벤슨 & 헤지스 (B&H)의 스폰서십이 적용되었기 때문이다.[3]

정회원 국가인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표팀의 합류로 본선 진출 참가 팀 수가 9개가 되면서 이제까지 8개 팀 체제로서 조별리그 형식으로 치러졌던 4개 대회와는 달리 이번 대회에서는 싱글 라운드 로빈 풀리그 형식으로 경기가 진행된다.

이 대회부터 선수단 유니폼에 각 대표팀을 상징하는 컬러 도색이 적용되었다.[4]하늘색
호주 :
노랑색
남아공 :
초록색
서인도 :
자주색
뉴질랜드 :
회색
인도 :
남색
파키스탄 :
연두색
스리랑카 :
파랑색
짐바브웨 :
빨강색]

2. 참가 팀 정보

<rowcolor=#FFF> 대표팀 출전 횟수 ICC 등급 최고 성적 비고
<colbgcolor=#A4C402><colcolor=#FFF,#000> 파일:호주 국기.svg <colbgcolor=#195385> 호주 <colbgcolor=#FFF,#111> 5회
(1975, 1979, 1983, 1987, 1992)
<colbgcolor=#FFF,#111> 정회원
(1909~)
<colbgcolor=#FFF,#111> 우승
(1987)
<colbgcolor=#FFF,#111> 개최국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5회
(1975, 1979, 1983, 1987, 1992)
정회원
(1926~)
준결승
(1975, 1979)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5] 1회
(1992)
정회원
(1909~1961, 1991~)
첫 출전
파일:서인도 제도 크리켓 기 (~1999).svg 서인도 5회
(1975, 1979, 1983, 1987, 1992)
정회원
(1926~)
우승
(1975, 1979)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5회
(1975, 1979, 1983, 1987, 1992)
정회원
(1981~)
5위 (조별리그)
(1979)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5회
(1975, 1979, 1983, 1987, 1992)
정회원
(1926~)
우승
(1983)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5회
(1975, 1979, 1983, 1987, 1992)
정회원
(1909~)
준우승
(1979, 1987)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3회
(1983, 1987, 1992)
준회원
(1981~)
8위 (조별리그)
(1983, 1987)
1990 ICC 트로피 우승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5회
(1975, 1979, 1983, 1987, 1992)
정회원
(1952~)
준결승
(1979, 1983, 1987)

3. 개최지

이 대회에서 개최된 총 경기장의 수는 18곳이다. 호주에 11곳, 뉴질랜드에 7곳의 경기장이 할당되었다.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rowcolor=#FFF> 개최지 경기장 수용인원
(20[age(2000-01-01)]년 기준)
<colbgcolor=#A4C402> 빅토리아 <colbgcolor=#195385> 멜버른 <colbgcolor=#FFF,#111> 멜버른 크리켓 그라운드
(Melbourne Cricket Ground)
<colbgcolor=#FFF,#111> 100,000명
밸러랫 이스턴 오벌
(Eastern Oval)
10,000명
뉴사우스웨일스 시드니 시드니 크리켓 그라운드
(Sydney Cricket Ground)
48,000명
올버리 래빙턴 스포츠 오벌
(Lavington Sports Oval)
12,000명
퀸즐랜드 브리즈번 더 가바
(The Gabba)
37,000명
매카이 레이 미첼 오벌
(Ray Mitchell Oval)
10,000명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애들레이드 애들레이드 오벌
(Adelaide Oval)
53,500명
베리 베리 오벌
(Berri Oval)
불명
호주 수도 준주 캔버라 마누카 오벌
(Manuka Oval)
12,000명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 퍼스 WACA 그라운드
(WACA Ground)
20,000명
태즈메이니아 호바트 벨러리브 오벌
(Bellerive Oval)
20,000명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rowcolor=#FFF> 개최지 경기장 수용인원
(20[age(2000-01-01)]년 기준)
<colbgcolor=#A4C402> 오클랜드주 <colbgcolor=#195385> 오클랜드 <colbgcolor=#FFF,#111> 이든 파크
(Eden Park)
<colbgcolor=#FFF,#111> 42,000명
웰링턴주 웰링턴 베이진 리저브
(Basin Reserve)
11,600명
캔터베리 크라이스트처치 랭커스터 파크
(Lancaster Park)
38,000명
와이카토 해밀턴 세든 파크
(Seddon Park)
10,000명
오타고 더니든 캐리스브룩
(Carisbrook)
29,000명
호크스베이 네이피어 매클린 파크
(McLean Park)
19,700명
타라나키 뉴플리머스 푸케쿠라 파크
(Pukekura Park)
불명

4. 대표팀 스쿼드

<rowcolor=#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감독: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마이크 프록터
<rowcolor=#FFF> 선수명 로마자 성명 생년월일 소속 팀
(퍼스트 클래스 팀)
비고
<colbgcolor=#FFF,#222><colcolor=#000,#EDEDED> 케플러 웨즐스[6]남아공 태생 선수였다. 그는 1991년에 남아공이 국제적인 제재에서 벗어나자 남아공으로 돌아와 그곳에서 대표팀에 발탁되었다.] <colbgcolor=#FFF,#222><colcolor=#000,#EDEDED> Kepler Wessels <colbgcolor=#FFF,#222><colcolor=#000,#EDEDED> 1957.09.14 <colbgcolor=#FFF,#222><colcolor=#000,#EDEDED> 이스턴 프로빈스 <colbgcolor=#FFF,#222><colcolor=#000,#EDEDED> 주장
테르티위스 보시 Tertius Bosch 1960.03.14 노던 트란스발
한지 크로녀 Hansie Cronje 1969.09.25 오렌지 프리스테이트
앨런 도널드 Allan Donald 1966.10.20 워릭셔 (잉글랜드)
오마르 헨리 Omar Henry 1952.01.23 오렌지 프리스테이트
앤드류 허드슨 Andrew Hudson 1965.03.17 나탈
피터 커스턴 Peter Kirsten 1955.05.14 보더
아드리안 카위퍼 Adrian Kuiper 1959.08.24 웨스턴 프로빈스
브라이언 맥밀런 Brian McMillan 1963.12.22 웨스턴 프로빈스
메이릭 프링글 Meyrick Pringle 1966.06.22 웨스턴 프로빈스
존티 로즈 Jonty Rhodes 1969.07.27 나탈
데이브 리처슨 Dave Richardson 1959.09.16 이스턴 프로빈스 위켓 키퍼
마크 러시미어 Mark Rushmere 1965.01.07 이스턴 프로빈스
리처드 스넬 Richard Snell 1968.09.12 트란스발
}}}}}}}}}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감독: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워런 리즈
<rowcolor=#FFF> 선수명 로마자 성명 생년월일 소속 팀
(퍼스트 클래스 팀)
비고
<colbgcolor=#FFF,#222><colcolor=#000,#EDEDED> 마틴 크로우[]T20 크리켓 방식을 고안한 대표적인 인물이다. ] <colbgcolor=#FFF,#222><colcolor=#000,#EDEDED> Martin Crowe <colbgcolor=#FFF,#222><colcolor=#000,#EDEDED> 1962.09.22 <colbgcolor=#FFF,#222><colcolor=#000,#EDEDED> 웰링턴 <colbgcolor=#FFF,#222><colcolor=#000,#EDEDED> 주장
크리스 케언즈 Chris Cairns 1970.06.13 켄터베리
마크 그레이트배치 Mark Greatbatch 1963.12.11 센트럴
크리스 해리스 Chris Harris 1969.11.20 캔터베리
앤드류 존스 Andrew Jones 1959.05.09 오타고
게빈 라슨 Gavin Larsen 1962.09.27 웰링턴
존 라이트 John Wright 1954.07.05 오클랜드
로드니 레이텀 Rodney Latham 1961.06.12 캔터베리
대니 모리슨 Danny Morrison 1966.02.03 오클랜드
디팍 파텔 Dipak Patel 1958.10.25 오클랜드
켄 러더퍼드 Ken Rutherford 1965.10.26 오타고
이언 스미스 Ian Smith 1957.02.28 오클랜드 위켓 키퍼
머피 수아 Murphy Su'a 1966.11.07 오클랜드
윌리 왓슨 Willie Watson 1965.08.31 오클랜드
}}}}}}}}}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감독: 파일:서인도 제도 크리켓 기 (~1999).svg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로한 칸하이
<rowcolor=#FFF> 선수명 로마자 성명 생년월일 소속 팀
(퍼스트 클래스 팀)
비고
<colbgcolor=#FFF,#222><colcolor=#000,#EDEDED> 리치 리처슨 <colbgcolor=#FFF,#222><colcolor=#000,#EDEDED> Richie Richardson <colbgcolor=#FFF,#222><colcolor=#000,#EDEDED> 1962.01.12 <colbgcolor=#FFF,#222><colcolor=#000,#EDEDED> 리워드 제도 <colbgcolor=#FFF,#222><colcolor=#000,#EDEDED> 주장
커틀리 앰브로즈 Curtly Ambrose 1963.09.21 리워드 제도
키스 아서튼 Keith Arthurton 1965.02.21 리워드 제도
윈스턴 벤저민 Winston Benjamin 1964.12.31 리워드 제도
앤더슨 커민스 Anderson Cummins 1966.05.07 자메이카
로저 하퍼 Roger Harper 1963.03.17 가이아나
데즈먼드 헤인즈 Desmond Haynes 1956.02.15 바베이도스
칼 후퍼 Carl Hooper 1966.12.15 가이아나
브라이언 라라 Brian Lara 1969.05.02 트리니다드 토바고
거스 로지 Gus Logie 1960.09.28 트리니다드 토바고
말콤 마셜 Malcolm Marshall 1958.04.18 바베이도스
패트릭 패터슨 Patrick Patterson 1961.09.15 자메이카
필 시몬스 Phil Simmons 1963.04.18 트리니다드 토바고
데이비드 윌리엄스 David Williams 1963.11.04 트리니다드 토바고 위켓 키퍼
}}}}}}}}}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감독: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찬디카 하투루싱가
<rowcolor=#FFF> 선수명 로마자 성명 생년월일 소속 팀
(퍼스트 클래스 팀)
비고
<colbgcolor=#FFF,#222><colcolor=#000,#EDEDED> 아라빈다 데실바 <colbgcolor=#FFF,#222><colcolor=#000,#EDEDED> Aravinda de Silva <colbgcolor=#FFF,#222><colcolor=#000,#EDEDED> 1965.10.17 <colbgcolor=#FFF,#222><colcolor=#000,#EDEDED> 논데스크립츠 <colbgcolor=#FFF,#222><colcolor=#000,#EDEDED> 주장
돈 아누라시리 Don Anurasiri 1966.02.25 파나두라 스포츠 클럽
아산카 구루싱하 Asanka Gurusinha 1966.09.16 논데스크립츠
찬티카 하투루싱가 Chandika Hathurusingha 1968.09.13 타밀 유니온
사나트 자야수리야 Sanath Jayasuriya 1969.06.30 블룸필드
루완 칼파게 Ruwan Kalpage 1970.02.19 논데스크립츠
로샨 마하나마 Roshan Mahanama 1966.05.31 콜롬보 크리켓 클럽
참파카 라마나야케 Champaka Ramanayake 1965.01.08 타밀 유니온
아르주나 라나퉁가 Arjuna Ranatunga 1963.12.01 싱할리즈 스포츠 클럽
그레이엄 라브루이 Graeme Labrooy 1964.06.07 바스나히라 노스
아툴라 사마라세카라 Athula Samarasekera 1961.08.05 콜롬보 크리켓 클럽
하샨 틸라카라트네 Hashan Tillakaratne 1967.07.14 논데스크립츠 위켓 키퍼
프라모디야 위크라마싱게 Pramodya Wickramasinghe 1971.08.14 싱할리즈 스포츠 클럽
카필라 위제구나와르데네 Kapila Wijegunawardene 1964.11.23 콜롬보 크리켓 클럽
}}}}}}}}}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감독: 파일:인도 국기.svg 압바스 알리 바익
<rowcolor=#FFF> 선수명 로마자 성명 생년월일 소속 팀
(퍼스트 클래스 팀)
비고
<colbgcolor=#FFF,#222><colcolor=#000,#EDEDED> 모하마드 아자루딘 <colbgcolor=#FFF,#222><colcolor=#000,#EDEDED> Mohammad Azharuddin <colbgcolor=#FFF,#222><colcolor=#000,#EDEDED> 1963.02.08 <colbgcolor=#FFF,#222><colcolor=#000,#EDEDED> 하이데라바드 <colbgcolor=#FFF,#222><colcolor=#000,#EDEDED> 주장
수브로토 바네르지 Subroto Banerjee 1969.02.13 비하르
사친 텐둘카르 Sachin Tendulkar 1973.04.24 봄베이(뭄바이)
아제이 자데자 Ajay Jadeja 1971.02.01 하리아나
비노드 캄블리 Vinod Kambli 1972.01.18 봄베이(뭄바이)
카필 데브 Kapil Dev 1959.01.06 하리아나
라비 샤스트리 Ravi Shastri 1962.05.27 봄베이(뭄바이) 부주장
산제이 만지레카르 Sanjay Manjrekar 1965.07.12 봄베이(뭄바이)
키란 모르 Kiran More 1962.09.04 바로다 위켓 키퍼
마노지 프라바카르 Manoj Prabhakar 1963.04.15 델리
벵카타파티 라주 Venkatapathy Raju 1969.07.09 하이데라바드
크리슈나마차리 스리칸트 Krishnamachari Srikkanth 1959.12.21 타밀나두
자바갈 스리나트 Javagal Srinath 1969.08.31 카르나타카
프라빈 암레 Pravin Amre 1968.08.14 벵골
}}}}}}}}}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0> 감독: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미키 스튜어트
<rowcolor=#000> 선수명 로마자 성명 생년월일 소속 팀
(퍼스트 클래스 팀)
비고
<colbgcolor=#FFF,#222><colcolor=#000,#EDEDED> 그레이엄 구치 <colbgcolor=#FFF,#222><colcolor=#000,#EDEDED> Graham Gooch <colbgcolor=#FFF,#222><colcolor=#000,#EDEDED> 1953.07.23 <colbgcolor=#FFF,#222><colcolor=#000,#EDEDED> 에식스 <colbgcolor=#FFF,#222><colcolor=#000,#EDEDED> 주장
이언 보텀 Ian Botham 1955.11.24 더럼
필립 디프레이터스 Phillip DeFreitas 1966.02.18 랭커셔
닐 페어브라더 Neil Fairbrother 1963.09.09 랭커셔
그레이엄 히크 Graeme Hick 1966.05.23 우스터셔
리처드 일링워스 Richard Illingworth 1963.08.23 우스터셔
앨런 램 Allan Lamb 1954.06.20 노샘프턴셔
크리스 루이스 Chris Lewis 1968.02.14 노팅엄셔
데릭 프링글 Derek Pringle 1958.09.18 에식스
더모트 리브 Dermot Reeve 1963.04.02 워릭셔
글래스톤 스몰 Gladstone Small 1961.10.18 워릭셔
로빈 스미스 Robin Smith 1963.09.13 햄프셔
알렉 스튜어트 Alec Stewart 1963.04.08 서리 위켓 키퍼
필 터프넬 Phil Tufnell 1966.04.29 미들섹스
}}}}}}}}}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감독: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돈 토플리
<rowcolor=#FFF> 선수명 로마자 성명 생년월일 비고
<colbgcolor=#FFF,#222><colcolor=#000,#EDEDED> 데이비드 하우튼 <colbgcolor=#FFF,#222><colcolor=#000,#EDEDED> David Houghton <colbgcolor=#FFF,#222><colcolor=#000,#EDEDED> 1957.06.23 <colbgcolor=#FFF,#222><colcolor=#000,#EDEDED> 주장
케빈 어노트 Kevin Arnott 1961.03.08
에더 브란즈 Eddo Brandes 1963.03.05
마크 버미스터 Mark Burmester 1968.01.24
이엔 버차트 Iain Butchart 1960.05.09
알리스테어 캠벨 Alistair Campbell 1972.09.23
앤디 플라워 Andy Flower 1968.04.28 위켓 키퍼
케빈 듀어스 Kevin Duers 1960.06.30
웨인 제임스 Wayne James 1965.08.27
말콤 자비스 Malcolm Jarvis 1955.12.06
알리 샤 Ali Shah 1959.08.07
앤드류 파이크로프트 Andrew Pycroft 1956.06.06
존 트레이코스 John Traicos 1947.05.17
앤디 월러 Andy Waller 1959.09.25
}}}}}}}}}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0> 감독: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인티카브 알람
<rowcolor=#000> 선수명 로마자 성명 생년월일 소속 팀
(퍼스트 클래스 팀)
비고
<colbgcolor=#FFF,#222><colcolor=#000,#EDEDED> 임란 칸 <colbgcolor=#FFF,#222><colcolor=#000,#EDEDED> Imran Khan <colbgcolor=#FFF,#222><colcolor=#000,#EDEDED> 1952.11.25 <colbgcolor=#FFF,#222><colcolor=#000,#EDEDED> - <colbgcolor=#FFF,#222><colcolor=#000,#EDEDED> 주장
아미르 소하일 Aamir Sohail 1966.09.14 하비브 은행
아키브 자베드 Aaqib Javed 1972.08.05 PAC (파키스탄 자동차)
이자즈 아흐메드 Ijaz Ahmed 1968.09.20 하비브 은행
인자맘 울하크 Inzamam ul-Haq 1970.03.03 물탄
이크발 시칸데르 Iqbal Sikander 1958.12.19 카라치
자베드 미안다드 Javed Miandad 1957.06.12 하비브 은행
무하마드 모인 칸 Muhammad Moin Khan 1971.09.23 카라치 위켓 키퍼
무쉬타크 아흐메드 Mushtaq Ahmed 1970.06.28 물탄
라미즈 라자 Rameez Raja 1962.08.14 라호르
살림 말리크 Saleem Malik 1963.04.16 하비브 은행
와심 아크람 Wasim Akram 1966.06.03 파키스탄 국제항공
와심 하이데르 Wasim Haider 1967.06.36 파이살라바드
자히드 파잘 Zahid Fazal 1973.11.19 파키스탄 국제항공
}}}}}}}}}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B4616> 감독: 파일:호주 국기.svg 밥 심슨
<rowcolor=#0B4616> 선수명 로마자 성명 생년월일 소속 팀
(퍼스트 클래스 팀)
비고
<colbgcolor=#FFF,#222><colcolor=#000,#EDEDED> 앨런 보더 <colbgcolor=#FFF,#222><colcolor=#000,#EDEDED> Allan Border <colbgcolor=#FFF,#222><colcolor=#000,#EDEDED> 1955.07.27 <colbgcolor=#FFF,#222><colcolor=#000,#EDEDED> 퀸즐랜드 <colbgcolor=#FFF,#222><colcolor=#000,#EDEDED> 주장
데이비드 분 David Boon 1960.12.29 태즈메이니아
이언 힐리 Ian Healy 1964.04.30 퀸즐랜드 위켓 키퍼
머브 휴즈 Merv Hughes 1961.11.23 빅토리아
딘 존스 Dean Jones 1961.03.24 빅토리아
크레이그 맥더모트 Craig McDermott 1965.04.14 퀸즐랜드
제프 마시 Geoff Marsh 1958.12.31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
톰 무디 Tom Moody 1965.10.02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
브루스 리드 Bruce Reid 1963.03.14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
마크 테일러 Mark Taylor 1964.10.27 뉴사우스웨일스
피터 테일러 Peter Taylor 1956.08.22 퀸즐랜드
마크 워프 Mark Waugh 1965.06.02 뉴사우스웨일스
스티브 워프 Steve Waugh 1965.06.02 뉴사우스웨일스
마이크 휘트니 Mike Whitney 1959.02.24 뉴사우스웨일스
}}}}}}}}} ||
마크 워프(Mark Waugh)와 스티브 워프(Steve Waugh)가 크리켓 월드컵 출전 선수로서 동시에 발탁된 최초의 쌍둥이 형제가 되었다.

5. 심판

<rowcolor=#000> 국적 이름 로마자 성명
<colbgcolor=#FFF>
[[호주|]][[틀:국기|]][[틀:국기|]] 호주
스티브 랜들 Steve Randell
피터 맥코넬 Peter McConnell

[[뉴질랜드|]][[틀:국기|]][[틀:국기|]] 뉴질랜드
브라이언 올드리지 Brian Aldridge
스티브 우드워드 Steve Woodward

[[남아프리카 연방|]][[틀:국기|]][[틀:국기|]] 남아프리카 공화국
칼 리번베르흐 Karl Liebenberg
파일:서인도 제도 크리켓 기 (~1999).svg 서인도 스티브 버크노어[8] Steve Bucknor

[[스리랑카|]][[틀:국기|]][[틀:국기|]] 스리랑카
둘란드 불티옌스[9] Dooland Buultjens

[[인도|]][[틀:국기|]][[틀:국기|]] 인도
필루 리포터 Piloo Reporter

[[잉글랜드|]][[틀:국기|]][[틀:국기|]] 잉글랜드
데이비드 셰퍼드 David Shepherd

[[짐바브웨|]][[틀:국기|]][[틀:국기|]] 짐바브웨
이언 로빈슨 Ian Robinson

[[파키스탄|]][[틀:국기|]][[틀:국기|]] 파키스탄
키제르 하야트 Khizer Hayat


6. 대회 진행

※ 결과표를 읽을 때 유의할 사항
1. 무승부. 두 팀 사이의 점수가 50오버 상에서 서로 똑같을 때
2. NR노리절트(No-Result). 우천 취소 등으로 인해 서스펜디드가 선언될 때 기록.
3. NRR네트 런 비율(Net Run Rate). 서로 대결한 두 팀 간의 런(득점, Run) 개수에 각 팀의 확정 오버(Over) 수를 나누어 뺀 값으로, 이긴 팀이 NRR의 해당 절댓값의 플러스(+)를 차지하고 진 팀이 NRR의 절댓값의 마이너스(-)를 가져가게 된다. 단, 두 팀 중에 한 팀 이상이 ODI 기준으로 50오버를 채우지 못한 채 10아웃을 당하게 되면 확정 오버 수가 몇이든 상관없이 NRR 상의 오버 수가 50으로 계산되어 (팀의 런 개수)/50으로 처리된다. 이러한 경우 두 팀에게는 상관이 없을지 몰라도 한 팀만 10아웃을 당하게 되면 아무리 같은 점수 상에 있더라도 누적 NRR을 비교할 때 상당히 불리해진다.

6.1. 본선 풀리그

<colbgcolor=#FFF><colcolor=#000><rowcolor=#000> 순위 국가 경기 NR 승점 NRR
1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8 7 0 1 0 14 0.592
2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8 5 0 2 1 11 0.470
3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8 5 0 3 0 10 0.138
4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8 4 0 3 1 9 0.166
5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8 4 0 4 0 8 0.201
6 파일:서인도 제도 크리켓 기 (~1999).svg 서인도 8 4 0 4 0 8 0.076
7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8 2 0 5 1 5 0.137
8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8 2 0 5 1 5 −0.686
9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8 1 0 7 0 2 −1.142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1992 ICC 크리켓 월드컵/풀리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2. 결선 토너먼트

<rowcolor=#000> 준결승 결승
{{{#!wiki style="margin: 5px -10px"
준결승 1경기 (1992년 3월 21일, 오클랜드)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선공) 262/7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후공) 264/6
파키스탄의 4위켓 차 승리
}}} {{{#!wiki style="margin: 5px -10px"
결승 (1992년 3월 25일, 멜버른)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선공) 249/6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후공) 227
파키스탄의 22런 차 승리
}}}
{{{#!wiki style="margin: 5px -10px"
준결승 2경기 (1992년 3월 22일, 시드니)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선공) 252/6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후공) 232/6
잉글랜드의 19런 차 승리*
}}}

6.2.1. 준결승

풀리그 1위를 기록한 뉴질랜드와 4위 파키스탄이, 다른 한편으로 풀리그 2위를 기록한 잉글랜드과 3위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각각 결승으로 가는 길목에서 격돌하게 되었다.
6.2.1.1. 1경기 : 뉴질랜드 vs 파키스탄
파일:1992 CRICKET WORLD CUP LOGO.png
1992 크리켓 월드컵 준결승 1경기
1992.03.21 (토) (UTC+13)
심판진 : 파일:서인도 제도 크리켓 기 (~1999).svg 스티브 버크노어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데이비드 셰퍼드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뉴질랜드 파키스탄
<rowcolor=#000> 262/7
(50 오버)
264/6
(49 오버)
파키스탄의 4위켓 차 승리
최우수 선수 :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인자맘 울하크
  • 경기 통계
선공 (뉴질랜드 공격, 파키스탄 수비)
<rowcolor=#000> 배팅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최다 런)
볼링 :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실점 대비 최다 위켓)
마틴 크로우
91런
(투구 수 : 83구)
와심 아크람 &
무쉬타크 아흐메드
40실점 2위켓
(10 오버)
후공 (파키스탄 공격, 뉴질랜드 수비)
<rowcolor=#000> 배팅 :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최다 런)
볼링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실점 대비 최다 위켓)
인자맘 울하크
60런
(투구 수 : 37구)
윌리 왓슨
39실점 2위켓
(10 오버)

뉴질랜드 파키스탄의 크리켓 월드컵 두번째 맞대결이다. 뉴질랜드 입장에서는 직전 경기에서 패배한 파키스탄을 상대로 설욕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다. 뉴질랜드가 선공을 택하여 첫 번째 이닝에서 막강한 공격력으로 고득점에 해당하는 262런을 기록하여 기선을 제압했다.

그러나, 풀리그에서의 절체절명의 탈락 위기 속에서 불굴의 의지로 마지막 3경기를 전승하며 미라클 런을 만들어낸 파키스탄의 공격에 임하는 자세는 꺾이지가 않았다. 인자맘 울하크의 하프센추리(50점)를 필두로 파키스탄 공격진의 집중력이 또 한번 빛을 발하여 뉴질랜드의 투구 수 7개를 남겨두고 262점을 뛰어넘어 다시 한번 뉴질랜드의 승리 의지를 꺾어버렸다. 이렇게 해서 그 누구도 4강에 올라갈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던 파키스탄이번 월드컵에서 압도적인 기량을 보여왔던 뉴질랜드를 보란듯이 탈락시키고 사상 최초로 크리켓 월드컵 결승에 진출하는 쾌거를 이루어냈다.

파키스탄의 이번 승리가 특별한 것은 직전 뉴질랜드와의 풀리그 마지막 맞대결에서 뉴질랜드가 이미 준결승 진출을 확정지으며 힘을 많이 뺀 상황이었던 경우와 달리 이번 준결승전에서는 양팀 모두 뒤가 없는 엄대엄으로 전력을 쏟아낸 상태에서 맞붙어서 따낸 값진 승리였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파키스탄은 누구도 예상하지 못한 결과를 만들어내면서 전 세계 크리켓 팬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게 되었으며, 이후 이어지는 다른 준결승전에서 올라올 예정인 잉글랜드 혹은 남아공보다 하루를 더 쉬게 되면서 체력적인 면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여 기분좋게 결승전 경기를 준비할 수 있게 되었다.
6.2.1.2. 2경기 : 잉글랜드 vs 남아프리카 공화국
파일:1992 CRICKET WORLD CUP LOGO.png
1992 크리켓 월드컵 준결승 2경기
1992.03.22 (일) (UTC+11)
심판진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브라이언 올드리지 | 파일:호주 국기.svg 스티브 랜들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잉글랜드 남아프리카 공화국
<rowcolor=#000> 252/6
(45 오버로 종료)
(조정: 251/6, 43 오버)
232/6
(43 오버로 종료)
잉글랜드의 19런 차 승리*
(잉글랜드의 선공으로 진행되는 경기 도중에 비가 내리며 45오버로 이닝 종료, 후공에 돌입하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승리 목표는 45오버 253런이었으나,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42.5오버를 넘긴 상황에서 다시 비가 내림으로 인해 43오버 252런으로 수정됨.)
최우수 선수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그레이엄 히크
  • 경기 통계
선공 (잉글랜드 공격, 남아프리카 공화국 수비)
<rowcolor=#000> 배팅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최다 런)
볼링 :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실점 대비 최다 위켓)
그레이엄 히크
83런
(투구 수 : 90구)
메이릭 프링글
36실점 2위켓
(9 오버)
후공 (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격, 잉글랜드 수비)
<rowcolor=#000> 배팅 :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최다 런)
볼링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실점 대비 최다 위켓)
앤드류 허드슨
46런
(투구 수 : 52구)
리처드 일링워스
46실점 2위켓
(10 오버)

남아공이 후공을 선택하여 잉글랜드가 먼저 공격에 돌입하였다. 잉글랜드가 공격 도중 우천의 여파로 인해 45오버에서 전반 이닝을 끝내어 252런을 획득하였고, 이어서 남아공의 공격 이닝으로 이어졌는데, 문제는 남아공이 231런을 득점한 42.5오버에서 비가 내리면서 남은 2.1오버(13구) 안에 22런을 득점해야 하는 목표가 수정되어 2오버가 차감된 채 0.1오버(1구) 안에 21런을 득점해야 승리하는 것으로 석연치 않게 변경되는 바람에 양팀의 희비가 교차되었다. 결국 13구 안에 최소 22런을 획득함으로써 결승 진출이 얼마 남지 않을 줄 알았던 남아공이 이제는 한 개의 공만으로 21번을 죽기살기로 뛰어야 하는 불가능한 조건을 떠안은 채로 잉글랜드에게 결승행 티켓을 내주며 결과적으로 잉글랜드가 크리켓 월드컵에서 3번째로 결승에 진출하게 되었다.

한편 이번 경기에서 벌어진 오버 수정 해프닝으로 인하여 환호를 내비친 대부분의 잉글랜드 팬을 제외한 모든 크리켓 팬들이 당혹스러움을 금치 못하였다. 남아공이 42.5오버에서 232점을 기록할 때만 해도 남아공의 결승 진출이 예상되었던 분위기가 우천으로 인해 갑자기 전세가 크게 기울어지며 사실상의 패배로 바로 이어지게 될 줄을 누가 알았을까. 이러한 현상이 벌어진 원인은 바로 그 당시에 규정되었던 최대 산출 오버 규칙(Most Productive Overs method, 약칭 MPO)으로 인한 경기 진행 목표 수정 관련 문제에서 비롯된 것으로, 경기 중에 한 팀이 후공을 진행할 때 우천으로 인해 몇 오버가 감소하게 되면 그 점수에서 1런을 더한 상태로 경기를 다시 진행하는 규칙이 적용됨으로 인해서 오버 수가 2.1오버로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이러한 오버 차감을 통한 득점 목표의 갑작스런 변경 논란이 야기된 것이다.

결국 이번 경기로 인해 1991년에 도입되었지만 논란의 중심이 되었던 최대 산출 오버 규칙이 나중에 1997년에 등장한 더크워스·루이스·스턴 규칙(Duckworth–Lewis–Stern method)으로 대체되었다.

6.2.2. 결승 : 파키스탄 vs 잉글랜드

파일:1992 CRICKET WORLD CUP LOGO.png
1992 크리켓 월드컵 결승전
1992.03.25 (수) (UTC+11)
심판진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브라이언 올드리지 | 파일:서인도 제도 크리켓 기 (~1999).svg 스티브 버크노어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일:크리켓 월드컵 트로피.jpg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파키스탄 잉글랜드
<rowcolor=#000> 249/6
(50 오버)
227
(49.2 오버)
파키스탄의 22런 차 승리
최우수 선수 :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와심 아크람
  • 경기 통계
선공 (파키스탄 공격, 잉글랜드 수비)
<rowcolor=#000> 배팅 :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최다 런)
볼링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실점 대비 최다 위켓)
임란 칸
72런
(투구 수 : 110구)
데릭 프링글
22실점 3위켓
(10 오버)
후공 (잉글랜드 공격, 파키스탄 수비)
<rowcolor=#000> 배팅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최다 런)
볼링 :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실점 대비 최다 위켓)
닐 페어브라더
62런
(투구 수 : 70구)
무쉬타크 아흐메드
41실점 3위켓
(10 오버)

직전 풀리그에서의 맞대결이 노리절트로 끝난 파키스탄 잉글랜드의 진검승부로 치러지는 5번째 크리켓 월드컵 결승전이다.

파키스탄이 선공을 선택하여 첫 번째 이닝에서 공격 기회를 갖게 되었다. 전반 이닝 초중반에서는 30오버에서 100점을 못 넘겼을 정도로 다소 공격력이 무뎠지만 막판에 효율적인 공격을 주도하여 50오버 내에 249점을 달성하며 좋은 흐름으로 마무리를 지었다. 이어지는 잉글랜드의 공격 이닝에서 무쉬타크 아흐메드와 와심 아크람을 비롯한 볼러들을 위시한 파키스탄의 중요한 아웃카운트가 빛을 발하여 강력한 잉글랜드 주전 배터진을 잠재우며 마침내 9아웃으로 패배 위기에 몰린 잉글랜드를 공략해온 파키스탄이 49.2오버에서 마지막 플라이 캐치에 성공하여 파키스탄이 그토록 꿈에 그리던 크리켓 월드컵 우승 트로피를 들어올릴 수 있는 자격을 가지게 되었다.

이로 인해 초대 대회부터 이번 5회 대회까지의 역사를 함께했던 유이한 파키스탄 선수[10]이자 주장인 임란 칸오랜 숙원이었던 크리켓 월드컵 우승의 기쁨을 만끽하게 되었다.

7. 대회 결과

1992 ICC 크리켓 월드컵 우승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1번째 우승)

파키스탄이 대회 진행 중반까지만 해도 탈락이 확실시되어 절대 우승하지 못할 것이라는 세간의 예상을 깨뜨리고 당당하게 세계를 지배하였다.

8. 대회 기록

팀 기록
개인 기록
  • 최다 런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마틴 크로우 - 456런
    • 한 경기 최다 런 :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라미즈 라자 - 119런 (풀리그 33경기 vs 뉴질랜드)
  • 최다 런 합작 : 파일:서인도 제도 크리켓 기 (~1999).svg 파일:바베이도스 국기.svg 데즈먼드 헤인즈 &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브라이언 라라 - 175런 (풀리그 4경기 vs 파키스탄)
  • 최다 위켓 :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와심 아크람 - 18위켓 (10경기)
    • 한 경기 최다 위켓 :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메이릭 프링글 - 4위켓 (실점/위켓: 2.750) (풀리그 17경기 vs 서인도)
  • 최다 위켓키핑 :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데이브 리처슨 - 15키핑 (14아웃 1스텀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모하마드 모인 칸 - 15키핑 (11아웃 3스텀프 포함)

9. 이야깃거리

  • 개최국인 호주가 4위까지 주어지는 결선 토너먼트행에 실패하고, 뉴질랜드는 이 대회에서 풀리그 1위를 기록하였음에도 결승 진출에 실패하면서 크리켓 월드컵에서 개최국이 우승에 실패하는 징크스는 그대로 이어졌다.


    파일:$_86.jpg }}} ||
  • 파키스탄 크리켓 스타 임란 칸의 인생을 바꾼 대회이다. 1971년에 데뷔하여 1975년 초대 대회부터 계속해서 출전하여 인상적인 활약을 여럿 보여왔으나 우승과는 인연이 없었고, 그가 선수 커리어 마지막 월드컵으로 여겼던 1987년 대회에서 꿈에 그리던 우승 트로피를 들어올리고자 했으나 기껏 조별리그에서 1위를 거두고 올라온 준결승에서마저 허무하게 탈락한 이후로 결국 공식적으로 은퇴를 선언했지만, 이듬해인 1988년 당시 대통령이었던 무함마드 지아울하크[12]의 주장 복귀 요구를 비롯한 강력한 구애에 못 이겨 은퇴를 번복한 이후 다시 크리켓 무대를 밟아 이 대회에서 그 누구도 해내지 못한 기적을 만들어내어 선수 커리어를 해피엔딩으로 마무리 지음으로써 자국에서 국민 영웅으로 거듭났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그는 우승 상금을 수령받은 이후 1994년에 자국 최초의 암 전문 병원을 짓는 데 앞장서는 등의 사회적 공헌에 큰 영향을 끼쳤으며 국민들의 절대적인 인기에 힘입어 정치에 투신하여 정부수반인 총리직으로까지 올라갈 수 있었다.
  • 크리켓 종주국 잉글랜드는 창설 이후 5대회 연속으로 4강에 올랐지만 첫 우승 도전이 모두 실패로 끝났다. 특히 3번 결승에 진출했지만(1979, 1987, 1992) 3번 모두 패배하였다.
  • 본선 풀리그로 시작한 최초의 크리켓 월드컵이다. 이후 이러한 형식은 27년 뒤에 펼쳐진 2019년 잉글랜드·웨일스 대회와 그 다음 대회인 2023년 대회까지 이어졌다.
  • 우승 후보였던 인도는 이 대회에서 4위에 올라가는 데 실패한 것도 모자라 역대 CWC 최하 성적 타이(7위)[13]를 기록하면서 자국 국민들의 엄청난 질타를 받아야 했다. 거기에 1승 제물로 삼았던 인도의 최대 라이벌이 우승까지 해버린 건 덤.


[1] 남아공이 처음으로 참가한 크리켓 월드컵이다. 그말인즉슨 이전에 개최되었던 4개 대회에는 불참을 당했는데, 자국 당국의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으로 인한 ICC 가입 불가로 한동안 대회를 못 나갔기 때문이다. 그 이후 남아공은 1991년 아파르트헤이트 폐지 이후 다시 ICC 정회원국으로 복권되어 1년 뒤 이번 크리켓 월드컵에 참가할 수 있게 되었던 것이다. [2] 당시 짐바브웨는 ICC에서 준회원으로 등록된 상태였지만 이 대회가 끝난 이후에 정회원으로 승격되었다. [3] 참고로 밴슨 & 헤지스 브랜드는 현재 미국에 본사가 있는 담배 제조 기업인 알트리아가 소유하고 있다. [4]
잉글랜드 :
[5] 대회 당시에는 아파르트헤이트 제정 시절을 함께했던 남아프리카 연방기를 달고 참가하였다. 이후 1994년에 새로운 국기(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가 지정됨에 따라 국기가 교체되어 20[age(2000-01-01)]년 현재는 이 국기를 쓰지 않는다. [6] 1983 크리켓 월드컵에서는 호주 선수로 등록된 바 있던 선수이나, 사실은 [] [8] 자메이카 태생 [9] 네덜란드계이다. 네덜란드어 발음으로는 돌란트 뷜티언스. [10] 다른 한 명은 자베드 미안다드. [11] 공교롭게도 짐바브웨도 2번째로 많은 런 기록(312런)을 달성하였다(...) [12] 그러나 지아울하크는 4년 뒤에 펼쳐질 칸이 우승하는 모습을 보지 못하고 그 해에 숨지고 말았다. [13] 13년 전인 1979년 월드컵에서 7위를 기록하였다. 다만, 여기는 단 한번의 승리도 없이 조별리그 3전 전패로 마무리하였다.